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2, No. 1, pp.131-146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1
Received 25 Jan 2021 Revised 15 Feb 2021 Accepted 23 Feb 2021
DOI: https://doi.org/10.7856/kjcls.2021.32.1.131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 역량이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재홍 ; 유소이, 1)
영남대학교 식품경제외식학과 교수
1)전북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Mother’s Purchase Cap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Children’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Jaehong Park ; Soye You, 1)
Professor, Dept. of Food Economics and Service,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1)Professor,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Correspondence to: Soye You Tel: +82-63-270-4082 E-mail: syyou86@hanmail.net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urchase cap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in terms of consumer socializ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ther’s purchasing capability for agricultural products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education level (a highschool graduate), health interest, and food ingredient interest, whereas household size had a negative effect. Next, children’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ir mother’s purchase cap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interest in health and food safety, and recognition of various food certification systems, but obesity had a negative effect.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d the children’s consumer socialization through the influence of mothers wh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children’s food consumption behaviors. These findings can help explain mothers’ purchasing capability and children’s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an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policy aspects of promoting the use of desirable food ingredients in the home and school meal system.

Keywords:

mother and child, purchase capability, interest for food ingredi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 서론

생태 친화적 식품에 대한 소비자 선택은 주로 가구 내 소비를 위해 지역에서 생산되는 로컬푸드나 유기농 식품 구매 등에 대한 소비자 선호로 나타나고 있지만(Tobler et al. 2011) 식품 시스템의 산업화로 인해 단체급식에 있어서도 지속가능한 대안들로 유기농 식품과 로컬푸드의 식재료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Langa & Lemmerer 2019). 로컬푸드와 유기농 식품 간의 관계는 연구들에서 명확하게 규정되고 있지는 않지만 로컬푸드 선호자와 유기농식품 선호자 간에 어느 정도는 공통적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Ditlevsen et al. 2020). 특히, 소비습관에 있어서 로컬푸드의 사용은 시스템적 진화의 결과로써 단순히 지역에서 입수 가능하다는 관습적 소비 측면에서 개별 소비자의 의식적 선택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Contini et al. 2017).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은 소비자 관심 증가로 인해 연구와 식품 정책 영역에서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관련 연구들은 주로 어떠한 요인들이 로컬푸드 제품을 선택하게 하는 가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제품 품질과의 연계성과는 별개로 관련 식품에 대한 신뢰성, 환경적 우호성, 지역적 농촌공동체와 지역 생산자 지원, 식품안전성 측면에서의 요인들과 연계되고 있다(Ditlevsen et al. 2020).

최근 들어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자 선호와 관련된 경향이 주로 식품 시스템 측면에서 설명되고 있기 때문에 식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조적 및 사회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은 로컬 및 유기농 식품 등의 환경친화적 식품에 대한 소비자 취향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Ditlevsen et al. 2020). 식품을 연구하는 사회학자들은 계급의 포지션과 사회적 인구통계적 지위 등의 사회적 구조 요인들이 식품 선호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소득 제약 하에서 소비자의 식품 선택이 사회학적 관점에서 계층적으로 차별화된 취향을 반영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Bourdieu 2004; Warde 2011). 이와 관련하여 브르디외는 식습관에 대한 개인의 취향을 계급에 특화된 독특한 습관, 또는 자신을 표출하는 사회적 계급 지위를 통해 표현되는 방식으로 기술하고 있다(Ditlevsen et al. 2020). 즉, 사람들은 소비선택에 있어서 자신의 취향을 반영하여 타인들과 구별짓기를 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로컬푸드의 경우 개별 가구 내에서의 식생활 외에도 레스토랑을 포함하는 식품 산업과 식품 서비스 영역 내에서 지역에서 공수된 농산물 식재료의 활용 측면에서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Langa & Lemmerer 2019). 식생활은 개별 소비자에 있어서 중요한 삶의 일환이기 때문에 식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건강에 유익한 국내 친환경 농산물 식재료에 대한 관심은 향후 구매행동으로 연계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Kim & Chong 2020). 특히, 건강한 식습관 함양이 중요한 청소년들의 식습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학교급식은 관련 법규제로 인해 적정한 수준에서 식재료 위생은 확보되고 있으나 학교급식의 입찰제도로 인해 가격 측면이 중요시됨에 따라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식재료 납품 등의 사례 발생으로 인해 식품안전성 측면에서 학부모들의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학교급식에서 식재료 품질관리 기준을 강화하여 품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환경에 긍정적 기능을 가진 지역농산물과 친환경 농산물을 식재료로 사용하여 급식의 품질과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Lee et al. 2015). 그러나 이러한 식재료에 대한 평가는 주로 학부모와 영양사 등을 대상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에 정작 수혜대상자인 청소년들의 행태에 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경향 하에서 자녀의 식습관은 다양한 환경적 요소와 개별 특성들에 의해 규정되는데, 자녀의 식품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환경적 요인들 중 식품 소비의 사회화에 있어서 가정환경 내에서 부모와 자녀는 최초로 형성되는 관계를 규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별특성과 더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식습관은 어린 시절에 형성되어 향후에 지속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Emmett et al. 2015) 가정 환경 내에서 부모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자녀의 건강한 식이 습관 형성과 적응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Kaukonena et al. 2019). 소비자 사회화는 “자녀가 시장에서 소비자로서 기능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 지식, 태도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정의되고 있으며(Ward 1974), 가정 환경 내에서 대표적인 사회화 대리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부모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대리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미래에 시장에서 독립적인 소비자로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하게 되는데, 관련 연구에서는 자녀의 소비자 사회화를 부모가 주요 대리인의 역할을 하는 사회적 구조 하에서 영향을 받는 다면적 과정으로 묘사하고 있다(Hota & Bartsch 2019). 즉, 자녀가 소비자가 되는 과정에서 자신의 소비 성향과 사회화된 선호는 부모의 스타일을 포함하는 가족 구조와 가족 내 문화적 영향력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녀는 연령과 가족구조에 따라 인지와 감정 및 사회적 자극을 수용하는 다양한 방식을 습득하게 되기 때문에 자녀가 소비자 역할을 학습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자녀의 소비자 사회화에 있어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발달 단계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를 위한 관리적 측면의 이해에 있어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Hota & Bartsch 2019). 특히, 소비행동에 있어서 자녀가 부모와 원활한 상호작용을 경험할수록 자녀의 합리적 소비행동 능력은 커지게 되며(Lee & Yu 2019), 이는 관련 연구들에서 어머니의 영향력이 청소년기 자녀의 식이행동에 있어서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Park & Lee 2015; Kähkönen et al. 2020).

