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4, No. 2, pp.215-221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May 2023
Received 20 May 2023 Revised 30 May 2023 Accepted 31 May 2023
DOI: https://doi.org/10.7856/kjcls.2023.34.2.215

노년층 여성의 의복개발을 위한 지침

김양원
대전대학교 패션디자인ㆍ비즈니스학과 교수
Guideline on Development of Clothing for the Elderly Women
Yang Weon Kim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and Business,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Correspondence to: Yang Weon Kim Tel: +82-042-280-2463 E-mail: kyang@dju.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degree of concern, the importance of clothing choice, clothing preference, and clothing improvement directions were surveyed with 223 questionnaire respondents to obtain guideline data on clothing development for older women. Results showed that 66.1% of respondents had a high degree of concern regarding clothing choice and usually purchased clothing in department stores or discount outlets. Significant age-relate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Design and color wer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those in their 50’s, comfort and design for those in their 60’s, and comfort, color, and neatness for those aged ≥ 70.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e-related design, color, and material preferences must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clothing for older women. In terms of size fitness,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sleeve length of the upper clothing and the pants length of the bottom.

Keywords:

elderly women, size fitness, clothing preference, development of clothing for elderly women

Ⅰ. 서론

2021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812만 5,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6.8%를 차지하고, 노년층 여성 인구는 전체 여성 중 31.7%를 차지하고 있다(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1). 매년 노년층의 인구 증가비율이 가파르게 늘고 있는데, 특히 65세 이상 노년여성의 비율이 더 빨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은 영양상태의 개선, 생활환경의 개선, 의료수준이 좋아진 것이 이유가 될 수 있다.

보통 50세 이후 여성은 폐경과 같은 갱년기 증상 등의 영향으로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되며, 특히 노년기에 접어들면 키가 줄어들고, 가슴은 처지며 허리둘레와 배둘레는 증가하나 허벅지둘레는 감소하면서 등이 굽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척추나 사지에도 변형이 일어나고 생리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러한 갱년기 증세를 겪고 있는 세대는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한 그 이후 세대라고 일컬어지고 있고, 이들은 인구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이 높고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였으며 경제력도 갖추고 있다. 또한 외모에 관심이 많고 노화에 대한 불안감이 높다(Kim 2005). 이러한 노인여성들은 최대 30년까지 젊게 생활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 Lee 2008). 이들이 젊게 살기 위한 도구로는 운동, 건강식품 복용, 적절한 옷차림새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옷은 그들이 젊게 보이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60세부터 75세를 신중년이라 칭하며 경제력을 가진 노인세대로 소비를 주도하는 파워컨슈머로 부상했다고 한다. 이들의 인구규모도 611만명 정도가 되며, 현 산업에서 실버시장의 규모가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규모로 성장했다고 하고(Chosunilbo 2015), 앞으로도 실버산업이 더 성장할 것이라고 한다. 이들은 경제력을 가지고 있어서 노후의 사회생활, 여가생활과 같은 문화적 교류의 시간을 누릴 수 있고, 신중년 시기를 인생의 황금기로 여기고 있으며, 실제로 활발한 사회생활을 위해 가꾸는 것이 필수이고 이를 위해 의복비에 지출하는 것을 즐기고 있다(Chosunilbo 2015).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의류산업체에서는 신중년층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고, 이들을 위한 의복을 생산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 간 노년층의 의복에 관한 연구로는 의복행동과 기성복 맞음새에 관한 연구(Lee & Kim 2007), 노인여성의 패션 아이템별 구매실태 및 선호 이미지, 의복행동, 고기능 실버의류설계를 위한 여성의 인식조사 등에 관한 연구 등(Kim & Lee 2010; Kim & Lee 2010; Park et al. 2010) 다각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노인 여성들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는 체형을 아름답게 보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수준, 미적인 수준, 안정성, 기능성 등을 고려한 의복 개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0대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의복행동과 관심도,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미래 노년 여성층의 의복의 개선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50대 68명(30.5%), 60대 118명(52.9%), 70대 이상 37명(16.6%)으로 총 223명이었다. 이들 중 57.4%는 직업이 없었고, 학력의 경우 대졸이상 59(25.3%), 고졸 125명(53.6%), 중졸 32명(13.7%), 초등학교 졸업 이하 10명(4.3%)이었다. 직업이 없는 경우가 57.4% 였고, 월별 의복비 지출은 65% 이상이 10만원 이하였다. Table 1은 조사대상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이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2. 측정도구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로서 설문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기존 연구(Choi et al. 2012)를 근거로 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의복에 관한 관심도 2문항, 의복구매에 관한 3문항, 의복사이즈 관한 3문항, 의복 착용 시 중요도 13문항, 의복개발방향 2문항, 선호하는 의복형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 등이었고, 총 33문항이었다.

