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학교 「가정」교사 임용시험의 의생활 영역 출제 경향 분석 : 2009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questions for the secondary school Home-Economics teacher appointment test to ensure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evaluation purposes. The trends of questions in the field of clothing in the above examination from 2009 to 2023 were as follows: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questions in the area of clothing production and selection (C2.) that included practical capabiliti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area of clothing materials and management (C1.). In the second section, about 26.5% of questions were on the aspect of clothing materials and management (C1.) and about 73.5% were on clothing production and selection (C2.). In the third section, about 42.7% of the questions were on clothing materials and management (C1.), and about 57.3% on clothing production and selection (C2.). In the area of clothing materials and management (C1.), the questions on understanding clothing materials (C11.) were the highest at about 45.8%, and questions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abrics (C113.) were about 49.0% of the total. In the area of clothing production and selection (C2.), the highest percentage of questions (38.5%) was on clothing and household goods production (C22), and in particular, questions on Western clothing composition and sewing (C221.) were observed 11 times, excluding 2011, 2014, 2015, and 2019, and accounted for about 82.2% of the total poin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ontent elements related to smart clothing, meta-fashion, and up-cycling were added to the 「Home-economics」 clothing topic. It can be expected that the relevant content elements will be applied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in the future.
Keywords: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home-economics, clothing life, questions trendⅠ. 서론
우리나라의 교원 신규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이하 ‘임용시험’)은 중등학교의 교사자격을 갖춘 적격자를 선발하기 위해 1991년 최초로 선택형 시험을 공개전형으로 실시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변화를 겪으며 오늘날의 형태로 변모해 왔다. 2014학년도에는 지엽적인 암기위주의 문항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던 객관식 문항 체제에서 서술형 문항 체제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기입형과 서술형, 논술형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또 2020학년도부터는 논술형 문항을 제외하고 기입형과 서술형만으로 80점 만점으로 출제되고 있다(Park & Han 2022). 임용시험은 양질의 교사를 선발하는 도구로써 그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단순히 지식만을 암기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다각적인 사고로 교사의 능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임용시험은 모든 예비교사들에게 공정하고 동등한 임용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 아래 실시(Jung et al. 2012)되어 1992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 총 32회가 치러졌다. 2009학년도 이전의 임용시험은 출제 영역 및 수준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매년 출제 방향 및 영역별 출제 비율에 대한 편차가 심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에서는 2009학년도 개편 중등학교 임용시험부터 표시과목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를 통해 교사 임용과 관련하여 임용후보자들이 갖추어야 할 전문지식의 내용과 수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중등 임용고사의 상세화 기준이 개발된 2009년 이후 가정교과의 임용시험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로는 가정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설현황과 임용시험과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연구(Lee et al. 2020)와 가정과 임용시험 문항 분석에 대한 연구(Jung et al. 2012; Baek 2017), 가정과 임용시험의 텍스트를 대상으로 출제 경향 및 핵심 키워드를 탐색하는 연구(Park & Han 2022) 등이 있다.
가정학의 교과내용학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의생활 영역은 중등학교의 기술ㆍ가정 교과에서 생활 수행의 실천역량을 갖추게 함으로써 가정생활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 영역으로 다루어지고 있다(Kang & Lee 2018)는 점에서 의생활 영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의생활 영역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의생활 영역의 교육과정과 의생활 영역 출제문항에 대한 연구(Kim & Lee 2016; Han et al. 2019)와 중학교 기술ㆍ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영역을 분석한 연구(Kang & Lee 2018)가 있으나 임용시험의 출제 문항을 평가내용 상세화를 기준으로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시과목「가정」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가 적용된 2009학년도부터 최근의 2023학년도까지의 15년간의 의생활 영역의 기출문제를 평가내용 상세화를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임용시험의 출제문항이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출제방향의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선정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중등학교「가정」교사 임용시험의 의생활 영역 문항으로 한정하였으며, 출제문항 자료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https://www.kice.re.kr)의 자료마당에 공개되어 있는 중등교사 임용시험 기출문제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교사임용 시험의 타당도와 신뢰도, 공정성을 보장해줄 수 있는 출제근거가 된「가정」의 교사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KICE 2008)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의 범위는 교사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가 적용된 2009학년도 임용시험부터 최근 2023학년도까지 15차례의 가정과 임용시험 기출문제 중 의생활 영역 문항이다. 2009학년도부터 2013학년도 시험(2기)까지는 전공에 대한 선택형 문항과 논술형 문항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4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의 시험(3기)은 전공A와 전공B의 기입형, 서술형 문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출제 문항 분석을 위한 기준
수집된 가정과 중등임용시험의 의생활 영역 문항의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에서 제시한 기본 이수과목별 ‘표시과목「가정」교사 평가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중 의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평가내용 요소와 평가내용 상세화를 문항 분석의 기준으로 정하였다. 문항 분석의 기준은 Table 1의 의생활 평가영역 설정 및 평가내용 요소 상세화에 나타나있다. 가정 교과 내용학 중 기본이수과목 의복재료와 관리, 의복디자인과 구성 2개 분야, 의복재료와 관리, 의복의 제작과 선택 2개 영역, 의복재료의 이해, 의복관리, 의복과 환경, 의복디자인,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 복식문화 7개 평가내용 요소, 그 외 평가내용 요소별 3∼7개의 평가내용 상세화 총 32개로 구성되어 있다. 임용시험 제도가 크게 변화한 시점(2009학년도, 2014학년도)을 기준으로 1기(2002∼2008학년도), 2기(2009∼2013학년도), 3기(2014∼2023학년도)로 구분한 선행연구(Baek & Kim 2022)를 참고하여 시기를 분류하였다. 이 중 교사자격 기준과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가 적용된 2기∼3기에 해당하는 2009∼2023학년도의 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의생활 영역의 연도별 출제 경향
Table 2는 2009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의 중등학교「가정」교사 임용시험에서 의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을 분류하여 연도별 출제 문항 수 및 배점을 나타낸 것이다. 2009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 중등학교「가정」교사 임용시험에서 의생활 영역의 문항 수는 총 63문항으로 전체 문항수의 약 13.9%이며, 배점은 212점으로 전체 총점의 약 12.7%를 차지하고 있다. 평가 영역은 크게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영양학/식품과조리, 의복재료와관리/의복디자인과구성, 주거와 실내디자인, 가정경영/소비자학, 아동발달/가족관계, 가정생활문화의 6개 분야로 나뉜다(Kim & Lee 2016). 교과교육학(가정교육론)과 교과내용학(영양학/식품과조리, 의복재료와관리/의복디자인과구성, 주거와 실내디자인, 가정경영/소비자학, 아동학/가족학, 가정생활문화 전 영역에 대한 전문적이고 균형적인 지식을 겸비한 교사 적격자를 선발하기 위하여 교과교육학에서 25∼35%, 교과내용학에서 65∼75%의 비율로 출제(Baek 2017)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의생활 영역의 문항 수와 배점은 교과내용학의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평균과 유사한 비율로 출제되고 있다.