특히, 어머니의 영향력 중에서 소비자로서의 능력을 의미하는 소비자역량은 “합리적인 거래나 재무관리 소비자 권리행사 윤리적인 소비를 위해 소비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및 바람직한 소비생활실천태도나 변화하는 소비환경 속에서 현명하고도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소비자가 갖추어야 할 잠재적ㆍ실천적 능력”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를 농식품에 적용하여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식품 소비생활을 위해 갖추어야 할 소비자의 잠재적 및 실천적 능력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구매단계, 식생활단계, 피해구제단계로 세분화하고 있다(Lee et al. 2014). 그러나 소비자역량을 주제로 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개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금융관련 분야나 이동통신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 분야 및 일반적인 소비생활에서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Park 2020). 본 연구에서와 같이 소비자사회화 측면에서 어머니 구매역량이 자녀의 식생활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 사회화 측면에서 자녀의 친환경 식재료 관심도를 이해하기 위해 개별 특성과 더불어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 역량의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개별 특성이 자신의 농식품 구매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둘째,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 역량과 자녀의 개별특성이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시스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구매 역량과 자녀의 친환경 소비행태를 이해하고, 가정 내에서의 식생활 및 학교 급식 시스템에서 바람직한 식재료 사용의 활성화를 위한 관리적 측면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Ⅱ. 이론적 배경

식품은 인간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에너지원이며, 안전한 식품의 소비는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 선택에 있어서 소비자들은 건강과 안전성 이슈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Suh & Lim 2014). 그러나 증가하고 있는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으로 인한 건강주의와 웰빙 트렌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은 시장에서 소비자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변화시켜 로컬푸드나 유기농식품 등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을 선택하도록 행동을 유도하고 있다(Choi & Kim 2011; Suh & Lim 2014; Jeong & Kim 2020).

이러한 식생활 경향의 변화는 친환경 식재료 구매에 관한 관심을 관련 식품의 구매로 이어지게 하여 개별 소비자의 식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음식을 준비하는데 기초가 되는 식재료의 선택은 선호도와 안전성이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작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친환경 및 국내생산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데, 친환경, 근거리생산 또는 국내생산 식재료가 건강, 위생, 환경에 바람직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치를 소비자가 높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관심 정도가 증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Kim & Chong 2020).

1. 소비자사회화와 자녀의 식이행동

식품에 대한 불안감 증가로 인해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행동은 식품 관련 사고나 안전 정책 및 시스템 등의 외적인 요인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외에도 소비자의 정보처리나 행동 등과 관련된 개인적 소비자 역량에 의해서도 달라진다(Suh & Lim 2014). 소비자들은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과거의 다양한 경험과 외부에서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매 전 대안탐색과정에서 제품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제품과 관련된 특정 정보나 지식을 활용하게 된다(Choi & Kim 2011). 이러한 정보나 지식은 변화하는 시장에서 소비자가 경제활동을 함에 있어서 적절한 역할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소비자역량과 연계되며, 자녀의 경우 영양소 섭취와 관련된 지식을 포함하는 어머니의 역량이 자녀의 건강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Variyam et al. 1999; Suh & Lim 2014).