3. 조사기간 및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8년 9월 20일부터 10월 15일까지 25일간이었으며, 대전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여성 2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로부터 얻어진 설문지 223부를 대상으로 SPSS 18.0 for window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x2 검증, ANOVA 등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로 정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의복구매 시 문제점 및 사이즈 적합성

의복구입시 중요시하는 부분은 Table 2와 같다. 의복구매 시 중요시 하는 내용을 연령별로 보면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자인과 사이즈 적합성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즉, 디자인은 50대, 60대, 70대의 구별이 뚜렷하여 연령이 증가할수록 디자인보다는 다른 항목을 문제시 하였으며, 이와는 반대로 사이즈 적합성에 대해서는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불만이 많다고 응답하였다. 50대의 경우는 응답자의 32.2%가 디자인이 문제라고 하였고, 27.1%가 사이즈 적합성, 22.9%는 가격이 문제라고 하였으며, 20.3%가 색상이나 패턴이 문제라고 하였다. 이에 비해 60, 70대에서는 사이즈 적합성이 가장 문제시 되었고, 다음이 가격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50대 결과와 차이가 있었는데, Lee & Kim(2007)의 70세 이상과 이하를 비교 한 연구에서 얻어진 의복구매 시 가격과 사이즈에 가장 불만이 많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한편, Nam & Kim(1998)은 70-74세의 연령층에서 치수에 대한 불만이 높았다고 하였다.

Contributions of factors to purchase decision-makingn(%)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of clothing by ageunit: n(%)

Table 4는 노인층 여성의 사이즈 적합성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각 부위별 의복 사이즈는 상의의 경우 가슴둘레 52.8%, 소매길이 57.1%, 어깨넓이 42.9%, 허리둘레 53.6%, 옷길이 53.6%가 문제가 있다고 답하였다. 하의의 경우는 스커트길이 48.5%, 바지길이 58.4%, 엉덩이둘레 54.1%, 바지 밑위길이 53.6%, 치마폭 47.6%, 바지나 치마의 허리둘레 48.5%가 문제라고 답하였다. 이로부터 의복의 사이즈는 인체 각 부위별로 응답자의 40%이상이 사이즈 적합성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였고, 상의의 경우 소매길이가 하의의 경우 바지길이가 가장 문제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blematic clothing size issuesunit: n(%)

2. 의복 착용 시 중요도

노년층의 경우 의복착용으로 주위의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고, 이들은 젊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노년의 완숙미를 표현하는 도구로 의복을 사용한다고 한다(Ryoo & Yoo 2007). 노년층 여성이 의복착용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을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연령에 따라 50대의 경우는 디자인, 색상과 패턴, 편안함을 중요시 하였고, 60대는 편안함, 소재,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70대 이상은 편안함, 컬러와 패턴, 깨끗한 것을 중요시 하였다. 연령에 따라 의복구매 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디자인, 수수함, 편안함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것이 줄어들고, 편안하면서 수수한 의복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5세 이상을 조사대상으로 한 Kim & Lee(2008)에 의하면 모든 연령대에서 최소 10년에서 30년까지 실제 연령대보다 나이를 낮게 인지하고 있으며 실제 연령보다 젊고자하는 욕구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의복에 반영하여 생활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로부터 중ㆍ장년층의 의복을 설계할 때는 연령에 따라 중요시하는 점이 다르므로 이를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choosing clothes to wear

3. 노년층의 선호의복과 평소 의복차림

평소 의복 착용 시 55세 이상 노년층이 선호하는 의복형태는 47.6%가 바지와 재킷차림을, 20.2%가 스웨터와 바지 차림을, 9.4%가 원피스와 재킷 차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7.8%가 상의와 바지 차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나이가 들면서 활동성과 기능성을 겸비한 옷차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Lee(2012)에 의하면 70세 이상의 노인여성들은 바지 착용율이 높다고 했고, 점퍼 착용율이 가장 높으며(Kim & Lee 2010), Lim(2007)에 의하면 외출시 즐겨입는 옷차림은 슈트이며, 특히 재킷과 바지 차림을 선호한다고 답하여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4. 의복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

