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2, No. 4, pp.525-548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21
Received 24 Sep 2021 Revised 22 Nov 2021 Accepted 29 Nov 2021
DOI: https://doi.org/10.7856/kjcls.2021.32.4.525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위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강다정 ; 임지영, 1)
경상국립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1)경상국립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for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Kang, Da Jeong ; Lim, Ji Young, 1)
Mast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Correspondence to: Lim Ji Young Tel: +82-55-772-1456 E-mail: jylim@gn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As a town symbolic of national defense and allegiance since early times, Jinju annually hosts various festivals that encompass tradition and modernity. Of thes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is considered the best case in the cultural contents of festivals applying regional resources. As the festival is made known worldwide beyond Korea, it is also recognized as a global festival. The emergence of similar festivals to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presents the need for the festival’s symbolic ele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differentiated uniform designs reflective of the region’s characteristics and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s unique features to establish the festival’s identity and enhance its dignity as a global festival.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e uniform’s motive was designed by reinterpreting the festival’s symbol mark into modern curves. One repeat of a pattern was designed by applying this motive, and the one repeat was repeated to create successive patterns, which were then used to develop a textile design that matched five colorways. Ten uniform designs were developed for five groups of men and women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plan. This study enhanced the dignity of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which boasts more than four centuries of history, as a global festival by preserving its cultural value and establishing its identity.

Keywords:

Jinju Namgang Yudeong Festival, uniform design, motive design, textile design

Ⅰ. 서론

우리나라는 문화체육관광부를 주축으로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문화관광축제들을 개최하고 있으며, 전통문화와 역사 인물, 지역 특산물 등을 테마로 콘텐츠를 기획하여 홍보하고 있다. 경상남도에 위치한 진주는 1300년의 역사를 가진 경제ㆍ교육ㆍ문화예술의 중심지이자 꾸준히 전통 문화유산을 보존하며 발전시켜나가는 도시로서(Hwang 2020) 매년 개천예술제와 논개제, 진주남강유등축제 등의 전통역사축제가 이어져 오고 있으며, 최근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과 같은 한류 문화행사를 개최하여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축제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그 중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에서 유래한 유등띄우기의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개최되어 왔으며, 현재는 글로벌 육성축제로써 진주와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로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유등축제를 즐기기 위해 2019년 행사기간 동안 진주를 방문한 관광객 수가 155만여 명으로 집계되면서(Choi 2019)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축제로서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진주실크 소망등’이 전시되거나 축제 및 퍼레이드에 초청되는 등 진주의 유등과 남강유등축제가 한국 문화의 대표 콘텐츠로 소개되면서 국내외 곳곳에 초청되고 있다. 더불어 진주시는 체험형 관광 콘텐츠로 유등테마공원과 전시관을 건립하여 진주 유등축제의 지속적 홍보와 관광객 유치 및 관광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진주시는 세계축제협회 심포지엄을 통해 축제 간 교류협약을 체결하고 성공전략을 공유하여 진주남강유등축제가 진정한 글로벌 축제로 발돋움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였으며(Kang 2020), 진주시가 유네스코 창의도시로 선정됨에 따라(Kang 2020) 공예 및 민속예술분야의 우수성에 대해 국제적인 공인을 받으며 주목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주남강유등축제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차별화된 아이템이 부실하며,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축제인 만큼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정체성 확립과 글로벌 축제로서의 품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템으로서 축제의 이미지와 지역 특성화 요소를 결합한 다양한 디자인 개발이 절실하다. 진주남강유등축제를 다룬 선행연구에서는 행사장 분위기 조성 및 관람객 유치를 위해 진주남강유등축제 관련 디자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축제장 전반의 디자인적 요소들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하다고 분석하였다(Roh 2010). 그리고 진주남강유등축제의 경우 축제를 상징하는 캐릭터나 심벌, 로고, 유등 이미지 등을 이용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평가한 바 있다(Park et al. 2012; Kim & Choi 2015).

축제를 상징하는 디자인 중 유니폼은 소속 집단의 정체성을 표상하는 목적성을 지닌 시각적 상징 언어로(Shin 2016) 해당 단체의 매력적인 첫인상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유니폼이라는 공통된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현장 근무자들이 책임감 있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관람객에게는 원활한 행사 진행을 지원할 수 있다(Lim 2013). 그러므로 그동안 기성복에 로고를 새긴 형태를 유니폼으로 활용해 온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오랜 전통을 가진 국제적 규모의 행사를 진행함에 있어 해당 축제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활용한 새로운 유니폼 디자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이 축제 관계자를 식별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는 이로 하여금 즐거움을 선사하며 행사장 전반의 축제 분위기를 조성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특별히 유니폼의 디자인에 한국적인 미가 포함된다면 전통있는 축제의 품격을 높여줄 훌륭한 디자인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정체성 확립과 축제 도시 진주의 품격유지를 위해 행사의 개성과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차별화된 유니폼 디자인을 전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진주남강유등축제

1)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역사

진주남강유등축제는 400여 년 전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에서 태동한 역사적 행사이다(Jeong 2009). 유등 띄우기의 정확한 기원에 대한 구체적 자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오늘날 크게 두 가지의 이야기로 전해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소개되는 구전은 임진왜란 당시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시작된 것으로 1592년 충무공 김시민 장군이 진주성을 침공한 2만의 왜군을 격퇴하면서 남강을 건너려는 적들의 도하작전을 저지하는 군사 전술로 횃불과 함께 유등을 띄우거나 성 밖의 가족들에게 안부와 염려의 소식을 전하는 통신수단으로 사용하였다(Kang 1970;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2020). 유등은 풍등과 함께 전쟁 중에 상호 유기적인 협조가 가능한 수단이었고, 당시 3800여 명에 지나지 않는 병력으로 2만 왜군을 격퇴한 전투는 민족의 자존심을 드높이는 사건으로 각인되어 ‘진주성대첩’으로 길이 기억된다(Gyeongnam Ilbo 2018). 또 다른 기원은 유등 띄우기 문화가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로 인해 7만여 명의 민관군과 의기 논개가 희생되면서(Lee et al. 2010) 백성들의 주도하에 그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진혼의식과 국가와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기원의식이 오랜시간 이어져 진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다는 설이다(Kim & Choi 2015).

이렇게 시작된 유등 띄우기 전통은 매년 개최되는 영남예술제 행사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유등놀이’의 형태로 이어져 왔다(Lee et al. 2010). 영남예술제는 1949년 진주에서 탄생한 지방문화예술제로 정부수립의 실질적인 자주독립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된 우리나라 최초의 예술제이다(Gaecheon Arts Festival 2020). 1959년 개천예술제로 명칭을 교체하면서 1964년부터 1968년까지 국가 원수가 개제식에 참석하는 최초의 예술제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받았다(Kim & Choi 2015). 이후 순수예술의 대중화나 민족예술의 창조ㆍ정립과 같은 주제를 설정하여 행사의 개혁과 변화를 꾸준히 추구하였고(Lee et al. 2010), 오랜 기간동안 개천예술제의 부대행사 중 하나로 유등 띄우기를 진행하였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등 띄우기 행사는 하나의 독립적인 축제로 성장하게 된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됨에 따라 개천예술제와 같은 순수예술제가 점차 쇠퇴하게 되면서 타 지역 축제들과의 경쟁에서 차별성을 극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에 ‘개천예술제 발전기획위원회’가 출범하여 진주시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홍보를 위한 수단으로유등축제를 개최하게 되었다(Choi 2010; Gyeongnam Ilbo 2018). 2000년과 2001년은 ‘진주남강국제등축제’라는 한국 및 세계 각국의 등(燈)을 소개하는 제한적 형태의 독립축제로 진행되었고(Kim & Choi 2015), 이 시기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초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Choi 2010).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진주남강유등축제’라는 명칭의 대규모 행사로 개최되었고, 문화관광부 지정 특성화축제로 선정되었다(Choi 2016a). 이후 2003년 예비축제, 2004년 육성축제, 2005년 우수축제를 거쳐(Kim 2010)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 연속 최우수축제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연속 대한민국 대표축제로 선정된 후 명예축제로 졸업하였다(Choi 2016a). 5년 이상 국가지정 글로벌 육성축제에 선정되면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지역 축제로써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최근 캐나다, 미국 LA로 수출하는 등 세계적인 축제로 발돋움하고 있다(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2020).