특히, 청소년은 신체적, 정신적 측면의 성장 외에 소비자로서 성장하기 위한 학습과정에 있어서도 상당히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관련 제품의 선택행동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소비자 통찰력을 제공한다(Hota & Bartsch 2019). 이처럼 과도기적 단계에서 청소년의 소비자 사회화 과정은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사회학습이론에 따르면 부모, 친구, 대중매체, 학교가 소비자 사회화의 주요 작용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부모는 자녀와 기본적이고 영구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자녀와 부모가 소비와 관련하여 의사소통을 충분히 하는 경우 자녀는 부모로부터 원활한 학습이 가능하게 되어 소비자능력이 향상된다(Park & Lee 2015). 이러한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은 자녀 발달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에 소구하기 위한 관리적 측면의 노력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Hota & Bartsch 2019).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영양지식과 자녀의 식이행동 관계를 설명하는 가구생산(Household Production) 이론에 따르면 가구는 건강 증진과 관련하여 가족 구성원들 공동의 효용함수(joint utility function)를 극대화하는 상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투입물로 시간과 자본 및 시장 재화를 결합한다. 즉, 소득과 시간 및 기술적 제약 하에서 가구의 효용극대화는 투입물과 가구 특성들을 반영하여 수요함수를 창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머니의 지식은 자녀의 영양소 섭취 행동으로 인한 건강 문제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Variyam et al. 1999). 어머니는 가족 구성원들을 위한 식품 구매와 소비 통제를 통해 가족의 영양적 측면의 문제들을 다루는 책임자이기 때문에 식품 소비를 위한 환경 조성에 있어서 소비자로서 어머니가 가진 역량은 자녀의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Jeong & Kim 2020). 소비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개인이 갖추어야할 능력을 의미하는 소비자 역량은 지식수준과 더불어 자아개념이나 성격과 같은 개별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변화하는 시장에서 소비자가 적절한 경제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하게 된다(Suh & Lim 2014). 즉, 가구생산모델로부터 도출된 자녀의 식품수요함수를 결정하는 요인들 중 개별 특성들의 함수인 어머니의 지식 또는 역량은 자녀의 수요함수에 내생변수로써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어머니의 소비자 역량 함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수준과 지식 및 정보 접근성은 가구 내에서 건강한 제품 생산을 위한 투입물 조합을 효율적으로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력은 궁극적으로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도록 자녀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Kaukonena et al. 2019). 이와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은 안전한 식품에 대한 판단 능력이 부족한 경우 불안감으로 표출되며,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판단 능력을 의미하는 소비자 역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uh & Lim 2014). 또한 친환경 식품에 대한 관심은 빈번한 소비경험을 통해 관련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Lee & Yeo 2014). 이 밖에 소득이나 거주지역 등 지식 획득과 사용에 영향을 주는 특성들은 어머니의 지식역량을 향상시켜 자녀의 식이를 결정함에 있어서 유용한 역할을 하게 되며(Variyam et al. 1999), 가구의 경제적 환경은 음식 준비에 필요한 돈과 시간 제약 하에서 자신의 식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는데, 낮은 수준의 경제적 상태는 가족을 위한 식품 소비 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Gibbs & Forste 2014).

즉, 자녀를 위해 바람직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어머니의 구매역량은 고용 상태 등의 사회 경제적 요인과 더불어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Jeong & Kim 2020). 자녀의 식이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의 구매역량이 미치는 영향력은 가족의 경제적 모델에서 핵심적 측면이며, 이는 어머니의 역량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게 됨을 알 수 있다.

2. 개별 특성과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

자녀의 식이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의 식품 구매 역량 외에도 비만 등의 건강 요인들이 주요 영향 요인들로 제기되고 있다. 어린 시절에 형성되는 식습관은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으며, 건강하지 못한 식이행동은 과체중이나 비만 등을 야기하는 주된 행동적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어린 시절에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Kaukonen et al. 2019). 또한 행동에 있어서 개별 소비자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기질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개성과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식품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은 유기농산물 등의 특정 식품의 구매정도를 높이는 경향이 있으며(Lee et al. 2011), 관련 연구들은 영양학적 측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You et al. 2018; Kaukonen et al. 2019).

반면, 식품안전 측면에서 소비자가 느끼는 불안감은 식품관련 사고, 식품안전정책 및 시스템 등 시장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적 환경으로부터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이지만 불안감을 야기하는 상황에 대해 소비자가 어떻게 이해하는 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소비자는 다양한 식품관련 위해 요인들로부터 불안감을 느끼며, 이에 정부는 소비자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안전한 식품소비를 위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식품안전관리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품안전사고는 식품위생문제 외에도 표시나 방사능조사식품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고 있어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관심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Kim & Huh 2019).

이러한 상황에서 식품 선택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부족은 안전하지 못한 식품 소비로 부터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심리적 위험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적절한 지식을 소유한 소비자는 정보화된 의사결정행동을 통해 비교적 합리적 경제인의 역할이 가능하다(Suh & Lim 2014). 소비자로 하여금 좀 더 수월하게 정보화된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 객관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표식(label)을 활용하는 것은 관련 제품의 구매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Peschel et al. 2016). 습관적으로 소비자들은 불완전한 정보의 상태에서 구매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구매 시 농산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로 작용하는 다양한 인증마크를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Moon & Lee 2013). 소비자들이 안전한 식품을 구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에서 인증하는 로고를 의미하는 인증마크는 소비자의 장기기억 속에 저장되어 구매의사결정 시 정보전달 체계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Kwon & Kim 2019).

