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0, No. 1, pp.53-70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19
Received 09 Oct 2018 Revised 11 Jan 2019 Accepted 01 Feb 2019
DOI: https://doi.org/10.7856/kjcls.2019.30.1.53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특성에 관한 연구

윤혜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 불교아동보육학과
Study on the Traits of the Father’s Role as Portrayed in Picture Books
Hye-Jin Yoon
Dept. of Buddhistic child care and education, College of Buddhist Culture, Dongguk University, Kyongju, Korea

Correspondence to: Yoon, Hye-Jin Tel: +82-54-770-2179 E-mail: hjyoon@dongguk.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raits of the fathers’ role as portrayed in picture books published since 2000. This paper analyzed 52 Korean and foreign picture books in terms of seven categories, such as housekeeper, child-raiser, companion, emotional supporter, bread-winner, book reader, and single father. The crucial role of the father is as an emotional supporter (48.1%), followed in order by companion (44.2%), child-raiser (36.5%), housekeeper (11.5%), bread-winner (7.7%), book reader (5.8%) and then single father (5.8%). Regarding the traits of the father’s role, in the first place, the father’s role as an emotional supporter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one who actively expresses his affection, who encourages and praises children, and who empathizes well with children. The companion role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mating physical play and active leader of various play. The father's role as a child-raiser can be classified into a simple care-taker and father for discipline. The father as a housekeeper means the one who is actively involved in house work. Another role of father is that of a bread-winner. The father’s in children’s reading activity in this paper involved reading books aloud or encouraging children to read. In addition, the single father in these picture books was assumed to be a widowed or divorced father and a father living apart. More picture books related to the fathers' role as a housekeeper and book reader need to be published.

Keywords:

picture books, the traits of father’s role, emotional supporter

I. 서론

과거의 가정 내에서의 아버지는 권위의 상징인 생계부양자로서 조상을 돌보며 자녀들을 훈육하면서 사회규범을 가르치는 역할을, 어머니는 주로 자녀들의 양육을 책임지고 정서적 지원을 하며 가사를 돌보는 일을 함으로써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은 구별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로 들어오면서 아버지는 과거사회와는 다른 역할들을 수행하게 되었고 어머니의 몫이었던 가사 일에 참여, 자녀양육, 친구 및 지지자의 특성을 가진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었다(Park & Hyun 2016). 따라서 아버지 역할이 과거에 비해 큰 의미를 갖게 되고 양육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더욱이 최근에는 자상하며 양육적인 아버지, 친구 같은 아버지 즉, 자녀와 친근한 관계를 유지하는 아버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Park & Kim 2015).

국외 선행연구의 대표적 연구로서는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의 역할유형을 살펴본 Blair(1991)의 연구에서는 아버지가 친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묘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양육자, 가사일 돌보는 역할, 생계부양자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서구사회는 우리사회보다 조금 이른 시기부터 아버지가 자녀의 친구가 되며 양육행동과 가사 일을 분담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연구를 살펴본 결과 Kim(1998)의 그림책 분석 연구와 Kim et al.(2012)의 국내외 창작그림책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가족 부양자 역할이 가장 많이 묘사되었다. Kim & Na(2004)의 연구에서는 아버지가 자녀의 친구와 격려자로서의 역할이 동일한 비율로 가장 높이 나타난 반면, Seo(2003)의 연구에서는 대화하는 친구 같은 역할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최근 Park & Hyun(2016)Song & Bae(2017)는 2000년 이후 국내 창작 그림책의 아버지 인물의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아버지 등장인물의 변화는 집 안에서 등장하는 비율이 1990년대에 비하여 매우 높아졌고 남아선호사상도 급속도로 약화된 모습과 함께 감성적인 아버지의 모습이 증가함에 따라 정서적 지원자 역할이 상승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그림책의 작가들도 사회 변화에 의한 아버지의 태도와 역할을 작품 속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선행연구자들의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현대사회의 아버지는 자녀와 정서적 교류를 하며 따뜻한 동행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나, 아직도 전통사회의 아버지의 모습이었던 생계부양자로의 역할의 중요성이 남아 있다. Jeong et al.(2008)은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상에 관련된 연구에서 긍정적인 아버지상을 가진 아버지는 양성적인 특성과 함께 가족과 자녀의 지지를 받고 있어서 삶이 만족스럽고 행복한 모습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Blair(1991)에 의하면 아동문학 속에 나타난 가정 내에서의 아버지의 다양한 역할은 유아가 아버지에 대한 기대, 태도, 행동 등의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영향력이 크다. 그림책은 가정이나 교육현장에서 유아에게 아버지에 관한 이미지를 형성시키는데 가장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매체로써, 아버지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교량적 역할을 하며 유아의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발달, 자아존중감, 성역할개념 등 전반적 발달에 영양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적 가치가 매우 크다(Kim et al. 2012). 그러므로 현대사회에서 아버지에 대한 다양한 역할을 이해하고 새로운 아버지 상을 정립하는 것은 아동발달측면에서 중요할뿐 아니라 유아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는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역할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또한 유아기에 그림책을 통하여 아버지의 바람직한 양육행동에 대한 역할모델을 제공하여 유아에게 긍정적인 가치관을 갖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Cullinan & Galda 2002).