2) 진주남강유등축제의 행사 내용 및 구성원

진주남강유등축제는 매년 10월초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 및 남강 일원에서 10여 일간 개최되고 있으며, ‘물, 불, 빛 그리고 우리의 소망’이라는 슬로건을 통해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에 기원한 축제의 주체성을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 축제 현장에서는 매년 초혼점등식을 비롯한 ‘등’ 전시, 체험 행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주요 프로그램은 본행사, 체험참여마당, 부대행사, 동반행사로 구분되어 있다.

본행사에는 시민거리행렬, 고유제, 초혼점등, 수상 불꽃놀이를 포함한 초혼점등식을 시작으로 세계풍물등 및 한국의 등, 창작등, 캐릭터등, 진주성등과 같은 다양한 스토리에 유등을 결합시킨 각종 등이 전시되고 있다. 체험 참여마당의 경우 방문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유등 만들기, 시민참여등 만들기, 소망등 달기, 사랑다리 건너기, 전통놀이 체험, 유람선 체험, 임진대첩도 및 유물 탁본체험 등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이벤트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부대행사로는 수상 불꽃놀이와 워터라이징쇼를 비롯한 남가람 어울마당, 유등 방송국, 수상 등카페, 농특산물 판매코너 등의 풍성한 볼거리들을 제공하는 행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남강과 진주성을 배경으로 국립진주박물관 문화체험, 진주성 전투 3D 입체영화 상영, 진주 역사 골든벨과 같은 이색적인 동반행사들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행사를 운영하기 위해 축제 현장에는 많은 인원들이 각자 맡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니폼 착용 대상자와 행사 진행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진주남강유등축제 주최 기관인 경남문화예술재단을 방문하여 축제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진주남강유등축제의 구성원을 크게 축제 대표자, 축제 운영 관계자, 축제 홍보ㆍ해설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의 5가지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축제 대표자에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제전위원회가 해당된다. 이들은 주로 축제에 관한 주요 사항이나 예산안, 행사 내용 기획 등을 의결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축제 기간에는 본행사 및 공적 행사에 참여하여 대내외적인 홍보 협력을 담당하기 때문에 진주남강유등축제를 대표하는 인물들이라 할 수 있다. 축제 대표자들은 모든 등에 처음으로 붉을 밝혀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초혼점등식에 참석하는 것이 가장 주된 업무이다. 화해와 평화를 기원하는 등불을 밝혀 주요 관계 인사 및 축제 관람객들에게 진주남강유등축제의 개최 의의를 보여주고, 이후 각종 등이 전시된 축제 현장을 방문하여 행사 내용을 면밀히 확인한다.

축제 운영 관계자는 경남문화예술재단 및 시청 직원 등의 주최측 관계자가 해당된다. 이들은 축제장 인원 및 안전, 시설, 행사 진행 전반에 관한 현장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진행 요원들로 초혼점등식을 비롯한 각종 등 전시, 소망등 달기 체험존, 불꽃놀이 및 워터라이징 쇼, 남가람 어울마당 등의 행사 운영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점검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다.

축제 홍보ㆍ해설자는 유등축제 서포터즈 및 통역ㆍ해설 자원봉사자들이 해당된다. 주로 진주성 내부 유등 전시장과 유람선 체험존에 배치되어 관광 안내를 진행하기 때문에 내국인 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람객들에게 진주남강유등축제를 홍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해당 축제의 상징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인원이다.

행사 진행자의 경우 각종 체험 프로그램과 축제 현장 실무를 담당하는 인원들이 해당된다. 이들은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행사장 출입과 관련하여 매표 및 부교 통행 검표를 수행하고, 체험 프로그램 진행과 기타 안내 업무를 담당한다. 유등 제작을 비롯해 소망등 달기, 사랑다리 건너기, 전통놀이 체험 등의 각종 즐길거리로 구성된 축제장에서 관광객들과 가장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인원이다.

행사 보조자에는 자원봉사자들이 해당된다. 진주성 및 남강 일원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행사이기 때문에 축제장에는 다양한 직무의 자원봉사자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행사장 전반에서 보조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분야별 특징이 뚜렷하기 때문에 교통, 급수, 의료 등을 담당하는 자원봉사자Ⅰ과 먹거리 부스의 요리업무를 담당하는 자원봉사자Ⅱ로 구분할 수 있다.

2. 유니폼 디자인

1) 유니폼의 개념 및 역할

유니폼(uniform)이란 일정한 기준에 의해 정해진 양식의 복장으로서 특정 집단의 구성원들을 위해 고안되어 채택된 독특한 디자인의 제복(制服)을 말한다(Lim 2013). 유니폼의 어원은 라틴어의 우누스(unus: 하나의)와 포르마(forma: 형태)의 합성어로 일반복과 달리 목적에 따라 특정한 형태와 필요한 기능 및 장식을 포함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Na 2020). 유니폼은 착용자의 역할과 지위를 추측할 수 있게 하고, 소속이나 신분 등을 나타내는 의복이다(Lee 2011).

유니폼의 유래는 자신의 신분이나 집단을 나타내고자 하는 욕구에서 출발하여 고대 아프리카, 알래스카, 뉴질랜드 등의 원시 사회에서 집단 간 구별을 위해 문신이나 그림으로 신체에 표시하던 행위에서 찾을 수 있다(Kim & Lee 2015). 그 이후 시기의 집단 표시 방법으로는 중세 기사의 신체를 보호하는 갑옷에서 비롯되어 전투 시 적과의 식별의 목적으로 군인 제복이 생겨났으며(Choi 2016b), 기원전 로마의 군복은 투구나 갑옷, 방패 등이 일정 부분 통일된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Lee 2011). 또한 스코틀랜드나 일본에서 가문을 상징하는 문양을 만들어 의복 무늬에 사용한 것 역시 집단을 표시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Lee 2011; Kim & Lee 2015). 우리나라에서 유니폼에 대한 개념은 일제에 의한 서구 문물 도입에 따라 대량생산 방식의 군복과 학생복이 입혀지게 되면서 개화기에 ‘제복’이라는 용어로 불리다 해방 이후 영어의 혼용으로 유니폼으로 굳혀졌다(Choi 2014).

유니폼은 소속이나 직업을 나타내기 위해 한 집단의 일원으로서 착용하는 복장으로 각 역할에 해당하는 형태 및 외관, 기능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유니폼 착용은 학교나 회사, 경찰, 군대, 병원 등과 같은 집단으로 목적에 따라 기능, 형태, 색상, 장식 등을 갖추어 통일한다(Kim 2018a). 최근 유니폼은 직업의 다양화 및 분업화, 전문화 등의 변화와 함께 업무수행을 위한 복식의 기능뿐만 아니라 조직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홍보수단으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Byun & Joo 2016).

유니폼은 외적으로 그 집단의 특성을 전달하고, 개인이나 단체를 타 집단과 구별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Namgoong 2012). 유니폼 착용을 통해 외적으로는 자신의 소속을 상징함과 동시에 조직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내적으로는 근무의 태도와 일의 능률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Choi 2014). 유니폼은 조직의 지속적인 목표달성과 대외적인 조직 이미지 창출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며(Lee 2018), 조직의 구성원으로서의 동질감을 느끼게 하여 멤버쉽 강화와 협동심 고취에 도움을 준다(Jeong 2017). 또한 고객에게 있어 유니폼은 해당 직원의 직무나 위치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시켜 손쉽게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의 역할도 한다(Lee 2013).

그러므로 유니폼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정해진 동일한 양식의 복장이자 소속집단 내의 계급이나 역할, 직무 등을 나타내기 위해 착용하는 의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유니폼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형태, 색상, 소재, 장식 등으로 표현되며, 소속 단체의 개성을 표현하고 사회적 신분과 타 집단과의 구별이 가능한 제복의 개념이다.

2) 유니폼의 기본 요건

유니폼은 일반복과 달리 정확한 목적과 용도로 착용하는 의상이므로 조직이나 직종에 관한 상징성을 내포하면서 활동 시 동작 형태와 착용감을 고려하고 타 집단과 구별이 용이한 디자인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유니폼은 용도와 목적에 따라 디자인 시 고려되는 사항이 다양하나 축제 유니폼 디자인 개발 연구(Lim 2013: Kim & Lee 2015)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니폼 디자인 연구에서 상징성과 기능성, 심미성이 중복적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유니폼의 상징성은 외형상 통일된 형태와 컬러 등을 통해 해당 단체의 특성이나 개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유니폼은 대외적으로 소속집단의 이미지를 홍보하거나 기억하게 만드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Jung et al. 2012), 각 직종 간의 구분을 명확히 해주는 식별기능의 효과가 있다(Choi 2014). 같은 디자인의 유니폼이지만 색상이나 배색에 변화를 주어 착용자의 신분 및 역할을 전달할 수 있고(Kim & Lee 2015), 개인적인 미의식보다는 통일된 집단의식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 색채, 문양 등을 통해 조직의 이미지로 표출한다(Choi 2016b).