50대 이상의 의복개발 시 중요시해야 할 점은 Table 6과 같다. 연령별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디자인, 컬러와 패턴, 사이즈였다. 연령이 적을수록 컬러와 패턴, 디자인을 중요시 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이즈와 소재를 중요시 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컬러와 패턴은 70세 이전의 연령층이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로부터 50대 이상 장․ 노년층의 의복을 개발할 때는 연령별로 세분화하여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이 선호하는 색상이나 패턴, 디자인, 소재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55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Kim & Lee의 연구(2008)에서 55세 이상을 뉴실버 여성소비자로 칭하면서 이들은 실제 나이보다 10에서 30년 정도 낮게 지각하고 있고, 지각연령에 따라 의복을 구매하므로 젊게 보일 수 있는 의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Kim & Lee(2010)는 50-60대 여성들은 건강과 다이어트에 관심은 많은데 의복에서는 캐주얼웨어나 기능성 의복을 중심으로 다양한 아이템과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며, 고기능성 스마트의류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clothes for women aged 55 or older


Ⅳ. 요약 및 결론

50대 이상 중ㆍ장년층 여성 223명을 대상으로 의복구매행동과 관심도, 의복의 사이즈, 의복착용 시 중요시 하는 점, 50대 이상 여성의 선호의복 및 의복개발 방향에 대하여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의복에 대한 관심은 66.1%가 있었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조사대상자의 50% 이상이 의복에 대한 관심도 많았다. 의복은 주로 백화점이나 상설할인매장에서 구매하였으며, 의복구매와 착용 시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의복의 디자인, 소재였고, 이에 관해서는 연령별로는 차이가 있었는데 50대의 경우는 디자인과 색상, 60대는 쾌적한 의복과 소재, 디자인, 70대 이상은 쾌적함, 색상, 깨끗함을 중요시 하였다. 이들은 바지와 재킷이나 스웨터 차림을 선호하였다. 연령에 따라 의복구매 시 문제가 되는 것은 차이가 있었으며, 50대는 디자인, 60대와 70대는 사이즈 적합성이었다. 의복의 사이즈는 상의의 경우 소매길이가, 하의의 경우 하의 길이가 잘 안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연령이 적을수록 디자인, 색상과 문양이었고, 연령이 많아질수록 사이즈와 소재였다.

이로부터 소비를 주도하는 파워컨슈머로 부상하고 있는 50대 이상의 노년 여성은 의복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비율이 높았고, 개인에 적합한 의생활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년층 여성의 의복을 개발할 때는 연령을 세분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디자인, 색상, 소재를 연령별로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이즈 적합성 측면에서는 상의는 소매길이, 하의는 바지길이를 세분화하여 생산할 필요성이 있다.

References

  • Bang HY, Kim HE(2013) Assessment of the clothing wear comfort for elderly women based on rectal temperature, melatonin and Cortisol analysis. Fashion Text Res 15(2), 277-285. [https://doi.org/10.5805/SFTI.2013.15.2.277]
  • Choi SK, Jeong SJ, Chu MS(2012) Elderly women’s body image and clothing behavior, J Korean Soc Costume 62(3), 17-28. [https://doi.org/10.7233/jksc.2012.62.3.017]
  • Chosunilbo(2015) I can enjoy it now -The New Middle Ages are the golden age of life February 23 page 8.
  • Chung HW, Kim KJ(2002) A study on the elderly clothing behavior in underwear. J Korean Soc Cloth Textiles 26(5), 737-747.
  • Im JR(2007) A study on preference of suit design for elderly women. Korean J Human Ecology 16(4), 813-824. [https://doi.org/10.5934/KJHE.2007.16.4.813]
  •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21) Population Census.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20200&bid=203&act=view&list_no=419536, [cited 2023 March 17].
  • Kim GY, Lee JR(2010) Perception of Women aged 50’s and 60’s for high functional sliver wear. J Korean Soc Cloth Textiles 34(8), 1392-1402. [https://doi.org/10.5850/JKSCT.2010.34.8.1392]
  • Kim HS(2002) Satisfaction with the somatotype and fit of ready-to-wear for farm elderly women. J Korean Soc Cloth Ind 4(2), 169-175.
  • Kim JH, Lee YJ(2012) A study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fashion item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of the elderly woman. J Korean Cloth Ind 12(3), 279-290. [https://doi.org/10.5805/KSCI.2010.12.3.279]
  • Kim JS, Lee SJ(2008) A study on the spending behaviors, related to the cognitive age of the female consumers on the elderly generation and different types of their lifestyles(Part I), J Korean Soc Cloth Textiles 32(10), 1535-1547. [https://doi.org/10.5850/JKSCT.2008.32.10.1535]
  • Kim SY(2005) A study on the aging anxiety of the elderly. J Korean Academic Soc Nursing Educ 11(1), 7-15.
  • Lee ES, Jeong SJ, Chu MS(2012) The influences of physical function on clothing behavior of elderly people. J Korean Soc Cloth Ind 14(1), 136-143. [https://doi.org/10.5805/KSCI.2012.14.1.136]
  • Lee JH, Kim CS(2007) Comparison of the purchase criteria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for the middle aged and elderly women’s fashion markets segmented based on benefits sought. Fam Environment Res 45(5), 39-49.
  • Lee YJ(2012) Comparison of clothing behavior and preference of elderly women aged over 70 years in Korea and the U.S. J Korea Fashion Costume Design Assoc 14(3), 51-65.
  • Lee YJ, JH Kim(2007)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and wearing sensation of women’s ready-to-wear. Korean J Human Ecology 16(1), 123-135. [https://doi.org/10.5934/KJHE.2007.16.1.123]
  • Nam YJ, Kim IS(1998)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clothing dissatisfaction of the aged women in Korea. Res J Costume Cult 6(4), 162-174.
  • Ryoo HH, Yoo TS(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older woman. J Korean Soc Costume 57(9), 97-109.
  • Suh MA, SH Lee(1995) A study of clothing design preference and clothing satisfaction for older women. Res J Costume Cult 3(1), 41-64.
  • You KS(2000) A study on clothing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e associated with gender of the aging. J Korean Soc Costume 50(7), 155-16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Categories Frequency (n) %
Age 55-59 68 30.5
60-69 118 52.9
over 70 37 16.6
Education more than college graduate 59 26.5
high school graduate 125 54.7
middle school graduate 32 14.3
less than elementary school graduate 10 4.5
Job having 90 38.6
not having 133 57.4
Expense for clothing per month less than 50,000 won 67 30.1
60,000 – 100,000 won 80 35.9
110,000 – 200,000 won 56 25.1
210,000 – 300,000 won 17 7.6
more than 310,000 won 3 1.3