특히, 식생활이 개인적인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본 재료인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관심은 시장에서 국산 농산물이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선택으로 연계되고 있다. 식품오염으로 인한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친환경이나 국내에서 생산된 농산물 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가로 인해 국내 식재료 시장은 웰빙 트렌드 현상과 함께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추세이다(An & Kang 2006). 식생활에 있어서 먹거리에 대한 염려와 관심은 안전한 식재료를 선택하고자 하는 심리적 욕구는 관련 식품의 선택 행동이나 식재료의 구매의사결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건강증진을 위한 안전한 식재료의 선택은 궁극적으로 식생활에 있어서 만족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기 때문에 중요한 소비자 관심사가 될 수 있다(Kim & Chong 2020).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어머니의 구매역량과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2019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는 통계청 가구명부와 KB부동산의 DB를 사용하여 층화추출법에 의해 가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선정된 가구 내에서 만 18세 이상의 식품 주 구입자와 만 13세 이상의 가구구성원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28일부터 8월 10일 까지 대면 면접조사와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조사가 완료되었다(Kim et al. 2020). 원자료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는 610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를 자녀의 어머니가 주 구입자인 자료와 매칭하여 결측치가 없는 558가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558가구를 대상으로 동일 가구 내에서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과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와 함께 자녀의 개별 특성(성별, 학력, 비만여부, 건강관심, 식품안전성 관심, 인증제도 인지정도)과 어머니의 개별 특성(연령, 학력, 식재료관심도, 건강관심) 및 가구의 특성(가구 월 소득, 거주지역, 가정내 조리여부, 맞벌이여부, 가구원수)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Table 1).

Measurement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respondents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농식품 구매역량은 합리적인 농식품 소비가 가능하도록 소비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정의하고, 원자료 조사항목 들 중 구매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농식품 표시이용과 정보활용 항목(5점 척도)을 이용하였다. 식재료 관심도는 음식준비에 요구되는 원재료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정도로 정의하고, 식재료가 국산 농산물, 지역 농산물, 친환경 식품인지 여부에 관심을 갖는 정도로 측정되었다(5점 척도). 인증제도 인지정도는 농식품과 관련된 표시인증제들(전통식품인증제, 가공식품 KS 표시, HACCP 표시, 원산지 표시, 유기농인증, 지리적 표시, 이력추적제, 우수관리 인증농산물(GAP), 유전자변형 농산물표시(GMO), 동물복지 인증제) 중 알고 있는 제도의 숫자로 측정하였다. 그 밖에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고졸과 대졸 여부의 가변수로 측정하였으며, 가구소득은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에서 1,000만원 이상의 11단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가정내 조리여부는 가정에서 음식을 직접 만들어 먹는지 여부로, 건강관심과 식품안전성 관심은 각각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거주지역은 동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를 1로 하는 가변수로 측정하였다.

2.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도출된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다음의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자녀의 식재료관심도는 자녀의 특성(Lee et al. 2011; Shu & Lim 2014; Kaukonen et al. 2019; Kim & Huh 2019)과 함께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의 영향을 받게 되며(Park & Lee 2015; Jeong & Kim 2020),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은 어머니의 개인특성(Kaukonen et al. 2019)이나 가구의 특성(Variyam et al. 1999; Gibbs & Forste 2014)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내생변수(p)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어머니 농식품 구매역량 p = g(z)
자녀 식재료 관심도 c = f(p, x)
  • 여기에서
  • z= 어머니 및 가구 특성들(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가구원수, 식재료관심도, 가정내 조리여부, 맞벌이여부, 건강관심, 거주지역)
  • x= 자녀 특성들(성별, 고교생, 비만여부, 건강관심, 식품안전성 관심, 인증제도 인지정도)