유니폼의 기능성은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신체의 정적, 동적 형태에 따른 구조와 소재, 형태 등을 고려한 디자인을 말한다(Jeong 2017). 유니폼은 환경과 신체와의 관계를 조절함으로써 작업능률 향상과(Lee 2018) 함께 착용자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하며,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오염 등으로 잦은 세탁에도 내구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Na 2020) 관리 및 보존이 용이해야 한다. 또한 업무 내용에 따라 동작 시 여유량이나 소재의 신축성, 무게감 등을 고려해야 하고 특정 행동의 반복으로 인한 부분적 마모에 대비해야 한다.

또한 유니폼은 아름답고 신체에 적합한 옷은 착용자의 만족감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보는 이로 하여금 시각적인 만족과 즐거움을 전달할 수 있다. 유니폼에 표현된 심미성은 단체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업무적 특성과 조직의 특성을 시각적인 요소와 결합하여 나타내며(Choi 2016b), 형태나 색채, 소재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디테일과 같은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색채는 각각이 가진 성격들로 인해 가장 먼저 지각되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Park 2014) 연상 이미지를 통한 강력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 유니폼에 있어 심미성은 단순한 아름다움보다는 단체의 이미지를 잘 살리면서 적당한 미적 요소를 가미한 디자인이라 말할 수 있다.

3. 글로벌 육성축제 유니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국내에서 개최되는 수많은 축제를 평가하여 매년 40여개의 문화관광축제를 선정하고 대표축제, 최우수축제, 우수축제, 유망축제 4가지로 등급을 구분한다. ‘글로벌 육성축제’는 대표축제 등급을 5회 연속 유지 후 명예 졸업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축제를 가리킨다.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정한 국내 글로벌 육성축제인 김제지평선축제, 보령머드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화천산천어축제, 그리고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니폼 디자인을 고찰하였다.

1) 김제지평선축제 유니폼

김제지평선축제는 김제의 특산품인 지평선 쌀을 홍보하기 위한 지역 특성화 축제로 김제 지역의 자연과 문화, 역사적 특성을 살린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타 자치단체와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행사는 매년 10월 초순 가을에 개최되고, 자연경관과 함께 벽골제 전설 쌍룡놀이, 풍년기원 입석 줄다리기, 글로벌 지평선 쿠킹 클래스, 쌀강정 세계지도 만들기, 벼 베기, 황금 들녘 추억여행 등 관광객을 대상으로 다채로운 행사를 운영하고 있다(Gimje Horizon Festival 2021).

김제지평선축제의 경우 성공적인 축제 개최를 위해 행사안내 및 프로그램 지원, 교통질서 유지, 환경 정화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자원봉사단을 위한 유니폼이 제공되고 있다(Fig. 1, 2). 이들은 축제 곳곳에서 관람객의 편의 개선을 위한 봉사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통일감 있고 간소화된 복장을 추구하고 있었다. 유니폼은 베스트 형태로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과 자원봉사단의 역할을 알려주는 글자가 프린팅 되어있다. 넓은 암홀과 앞면의 지퍼를 통해 어떤 이너에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색상은 멀리서도 눈에 잘 띄도록 가시성이 뛰어난 Y 컬러를 사용하였다. 소재의 경우 폴리에스터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무늬가 없는 간결한 디자인의 유니폼이다.

Fig. 1.

2016 Gimje Horizon Festival uniform.

Fig. 2.

2019 Gimje Horizon Festival uniform.

김제지평선축제의 유니폼은 자원봉사자의 유니폼으로 체험 프로그램 위주의 축제를 진행함에 있어 어느 옷에나 매치할 수 있는 베스트 아이템을 채택하여 실용성만을 강조하고 있었다. 글로벌 육성축제로서 콘텐츠를 인정받은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적 측면에 있어 매우 미약하고 또한 축제의 상징성이나 이미지를 연상할 수 없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 사례이다.

2) 보령머드축제 유니폼

보령머드축제는 매년 7월에 대천해수욕장 인근 갯벌을 배경으로 개최되는 체험형 웰빙 축제이다. 우리나라 서해 갯벌이 세계 5대 갯벌로 손꼽히지만 모든 머드를 외국에서 수입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보령머드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대천해수욕장 주변의 지역적 특성과 ‘보령머드 화장품’을 관광 상품화하여 기획된 행사이다(Jung 2009). 국내에서 개최되는 축제 중 외국인이 가장 많이 참여하는 축제로 ‘머드’라는 독특한 자연적 소재를 활용하여 다양한 공연과 체험행사 등에 접목한 것이 특징적이다. 해당 행사는 시각적, 촉각적 자극을 통해 해당 축제만의 이색적인 재미를 추구하며, 일상에서 휴식과 일탈이 필요한 전 세대를 아우르고 있다(Booryeong Mud Festival 2018).

보령머드축제의 경우 내빈 및 관계자, 통역자, 안전요원, 자원봉사자, 일반 스태프 등을 대상으로 유니폼이 제공되고 있으며, 배포용과 판매용으로 구분되어 있다. 판매용 유니폼은 해당 축제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과 진흙에 젖은 옷을 누구나 쉽게 갈아입을 수 있도록 하고, 기본으로 제공되는 유니폼보다 높은 단가의 윈드브레이커의 경우 필요한 경우에 개별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유니폼의 형태는 반팔 티셔츠와 윈드브레이커 점퍼로 구분되며, 기본으로 제공되는 유니폼은 반팔 티셔츠로 지정되어 있다(Fig. 3, 4). 티셔츠와 점퍼 모두 행사의 로고와 심볼마크, 캐릭터가 전ㆍ후면에 크게 프린팅 되어있다. 티셔츠는 라운드와 폴로 칼라의 형태이며, 윈드브레이커의 경우 한 가지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반팔 티셔츠는 각 직무에 따라 컬러를 다르게 사용하여 구분하고 있다. 내빈 및 관계자는 YR 컬러, 통역은 Y 컬러, 안전은 G 컬러, 자원봉사자는 W 컬러, 일반 스태프의 경우 Gy 컬러를 착용하며, 판매용 티셔츠의 경우 YR 컬러를 기본으로 B, RP 등의 다양한 컬러를 매년 다르게 제작하고 있다. 유니폼의 소재는 일반 직원의 경우 면을 사용하고, 안전요원과 같이 외부에서 물이나 진흙과 접촉하는 직원의 경우 물기가 금방 마르는 쿨론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윈드브레이커 점퍼는 YR 컬러를 사용하여 나일론과 같은 기능성 소재로 제작된다.

Fig. 3.

Boryeong Mud Festival uniform T-shirt.

Fig. 4.

Boryeong Mud Festival uniform jumper.

보령머드축제의 유니폼은 기성품을 사용하였지만 해당 행사를 상징하는 이미지들을 프린팅하여 축제의 분위기 조성이나 홍보에 일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축제의 유니폼을 기호에 따라 직원들이 개별 구매할 수 있어 유용하다. 머드 축제의 티셔츠는 1만 2천 원에서 2만 원 사이의 가격대를 유지하고, 점퍼는 4만 원대의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점퍼의 경우 기본 제작 단가가 높지만 유니폼의 측면에서 보령머드축제의 홍보를 위해 낮은 마진율로 판매하고 있다. 보령머드축제의 유니폼은 전반적으로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행사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축제장의 배경을 고려한 소재를 사용한다는 점에 있어 좋은 사례이다.