그림책이 유아발달에 있어서 큰 위치를 차지하는데도 불구하고 세계사적으로 짧은 역사를 갖고 있어서 질적으로 전성기를 맞은 시기는 1990년 이후이다. 국내그림책은 좀 더 늦은 시기인 1995년 이후에 우수한 창작그림책이 출판되기 시작하였다(Seo & Nam 2005). 2000년대에 들어와서 1990년대에 비하여 다양한 국가의 작가와 함께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 그림책들은 각 국가의 출판시점과 같은 시기에 국내에서 번역되어 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Seo & Nam 2005). 1990년대의 그림책의 대부분은 부모-자녀관계 또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성역할에 관련된 내용이었으며(Gooden & Gooden 2001; Jeong & Jeong 2001; Jeong 2005),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아버지 상을 다루는 그림책들의 등장과 함께 아버지 역할의 일반적인 특성 분석연구와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참여 실태에 관련된 소수의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아버지가 자녀에게 제공하는 직접적인 상호작용, 양육참여, 애정표현, 조언자 역할, 삶에 관한 가르침 등은 자녀의 인생 초기뿐 아니라 후기까지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자녀의 정체성 확립과 자기 확신은 아버지의 가치관과 행동에 따라서 영향을 받게 된다(Adamsons & Pasley 2016). 또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Mussen et al. 1990; Kim 2000; Seol & Moon 2006), 또래 유능성(MacDonald & Parke 1984), 사회인지발달(Ninio & Rinott 1998), 문제해결력(Easterbrooks & Goldberg 1984), 독창력(Mussen et al. 1990; Stolz et al. 2005) 등에 영향을 주며 사회정서적 측면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제공된 유아는 좀 더 안정된 애착관계를 형성한다(Cox et al. 1992). 그리고 아버지의 정서표현이 긍정적일수록 자녀의 자기 조절력이 높다(Lim 2006). 아버지의 격려는 어머니의 격려보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 더 큰 영향을 주며 아버지의 격려를 많이 받은 유아가 이타적 행동과 정서적, 인지적 공감능력을 많이 나타낸다(Kim 2011).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아버지의 바람직한 역할은 자녀의 정서에 관심을 가지며 자율성 발달과 가사 일을 분담하며 능동적인 양육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버지 역할들 외에도 중요한 부분 중의 또 하나는 친구의 역할로써 아버지가 자녀와 적극적으로 대화하면서 정서적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Kim & Na 2004; Choi 2011). Johnson(1996)의 주장에 의하면 아버지의 역할은 아버지의 연령, 사회경제적 수준, 교육수준에 따라서 달라질 뿐 아니라, 교육과 자기연마를 통하여 삶의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한 아버지들일수록 경제적 가족 부양자역할 외에 자녀에게 정서적 지지자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사회적 변화와 함께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역할도 달라진다는 것을 재인식할 수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과 가치관의 변화로 양성평등의 가치가 중요시되어 가고 있는 우리사회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강하게 요구되고 부부관계는 남편의 권위에서 지배되었던 관계에서 평등한 관계로 변모하고 있다. 즉, 아버지는 더 이상 가족의 물질적 제공자로서의 존재만이 아니며 자녀양육에 참여함으로써 자녀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2000년 이후 국내 및 국외창작 번역 그림책들에서 아버지의 감정표현이 계속하여 증가하였고 최근 5년간 더욱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Song & Bae 2017).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책을 활용한 아버지의 역할 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물론, 국내외 그림책을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외에서 그림책 속의 부모 역할에 관련된 분석연구를 살펴보면 그림책 속의 어머니 상(Jeong 1996), 부모-자녀관계(Jang 2004; Jeong 2005),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이미지에 대한 고찰(Jeong et al. 2008), 동화에 나타난 아버지 유형 비교연구(Choi 2008)등을 위주로 이루어져 왔으므로 구체적인 아버지 역할이나 양육행동의 모습을 살펴보는 연구는 미흡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 역할 범주의 분류기준이 학자마다 다르고 분류범주가 중복되어 수행된 연구도 있었으며 연구결과도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Blair 1991; Kim & Na 2004; Choi 2011; Kim et al. 2012).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아버지 역할 분류를 반복 적용하여 사회적 변화에 따른 그림책에 반영된 아버지 역할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그림책에서 묘사된 인물이나 특정 주제에 관련된 분석연구는 유아들이 그림책 속의 인물을 동일시 또는 모방하거나 자신의 체험과 비교하여 생각해 보는 과정을 통해 미래에 그들의 가치관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이후 급격한 그림책의 양적 증가와 함께 그림책의 아버지 역할 특성이 변화한 시기 즉, 자녀와의 정서적 교감이 확대된 시기가 되므로 그 이후로 출간된 국내 창작그림책들과 번역된 창작 외국 그림책들을 통하여 아버지와 자녀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행동에 바탕을 두고 아버지 역할에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의 역할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적 시사점을 찾아보며 향후 그림책에서 다루어져야 할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아버지 역할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특성은 어떠한가?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를 위해서 1차 수집으로는 2015년 어린이 도서연구회에서 선정한 어린이 청소년 서적 중에서 그림책 121권 중 아버지 양육과 관련된 국내 창작 그림책과 외국번역 창작 그림책 25권을, 2차 수집은 오픈키드 2015년 좋은 그림책 목록과 온라인 오픈키드 주제별 찾기 ‘아버지, 나의 아버지’ 코너에서 어린이 도서 연구회와 중복되는 서적을 제외한 아버지 양육 그림책 28권을 선정하였다. 그 중 아버지는 등장하였으나 아버지 역할과 무관한 내용으로 엮어진 ‘호랑이를 잡은 우리 아빠’ (이지현 글, 김우선 그림)라는 그림책 1권은 제외하였다.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 그림책 선정과정에 있어서 아동학과 교수와 그림책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그림책 선정의 객관성 획득을 위하여 그림책의 구성요소 중 문학성에 기반을 두고 주제, 플롯, 배경, 등장인물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면밀히 분석한 후 4가지 구성요소 중(Kim 2016) 아버지 역할을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그림책을 최종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2000년 이후 출간된 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용 아동을 위한 창작 그림책과 2000년 이후 번역되어 소개된 국외 창작그림책으로써 아버지가 주요 등장인물로 나오는 즉, 아버지의 역할 특성이 묘사되거나 의인화된 동물이 등장하는 그림책에서 아버지의 역할 특성이 표출된 경우를 포함하여 총 52권의 그림책들을 선정하였으며 그 목록은 Table 1과 같다.

Title of picture books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의 역할 특성을 범주화하여 각 그림책에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버지 역할 특성에 있어서는 Blair(1991)Choi(2011)의 연구를 바탕으로 Blair(1991)가 사용한 6가지 유형, 즉 가사 돌보는 아버지, 양육자, 친구, 생계부양자, 아버지의 부재, 다른 곳에 사는 아버지 중에서 아버지의 부재를 제외하고 5가지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류 유형들은 아버지 역할을 나타내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부재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모든 그림책에서 아버지가 주요한 등장인물로 나오고 아버지와 자녀 간에 상호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또한 Blair(1991)의 분류 기준에서는 빠져 있으나 아버지 역할을 분류하는 과정 중 나타난 ‘정서적 지원’ 과 ‘책 읽어 주기’ 아버지 역할 범주(Choi 2011)를 추가하여 본 연구에 포함시킴으로써 총 7유형의 아버지 역할이 사용되었다. Choi(2011)의 연구에서는 아버지 역할을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냄, 헌신하기, 정서적 지원, 돌봄에 참여, 놀이친구, 책 읽어주기로 분류하였는데 그 중 ‘헌신하기 와 ’정서적 지원’의 내용이 중복되므로 이를 통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지지자’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역할특성의 범주와 해당내용은 Table 2와 같다.

Subcategories and contents of the father’s roles in picture books

3. 연구절차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특성에 관한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양적, 질적 접근을 통합하여 내용분석(content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내용분석은 의사전달이 뜻하는 내용을 일정한 범주나 단위를 바탕으로 분류하고 자료내용을 수량적으로 처리하여 해석함으로써 어떠한 내용이 비중을 두고 강조되는가를 살펴보는 연구방법이다(Lee & Kim 1998). 자료 분석은 2017년 7월 18일부터 2017년 7월 27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첫째, 연구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이며 전공경력을 갖고 있는 연구보조자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그림책들을 선행연구인 Blair(1991)Choi(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범주와 각 범주의 내용을 바탕으로, 그림(삽화)과 글을 읽고 여러 차례의 토의를 거쳐서 본 연구에 적합하게 아버지 역할 특성을 범주화하였으며 각 범주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결정하였다. 둘째, 아버지 역할특성의 범주에 관한 결정과 각 범주에 해당하는 내용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동문학을 강의한 경험이 있었던 아동학과 교수의 검토 후 타당도에 대한 검증을 받았다. 셋째,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는 그림책 내용을 다시 개별적으로 읽고 각 범주 내용과 분석된 항목들의 내용을 노트한 후 연구자와 연구보조자의 일치도는 82%로 나타났으며,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모호한 부분에 대해서는 아동학과 교수와 재검토, 공동협의와 조정 및 삭제하는 과정을 거쳤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52권의 그림책에서 문장내용과 삽화에 초점을 두고서 81개 항목의 아버지 역할을 7유형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는 사람뿐 아니라 의인화된 동물속의 아버지의 행동, 태도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 모두를 포함시켰다.

마지막 절차로써 아버지 역할을 분석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각 그림책에 묘사된 단어, 행동, 그림의 의미를 간략하게 기입하였으며 (예: 사랑스런 나의 아가! 나의 햇살!, 영화관가기, 바느질하는 모습 등), 기입한 내용들을 아버지 역할의 7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7개의 범주에 속하는 하위내용들은 계속해서 읽어나가며 일련의 통합된 소주제를 만들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한 그림책에 여러 가지 아버지 역할이 묘사된 경우 해당범주에 모두 포함시켜 중복 처리하였다. 예를 들어 로라 루메로프의 작품 『아빠는 나를 사랑해』에서는 아버지가 친구, 정서적 지지자, 양육자, 가사일 돌보는 다양한 역할로 나타나서 중복체크를 하였다. 그 다음 7가지 범주로 분류된 그림책 수(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그림책에서 제시된 아버지의 역할 내용을 범주에 따라서 노트필기, 분석, 해석하면서 의문점이 생길 때는 아동학과 교수와 지속적인 질문 및 대화를 통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III. 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 52권의 그림책을 통하여 아버지 역할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지자(25권, 48.1%)로서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친구(23권, 44.2%) 양육자(19권, 36.5%), 가사일 돌보는 아버지(6권, 11.5%), 생계부양자(4권, 7.7%), 책 읽어 주는 아버지(3권, 5.8%), 다른 곳에 사는 아버지(3권, 5.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 역할특성이 높은 비율로 나타난 범주 순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정서적 지지자

1) 애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아버지

『엄마 아빠, 빨리 오세요』(데브라 파파스 글, 캐롤 코엘러 그림)에서 타일러의 엄마, 아빠는 여행 전, 여행 동안, 여행 후 타일러에게 애정을 표현한다. 이 작품에는 부모의 사랑, 유아기 독립심 함양의 가치, 다른 문화와 다른 성격을 가진 이웃 친구들과의 적응을 위한 인내심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 내용에는 엄마, 아빠가 자녀에게 표현하는 사랑이 담겨져 있다.