이와 같은 경우 어머니의 구매역량과 자녀 관심도는 각각 독립적인 단일방정식 형태가 아닌 연립방정식형태로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일방정식모형을 일반선형회귀분석(ordinary least squares)으로 추정하는 경우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에 일방향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여야 하는 가정을 충족하여야 한다. 하지만 독립변수가 동시에 다른 독립변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 오차항과의 공분산은 0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게 되면 추정량의 편의(bias)가 발생하고 불일치추정량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인과관계를 표시하는 연립방정식으로 이루어지는 모형을 이용하는데, Theil(1953)Basmann(1957) 등에 개발된 2단계 최소 자승법(two-stage least squares; 2SLS)이 연립방정식의 변수를 추정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Hill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ver.25와 STATA ver.11 SE을 이용하였다.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수들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측정하였으며, STAT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단계 최소 자승법으로 분석모형을 추정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1. 측정도구 및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와 응답자들의 개별특성은 Table 1에 제시되었다.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은 2019 식품소비행태조사에서 조사한 농식품 소비자 역량지수 항목 중에서 구매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농식품 표시이용 항목과 정보활용 항목을 이용하였으며, 표시이용 8개 항목, 정보활용 6개 항목(총 1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매역량의 각 항목은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은 편이다, 3=보통이다, 4=그런 편이다, 5=매우 그렇다)로 측정하였으며, 평균 3.58로 나타났다. 각 항목의 요인적재치는 0.5이상이며 Cronbach’s α값은 0.872로 나타났다(Table 2). 분석에서는 요인분석결과에 따라 각 항목의 측정치를 합산하여 총점을 어머니의 구매역량 변수로 이용하였다.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mother’s purchase capability in agricultural products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45.7세이며, 고졸이 47%, 대졸이상이 52%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은 편이다, 3=보통이다, 4=그런 편이다, 5=매우 그렇다)로 측정하였으며, 3.88로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식재료 관심도는 식재료와 관련된 3개 항목으로 식재료가 국산 농산물인지 여부에 대한 관심, 식재료가 지역 농산물 여부에 대한 관심, 식재료가 친환경식품 여부에 대한 관심 등을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관심없다, 2=관심없다, 3=보통이다, 4=관심 있는 편이다, 5=매우 관심있다)로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식재료 관심도 척도를 평가한 결과 평균 3.43점으로 대체로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항목의 요인적재치는 0.8이상, Cronbach’s α값은 0.818로 산출되었다. 세부적으로 ‘지역 농산물’과 ‘친환경 식품’ 여부에 대한 관심도는 각각 3.46, 3.31점으로 ‘국산 농산물’ 관심도 3.55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Table 3).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the mother’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는 평균 3.10으로 대체로 보통 수준의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항목의 요인적재치는 0.8이상, Cronbach’s α값은 0.882로 산출되었다. 세부적으로는 ‘국산 농산물’ 여부에 대한 관심도가 친환경 식품이나 지역 농산물에 비래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Table 4). 분석에서는 세 항목의 측정치를 합산하여 총점을 자녀의 식재료관심도 변수로 이용하였다. 자녀의 52%는 남학생이었고, 고등학생이 64%로 나타났다. BMI지수는 25이상의 비만인 청소년이 5% 정도로 나타났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는 각각 3.44와 3.19로 나타났다. 농식품 인증 및 표시제와 관련하여 전통식품인증제, 가공식품 KS 표시, HACCP 표시, 원산지 표시, 유기농인증, 지리적 표시, 이력추적제, 우수관리 인증농산물(GAP), 유전자변형 농산물표시(GMO), 동물복지 인증제 등 10개 제도들 중 잘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한 인증의 종류는 평균 6개로 나타났다.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children’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마지막으로 가구 특성에 있어서 월 소득은 평균 5백만 원 정도(5.24)로 나타났고, 88%는 동지역에 거주(읍면지역 12%)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가구는 61%이며, 평균 가구원수는 3.55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의 82%는 가구원들이 먹는 음식을 주로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 영향요인 분석 결과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되었다. 모델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R2값은 0.136이며, F값은 8.58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추정모형이 설명변수들에 의해 잘 설명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gression result of the mother’s food purchasing capability

분석결과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은 교육수준(고졸), 건강 관심도와 식재료 관심도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구원수는 부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고졸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의 경우 농식품 구매역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Kaukonena et al.(2019)의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가구 내에서 건강한 식품 생산에 필요한 투입물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어머니의 소비자 역량은 교육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둘째, 가구원수는 부(-)의 결과를 보여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어머니의 구매역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식재료에 대한 관심도는 유의하게 정(+)의 효과를 보여 건강이나 식재료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건강에 대한 관심은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있어서 판단 능력이 부족한 경우 불안감으로 표출되며,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판단 능력을 의미하는 소비자 역량을 높이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Suh & Lim 2014).

그 밖에 연령, 거주지역, 가구소득, 맞벌이가구여부, 가구 내 음식조리여부 등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관련 연구(Jeong & Kim 2020)에서 제시된 고용 상태 등을 포함하는 사회 경제적 요인의 영향력은 본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3. 자녀의 식재료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결과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6에 제시되었다. 모델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R2값은 0.309이며, F값은 40.77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추정모형이 적절하게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분석에 활용된 독립변수들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의 존재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VIF값이 10이상인 경우에는 다중공선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독립변수들의 VIF값이 1.02~1.19(평균1.09)에 불과하여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Regression result of the children’s interest in food ingredient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은 자녀의 식재료에 대한 관심에 유의하게 정(+)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이 높을수록 자녀가 식재료에 대하여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이 높을수록 자녀가 식재료에 대하여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과도기적 단계의 청소년의 소비자 사회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인 부모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는 인간으로서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관계로, 어머니로부터의 다양한 경험에 의한 학습은 소비자로서의 능력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Park & Lee 2015).