3)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유니폼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다양한 종류와 예술성을 갖춘 우리나라 탈춤을 국내외 교류를 통해 전통 보존 및 전수,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는 축제로, 매해 9월 말 안동 하회마을과 탈춤공원을 배경으로 개최되며, 각국의 전통 탈춤 무대와 탈놀이대동난장 퍼레이드, 마당극 및 창작극 공연 등 가면을 소재로 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Andong Mask Dance Festival 2019).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자원봉사자와 마스코트(탈놀이단)를 대상으로 유니폼이 제공되고 있다. 축제장 곳곳에서 관람객에게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함께 즐기는 전통문화 행사라는 콘셉트에 맞춰 이벤트적인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다. 먼저 자원봉사자의 유니폼은 해당 축제의 로고와 전통 탈 이미지가 프린팅된 라운드 반팔 티셔츠를 사용하며, 매해 다른 컬러로 제작되고, 면 소재를 사용하여 부담없이 착용할 수 있는 편안함을 추구하고 있었다(Fig. 5). 탈놀이단의 유니폼의 경우 공연 및 퍼포먼스를 위해 한복 답호의 형태를 모티브로 제작된 의상을 착용하며, 가볍고 통풍이 쉬운 소재를 선택하여 프로그램 진행 시 착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였다(Fig. 6).

Fig. 5.

Andong Mask Dance Festival uniform for Volunteer.

Fig. 6.

Andong Mask Dance Festival uniform for Tal-nori group.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자원봉사자 유니폼은 기성품 티셔츠에 축제 이미지를 추가하였으나 유니폼의 컬러가 매해 다르게 사용되어 축제 유니폼으로서의 상징성이 부족하다. 또한 해당 축제의 마스코트로 활동하는 구성원들이 착용하는 이벤트용 의상은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축제의 취지에 잘 맞는 유니폼 사례로 인상적인 반면 유니폼 자체에 포켓이나 지퍼가 없어 실용적인 디테일 측면에서 다소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4) 화천산천어축제 유니폼

화천산천어축제는 매년 1월 강원도 화천군 일대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겨울 행사로 삿포로 눈꽃축제, 중국 하얼빈 빙등제, 캐나다 윈터카니발과 함께 세계 4대 겨울 축제로 손꼽히는 축제로, 1급수에만 사는 토종 민물고기인 산천어를 소재로 루어낚시, 산천어 맨손 잡기 등의 체험행사를 진행하며, 또한 주변 환경의 특징을 살려 눈과 얼음을 이용한 눈썰매, 얼음조각, 피겨스케이팅 등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한다(Hwacheon Sancheoneo Ice Festival 2019).

화천산천어축제의 경우 본 축제의 상징적 이벤트인 ‘산천어 맨손잡기’ 행사를 위해 유니폼이 제작되고 있다(Fig. 7, 8).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유니폼은 추운 겨울을 즐긴다는 축제의 이미지를 반영하고 있다. 유니폼은 라운드 반팔 티셔츠의 형태로 전면과 후면에 축제의 심볼마크와 로고, 캐릭터인 북극곰 이미지를 크게 프린팅하여 축제장 및 보도자료용 이미지에 주목성과 가시성을 높아지는 시각적 효과를 주었다. 컬러는 축제의 활기와 추위가 덜 느껴지는 R, YR 컬러를 선택하여 주변 배경과의 상반되는 이미지 연출로 흥미를 돋우고 있다. 소재는 기본 면을 선택하여 부담 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Fig. 7.

2019 Hwacheon Sancheoneo Ice Festival uniform.

Fig. 8.

2020 Hwacheon Sancheoneo Ice Festival uniform.

화천산천어축제의 유니폼은 행사관계자의 유니폼이 아닌 프로그램 참여자를 위한 것으로 관람객들로 하여금 축제관계자를 식별하기 어려워 도움 요청 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니폼은 심플한 디자인이면서도 산천어 축제의 상징성을 잘 담아내고 있었으며,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착용 대상으로 하여 강력한 홍보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얼음이나 겨울이라는 축제의 배경을 반영한 상징성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5) 진주남강유등축제 유니폼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진주성 전투 시 군사적 신호나 가족에게 안부를 전하기 위해 남강에 띄우던 등불에서 비롯된 축제로 2004년 전국문화관광축제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매년 수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는 국내 대표급 축제이다(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2020).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니폼은 진주성과 남강이라는 야외를 배경으로 10월 초에 개최되는 축제이기 때문에 얇은 외투를 중심으로 유니폼이 제공되고 있으며, 축제 대표자를 비롯한 운영 관계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 등의 구성에 따라 다른 의상을 착용한다. 각 직무마다 발권 및 검표, 체험행사 진행, 안전, 기타 안내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유니폼은 인력 배치 상 각 역할에 따라 윈드브레이커 점퍼, 후드집업 점퍼, 앞치마 3가지 종류로 구분되어 있고, 해당 축제의 로고와 심볼마크가 작게 프린팅 되어 있다. 축제를 주관하는 축제 대표자(제전위원회) 및 축제 운영 관계자(일반 사무직 진행요원) 150여명의 경우 얇은 두께감의 윈드브레이커 점퍼를 착용하며, 행사 진행자(파트타이머 진행인력) 120여명은 후드집업 점퍼를 착용하고 있었다. 행사 보조자(자원봉사자)의 경우 제공되는 유니폼은 따로 없었으나 2019년 처음으로 먹거리 부스 운영을 위해 여성단체 봉사자 200여명을 위한 앞치마가 제공되었다. 세 가지 유형 모두 유등의 불빛을 연상시키면서도 행사의 활기를 표현할 수 있는 YR 컬러를 사용하고 있다. 윈드브레이커는 매년 색상을 변경하다 2018년 이후부터는 주황색으로 지정하여 제작되고 있다. 윈드브레이커 점퍼는 나일론을, 후드집업 점퍼는 면을, 앞치마는 폴리에스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문양이 없는 단색 원단이 사용되었다(Fig. 9, 10).

Fig. 9.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uniform for festival representative and management officials.

Fig. 10.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uniform for event host.

이러한 진주남강유등축제 유니폼은 축제의 상징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시각화 요소가 부족하였으며, 형태, 색채, 소재에 있어 타 축제와의 차별성이 없었다. 특히 글로벌 육성축제 5곳 중 3곳의 유니폼이 동일하게 YR 컬러를 사용하고 있어 본 축제만의 차별성이 매우 부족하였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 행사 내용과 착용 대상자의 직무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필요하며,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개최되는 축제인만큼 전통성과 역사성이 잘 드러나는 유니폼 디자인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Ⅲ.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정체성 확립과 글로벌 축제로서의 품격 향상을 위해 행사의 개성과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차별화된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은 이론적 고찰, 디자인 기획, 디자인 전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로 선행연구 및 기사, 온라인 자료를 통해 유니폼 디자인에 녹여낼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래와 가치를 발견하고 축제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특별히 유니폼 착용 대상자와 행사 진행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진주남강유등축제 주최 기관인 경남문화예술재단을 방문하여 축제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진주남강유등축제의 행사 내용 및 구성원의 담당 업무를 파악하고, 비슷한 역할을 묶어 축제 대표자, 축제 운영 관계자, 축제 홍보ㆍ해설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의 5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니폼의 디자인 방향을 정리하고자 유니폼의 역할과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진주남강유등축제를 포함한 국내 글로벌 육성축제 유니폼 디자인을 고찰하였다.

유니폼 디자인 기획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디자인 기획 의도, 디자인 테마,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착용 대상자인 축제 대표자, 축제 운영 관계자, 축제 홍보ㆍ해설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를 타겟으로 각 그룹별 직무 내용을 파악하여 디자인 시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유등의 역사를 400년 이상 꾸준히 보존 및 계승, 발전시켜나가는 역사문화도시 진주의 모습을 의미하는 테마에 중점을 두었으며, 전통복식을 응용한 형태와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상징 색채를 기획하였으며, 그룹의 업무와 활동에 맞추어 진주의 특산품인 실크와 실용성을 고려한 다양한 소재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유니폼 디자인 전개에서는 디자인 기획 내용을 바탕으로 텍스타일 디자인과 유니폼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심벌마크의 형태와 색채를 응용하여 모티브를 도출하여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유니폼 디자인은 축제 대표자, 축제 운영 관계자, 축제 홍보ㆍ해설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그룹별 역할과 업무내용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진행하였으며, 5그룹의 남녀 총 10벌의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디자인 전개 과정에서는 Adobe사의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cc)와 Savage Interactive사의 프로크리에이트(Procreate)를 활용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1. 디자인 기획

1) 디자인 기획 의도

진주의 문화와 유등의 역사성,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상징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목표로 유니폼의 추구속성인 상징성, 기능성, 심미성을 고려하였으며, 유니폼 착용 대상자인 축제 대표자, 축제 운영 관계자, 축제 홍보ㆍ해설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를 타겟으로 하였다.