“지난 여름 바닷가에서 모래성을 쌓고 나서 찍은 우리 가족 사진을 가방에 넣어 놓을테니 엄마, 아빠가 생각날 때 꺼내보렴. 엄마 아빠는 네가 무척 보고 싶을꺼야. 너도 엄마 아빠가 보고싶을 것이고......”

『아빠, 왜 나를 사랑해?』(오스카 브르니피에 글, 델핀 뒤랑 그림)에서는 아이가 아빠에게 왜 자기를 사랑하는지 물으니까 사랑하니까 사랑하는 것이지 라는 내용으로 답변을 한다. 이 그림책에는 아빠가 아이의 실존하는 모습 그대로를 사랑하는 마음 즉, 아이의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키워주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아빠 만날 준비 됐니?』(김영미 글, 황정하 그림)는 알을 품은 펭귄아빠가 겨울이 지나고 봄이 와서 펭귄 아기를 기다리는 마음- 아버지의 희생적인 부성애가 깃든 산문시이다.
2) 격려 또는 칭찬하는 아버지

『세상에서 제일 큰 우리아빠』(조셉 브루채크 글, 웬디 헬퍼린 그림)의 주제는 시각장애를 갖은 아버지가 자녀에 대한 사랑과 함께 아이의 아버지에 대한 사랑이 담겨져 있다. 특히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정서적 지원자의 역할 중 격려와 조언을 제공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우리 아빠는 시내에 갈 때 나를 꼭 데려가요. 나는 아빠가 잘 걸을 수 있도록 도와주지요. 내가 슬프면 우리아빠는 내 등을 도닥거려줘요. 조언을 아끼지 않으면서도 내 스스로 길을 찾아 가도록 해주었던 아버지!

『아빠의 그림 방에 들어갔더니』(정근 글, 나애경 그림)에서 아빠는 아이가 그림 방에 몰래 들어가서 물감을 엎질렀는데도 열심히 그려서 훌륭한 그림이 되었다고 오히려 칭찬을 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아빠가 안아줄께』(캐런 카츠 글·그림)에서는 신체적 접촉 즉, 아빠가 아이의 등을 도닥이며 아이가 자율적인 움직임을 나타낼 때 ‘잘한다’ 라고 격려를 한다.

3) 공감하는 아버지

『아빠와 함께 피자놀이를』(윌리엄 스타이그 글·그림)에서 아빠는 아이가 기분이 안 좋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의 몸을 빙빙 돌리며 피자모양을 만들어 준다.

피트는 친구들하고 공놀이를 하려고 했는데 하늘에서 비가 쏟아지지 뭐예요. 피트가 속상해하는걸 아빠가 모를리 있나요? 아빠는 속으로 생각합니다. ‘이 녀석을 피자로 만들어주면 기분이 좋아지겠지!’

『너는 사랑이란다』(우수민 글, 최정인 그림)에서 아빠가 아이와 공감대 형성을 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부모 자녀간의 공감대 형성은 자녀의 자아개념 및 자존감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빠는 너에 관해서라면 모르는 것이 없어. 네가 둥근 눈동자를 반짝반짝 빛내며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아빠를 바라보면 아빠는 네 마음속 생각들도 다 알 수 있어.

『아빠와 엄마가 따로 살아요』(마리엘렌 델발 글, 데이비드 맥파일 그림)는 아버지가 딸을 양육하며 공감대 형성과 함께 아버지의 희생적 사랑이 깃들어 있다. 딸의 머리를 묶어주기 위하여 인형을 통하여 머리 묶는 연습을 하는 장면은 공감을 대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애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아버지에 있어서는 국내, 국외 작품 모두 언어 및 신체적 교류, 정서적 교감 등을 통하여 아버지의 사랑, 희생 및 부성애를 나타내었다. Choi(2011)의 연구에서는 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국외 작품에서 국내작품보다 좀 더 적극적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아버지 역할이 묘사되었는데 안아주기, 이마 맞대기 또는 볼에 뽀뽀하기 등을 통하여 자녀에게 위안과 안정감을 주고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Cho et al.(2008), Song & Bae(2017)의 연구결과에서 현대사회의 아버지는 자녀를 따뜻하게 대하고 공감하며 사랑을 충분히 표현한다는 내용은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다. 반면, Kim et al.(2012)의 창작그림책 분석의 연구결과에서 아버지 역할 중 가장 높은 비율이 부양자 역할로 나타난 것은 본 연구의 결과와 다르다. 이 그림책은 국내 작품이 대다수이지만, 본 연구의 그림책 선정은 국외 작품의 양적 수가 훨씬 높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국외 작품인 『엄마 아빠, 빨리 오세요』는 국내작품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부분- 부모가 여행을 떠나며 타일러를 친구 집에 머물게 하는 내용을 통하여 부모의 자녀에 대한 정서적 지원 외에도 유아기의 자립심 연마와 외로움을 즐거움으로 극복하는 방안 등이 삶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격려 또는 칭찬하는 아버지에 있어서 『아빠의 그림 방에 들어갔더니』의 작품을 살펴보면 아버지가 구체적인 칭찬과 격려 특히 결과보다는 과정에서의 노력을 인정하는 것은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을 도모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도록 하여준다. 자녀가 노력한 것에 관하여 의미 있는 존재로부터 받는 수용과 인정은 유아의 성장발달에 유익하고 자녀는 이를 통해 도전과 모험을 할 수 있는 존재로 자라나게 할 것이다(Choi 2011).

마지막으로 공감하는 아버지에 있어서는 『우리 엄빠』에서 한 부모 가정의 아버지들이 아이와 공감하는 내용, 아버지는 늦게까지 어린이집에서 머물며 아빠를 애타게 기다리는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며 빨리 만나러가려고 애쓰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공감은 우리의 삶을 아름답게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다. 부모가 자녀의 마음과 행동을 나누는 공감태도는 자녀의 인생에서 중요한 요소인 자존감 발달을 도와주며 자녀가 자신을 유능하다고 느끼게 함으로써 자녀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Jeong et al. 2011).

2. 친구

1) 신체적 놀이 친구가 되는 아버지

『아빠랑 나랑』(고카제 사치 글, 아베 지사토 그림)에서는 고릴라 가족으로 등장하는 아빠가 아기 고릴라와 신체적 놀이를 하는 장면이 나타나 있다. 아이는 아빠와 신체적 놀이를 할 때 신체적 접촉을 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얻고 정서적 유대관계를 만들어 간다.

아빠 팔에 매달려 흔들흔들. 빙그르르. “어때요. 나 잘하죠?” 빙글빙글, 재미있는 철봉돌기! 널따란 아빠 등. 아빠 등에서 콩콩. 홀짝홀짝 콩콩. 팔딱팔딱 팡팡! “아빠, 나랑 좀 더 놀아요”.

『아빠 놀이터』(김태호 글·그림)에서는 아이가 ‘아빠는 철봉이다’ ‘자동차도 들어 올릴 수 있다’ 라고 말함으로써 아빠의 신체적 강인함이 상징적으로 나타나있다. 국내 그림책과 서양 그림책에 있어서 아빠와 유아의 신체적 놀이를 다룬 작품에서의 차이점은 서양 그림책에는 국내 그림책에 비하여 아빠의 신체적 강인함이 덜 묘사되어 있는 반면에, 아빠가 아이를 즐겁게 하는 행동 또는 놀이 친구로서의 역할이 오히려 강조되어 있다.

2) 자녀와 다양한 활동을 하는 아버지

『아빠는 하나 아기는 열』(베네딕트 게티에 글·그림)은 아빠가 열 명의 자녀를 돌보며 배를 만들어 낚시도 하고 바다여행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는 내용이다. 또한 열과 스물이라는 숫자(아기 열명, 열달 동안의 여행, 열흘 동안의 단잠, 열개의 딸기크림 과자, 스무 짝의 양말, 국수 이백가닥, 소시지 스무개 등)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유아에게 리듬감과 함께 그림 속에서 수나 사물의 개념을 이해하게 하는 간접적인 교육방법은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방법보다 효과적이다. 이 그림책에는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공상적인 특성과 함께 유머가 깃들어 있다.