둘째, 비만인 청소년들의 경우 식재료에 대한 관심이 낮은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자녀의 비만여부가 자녀의 식재료관심도에 부(-)의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비만인 청소년들의 경우 식재료에 대한 관심이 낮은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녀의 식이행동에 있어서 비만요인은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며, 특히 어린 시절에 형성되는 식습관은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Kaukonen et al. 2019) 청소년기에 과체중이나 비만 요인 등의 위험인자를 예방하기 위한 바람직한 식품 구매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에 있어서 건강과 식품안전성에 대한 관심도는 유의하게 정(+)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에 대한 관심은 유기농산물과 같이 건강에 유익한 식품 구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Lee et al. 2011), 영양학적 측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식습관이나 식품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You et al. 2018; Kaukonen et al. 2019)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각종 농식품 관련 인증 및 표시제의 인지정도는 자녀의 식재료에 대한 관심도에 정(+)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경우 각종 농식품 관련 인증 및 표시제를 잘 알고 있는 경우 식재료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각종 인증표시가 청소년의 식품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인증마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인증마크는 장기기억 속에 저장되어 구매의사결정 시 정보전달 체계에 있어서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이 되기 때문에(Moon & Lee 2013; Kwon & Kim 2019) 관련 지식 학습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식품과 관련된 이슈에 대한 평소 관심이 청소년들의 식재료의 국내산, 지역산, 친환경 여부 등에 이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청소년들의 식생활과 관련된 교육이나 정책 등을 수립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밖에 성별이나 고등학생여부 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소비자 사회화 측면에서 자녀의 친환경 식재료 관심도를 이해하기위해 개별 특성과 더불어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의 영향력을 시스템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부터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유의한 점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자녀의 식재료 관심도는 어머니의 농식품 구매역량의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과도기적 단계의 청소년의 소비자 사회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인 부모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어머니로부터의 다양한 경험에 의한 학습은 소비자로서의 능력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정 내에서 자녀의 성장발달과 더불어 소비생활에 있어서 기본적이지만 중요한 관계인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에 관한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어린 시절에 형성되는 식습관은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 자녀의 식이행동에 있어서 중요한 과체중이나 비만 요인 등의 위험인자를 예방하기 위해 바람직한 식품 구매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연계되어 유기농산물과 같이 건강에 유익한 식품의 구매 및 다양한 방식으로 영양학적 측면에서의 식습관이나 식품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에 유익한 식재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학습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각종 농식품 관련 인증 및 표시제를 잘 알고 있는 경우 식재료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관련 기관에서 제공하는 각종 인증표시를 식품소비행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인증마크는 장기기억 속에 저장되어 구매의사결정 시 정보전달 체계에 있어서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이 되기 때문에 관련 지식을 학습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식품 관련 위해 요인들로부터 소비자가 느끼는 불안감은 식품행동으로 연계되기 때문에 안전한 식품소비를 위한 청소년 교육과 정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에서 나타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자녀의 식품 소비에 있어서 어머니의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가구 내에서의 자녀의 소비자사회화 이론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로 하여금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학습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발단 단계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를 위한 관리적 측면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식재료에 대한 자녀의 관심도를 이해하는 것은 발달단계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를 위한 관리적 노력을 이해하기 위한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Hota & Bartsch 2019). 또한 지역, 친환경, 국내산 농식품 등의 식재료에 대한 자녀의 관심은 가정 내에서의 식품 소비와 더불어 학교 급식 시스템에서 바람직한 식재료 사용의 활성화를 위한 관리적 측면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수집한 2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식재료 관심도를 형성하게 되는 동기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고, 자녀와 어머니의 인식이 실제 구매행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관성 검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심리적 측면에서의 동기 등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고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의 연계 정도 및 적극적인 상호작용 등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소비자사회화의 전달경로에 대하여 전통적인 어머니의 영향력과 함께 청소년들의 정보획득의 주요 통로로 부각되고 있는 유튜브 등 모바일 켄텐츠의 활용과 관련하여 새로운 전달경로와의 상호영향력 등을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밖에 식재료 관심도에 있어서 가정 내 식사 빈도나 라이프스타일 등 추가적인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청소년 소비자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References