축제 대표자는 개막식을 비롯한 초혼점등식, 폐막식 등의 공식 석상에 참여해 축제를 소개하고 현장을 점검하는 역할을 한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인물들로 전 세계 각지에서 모인 인사들과 교류하여 대내외적인 홍보 협력 활동을 담당한다. 해당 축제를 대표하는 이들이기 때문에 그 위상을 보여주면서도 격식과 예를 갖출 수 있는 유니폼 디자인이 필요하며, 진주와 유등의 역사성을 상기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

축제 운영 관계자는 축제장 전반의 인원 배치와 안전 및 시설을 점검하고 축제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원활한 진행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품위를 잃지 않으면서도 행사장 곳곳을 누비는 관리 업무에 용이하도록 활동성을 겸비한 유니폼이어야 한다.

축제 홍보ㆍ해설자는 관광안내 및 통역ㆍ해설 등을 통해 진주남강유등축제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관람객들과 대면하여 축제장을 설명하고, 특히 외국인 관광객을 마주하기 때문에 해당 축제에 대한 상징적 이미지를 심어 줄 중요한 인물들이다. 때문에 전통성이 강조된 유니폼 디자인을 통해 역사문화를 배경으로 한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정체성이 드러나면서도 축제의 쾌활한 분위기를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행사 진행자는 축제장에서 운영되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매표 및 검표, 기타 안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행사장에서 관람객들과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인물들로 다이나믹한 체험 프로그램 진행과 근무자의 동적인 업무 수행에 적합하도록 활동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행사 보조자는 두 가지로 분류된다. 행사 보조자Ⅰ의 경우 교통이나 급수, 의료 등의 업무 시 간편하면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어야 한다. 또한 행사 보조자Ⅱ는 먹거리 부스에서 요리 및 서빙 등의 업무를 수행하므로 청결함과 친근감 있는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2) 테마

본 연구에서는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한 테마로 ‘4세기의 추억 - 어화燈燈 진주夜’로 선정하였다. 이는 ‘유등’이라는 문화를 4세기 이상 꾸준히 보존 및 계승, 발전시켜나가는 역사문화도시 진주의 모습을 의미한다. 이러한 테마를 유니폼 디자인에 담아내기 위해 헤리티지 무드(Heritage Mood)를 반영하여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정체성을 포함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고유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국내 대표축제를 넘어 점차 세계로 도약하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비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3) 디자인 콘셉트

디자인 기획 의도와 테마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콘셉트를 형태, 색채, 소재로 정리하였다.

① 형태

유니폼 디자인의 형태는 우리나라 전통복식인 철릭을 활용하였다. 철릭은 진주성 전투 당시를 연상시키는 의복이다. 고려 말 문무관들의 복장으로 착용되기 시작해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사대부들의 외출복으로 활용되는 등 일상적 의복으로 대중화되어 정착되었다(Kang 2018). 임진왜란 당시에는 천강홍의장군이라 불리던 의병장 곽재우의 붉은 철릭이(Kim 2020) 김시민 장군과 함께 1차 진주성 전투의 승리를 이끌었던 상징적 이미지라 할 수 있다.

또한 철릭은 전통복식 중에서도 심미성과 기능성을 두루 갖춘 의복이다. 그 이용 범위와 용도가 다양하고, 상하의 길이의 비율과 주름의 분량, 탈부착이 가능한 소매 형태 등의 요소가 미적 측면과 기능적인 면에 있어 우수하면서도 독특하다(Kim 2007). 최근 신한복 트렌드의 대표 아이템으로(Lee 2016a; Kim 2018b) 철릭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앞이 트여있는 좌임의 형태로 착용과 탈의가 용이하고 사이즈의 가변성과 체형보완(Kim & Kim 2020)의 효과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세기의 추억 - 어화燈燈 진주夜’라는 테마를 표현하기 위해 디자인적 요소가 풍부하며 전통복식인 철릭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코트, 베스트, 아노락, 조거팬츠 등의 서양복을 바탕으로 철릭의 깃과 고름, 주름 등의 디테일적 요소를 접목하여 전체적으로 통일감 있는 스타일을 추구하며, 행사 참여 인력의 그룹별 역할에 따라 활동성과 디테일의 차이를 두어 포멀에서 스포티 이미지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디자인으로 기획하였다.

② 색채

본 연구의 유니폼 디자인에 적용할 색채는 디자인 기획 과정의 ‘4세기의 추억 - 어화燈燈 진주夜’라는 헤리티지 무드를 강조한 테마에 맞추어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상징성을 나타내는 시그니처에 사용된 컬러를 활용하고자 한다. 컬러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심벌마크에서 추출한 YR, Y, BG, B 4가지 색상과 로고타입에 사용된 BK, W 색상을 배색하여 그룹별 특징에 적합하도록 디자인하고자 한다. 또한 은은하게 불을 비추는 유등과 축제장의 감성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그라데이션(Gradation) 배색을 부분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③ 소재

소재는 5개 그룹의 착용자 업무에 맞추어 포멀에서부터 스포티한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울ㆍ실크 혼방, 다마스크, 노방, 면 개버딘, 저지, T/C, 나일론, 쿨론 소재를 선정하고 전체적으로 스티프한 재질감의 소재를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5가지의 그룹 중에서도 축제 대표자와 축제 운영 관계자, 행사 홍보ㆍ해설자 유니폼에는 진주의 특산품이면서 우아함을 표현할 수 있는 실크를 함께 사용하고자 한다. 축제 운영 관계자와 축제 홍보ㆍ해설자 유니폼 디자인에는 다마스크와 노방을 포인트로 적용한다. 다마스크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심벌마크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직하여 실크의 은은한 광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으며, 노방으로 유등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문양은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심벌마크를 재해석한 모티브 디자인을 개발하고 최소 반복 단위인 원-리피트를 도출하여 컬러웨이에 따른 배색으로 연속성 있는 문양을 전개한다. 컬러링한 5가지 텍스타일 디자인을 완료한 후 각 구성원들의 유니폼에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포인트로 디자인하고자 한다.

2. 디자인 전개

1) 텍스타일 디자인

본 연구에서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심벌마크를 응용하여 모티브를 디자인하였다. 현재 진주남강유등축제 전용 심벌마크의 경우 ‘물, 불, 빛 그리고 우리의 소망’이라는 슬로건에서 착안하여 각각을 상징하는 4색의 등이 떠 있는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원형 이미지를 바탕으로 모던하면서도 남강의 물결을 연상시킬 수 있는 반 도넛 형태의 모티브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심벌마크에 적용된 4가지 색상인 YR, Y, BG, B 컬러를 각 요소에 적용하고 이를 이동시켜 남강의 물결이 흐르는 듯한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또한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4개의 반 도넛 형태 요소들을 회전시켜 사방에 배치하고, 중심부에 2개를 추가하여 논개의 가락지를 연상시키도록 디자인하였다.

Motivated design from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symbol mark

모티브 디자인을 구성하는 반원형의 디자인 요소들을 회전 및 반전시켜 원-리피트를 도출하였다. 원이 연결되는 위치에 여백을 조절하여 패턴으로 전개 시 답답하지 않도록 리피트를 구상하였다. 문양에 ‘JINJU’와 ‘YUDEUNG’이라는 타이포를 삽입하여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자연스럽게 알릴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원형 및 글귀를 회전시켜 실제 의상 제작 시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또한 문양에 변화를 주기 위해 부분적으로 채색하여 타이포가 반전되어 강조되는 효과를 적용하였다.

이후 원-리피트 디자인을 반복하여 연결성 있는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이러한 패턴은 축제 대표자, 축제 운영 관계자, 축제 홍보ㆍ해설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 유니폼 디자인의 점진적인 이미지 변화에 맞추어 배색에 변화를 주었다. 컬러는 B(C:95% M:80% Y:48% K:10%), BG(C:75% M:13% Y:35% K:0%), YR(C:7% M:70% Y:97% K:0%), Y(C:7% M:22% Y:88% K:0%), BK/W(C:0% M:0% Y:0% K:100%/0%)로 5가지 컬러를 각 그룹에 적용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축제 대표자의 B 컬러와 축제 운영 관계자의 BG 컬러는 비교적 격식을 갖춘 이미지로 간결하면서 단정한 느낌의 W 컬러 라인을 적용하였다. 또한 축제 홍보ㆍ해설자의 YR 컬러와 행사 진행자의 Y 컬러는 축제장의 활기찬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W 컬러를 부분적으로 채색하여 전용 색상과 대비되어 경쾌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행사 보조자는 청결함과 단정한 이미지를 위해 BK과 W 컬러로 선정하였다.