『곰이 된 아빠』(조안나 해리슨 글·그림)에서는 아이와 시간을 보내지 않았던 아버지가 자녀와 영화관도 가고 축구도 함께 하며 긍정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늦게 자고 짜증만 내시던 아빠가 어느 날 아주아주 커다란 곰이 되었어요. 곰이 된 아빠와 나는 멋진 하루를 보냈지요. 처음에 우리는 영화관에 갔고, 축구도 함께 했고요. 곰이 된 아빠가 점점 좋아지려고해요. 같이 놀 수 있으니까요.

『아빠랑 캠핑가자!』(한태희 글·그림)의 국내 그림책에서는 가족들이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면서 아빠는 아이를 기쁘게 해주려고 나뭇잎으로 가면도 만들어주고 풀피리도 불어주는 장면이 나타나 있다. 국내 그림책에는 서양 그림책에 비하여 아버지는 유능한 존재이며 문제 해결사라는 것을 암시하는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이것은 문화와 가치관의 차이로 인하여 한국사회가 서구사회에 비하여 아버지가 가계계승자, 남아선호사상 내지는 생계부양자, 가족 내에서의 권력자로서의 역할을 좀 더 강조하여 왔기 때문이다.

숲속은 신기한 것들로 가득했어요. (중략) “아빠 목말라요”. “조금 더 내려가면 계곡이 있을꺼야”. 얼마 후 물소리가 들리더니 계곡이 나타났어요. 아빠는 정말 모르는게 없어요.

앞의 그림책들에서 현대 사회의 아버지는 자녀와 친구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Kim & Na(2004)Song & Bae(2017)의 연구에서도 아버지 역할 중 친구로서의 역할이 높은 비율로 묘사된 것은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친구로서의 아버지 역할에 있어서 아빠 팔에서 철봉놀이, 아빠 등에 타기 등으로 묘사되듯이, Dickson et al.(1997), Kim & Na(2004), Song & Bae(2017)의 연구에서도 아버지가 목마 태워주기, 엎드려 말 태우기 씨름하기, 아이를 식탁위에 굴리기, 다리 잡아당기기 등 신체를 접촉하며 몸으로 놀이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MacDonald & Parke(1986)은 아버지와 자녀의 신체적 놀이는 2세경에 최고지점에 도달하면서 10세경까지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어머니는 장난감등을 보여주고 이를 이동하거나 흔드는 것을 보여주는 놀이에 비해, 아버지는 밀거나 들어 올리는 놀이를 많이 하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다.

국내작품의 『아빠 놀이터』와 『아빠 비행기 타고 슈웅』에는 아버지의 신체적 유능감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서양 그림책 『아빠랑 둘이 있으면』, 『곰이 된 아빠』에서는 아빠가 아이를 기쁘게 하려는 행동과 유머가 깃든 아버지의 모습과 함께 동등한 입장에서의 놀이 친구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그림책에 묘사된 현대 아버지들은 과거의 권위적이고 근엄한 모습에서 벗어나 아이에게 익살스럽고 개구쟁이 같은 모습으로 부각되면서 자녀의 친밀한 친구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국내 현대창작 그림책 내용 속에는 전형적이고 성 정형화된 남성성의 모습이 여전히 묘사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사회의 가정이나 유아교육현장에서 고정적인 성역할을 강조하는 교구나 장난감을 지양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작품들 안에는 이러한 특성이 잔재되어 있다. 『아빠와 엄마가 따로 살아요』에서는 아버지가 딸에게 머리띠를 『우리 아빠는 알 로봇』에서는 아버지가 아들에게 자동차, 비행기, 로봇을 사다주는 장면이 나타나 있다. 유아는 그림책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유아가 속한 사회와 문화권에서 기대하는 각 성별에 고정화된 습관 또는 행동양식을 습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습은 유아들로 하여금 무의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성역할 고정관념을 갖게 할 것이다.

자녀와 함께 여러 장소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아버지 역할에 있어서 국외 작품인 『곰이 된 아빠』에서는 항상 느리게 행동하고 잠꾸러기이며 자녀의 욕구에도 반응하지 않았던 아빠가 곰이 되어서 훌륭한 아버지의 모습으로 달라지는 내용이다. 국내 그림책에 비하여 국외 그림책 속의 아버지는 전능한 존재보다는 장난스러운 모습과 함께 유머, 위트와 환상적이고 공상적인 내용으로 더 많이 묘사되고 있다.

문학은 감동을 제공하며 자신을 되돌아보게 함으로써 우리를 변화시킨다. 아동문학도 마찬가지이다. 현대의 경쟁사회에서 분주하게 살아가는 아버지들은 그림책들을 통하여 간접적이나마 자신의 모습과 생활상을 반성하며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에 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되며 아울러 변화할 수 있다.

3. 양육자

1) 자녀 돌보는 아버지

『아빠랑 있으면 행복해』(나딘 브룅코슴 글, 마갈리 르 위슈 그림)에서는 서투르지만 열심히 양육행동을 하는 아빠의 모습들이 나타나 있다. 이렇게 아버지는 자녀를 돌보면서 아버지로서의 정체성 발달을 점차적으로 이루게 된다(Hwang & Baik 2005).

다음 내용은 유아기 자녀를 둔 엄마가 양육을 아빠에게 맡기고 영화를 보러가는 행동에서 가족만큼 개인의 삶을 중요시하는 서구사회의 문화를 인식할 수 있다.

오늘 저녁은 엄마가 없어요. 영화를 보러갔거든요. 그래서 오늘 저녁은 아빠가 목욕을 시켜주고, 식사를 차려주고, 잠을 재워줄꺼예요. 클라라가 투덜거려요. “아휴! 아빠는 너무 서툴러요. 그리고 아빠가 목욕시킬 때는 온통 거품투성이, 물투성이예요”.
2) 교육적인 아버지

『아빠가 우주를 보여준 날』(울프 스파르크 글, 에바 에릭손 그림)에서는 아빠가 추운 저녁에 퇴근하여 자녀와 공원을 산책하며 시간을 보내며 지역사회의 여러 가지 모습을 보여준다. 이 그림책에는 아빠가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생활에 필요한 중요한 개념, 과학적 현상 등을 알려주는 교육적 가치가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나는 아빠와 추운 겨울날 산책을 나갔지요. “아빠 입에서 왜 연기가 나나요?” “이건 입김이 나는 거야. 입속공기가 바깥공기보다 따뜻해서 생기는거지”.

『우리 아빠가 정말 멋져요!』(미레이유 달랑세 글·그림)는 아빠가 위급한 상황에 있는 아이를 최선을 다하여 생명을 구하는 내용으로 꾸며진 환상적인 이야기이다. 이 그림책에는 아빠의 아이에 관한 희생적인 사랑과 함께 상대방과 진심으로 교류하면 상대방의 마음을 변화 시킬 수 있다는 도덕적 교훈이 담겨져 있다.

“만약에 제가 물에 빠지면 어떻게 하실 꺼에요?” “신발을 휘둘러서 악어를 물리칠꺼야”. (중략) “그런데 원숭이가 절 먼저 찾아서 잡고 안 놔주면 어떡해요?” “그러면 아주 예의바르게 말할꺼야. 부탁합니다, 사랑하는 우리 아이를 제발 돌려주세요. 예의바르게 행동하면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단다”.

다음의 『아빠한테 가고 싶어요』(유다정 글, 주보희 그림)는 아빠 곰이 아기 곰에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고 있다. 이 작품에는 유아가 지각하는 아빠의 유능함이 나타나 있다.

우리 아빠는 나무에 오르는 법, 물고기 잡는 법, 수영하는 법, 먹는 버섯과 못 먹는 버섯도 가르쳐 주었어. 우리 아빠처럼 잘 가르치는 곰은 없을꺼야.