  • An J, Kang K(2006) Consumption type of housewives about organic and instant food. Korean J Food Nutr 19(1), 28-37
  • Basmann RL(1957) A generalized classical method of linear estimation of coefficients in a structural equation. Econom 25, 77–83 [https://doi.org/10.2307/1907743]
  • Bourdieu P(200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London: Routledge
  • Choi J, Kim Y(2011) The relationships of consumers’ objective knowledge, subjective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rganic food: a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towards food safety. Culin Sci Hosp Res 17(4), 153-168 [https://doi.org/10.20878/cshr.2011.17.4.011011011]
  • Contini C, Romano C, Boncinelli F, Scozzafava G, Casini L(2017) Does ‘local’ matter in restaurant choice? Results of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targeting German and Italian consumers. Agri Food Econ 5(21), 1-15. [https://doi.org/10.1186/s40100-017-0092-y]
  • Ditlevsen K, Denver S, Christensen T, Lassen J(2020) A taste for locally produced food-Values, opinions and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among ‘organic’ and ‘conventional’ consumers. Appetite 147, 104544. [https://doi.org/10.1016/j.appet.2019.104544]
  • Emmett P, Jones L, Northstone K(2015) Dietary patterns in the Avon longitudinal Study of Parents and Children. Nutr Rev 73, 207–230. [https://doi.org/10.1093/nutrit/nuv055]
  • Gibbs BG, Forste R(2014) Socioeconomic status, infant feeding practices and early childhood obesity. Pediat Obes 9(2), 135–146. [https://doi.org/10.1111/j.2047-6310.2013.00155.x]
  • Hill RC, Griffiths W, Lim G(2011) Principles of Econometrics 4th ed., John Wiley & Sons, Inc
  • Hota M, Bartsch F(2019) Consumer socializa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mpact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family structure. J Bus Res 105, 11–20. [https://doi.org/10.1016/j.jbusres.2019.07.035]
  • Jeong J, Kim H(2020) Korean mothers’ food choice behavioral intent for children: an examination of the interaction effects of food type, household income, and healthism. Food Qual Pref 81, 103835. [https://doi.org/10.1016/j.foodqual.2019.103835]
  • Kähkönena K, Hujob M, Sandell M, Rönkäe A, Lyytikäinenf A, Nuutinen O(2020)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3–5-year-old Finnish children and their parents: Is there an association? Food Qual Pref 82, 103886. [https://doi.org/10.1016/j.foodqual.2020.103886]
  • Kaukonen R, Lehto E, Ray C, Vepsäläinen H, Nissinen K, Korkalo L, Koivusilta L, Sajaniemi N, Erkkola M, Roos E(2019) A cross-sectional study of children’s temperament, food consumption and the role of food-related parenting practices. Appetite 138, 136–145. [https://doi.org/10.1016/j.appet.2019.03.023]
  • Kim M, Chong Y(2020) Consumer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and dietary-life satisfaction. J Tour Manag Res 24(3), 155-173. [https://doi.org/10.18604/tmro.2020.24.3.8]
  • Kim S, Huh K(2019) A study on food consumption life style of main food buyer, food safety consciousnes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food consumption. J Cons Cult 22(1), 23-44.
  • Kim S, Lee K, Heo S, Choi J, Shin S, Park I(2020) 2019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19. Statistical Rrport 16-201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Kwon K, Kim S(2019) Relationship among consumer’s certification perception, mark’s familarity and loyalty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 Brand Design Assoc Korea 17(1), 118-130.
  • Langa M, Lemmerer A(2019) How and why restaurant patrons value locally sourced foods and ingredients. Int J Hosp Manag 77, 76–88. [https://doi.org/10.1016/j.ijhm.2018.06.015]
  • Lee K, Ban H, Park K, Hwang Y(2014)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the index of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index. Rural Econ 37(3), 59-77
  • Lee S, Jang J, Kim I(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and purchase behavior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Local Govern Admin Stud 25(1), 77-100 [https://doi.org/10.18398/kjlgas.2011.25.1.77]
  • Lee S, Kang P, Jung H(2015) Par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food materials and supplier-Performance in Mokpo, Korea -.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11), 1741-1749. [https://doi.org/10.3746/jkfn.2015.44.11.1741]
  • Lee S, Yu N(2019) Influence of self-esteem and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Home Econ Educ Assoc 31(4), 115-128. [https://doi.org/10.19031/jkheea.2019.12.31.4.115]
  • Lee Y, Yeo W(2014)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nsumption value by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 materials. Int J Tour Hosp Res 28(6), 181-199
  • Moon S, Lee S(2013) Effects of consumer’s ecomark perception on product evaluation. J Cons Stud 24(1), 100-104
  • Park J(2020) How consumer competency, experiences of consumer problemㆍdamage, & consumer confidence toward market conditions influence on consumption satisfaction in Korea. J Cons Policy Stud 51(2), 37-67
  • Park Y, Lee H(2015)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consumers socialization according to growth stages. J Cons Policy Stud 46(2), 133-163. [https://doi.org/10.15723/jcps.46.2.201508.133]
  • Peschel AO, Grebitus C, Steiner B, Veeman M(2016) How does consumer knowledge affect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hoices? Evidence from a cross-country latent class analysis of food labels. Appetite 106, 78-91. [https://doi.org/10.1016/j.appet.2016.02.162]
  • Suh Y, Lim E(2014) The effect of subjective consumer competency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in food - Focused on feeling of insecurity for food and type of household -. J Cons Policy Stud 45(3), 131-156. [https://doi.org/10.15723/jcps.45.3.201412.131]
  • Theil H(1953) Repeated least-squares applied to complete equation systems. The Hague: Central Planning Bureau, The Netherlands
  • Tobler C, Visschers VHM, Siegrist M(2011) Eating green. Consumers’ willingness to adopt ecological food consumption behaviors. Appetite 57, 674–682. [https://doi.org/10.1016/j.appet.2011.08.010]
  • Variyam JN, Blaylock J, Lin B, Ralston K, Smallwood D(1999)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children’s dietary intakes, Am J Agri Econ 81, 373-384 [https://doi.org/10.2307/1244588]
  • Ward S(1974) Consumer socialization. J Cons Res 1(3), 1-14 [https://doi.org/10.1086/208584]
  • Warde A(2011) Dimensions of a social theory of taste. Cultural consumption, classification and power (pp. 78–93). London: Routledge
  • You S, Ahn S, Oh H, Oh J(2018) Effect of food-related lifestyle on beverage selection attributes of adolesc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7(6), 649-656. [https://doi.org/10.3746/jkfn.2018.47.6.649]

Table 1.