2) 유니폼 디자인

진주남강유등축제 현장 구성원들은 축제 대표자, 축제 운영 관계자, 축제 홍보ㆍ해설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로 분류하여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이에 5가지 직무에 따른 진주남강유등축제 유니폼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① 축제 대표자 유니폼 디자인

개회식을 비롯한 초혼점등식, 폐회식 등의 공식 석상에 참석하는 축제 대표자의 유니폼은 전통과 품위를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축제 대표자 유니폼 디자인의 스타일화와 도식화는 Table 2와 같다.

Festival representative uniform design

축제 대표자는 의식과 공식 석상에 참석하기 때문에 유니폼은 포멀 이미지에 중점을 두어 투피스 정장으로 구성하였다. 이 집단은 유니폼 착용 대상자 가운데 공적인 행사를 통한 대외적 교류가 가장 많은 인원이기 때문에 기품있는 이미지 연출을 위해 남성의 경우 코트를, 여성의 경우 긴 재킷과 디바이디드 스커트를 선택하여 길이가 긴 기장감으로 격식을 갖출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품을 넉넉하게 하고 끈 디테일을 반복하여 장식성을 강조한 의식복의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형태적으로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전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여밈을 깃과 고름을 이용하여 디자인하였고, 외투의 소매를 비롯한 의상 곳곳에 플리츠 디테일을 부가하여 철릭의 주름 디테일을 적용하였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영문 로고가 적힌 끈 디테일을 외투의 뒷 중심에 부착하여 축제의 명칭을 직접적으로 노출하였다.

색채의 경우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상징하는 4가지 색상 중 신뢰성이 느껴지는 B 컬러를 선택하였다. 위엄있는 이미지 연출을 위해 전체적인 톤을 다운시키고, 외투 소매 일부와 상의에 그라데이션 배색을 적용하여 유등과 함께 유유히 흐르는 남강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또한 남강유등축제 심벌마크 색상들을 이용하여 깃의 일부에 사선을 추가하였고, 바지의 끈 디테일에 4색의 세로선을 배색하였다.

소재는 유니폼 디자인 중에서도 가장 무게감 있는 울ㆍ실크 혼방원단을 사용하였고, 앞서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다마스크 원단으로 제직하여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역사적 권위와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또한 B 컬러 바탕에 W 컬러 라인으로 포인트를 준 텍스타일 디자인을 통해 세련미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② 축제 운영 관계자 유니폼 디자인

축제의 행사를 진행하고 관리하는 축제 운영 관계자 유니폼은 본 행사의 기품있는 모습과 함께 활동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였다. 축제 운영 관계자 유니폼 디자인의 스타일화와 도식화는 Table 3과 같다.

Festival management officials uniform design

이들은 축제 운영과 관계된 안전 및 인원, 시설, 프로그램 진행 등의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므로 착용이 활동성을 더하면서도 격식을 갖출 수 있는 트렌치코트를 선택하였다. 단정하면서도 경쾌한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기장이 짧은 트렌치코트에 주름 디테일이 들어간 롱 베스트를 레이어드 하여 전체적인 길이는 길게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두 가지 아이템의 레이어드로 활동성을 추가하였다. 트렌치코트의 칼라는 깃과 같은 형태로 변형하여 전통적인 이미지로 품격을 더하였다. 또한 철릭의 이미지를 반영하여 플리츠가 있는 소매와 고름 모양의 벨트로 포인트를 주었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영문 로고가 적힌 끈 디테일을 외투의 뒷 중심에 부착하여 축제의 명칭을 직접적으로 노출하였다.

색채의 경우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상징하는 4가지 색상 중 정돈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BG 컬러를 선택하였다. B 컬러와 같은 한색계열이기 때문에 지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여 보는 이들에게 신뢰감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BG 컬러의 명도와 채도를 낮춰 차분한 느낌으로 배색하였고, 하의에 그라데이션 배색을 적용하여 걸음에 맞춰 경쾌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남성은 하의에 4색의 사선과 세로선을 추가하였으며, 여성은 베스트 원피스의 고름에 사선을 넣고 하의 끈 디테일에 세로선을 배색하여 포인트를 주었다.

소재는 강도가 뛰어난 면 개버딘을 기본으로 하고, 플랩과 소매 비조 장식에 앞서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다마스크 원단으로 제직하여 적용하였다. 선명한 BG 컬러에 W 컬러 라인을 배치하여 모던함을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레이어드한 롱 베스트에 노방을 적용하여 숏 트렌치 코트와 시스루 플리츠를 매치한 감각적인 스타일로 연출하였다.

③ 축제 홍보ㆍ해설자 유니폼 디자인

관람객들과 대면하여 축제장을 설명하고, 특히 외국인 관광객을 마주하는 축제 홍보ㆍ해설자 유니폼은 진주유등축제의 이미지와 전통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디자인하였다. 축제 홍보ㆍ해설자 유니폼 디자인의 스타일화와 도식화는 Table 4와 같다.

Festival promoter and commentator uniform design

이들은 행사장 전반에서 관람객들과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관광안내 및 통역ㆍ해설을 진행하여 유등축제를 홍보하기 때문에 활동성을 겸비한 스웨트 셔츠와 베스트를 한복 바지를 연상하는 배기 팬츠와 함께 매치하였다. 유등의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상의에 퍼프 소매를 적용하였고 소매 끝에 요꼬 디테일을 추가하였으며, 베스트의 여밈은 간단한 단추로 구성하여 활동에 불편함이 적도록 하였다. 또한 전통적이고 기품있는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철릭을 연상시키는 깃과 플리츠 디테일을 사용하고, 한복 바지를 매치하였으며,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영문 로고가 적힌 끈 디테일을 외투의 뒷 중심에 부착하여 축제의 명칭을 직접적으로 노출하였다.

색채는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상징하는 4가지 색상 중 즐겁고 유쾌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YR 컬러를 적용하였다. 해당 컬러는 유등의 불빛을 연상시키면서도 보다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YR 컬러에서 명도를 올리고 채도를 낮춘 베이지를 배색하였다. 또한 소매에 그라데이션 배색을 적용하여 은은하게 빛나는 유등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상의 끈 디테일에 4색의 사선과 세로선을 배색하였다.

소재의 경우 앞서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다마스크 원단으로 제직하여 베스트의 앞, 뒷판에 적용하였다. 특별히 유등의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소매와 바지에 노방을 레아어드 하여 추가하였다.

④ 행사 진행자 유니폼 디자인

검표 및 매표, 체험행사를 진행하고 각종 안내를 담당하는 행사 진행자 유니폼은 축제의 즐거움과 활동성이 느껴지도록 디자인하였다. 행사 진행자 유니폼 디자인의 스타일화와 도식화는 Table 5와 같다.

Event host uniform design

이들은 검표 및 매표, 체험행사를 진행하고 각종 안내를 담당하기 때문에 타 그룹에 비해 활동성에 초점을 두어 아노락과 조거팬츠로 구성하였다. 유등 만들어 띄우기, 소망등 달기, 사랑다리 건너기 등의 다이나믹한 체험 프로그램 진행에 적합하도록 상하의 밑단에 밴드와 스트링을 추가하여 옷자락이 거치적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풍성한 유등의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아노락의 네크라인을 깃과 유사하게 디자인하여 스포티 아이템에 전통적 이미지를 부여하고, 고름과 플리츠를 추가하여 철릭의 이미지로 타 그룹과의 통일성을 표현하였다. 상의에는 가운데 커다란 포켓을 배치하여 기능성을 추가하였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영문 로고가 적힌 끈 디테일을 상의의 뒷 중심에 부착하여 축제의 명칭을 직접적으로 노출하였다.

색채는 진주남강유등축제 상징 색상 중 친절하고 밝은 이미지를 가진 Y 컬러를 선정하였다. 체험 프로그램의 주 고객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유도하고 관람객들로 하여금 친근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축제장에서 근무하는 유니폼 착용 대상자 중 가장 낮은 연령대의 그룹이므로 발랄한 에너지와 즐거운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하의는 Y 컬러의 명도를 조절한 그라데이션을 적용해 지루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다. 고름에는 4색의 사선을 포인트로 사용하였고, 하의의 끈 디테일에는 세로선으로 배색하였다.