본 연구결과에서의 아버지 역할은 양육자 역할로서, 자녀를 돌보는 아버지와 교육적인 아버지로 나타났다. 자녀를 돌보는 아버지에 있어서는 과거에 어머니들이 담당했던 음식먹이기, 목욕, 옷 입히기, 잠재우기 등을 시도하지만 서툰 모습으로 나타났다. 또한『요엘은 엄마, 아빠가 둘』이라는 작품 안에는 입양의 개념이 우리사회와는 다소 다르다는 것이 묘사된다. 우리사회보다 혈연관계를 덜 중요시하는 서구사회의 문화권에서는 입양을 개방적으로 받아들인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우리 사회도 입양의 개념과 중요성이 변화하는 과정 속에 있지만 아직도 서양사회와 다소 다른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여전히 입양을 은폐하는 경향이 남아 있다. 교육적인 아버지에 있어서는 아버지가 아이가 생존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요소, 아이가 둘러싼 세계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역할, 사회생활에 필요한 도덕관념을 가르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Kim(1998)의 주장처럼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다르지 않고 누구든지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이며 기술이다.

4. 가사일 돌보는 아버지

『우리 엄빠』(임희옥 글, 전효훈 그림)에서는 엄마가 부재인 가정에서 아빠가 엄마대신 가사 일에 최선을 다하며 익숙한 솜씨로 펼쳐가는 장면이 잘 나타나 있다.

우리 아빠는 무거운 김치통을 혼자서 번쩍 들기도 하십니다. 아빠는 내 신발주머니에 이름을 수놓아 주셨고 바느질도 잘 하십니다. 아빠는 엄마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리아빠는 엄빠입니다.

『곰이 된 아빠』(조안나 해리슨 글·그림)는 어머니가 생계부양자이며 항상 늦게 일어나고 짜증만 내는 게으른 아버지가 어느 날 아침 갑자기 곰으로 변신하여 모범적인 아빠의 모습으로 묘사되는 환상적인 이야기이다.

오늘 아침 아빠는 곰처럼 느릿느릿 깨어나서는 아침 내내 짜증만 냈어요. (중략) 그런데 어느날 아빠가 깨어났는데 곰이 되었어요. “ 자, 같이 청소할까?” 그러고는 뒤뜰의 청소를 했어요. 그리고는 샌드위치도 함께 만들었지요.

아버지의 역할 중 가사일 돌보는 아버지 역할은 자녀의 정서적 지지자, 친구, 양육자 역할에 비하여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ong & Bae(2017)Lee(2011)의 연구결과에서 아버지의 역할 중 가사일 돌보는 역할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국내창작 그림책에서 아버지의 가사일 돌보는 역할은 2000년 이전에는 전혀 묘사되지 않다가 2000년 이후부터 10년 동안 증가했다(Song & Bae 2017). 이것은 젊은 세대 아버지들은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맞벌이 가구 증가 등의 원인으로 실제적인 상황 속에서 불가피하게 가사 일에 참여해야 하는 현실세계를 그림책에서도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반면 Blair(1991)의 연구에서는 가사일 돌보는 아버지 역할이 본 연구결과 그리고 국내 선행연구(Kim & Na 2004; Choi 2011; Song & Bae 2017) 결과와 비교하여 좀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것은 서구사회에서는 우리사회보다 빠른 시기의 자본주의의 팽창과 산업 발전으로 인하여 가족 구성원의 역할 변화 등 아버지들이 가사 일에 일찍 참여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엄빠』에서는 어머니가 부재인 가정에서 아버지가 가사 일을 하는 모습이 나타나듯이 Song & Bae(2017)의 연구에서도 아버지의 가사활동은 어머니가 부재인 상황에서 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가 식사를 준비할 때는 자연스럽고 능숙한 모습보다는 서투르면서 실수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이것은 아직도 실제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가사 일을 하는 사람은 어머니로서 아버지는 보조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수동적으로 가사에 참여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Kim & Na(2004)의 연구에서도 서양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 피곳 씨는 피곳 부인이 하는 요리를 도와주고 있었다’ 라고 표현됨으로써, 어머니는 전형적인 성유형화된 모습으로 아버지는 가사 일에 보조 역할을 하는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그림책 내용 속에서 한 부모가정의 아버지 또는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가사 일은 아버지가 어머니 못지않게 잘 수행하는 모습으로 묘사됨으로써 아버지가 신념을 갖고 가사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누구나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5. 생계부양자

『아빠한테 가고 싶어요』(유다정 글, 주보희 그림)는 아빠 곰이 아기 곰을 생존시키는데 필요한 생계부양자의 역할이 묘사되어 있다. 아기 곰은 아빠 곰의 전능함에 관하여 자부심을 갖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우리아빠는 맛있는 도토리나 산딸기와 내가 가장 좋아하는 꿀도 아주 잘 찾아. 그래서 언제나 난 배불리 먹었어. 우리 아빠처럼 냄새를 잘 맡는 곰은 없을꺼야.

『아빠가 우주를 보여준 날』(울프 스타르크 글, 에바 에릭손 그림)에서는 외벌이를 하는 아빠가 가족의 생계를 도맡는 역할이 나타나 있다.

어느날 아빠가 나에게 우주를 보여주겠다고 했어요. “우주가 어디 있는데요?” 내가 물었어요. “아주 아주 멀리 있지”. 아빠가 흰 가운을 벗으며 말했어요. 아빠는 치과의사거든요.

아버지 역할 중 생계부양자 역할은 다른 범주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과거사회에는 가족 경제의 책임이 아버지의 역할 중 매우 중시되었으나 현대에는 가정 내에서의 다른 역할에도 가치를 둔다는 것을 암시한다. 서구사회는 대체적으로 우리 사회보다 좀 더 이른 시기에 경제적 안정, 여성의 사회적 참여, 성 평등, 양성화 개념 확립, 가사 역할의 분담 등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림책 속에 아버지가 자녀를 대하는 모습과 역할 등에서의 차이, 즉 생계부양자 역할 외에도 자녀의 정서적 지지자, 친구, 양육자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6. 책 읽어주는 아버지

『꿈나라에 가려면 이야기를 들어야 해요』(앤드루 대도 글, 조너선 벤틀리 그림)에서 아빠는 자녀가 잠들기 전에 그림책을 읽어주며 직접 이야기도 만들어서 들려주면서 언어적, 정서적으로 교류하는 장면이 나타나 있다.

꿈나라에 가려면 이야기를 들어야해요. 하나는 책에서 또 하나는 아빠가 이야기를 지어낸거예요. 나와 같은 꼬마왕자가 강아지 한 마리와 고양이 한 마리가 오래오래 살았다는 이야기예요. 그리고 하루 중 가장 재미있었던 일을 말해 줄께요. 아빠도 말해주세요.

『우리 엄빠』에서는 아빠가 세상을 떠난 아이 엄마의 역할을 대신하는 이야기가 담겨져 있으며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내용이 암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오늘 저녁 아빠가 저녁을 준비하시는 동안 나는 혼자 동화를 읽어야합니다. ‘아빠가 읽어줘!’ 하고 싶어도 꾹 참습니다. 오늘은 아빠가 너무 바쁘시니까요.

『아빠 더 읽어 주세요』(데이비드 스레인 글·그림)는 아빠가 자녀 잠드는 시간에 책을 읽어준다는 내용이다. 아이는 아빠가 책 읽어 주는 것을 들으며 즐거워하며 아빠는 아이에게 책 내용을 들려주며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딱 한번 만 더 읽어주세요. 가만히 듣기만 할께요”. “좋아. 그럼 이번에는 끼어들지 않는거다. 우리 아기랑 똑닮은 꼬마 닭도 나오고---정말 재미있었어. 그런데 너무 졸리군. 우리 이제 그만” 드르렁....