Table 2.

Contributions of factors to purchase decision-makingn(%)

Factors Very important Important Not both Not important Very not
important
Categories
Design 70(30.0) 127(54.5) 32(13.7) 2( 0.9) 1(0.4)
Neatness 66(28.3) 113(48.5) 42(18.0) 8( 3.4) 2(0.9)
Conservation 45(19.3) 126(54.1) 55(23.6) 4( 1.7) 2(0.9)
Trend 11( 4.7) 70(30.0) 98(42.1) 47(20.2) 5(2.1)
Fabric 69(29.6) 122(52.4) 35(15.0) 2( 0.9) 0(0.0)
Price 16( 6.9) 67(28.8) 106(45.5) 33(14.2) 6(2.6)

Table 3.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of clothing by ageunit: n(%)

Age 50’s 60’s over 70’s x2 value
Problem
*p<0.05
Design 38(32.2) 9(17.6) 3( 8.1) 24.6*
Size fitness 32(27.1) 25(36.8) 14(37.9) 20.2*
Color or pattern 24(20.3) 12(17.6) 7(18.9) 17.2
Price 27(22.9) 20(29.4) 11(29.7) 16.9
the others 1( 0.9) 29( 2.9) 2( 5.4) 14.5

Table 4.

Problematic clothing size issuesunit: n(%)

Problems Sleeve length Upper clothes length Skirt length Trousers length Crotch length of
trousers
Long 80(34.3) 71(30.5) 51(21.9) 93(39.9) 52(22.3)
Short 52(22.3) 54(23.2) 61(26.2) 43(18.5) 73(31.3)
Problems Bust girth Waist girth Hip girth Skirt breadth Shoulder breadth
Small 72(30.9) 56(27.9) 77(33.0) 47(20.2) 55(23.6)
Big 51(21.9) 60(25.8) 49(21.0) 64(27.5) 67(28.8)

Table 5.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choosing clothes to wear

Item 50’s 60’s over 70’s F-value
*p<0.05, **p<0.01
Color & pattern 4.20 4.03 4.11 2.09
Design 4.23 4.12 3.76 3.23*
Neatness 3.85 3.97 4.10 2.15
Plainness 3.60 3.90 3.95 3.19*
Other people’s eye 3.78 3.58 3.52 1.97
Fashionableness 3.23 3.16 3.14 1.69
Comfortable clothes 4.14 4.50 4.72 4.42**
Fabric 3.96 4.13 4.09 2.13

Table 6.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clothes for women aged 55 or older

Item 50’s 60’s over 70’s F-value
*p<0.05
Design 4.20 4.03 4.11 2.59*
Color & pattern 4.23 4.12 3.76 3.23*
Fabric 3.85 3.97 4.10 2.15
Size 3.60 3.90 3.95 3.19*
Others 3.78 3.58 3.52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