소재의 경우 외향적인 근무 환경에 유리하도록 강도가 우수하고 구김이 덜가는 T/C 원단, 가벼운 중량으로 작업 시 동작이 편리한 나일론 소재를 사용하여 얇고 스티프한 재질감을 통해 유등을 연상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문양은 Y 컬러를 바탕으로 W 컬러의 축제 심벌마크가 디자인된 패턴을 프린팅하여 의상에 포인트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⑤ 행사 보조자 유니폼 디자인

교통 및 급수, 안전을 담당하는 행사 보조자와 요리를 담당하는 행사 보조자의 유니폼은 실용성에 초점을 두어 디자인하였다. 행사 보조자 유니폼 디자인의 스타일화와 도식화는 Table 6과 같다.

Event assistance uniform design

이들은 축제 진행에 있어 각종 보조 업무를 담당하는 그룹이므로 편리성과 유용함, 친근함 등을 강조한 유니폼을 디자인하였다. 먼저 행사 보조자Ⅰ은 교통 및 급수, 안전을 담당하므로 활동이 편한 점프슈트를 디자인하였으며 유니폼 곳곳에 포켓을 추가하여 수납에 용이하도록 디자인하였다. 행사 보조자Ⅱ는 요리 및 서빙에 편리하도록 앞치마와 조거팬츠를 디자인하였다. 두 가지 의상 모두 철릭의 깃과 고름을 응용한 디테일을 사용하여 타 그룹과의 통일성을 부여하였다. 상의로는 활동성을 고려한 래글런 슬리브의 티셔츠를 매치하였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영문 로고가 적힌 끈 디테일을 상의의 뒷중심에 부착하여 축제의 명칭을 직접적으로 노출하였다. 요리업무를 담당하는 행사 보조자Ⅱ의 유니폼의 경우 모든 유니폼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뒷중심의 끈 디테일 외에는 장식을 최소화하여 디자인 하였다.

색채의 경우 진주남강유등축제 로고타입에 사용되는 BK, W 컬러를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 오염에 강한 BK 컬러를 바탕으로 W 컬러를 부분적으로 배색하여 깔끔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고름, 포켓 등에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상징하는 컬러를 라인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상의 소매에 4가지 컬러를 그라데이션 배색하여 티셔츠에 포인트를 주었다. 고름과 포켓, 상의의 소매 중심선을 따라 4색의 세로선을 배색하였다.

소재의 경우 상의 티셔츠에는 신축성이 뛰어난 저지를 사용하여 착용감이 편하도록 디자인하였으며, 요리 및 서빙을 하는 행사 보조자Ⅱ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반팔로 디자인하였다. 교통 및 급수, 안전을 담당하는 행사 보조자Ⅰ의 유니폼인 점프슈트는 내구성이 강한 면 개버딘 원단을, 요리 및 서빙을 하는 행사 보조자Ⅱ의 조거팬츠는 흡한속건 기능의 쿨론(폴리에스터 혼방) 소재를 사용하였다. 점프슈트와 앞치마는 BK 컬러 바탕에 W 컬러의 축제 심벌마크가 디자인된 패턴을 프린팅하여 점프슈트와 앞치마의 전면에 사용하였다.


Ⅴ. 요약 및 결론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지역자원을 응용한 축제문화 콘텐츠 우수 사례로 손꼽히고 있으며, 국내를 넘어 해외 곳곳에 소개되어 글로벌 축제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축제인 만큼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정체성 확립과 글로벌 축제로서의 품격유지를 위한 아이템으로서 행사의 개성과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역사와 행사내용 및 구성원, 유니폼의 구성요소, 글로벌 육성축제 유니폼 디자인 고찰을 통해 유니폼 디자인 개발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기획을 진행한 후 최종적으로 진주남강유등축제의 개성을 반영한 유니폼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디자인 기획으로 유니폼 착용 대상자의 업무와 활동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기획하였으며, 유등 문화를 4세기 이상 꾸준히 보존 및 계승, 발전시켜나가는 진주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4세기의 추억 - 어화燈燈 진주夜’라는 테마 아래 전통의상인 철릭의 디테일을 형태에 활용하고 남강유등축제의 엠블럼을 활용한 무늬와 컬러를 디자인 컨셉으로 선정하였다.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앞서 유니폼에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상징성을 부여할 모티브 디자인을 도출하고 텍스타일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모티브 디자인은 유니폼에 적용할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작업으로 축제를 상징하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공식 심벌마크를 모티브로 하여 간결하게 디자인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모티브 디자인을 반복하여 배치하고 ‘JINJU’와 ‘YUDEUNG’이라는 타이포를 삽입하여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자연스럽게 알릴 수 있도록 하였다. 원-리피트 구성 시 원형 및 글귀를 회전시켜 실제 의상 제작 시 텍스타일의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디자인하였다. 패턴의 컬러웨이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시그니처에 사용되는 B, BG, YR, Y, BK/W 컬러를 메인으로 하여 5가지로 전개하였으며, 유니폼 착용 대상자 그룹 별 컬러로 지정하였다.

유니폼 디자인은 착용자인 축제 대표자, 축제 운영 관계자, 축제 홍보ㆍ해설자, 행사 진행자, 행사 보조자를 대상으로 하여 5그룹의 총 10벌의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축제 대표자의 유니폼은 개회식을 비롯한 초혼점등식, 폐회식 등의 공식 석상에 참석하는 업무에 맞추어 전통과 품위를 느낄 수 있도록 B 컬러를 메인으로 하여 길이가 긴 정장형식으로 구성하고 깃과 고름, 플리츠 디테일 등을 적용하여 장식적인 스타일로 디자인하였다.

축제 운영 관계자 유니폼은 축제의 행사를 진행하고 관리하는 업무에 맞추어 본 행사의 기품있는 모습과 함께 활동성을 고려하여 BG 컬러를 메인으로 트렌치 코트와 베스트를 레이어드하고 깃과 고름, 플리츠 등의 디테일을 추가하여 감각적인 스타일로 디자인하였다.

축제 홍보ㆍ해설자 유니폼은 행사장 전반에서 관람객들과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관광안내 및 통역ㆍ해설을 진행하여 유등축제를 홍보하는 업무에 맞추어 역사성을 포함하면서도 활동성을 고려하여 YR 컬러를 메인으로 베스트와 스웨트셔츠, 배기팬츠 아이템을 전통적인 이미지가 잘 드러나는 형태로 디자인 하였으며 특별히 유등의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YR 컬러가 그라데이션 된 퍼프 슬리브로 표현하였다.

행사 진행자 유니폼은 검표 및 매표, 체험행사를 진행하고 각종 안내를 담당하는 업무에 맞추어 축제의 즐거움과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Y 컬러를 선택하여 활동성이 강조된 아노락과 조거팬츠로 디자인하고 철릭의 깃과 고름, 플리츠 주름 등의 특징적인 디테일을 부분적으로 추가하여 디테일의 일관성을 유지하였다.

행사 보조자 유니폼은 교통 및 급수, 안전을 담당하거나 요리를 담당하는 업무에 맞추어 철릭의 디테일을 스포티하게 재해석하여 디자인 하였다. 청결함을 위해 BK와 W 컬러를 메인으로 선정하였으며, 교통 및 급수, 안전을 담당하는 행사 보조자Ⅰ의 경우 실용성에 중점을 둔 점프슈트를 기본으로 디자인 하였으며, 행사 보조자Ⅱ는 요리와 관련된 업무를 위해 철릭을 연상시키는 앞치마와 티셔츠, 조거팬츠를 디자인하였으며 실용성을 고려하여 끈 디테일을 최소화하였다.

공통적으로 축제의 심벌마크를 모티브로 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각 유니폼에 포인트로 활용하였다. 또한 모든 그룹의 유니폼의 뒷 중심에 축제의 영문 로고가 새겨진 끈 디테일을 부착하여 행사의 명칭을 노출하였고, 4가지의 색상을 선으로 배색한 끈으로 포인트를 주어 유니폼에 통일성을 부가하였다.