책 읽어주는 아버지 역할은 생계부양자 역할 다음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국외 그림책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Choi(2011)의 아버지 역할 연구에서 자녀에게 책 읽어주는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버지는 어머니에 비하여 자녀들의 책 읽어주는 요구에 덜 흥미를 보이며 소극적이라는 Lee(2015)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 Lee & Lee(2007)는 아버지가 자녀와 신체적 놀이대상자로서의 역할은 많이 하고 있지만 자녀에게 책을 읽어주는 조용하고 정적인 활동은 어머니보다는 훨씬 적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Branston(1999)Kim(2002)은 아버지가 어머니에 비하여 유아에게 그림책 읽어주는 횟수가 매우 저조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버지가 유아를 둔 자녀에게 사용하는 어휘의 범위는 어머니와 차이가 없을 뿐 아니라, 아버지가 어머니에 비하여 문장 맥락에서 벗어나는 상호작용이 좀 더 많아서 자녀의 창의력 함양에 도움이 되며 다양하고 추상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경향으로 인하여(Duursma 2016) 어머니와는 다른 형태의 언어적 기술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된다(Haas 2000; Pancsofar & Vermon-Feagans 2010). Duursma & Raikes(2008)에 의하면 아버지는 자녀에게 책을 읽어줄 때 세계와 사물에 대하여 가르치는 경향이 높은 반면, 어머니는 인간관계 문제에 집중하는 특성을 좀 더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아빠가 우주를 보여준 날』은 아빠가 자녀를 데리고 나가서 우주와 세계에 관하여 설명하며 지역사회의 여러 곳을 방문하여 각각의 역할을 인식시키는 모습은 Duursma & Raikes(2008)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Duursma(2016)는 어머니에 비하여 아버지가 책을 읽어줄 때 유아를 몰입시키기 위해서 어머니보다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므로 영아의 어휘력 증진과 말하는 능력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여러 연구결과를 통하여 아버지가 자녀에게 책 읽어주는 효과는 아버지와 유아와의 친밀한 유대관계를 이룩하여 유아가 자존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며 즐거움과 흥미를 통하여 자율적인 학습 동기를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7. 다른 곳에 사는 아버지

다른 곳에 사는 아버지는 아버지가 이혼, 사별, 외국에서 일하고 있는 다양한 상황의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아빠는 지금 하인리히 거리에 산다』(네레 마어 글, 베레나 발하우스 그림)는 이혼한 부모를 둔 베른트가 따로 사는 아빠를 그리워하는 현실세계가 묘사되어 있다.

엄마랑 같이 있는 토요일에는 할아버지 할머니한테 가기도 하고 함께 자전거를 타기도 하고 동물원에도 갔어요. 하지만 아빠가 없어서 아쉬웠어요. 베른트는 때때로 슬퍼져요. 베른트는 아빠와 엄마를 사랑해요. 그런데 왜 아빠 엄마는 서로 사랑하지 않을까요?

한편 『아빠 잘 있어요?』(하세가와 요시후미 글·그림)는 아이가 세상을 떠난 아빠를 애절하게 그리워하는 내용이다. 아이는 아빠가 살아 계실 때 좀 더 많은 시간을 갖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작품을 통하여 유아는 타인의 마음을 조망하며 인지적 공감의 태도-도덕 중의 중요한 핵심요소-를 배워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저는 아빠랑 함께 했던 소중한 추억을 떠올려요. 지금 후회하고 있어요. 아빠랑 캐치볼을 더 많이 할걸 하고요. 딱 한번만이라도 다시 만나고 싶은 아빠! 보고 싶어요.

『아빠에게 가는 길』(심스 태백 글·그림)은 아빠가 외국에 근무하게 되어서 아이와 따로 살아가고 있는 이야기이다. 아이가 아빠와 물리적으로는 부재한 상태이지만 학교생활을 즐겁게 하는 장면, 그리고 아빠에게 가져갈 선물상자를 가지고 비행기를 타고 아빠를 방문하려는 기대에 찬 아이의 모습과 함께, 아빠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잘 묘사되어 있다. 이 작품은 어려운 현실에 놓여 있는 유아들에게 용기와 희망, 공감대를 형성시켜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른 곳에 사는 아버지에 있어서는 책 읽어주는 아버지 역할과 동일하게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모두 국외 작품이었다. 국외 그림책에서는 아버지의 부정적인 모습인 이혼, 사별, 어머니가 생계부양자이며 아버지가 실직한 모습 등을 다양하게 그려주고 있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속에 묘사된 아버지와 유아의 행동, 언어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아버지 역할특성의 분류를 적용하여 현대사회 아버지의 역할 변화의 모습을 다시 살펴보고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그림책의 영향을 받는 유아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아보며 향후 그림책에서 다루어져야 할 바람직한 아버지 역할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국내외 그림책 52권을 가사일 돌보는 아버지, 양육자, 친구, 정서적지지자, 생계부양자, 다른 곳에 사는 아버지, 책 읽어주는 아버지의 7가지 범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지지자(25권, 48.1%), 친구(23권, 44.2%), 양육자(19권, 36.5%), 가사일 돌보는 아버지(6권, 11.5%), 생계부양자(4권, 7.7%), 책 읽어 주는 아버지(3권, 5.8%), 다른 곳에 사는 아버지(3권, 5.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의 특성에 관한 요약내용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역할 중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역할 비율이 가장 많이 묘사되었는데 애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아버지, 격려 또는 칭찬하는 아버지, 공감하는 아버지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가족사회에서부터 부모가 자녀와 적극적으로 정서를 나누는 것은 자녀가 성장한 후에도 행복한 인간관계를 이룰 수 있는 중요한 기저로 작용함으로써 공감대 확립으로 이어져서 미래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둘째, 현대 사회의 아버지 모습은 과거 아버지와는 다르게 아버지의 역할 중 정서적 지지자 역할 다음으로 자녀의 친구 역할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친구로서의 아버지 역할에 있어서는 신체적 놀이친구가 되거나 자녀와 함께 다양한 활동을 하는 아버지로 나타났다. 현대 아버지들은 과거의 훈육자로서의 모습만이 아니며 아이와 신체적 접촉을 하며 놀이를 즐기며 재미있는 활동을 함께 하는 다정한 친구라는 것을 보여준다. 아버지와 자녀는 이제 더 이상 연령과 세대 차이를 동반한 수직적인 인간관계가 아니다. 아버지는 자녀에게 돌봄만을 제공하는 존재가 아닌, 즉 자녀와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삶의 동반자이며 자녀를 통하여 에너지를 재충전하고 외부세계에서 받은 어려움을 치유하는 친근한 벗이다.

셋째, 정서적 지지자, 친구 다음으로 많이 나타난 아버지 역할은 양육자 역할로서 자녀를 돌보는 아버지와 교육적인 아버지로 묘사되었다. 돌보는 아버지는 아이에게 음식 제공하기, 옷 입히기, 목욕 등 과거의 전통적인 가족사회에서 어머니들이 맡았던 역할을 미숙하기는 하지만 수행하려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과거의 아버지 역할이 생계부양자에서 현대는 직장 일과 가정 양립의 중요성-아버지 역할의 재인식-을 요구하는 우리의 시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본다. 교육적인 아버지 역할에서는 진실한 삶을 살아가야한다는 도덕적 가치관, 사회에서 생존하는 기술, 생활에 필요한 중요한 개념 이해 및 삶을 향유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포함하는 인지적이고 교육적인 정보 등을 가르친다. 따라서 이러한 그림책 내용을 통하여 아버지가 자녀의 가치관확립, 지적발달, 사회성 및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재인식시켜준다.