Measurement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respondents

Variable Description Mean(std.dev.)
Mother Mother’s capability food purchasing capability (5 point scale) 3.584(0.443)
Mother’s age age 45.681(3.834)
Mother’s college if more than college graduated=1; otherwise 0 0.517(0.500)
Mother’s high school if high school graduated=1; otherwise 0 0.475(0.500)
Mother’s food interest interest in food ingredient (5 point scale) 3.439(0.549)
Mother’s health interest interest in health (5 point scale) 3.883(0.503)
Children Child’s food interest interest in food ingredient (5 point scale) 3.103(0.688)
Child’s sex if sex is male=1; otherwise 0 0.518(0.500)
Child’s education if high school student=1; otherwise 0 0.642(0.480)
Child’s obesity if in obesity=1; otherwise 0 0.052(0.222)
Child’s health interest interest in health (5 point scale) 3.444(0.620)
Child’s food safety interest interest in food safety (5 point scale) 3.186(0.641)
Child’s knowledge known count of food certification 6.039(3.184)
Household Household income household monthly income
(1: <1, 2: 1-1.99, 3: 2-2.99, 4: 3-3.99, 5: 4-4.99,
6: 5-5.99, 7: 6-6.99, 8: 7-7.99, 9: 8-8.99, 10:
9-9.99, 11: >=10 million won)
5.242(1.801)
Household region if resides in Dong region=1; otherwise 0 0.878(0.327)
Meal preparation if mostly prepared meal at home=1; otherwise 0 0.817(0.387)
Double income if double income=1; otherwise 0 0.611(0.480)
Household member number of household members 3.552(0.681)

Table 2.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mother’s purchase capability in agricultural products

Questions mean std. dev. Factor
loading
Cronbach’s α
The quality of agri-food varies depending on the country of origin. 3.832 0.611 0.500 0.872
I check the country of origin mark when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3.798 0.714 0.563
GAP and HACCP certification when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helps to choose safe foods. 3.622 0.800 0.633
I purchase GAP and HACCP certified products first in order to purchase safe food when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3.453 0.818 0.638
Businesses marked on packaging, store shelves, etc., and agricultural food indicators such as location, content, and grade are important information for product selection. 3.620 0.726 0.569
When purchasing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I always carefully check the items displayed on the packaging, stand, etc. 3.518 0.701 0.572
Nutritional ingredients are important when choosing agricultural products. 3.575 0.689 0.639
When purchasing food, I determine the purchase by referring to the nutritional content table. 3.514 0.658 0.677
I know how to search for the information I need to purchase agricultural products 3.582 0.678 0.600
When purchasing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the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place of purchase, price, quality, etc. is sufficiently compared and selected. 3.563 0.787 0.638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objective and accurate information among the numerous information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s. 3.565 0.713 0.548
For healthy consump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 use objective and accurate information to choose the right food. 3.500 0.741 0.632
Information on agricultural product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is very helpful in improving diet. 3.602 0.729 0.688
I use information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ing and eating in everyday life. 3.500 0.672 0.687

Table 3.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the mother’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Questions mean std. dev. Factor
loading
Cronbach’s α
The degree of interest in whether food ingredients ar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3.547 0.584 0.842 0.818
The degree of interest in whether food ingredients are produced in the local area. 3.461 0.654 0.890
The degree of interest in whether food ingredients are eco-friendly foods 3.312 0.680 0.840

Table 4.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children’s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Questions mean std. dev. Factor
loading
Cronbach’s α
The degree of interest in whether food ingredients ar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3.215 0.744 0.881 0.882
The degree of interest in whether food ingredients are produced in the local area. 3.095 0.790 0.916
The degree of interest in whether food ingredients are eco-friendly foods 3.000 0.760 0.901

Table 5.

Regression result of the mother’s food purchasing capability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std. dev. t-value
*p<0.05, **p<0.01
Mother’s age -0.009 -0.080 0.005 -1.949
Mother’s college 0.418 0.512 0.214 1.952
Mother’s high school 0.454* 0.471 0.215 2.107
Household income 0.011 0.223 0.011 1.027
Household member -0.076** 0.045 0.028 -2.674
Mother’s food interest 0.180** 0.034 0.034 5.262
Meal preparation 0.075 -0.117 0.046 1.612
Double income 0.031 0.092 0.038 0.807
Mother’s health interest 0.140** 0.159 0.038 3.679
Household region 0.093 0.069 0.056 1.675
Constant 2.460** 0.371 6.626
R2 0.136
F-value 8.578**
N 558

Table 6.

Regression result of the children’s interest in food ingredi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std. dev. t-value
*p<0.05, **p<0.01
Mother capability 0.396* 0.255 0.159 2.498
Child sex 0.028 0.020 0.050 0.556
Child education -0.019 0.036 0.052 -0.139
Child obesity -0.346* -0.112 0.111 -3.118
Child health interest 0.229** 0.207 0.042 5.530
Child food safety interest 0.351** 0.327 0.046 7.674
Child knowledge 0.047** 0.216 0.008 5.741
Constant -0.493 0.522 -0.946
R2 0.309
F-value 40.768**
N 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