이상의 진주남강유등축제 유니폼 디자인이 가지는 의의는 첫째, 진주의 문화, 유등의 역사성, 축제의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상징성을 표현한 유니폼 디자인이라는 점이다. 둘째, 기존 축제 유니폼에서 나타난 기성품에서 변형한 형태가 아닌 독창적 디자인이라는 점이다. 셋째, 유니폼 디자인에 있어 통일감을 유지하면서 행사 내용, 업무 특성, 배치 장소 등을 고려하여 착용자의 직무에 적합한 디자인으로 세분화하여 기획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니폼이 제작된다면 한국의 전통적인 이미지와 함께 진주의 역사와 문화를 녹여낸 유니폼 디자인을 통해 글로벌 축제로서의 품격이 향상될 것이며, 지역적 상징성을 반영한 유니폼은 특색있는 행사장 분위기를 조성하여 관람객의 흥미 유발 및 축제의 인지도 개선, 홍보 효과 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니폼 외에 신규 건립 예정인 유등 홍보관 직원 및 진주시 문화관광해설사 등 지역 홍보 관련 의복에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특정 축제 개최 시기만이 아닌 일년내내 지역 문화를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 4세기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고 축제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글로벌 축제로서의 품격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is part of a master’s thesis.

References

  •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2019) About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Available from http://www.maskdance.com/2019/main.asp, [cited 2019 August 23]
  • Boryeong Mud Festival(2018) About mud. Available from https://mudfestival.or.kr/festival/contents/view?contentsNo=1&level=2&menuNo=15, [cited 2018 April 28]
  • Choi HS(2016a) A study on storytelling of traditional culture sources to invigorate local festivals. Master’s Degree, Ewha Womans University, pp54-55
  • Choi HI(2019) Nearly 1.56 million visitors during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10.2 percent year-on-year increase. Available from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676321, [cited 2019 October 22]
  • Choi HJ(2016b) A study on the effects of uniform design components of duty free shop on self-image, job attach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 the case of duty free shop.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pp21-35
  • Choi HH(2014)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the airline’s uniform on job satisfaction- Comparison of casual wear and formal wear. Master’s thesis, Korea Aerospace University, pp6-14
  • Choi JH(2010)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22
  • Gaecheon Arts Festival(2021) Origin of gaecheon arts festival. Available from http://www.gaecheonart.com/sub/sub1_5.php, [cited 2021 September 20]
  • Gimje Horizon Festival(2021) The origin of horizon festival. Available from https://www.gimje.go.kr/festival/index.gimje, [cited 2021 September 20]
  • Gyeongnam Ilbo(2018) [LH-Gyeongnam Ilbo Plan] A millennium city, Jinju’s scent. Available from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9210, [cited 2018 January 16]
  • Hwacheon Sancheoneo Ice Festival (2019) About hwacheon sancheoneo ice festival. Available from https://www.narafestival.com/01_icenara/, [cited 2019 August 23]
  • Hwang Mi-hyun(2020) Shine city, Jinju enforce the culture and tourism project that will make Jinju shine more. Available from http://www.urinews.co.kr/51753, [cited 2020 June 17]
  • Jeong JH(2017) Analysis on uniform designs of flight attendant: focusing on 7 airline companies in Korea.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pp14-19
  • Jeong KH(2009) Di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promoting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60
  • Jinju Namgang udeung Festival(2020) The origin of yudeung. Available from https://yudeung.com/origin, [cited 2020 August 17]
  • Jung JC, Park SK, Min SJ(2012) A study on uniform design of female flight attendants using Korean images. Korea Soc Fashion Design 12(1), p58
  • Jung KH(2009)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promoting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Dissertation, Jeonnam University, p53
  • Kang JT(2020) Jinju city will make a new leap into history, culture and tourism. Available from http://www.mediag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48, [cited 2020 Febuary 14]
  • Kang KC(2018) “Chulik” Hanbok of the goryeo dynasty, from the 4th, gunsan exhibition. Availiable from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40292, [cited 2018 May 04]
  • Kang MJ(1970)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look here”. Available form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1352, [cited 1970 January 02]
  • Kim DH(2018a) Comparing preference between members and employees for uniform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p6
  • Kim EY(2018b) Wearing fresh clothes, sneakers... BTS is also a hip-hop hanbok craze. Availiable form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04/2018090403092.html, [cited 2018 September 07]
  • Kim HS(2010) Proposals for developing local festivals in relation to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Master’s thesis, Shilla University, p16
  • Kim HK, Choi HY(2015) Comprehension of cultural tourism event of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J Korean Photo-Geographers 25(4), pp14-25 [https://doi.org/10.35149/jakpg.2015.25.4.002]
  • Kim HJ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ightgown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features of the shimui and the cheolik. Master’s thesis, Changwon University, p18
  • Kim JG, Jeong KH(2017) A study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Jinju lantern festival. J Cult Industry 17(1), p85
  • Kim SH, Kim EJ(2020) A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designs with a cheollik motive - focusing on maternity clothes. J Korean Trad Cost 23(1), 20. [https://doi.org/10.16885/jktc.2020.03.23.1.19]
  • Kim YJ(2020) General hong-eui general,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vailiable from https://koya-culture.com/mobile/article.html?no=123895, [cited 2020 April 22]
  • Kim YM, Lee YJ(2015) A study of uniform design for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rough the use of Korean image. J Korean Trad Cost 18(3), pp66-68 [https://doi.org/10.16885/jktc.2015.09.18.3.63]
  • Lee DH(2013) Design preferences for fitness trainers’ uniform in enrolled member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p7
  • Lee JN(2016a) Jeans and a chirp hansual, dressed for work. Availiable form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0/18/2016101801731.html, [cited 2016 October 17]
  • Lee J, Choi JH, Lee JH(2010) Understanding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in geographical context. J Korean Photo- Geographers 20(4), pp79-81. [https://doi.org/10.35149/jakpg.2010.20.4.006]
  • Lee KO(2011) Development research for the presidential plane stewardess uniform design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6-7
  • Lee YM(2018) The effect uniforms of casino employees on the professional image and job satisfaction: focused on the employees of k.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pp8-12
  • Lim HS(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uniform design for the Jecheon international herbal bio expo. Korean J Fashion Des 13(3), p77
  • Na HS(2020) A study on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applied from local cultural resource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42-45
  • Namgoong JR(2012) Effects of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according to low-cost carriers flight attendant’s uniforms on customer loyalty.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p16
  • Park IS(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uniform components, uniform satisfaction, and loyalty to department - focusing on airline - service majored students, Korean Tour Industry Res Assoc 39(4), pp88
  • Park SO, Yoon MK, Nam HJ(2012)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combined with cultural tourism festival - focused on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gangjin celadon festival, and jinju nam river lantern festival. J Korean Soc Design Cult 18(4), p167
  • Roh BH(2010) Research of event design and tourists satisfaction - focused on Jinju Namgang Lantern Festival. J Korean Soc Communication Design 13(1), p52
  • Shin SG(2016) A study on the national identities expressed in the uniforms of winter olympic game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p2

Fig. 1.

Fig. 1.
2016 Gimje Horizon Festival uniform.

Fig. 2.

Fig. 2.
2019 Gimje Horizon Festival uniform.

Fig. 3.

Fig. 3.
Boryeong Mud Festival uniform T-shirt.

Fig. 4.

Fig. 4.
Boryeong Mud Festival uniform jumper.

Fig. 5.

Fig. 5.
Andong Mask Dance Festival uniform for Volunteer.

Fig. 6.

Fig. 6.
Andong Mask Dance Festival uniform for Tal-nori group.

Fig. 7.

Fig. 7.
2019 Hwacheon Sancheoneo Ice Festival uniform.

Fig. 8.

Fig. 8.
2020 Hwacheon Sancheoneo Ice Festival uniform.

Fig. 9.

Fig. 9.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uniform for festival representative and management officials.

Fig. 10.

Fig. 10.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uniform for event host.

Table. 1.

Motivated design from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symbol mark

Origin image Motivated design Pattern Colorway

Table 2.

Festival representative uniform design


Uniform illustration

Men’s uniform flat sketches

Women’s uniform flat sketches

Table 3.

Festival management officials uniform design


Uniform illustration

Men’s uniform flat sketches

Women’s uniform flat sketches

Table 4.

Festival promoter and commentator uniform design


Uniform illustration

Men’s uniform flat sketches

Women’s uniform flat sketches

Table 5.

Event host uniform design


Uniform illustration

Men’s uniform flat sketches

Women’s uniform flat sketches

Table 6.

Event assistance uniform design


Event assistanceⅠ & Event assistanceⅡ
uniform illustration

Event assistanceⅠ uniform flat sketches

Event assistanceⅡ uniform flat sket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