넷째, 아버지의 역할에 있어서 가사일 돌보는 아버지 역할은 바느질, 수놓기, 음식정리, 청소하는 아버지 모습 등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가사 일 돌보는 역할은 자녀의 정서적 지지자, 친구, 양육자 역할에 비해 비교적 낮은 비율과 함께 실제적으로는 늦은 속도로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냄으로써 현대사회의 아버지는 아직도 가사 일에 보조적 역할을 할뿐 주체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열심히 수행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아버지 역할 중 생계부양자 역할은 다른 영역들에 비하여 적게 나타났다. 이것은 현대의 아버지들은 일, 양육, 가사 일을 함께 수행해야하고 어머니들도 사회에서 생산 활동에 참여하므로 그림책이 사회상을 비추어 주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비율로 묘사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우리사회가 경제적으로 성장하여 경제적 요소 외에도 아름다운 인간관계, 행복, 공유 등 높은 삶의 질과 함께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섯째, 책 읽어주는 아버지 역할에 있어서는 생계부양자 역할 다음으로 매우 낮은 비율로 국외 그림책에서만 나타났다. 이것은 서구사회의 아버지들이 우리나라의 아버지들보다 자녀교육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상에서 책을 읽어주며 자녀교육에 항상 동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일곱째, 다른 곳에 사는 아버지는 이혼, 사별, 직장으로 인하여 부재하는 아버지로써 책 읽어주는 아버지 역할과 함께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모두 국외 작품이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하여 유아들은 평범하지 않거나 힘든 상황이 자신만이 아니라는 위안 속에서 역경을 헤쳐 나가는 인내심과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새로운 삶을 구성해나가는 도전의 정신을 배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에 의한 후속연구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후속연구에서는 첫째, 국내와 국외 창작 그림책을 비교하여 시대 및 문화에 따른 아버지 역할과 모습의 변화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동일한 동양문화 또는 서양문화 안에서의 그림책들을 활용하여 아버지 역할의 차이점 등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외국 작품들로서 대부분이 서구사회 창작번역 그림책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회상이나 문화, 정서를 반영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국내, 국외 그림책을 분리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그림책을 통하여 아버지 역할을 여러 범주로 분류하여 내용분석을 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아버지 역할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그림책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또는 동일한 아버지 역할을 담고 있는 그림책들을 선택하여 그 내용을 서로 비교하는 연구와 함께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기대, 아버지의 양육신념, 비언어적 상호작용, 동작, 그림에서 암시하는 내용, 작가의 의도 등을 포함시키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또는 이미지와 실존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함께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그림책을 통하여 유아의 시선 및 유아의 입장에서 지각하는 아버지 역할 또는 유아가 원하는 아버지상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가치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나 선행연구들의 패턴화되고 고정화된 범주 안에서의 아버지 역할분석을 넘어선 좀 더 새로운 아버지 역할과 모습을 살펴보는 탐색연구와 함께, 본 연구는 아버지 역할 분류 내용으로 그쳤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정서적 지지자 또는 친구 같은 아버지에 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분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출간된 국내외 창작그림책들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특성을 선행연구의 분류를 반복 적용함으로써 사회적 변화에 따른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모습과 역할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아버지가 가족부양자의 역할, 자녀의 친구 및 격려자 역할 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남으로써 다소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결과에서는 정서적 지지자, 그 다음으로는 친구로서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선행연구에서 아버지가 가사일 돌보는 역할과 책 읽어 주는 역할이 낮게 나타난 것은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 또한 아버지 역할관련 그림책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국외 그림책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서구사회에서는 아버지가 자녀의 발달과 사회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자녀의 삶에서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우리보다 잘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아버지가 가족생계를 책임지는 도구적 역할뿐 아니라 자녀의 정서를 헤아리며 다정다감한 친구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그림책은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기 때문에 과거의 아버지의 모습이었던 경제적 부양자나 훈육자의 모습은 매우 낮은 비율로 묘사되고 있고 2000년대의 아버지는 자녀의 애정적인 정서적 지원자가 되며 친구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아버지는 자녀와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놀이친구가 되며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자녀의 생각을 이해하며 공감하는 존재이다. 그 외에도 바람직한 아버지는 자녀를 신뢰하고 자녀에게 꿈을 심어주고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고 아버지 자신이 긍정적인 사고와 함께 잘못된 행동을 변화시키는 노력을 통하여 끊임없이 성장하며 자녀발달에 적합한 활동에 대한 이해와 교육에 관심을 갖는 인물이다.

아버지가 자녀의 정서적 지지자 및 친구로서의 역할 수행은 아버지 자신의 행복과 정신건강에도 유익하며 유아의 사회 및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그림책의 출간이 앞으로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가 바람직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미래의 부모, 유아교사, 그림책 관련업계가 나아가야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부모교육 자료로서 아버지 역할을 담은 유익한 그림책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정으로 보내져서 유아들에게 읽혀질 수 있는 기회가 되고, 부모들이 발견한 그림책이 유아교육기관의 유아들에게 즐거움이 된다면 가정과 지역사회의 교류뿐 아니라 부모와 유아 및 유아교사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킬 것이다. 끝으로 우리가 양성화 시대에 살아가고 있지만 아직도 부족한 아버지의 역할로 남아 있는 자율적인 모습의 가사 일 돌보는 아버지와, 아버지의 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인지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재인식시켜줄 수 있는 즉, 책 읽어주는 아버지에 관련된 내용의 증가와 함께 이것과 관련하여 적합한 아버지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체적인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아울러 아버지가 자녀와 보내는 시간과 활동의 중요성, 자녀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기술, 자녀에게 편지쓰기, 구체적인 칭찬법, 격려법, 공감법,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 부모 아버지, 다문화가정 아버지, 양성평등 모습의 아버지도 묘사되어져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그림책들이 아버지 인물을 내면적 묘사에 집중하기보다는 외부적 묘사에 치중하였으므로 아버지의 생각과 감정 등을 좀 더 섬세하게 표현하는 그림책의 출판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생계 부양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이 단순히 가족 내에서 권력을 갖고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모습만이 아닌 아버지의 직업 수행으로부터 오는 어려움이나 고난을 극복한 내용 등을 묘사하는 이야기와 함께 유아의 사고력 발달과 교육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그림책이 출간되어지기를 희망한다.

References

  • Adamsons, KT, Pasley, KA, (2016), Parents’ fathering identity standards and later father involvement, J Family Issu, 37(2), p221-244. [https://doi.org/10.1177/0192513x13514407]
  • Blair, HM, (1991), The role of fathers in the family as portrayed by authors of children’s picture book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334020.
  • Branston, PK, (1999), Children and parents enjoying reading: parents and the literacy hour: a teacher’s guide, D.Fulton Publishers, p108.
  • Cho, HS, Kim, JH, Kim, TI, (2008), Images of father pursued by the fathers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 Res Rev, 12(1), p239-264.
  • Choi, YR, (2011), A study on fathers’ involvement characteristics in child rearing as portrayed in picture books, J Children’s Lit Edu, 12(2), p1-23.
  • Choi, YS, (2008), A comparison of father figures in children’s story: fathers from the viewpoint of children, Master’s Thesis, Kunkuk University, p71.
  • Cox, MT, Owen, MS, Henderson, VR, Margand, NT, (1992), The prediction of infant-father and infant-mother attachment, Dev Psy, 28, p474-483.
  • Cullinan, BT, Galda, LD, (2002), Literature and the child, Fort Worth, TX, Harcourt Brace & Company, p232.
  • Dickson, KM, Walker, HP, Fogel, AT,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smile type and play type during parent-infant play, Dev Psy, 33, p925-933. [https://doi.org/10.1037/0012-1649.33.6.925]
  • Duursma, EM, Raikes, HR, (2008), Predictors and outcomes of low-income fathers’ reading with their toddlers, Early Childhood Res Quart, 23, p351-365. [https://doi.org/10.1016/j.ecresq.2008.06.001]
  • Duursma, ER, (2016), Who does the reading, who the talking? Low-income fathers and mothers in the US interacting with their young children around a picture book, Early Childhood Res Quarterly, 31, p465-484.
  • Easterbrooks, MS, Goldberg, WT, (1984), Toddler development in family: impact of father involvement and parenting characteristic, Child Dev, 55(3), p740-752.
  • Gooden, AM, Gooden, MT, (2001), Gender representation in notable children’s picture books: 1995-1999, Sex Roles, 45, p89-101.
  • Haas, MT, (2000), Reading it aloud! a parent’s guide to sharing books with young children, Read Railroad, 12, p142-143.
  • Hwang, JH, Baik, KI, (2005), The experience of parenting: Fathers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Assoc Child Stud, 26(3), p61-76.
  • Jang, YJ, (2004), The influence of fairy tale-based role-plays on child self-concept and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p65-66.
  • Jeong, DR, (2005), A study on gender representation in children’s picture books in 2000s, J Children’s Lit Educ, 6(1), p23-44.
  • Jeong, JE, Kim, MT, Lee, YA, (2011), Child’s self-esteem, Seoul, Knowledge Channel, p87.
  • Jeong, MS, Yu, SK, Song, JY, (2008), A study on positive-negative mother image and father image shown Anthony Browne’s Picture Books, Korean J Children’s Media, 7(2), p171-190.
  • Jeong, SH, (1996), The mother image portrayed Korean fairy tales: Based on Korean fairy tales and original fairy tales before Korean liberation, Soc Korean Children Lit, 5, p227-234.
  • Jeong, YK, Jeong, DR, (2001), A feminist approach to picture books for kindergarten children, Korean J Child Stud, 22(2), p329-346.
  • Johnson, DM, (1996), Father presence matte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454976.
  • Kim, EJ, Bang, HG, Ahn, JW, Kim, MJ, Oh, SK, Shin, DW, (2012), The analysis of fathering in children’s picture books, Korean J Woman Psy, 17(2), p191-207.
  • Kim, IS, (2016),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oul, Dongmoonsa, p72.
  • Kim, JS, (2000),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involvement,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p62-63.
  • Kim, JY, (2002), A study on concept of picture books and using by mothers for infants, Master’s Thesis, Joongang University, p56-67.
  • Kim, SH, Na, ES, (2004), The role of fathers as portrayed in the picture books, J Children’s Lit Educ, 5(1), p83-103.
  • Kim, YJ, (1998), Comparison of father’s roles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those in created one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83-85.
  • Kim, YJ, (2011), The influence of father and mother’s encouragement on altruistic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p53-54.
  • Lee, MJ, (2011), A study on the married men’s family role and work-family balance,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p51-52.
  • Lee, MJ, (2015), Analysis of father and mother’s role mentioned in Anthony Browne’s picture books, J Korean Council Children Rights, 19(1), p57-77.
  • Lee, SJ, Lee, YH, (2007), A study on fathers’ perception to involve in child-rearing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Korean J Home Econ, 10(3), p1-17.
  • Lee, YS, Kim, YC, (1998), Qualitative study for education, Kyonggi, Education Science Company, p83.
  • Lim, MO,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parents and the acceptance attitudes of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self control ability of children,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p65-66.
  • MacDonald, KS, Parke, RD, (1984),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 55(4), p1265-1277. [https://doi.org/10.2307/1129996]
  • MacDonald, KS, Parke, RD, (1986), Parent-child physical play: the effects of sex and age of children and parents, Sex Roles, 5, p367-378.
  • Mussen, PH, Conger, JJ, Kagan, JS, Huston, AC, (1990),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ity(7th ed.), New York, Harpercollins, p182-183.
  • Ninio, AS, Rinott, NM, (1998), Father’ involvement in the care of their attributions of cognitive competence to infants, Child Dev, 59(3), p652-663.
  • Pancsofar, NM, Vernon-Feagans, LM, The Family Life Project Investigators, (2010), Fathers’ early contributions to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n families from low-income rural communities, Early Child Res Quart, 25, p450-463. [https://doi.org/10.1016/j.ecresq.2010.02.001]
  • Park, EJ, Kim, YH,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ternal role inventory for father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Family Relat, 19(4), p139-164.
  • Park, SY, Hyun, ES, (2016), Change in father characters in Korean picture books published from 1995 to 2015, J Children’s Lit Educ, 17(2), p1-20. [https://doi.org/10.22154/jcle.17.2.1]
  • Seo, EJ, (2003), Changes in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aring, represented in comparing Korean traditional stories for children with contemporary one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61.
  • Seo, JY, Nam, GH, (2005), Literature education as a picture book, Seoul, Changjisa, p142.
  • Seol, KO, Moon, HJ, (2006), Relationships among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child’s prosocial behavior, Family Envir Res, 44(7), p1-9.
  • Song, JE, Bae, SY, (2017), Analysis of father’s role in Korean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 Children Lit Educ, 18(3), p115-137.
  • Stolz, HT, Barber, BM, Olsen, JS, (2005), Toward disentangling fathering and mothering: an assessment of relative importance, J Marriage Family, 67(4), p1076-109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5.00195.x]

Table 1.

Title of picture books

1-1. Korean picture books
No. Title Author/Illustrator Published year
1 Dad, please play! Shim, Jung-min / Hwang, Seong-hye 2007
2 I entered my father’s painting room Jeong, Geun / Na, Ae-kyeong 2007
3 Dad Playground Ryu, Eun / Han, Soo-im 2010
4 My mom and dad Lim, Hui-ok / Jeon, Hyo-hoon 2008
5 mom, dad Choi, Hyung-mi / Kim, Me-eun 2010
6 Daddy Airplane Ride Hobakbyul / Na, Ae-kyung 2010
7 Round ball daddy table rice balls Lee, Sang-gyo / Shin, Min-jae 2010
8 Me and daddy Kang, Mu-hong / Han, Soo-im 2002
9 Dad and me Kim, Ju-young /Choi, Seung-hwa 2009
10 Let’s go camping with my dad Han, Tae-hee 2011
11 You are love Wu, Soo-myeong / Choi, Jung-in 2012
12 Are you ready to meet dad? Kim, Young-me / Hwang, Jung-ha 2012
13 You are a miracle Wu, Soo-myeong/ Kim, Sook-yeong 2012
14 I want to go to my dad Yu, Da-jung / Joo, Bo-heui 2012
15 My father is Al Robot Nam, Gang-han 2014
16 My dad is not sleepy Kwon, Do-rim 2010
17 I have a strong father behind me Kim, Hyang-su / Kim, Woan-jin 2014
1-2. Foreign picture books
No. Title Author/Illustrator Translated year
18 One dad ten baby Guettier, B’en’edicte 2000
19 Dad now lives in heinlee street Maar, Nele / Ballhaus, Verena 2001
20 The day my dad showed me the universe Stark, Ulf / Eriksson, Eva 2002
21 I like my dad Sano, Yoco 2003
22 Play pizza with dad Steig, William 2000
23 Joel has two parents Adbåge, Emma 2006
24 Papa, do you love me? Joosse, Babara / Lavalle, Barbara 2006
25 Only my dad and me Capucilli, Satin / Beeke, Tiphanie 2006
26 Mom, dad, come back soon Pappas, Debra / Carol, Koeler 2007
27 Daddy hugs Katz, Karen 2007
28 Do you know how much I love you daddy? McBretney, Sam / Jeram, Anita 2001
29 Mama and Papa Parramón, July / Carme, Solé Vendrell 2007
30 My dad is so cool! Allancé, Mireilled 2007
31 What mommies do best! What daddies do best! Numeroff, Laura / Lynn, Munsinger 2008
32 I miss you every day Simms, Taback 2008
33 Humphrey’s bear Wahl, Jan / William, Joyce 2008
34 My amazing dad Collins, Ross 2008
35 Has anyone seen my Emily Greene? Mazer, Norma / Davenier, Christine 2009
36 Why do you love me papa? Brenifier, Oscar / Delphine, Durand 2010
37 Daddy loves you Daddo, Andrew / Emma, Quay 2010
38 My father is taller than a tree Bruchac, Joseph / Wendy, Anderson Halperin 2011
39 Dad and us too Chun, Tsuwien 2011
40 Dad, how are you? Yosihumi, Hasegawa 2011
41 Dad and me Sachi, Gokaze / Jisato, Abe 2011
42 Grizzly dad Harrison, Joanna 2011
43 I’m sleeping with my dad Daddo, Andrew / Jonathan, Bentley 2011
44 Dad, read more Stein, David 2011
45 Dad dad my dad Wild, Margaret / King, Stephen 2008
46 My dad and my mom live separately Delbal, Marie / David, McPhail 2004
47 Our greatest dad in the world Lütje, Susanne / Zabini, Eleni 2013
48 It’s fun to play with my dad Jessen, Ida / Bartholin, Hanne & Browne, Anthony 2013
49 I’m happy with my dad Brun-Cosme, Nadine / Huche, Magali Le 2013
50 Dad, watch out for crocodiles! Eriksson, Eva / Moroni, Lisa 2014
51 Please read the book daddy Dado, Andrew 2011
52 You need to hear stories to go to dreamland Dado, Andrew 2010

Table 2.

Subcategories and contents of the father’s roles in picture books

Subcategories The contents of father’s roles
House keeper House work, sewing, embroider, gardening, vacuum cleaning, laundry work
Child-raiser Care-taker: feeding, cooking, sleeping child, dressing child, helping with bath, nursing
Discipline: teaching survival skills, social manners and moral sense
Companion Mating physical play: physical play mating, various physical activities
Active leader of various play: taking a walk, fishing, traveling, biking, making snow man, cruise, surfing on the wave, taking child to interesting place
Emotional supporter Active expresser of affection: express father’s emotion, holding hands, hugging, kiss, singing child, cheering up
Encouragement: encourage, praise, advise
Empathy: empathize, share child’s sentiments
Bread-winner Financial family supporter
Book reader Book-reading or stimulation
Single father Divorce, death, living a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