평가 시기별로 살펴보면 2기(2009∼2013학년도)에는 1차 시험에서 5∼6개의 문항이 출제되었으며, 2차 시험에서는 2010학년도와 2013학년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1문제가 출제되어 전체 출제 문항 중 약 14.3%, 배점은 총점 중 약 12.7%로 나타났다. 3기(2014∼2023학년도)에는 문항 수가 3∼5개로 전체 문항의 13.7%, 배점은 총점 중 약 12.9%로 객관식 문항이 있었던 2기에 비해 문항 수의 비율은 약간 낮아지고 배점 비율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기의 분석 대상 중 의생활 영역의 출제 문항 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2012학년도로 1차 6문항(15%), 2차 1문항(25%)으로 총 7문항이 출제되었으며, 배점은 총점 중 1차 15%, 2차 25%로 평균 20%로 나타났다. 3기의 경우 가장 많은 문항 수는 2015학년도이며, 1차-A 4문항(28.6%)과 1차-B 1문항(16.7%)으로 총 5문항이 출제되었다. 각각의 배점 비율은 총점 중 1차-A 15%, 1차-B 12.5%로 평균 13.8%로 조사되었다. 총점 중 차지하는 배점의 비율로 보면, 2023학년도가 1차-A 20%, 1차-B 10% 평균 15%로 가장 높은 배점을 보이고 있다.
2. 의생활 영역의 평가 분야별 출제 경향
중등학교「가정」교사 임용시험에서 의생활 영역의 각 평가 분야에 해당하는 문항을 분류하여 연도별 출제 문항 수와 배점을 나타내면 Table 3과 같다. 한 문항에 여러 평가 분야가 포함되었을 경우의 문항 수와 배점은 해당하는 평가 분야의 수로 나눈 값으로 표기하였다. 의생활은 의복재료와 관리(C1.)와 의복제작 및 선택(C2.)의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되어 있으며, 2009∼2023학년도(2기와 3기)까지의 의생활 영역 총 출제 문항 수는 약 62개, 배점은 212점이다. 이 중 의복재료와 관리(C1.)영역의 문항 수는 약 23.5개로 의생활 영역 전체 문항 수의 약 37.9%, 배점은 의생활 영역 총점의 약 34.4%를 차지하였다. 또 의복제작 및 선택(C2.)영역의 문항 수는 약 38.5개로 의생활 영역 전체 문항 수의 약 62.1%, 배점은 의생활 영역 총점의 약 65.6%로 나타났다. 주로 실, 섬유, 소재 등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는 의복재료와 관리(C1.)영역보다는 제작과 실습이 바탕이 되는 의복제작 및 선택(C2.)영역에서 더 높은 비중으로 문항이 출제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정교과에서 의생활 영역은 생활 수행 실천 역량을 갖추게 함으로서 가정생활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 영역에 해당한다는 연구(Kang & Lee 2018) 내용과 같이 의복재료와 관리(C1.)영역 보다는 실천 역량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의복제작 및 선택(C2.)영역의 문항 수와 배점에 대한 비중이 더 큰 것은 당연한 결과로 여겨진다.
평가시기별로 살펴보면 2009∼2013학년도로 분류된 2기에는 의복재료와 관리(C1.) 영역의 문항 수가 약 33.3%로 의생활의 전체 문항 수의 약 1/3정도에 해당하였으며 배점은 의생활의 전체 배점의 약 26.5%로 나타났다. 의복제작 및 선택(C2.)영역의 문항 수는 전체 의생활 문항 수의 약 66.7%로 전체 문항수의 약 2/3정도를 차지하였으며, 배점은 약 73.5%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2023학년도인 3기에는 의복재료와 관리(C1.) 영역의 문항 수가 의생활 전체 문항 수의 약 42.2%, 배점은 총 배점의 약 42.7%로 나타났으며, 의복의 제작 및 선택(C2.) 영역의 문항 수는 의생활 전체 문항 수의 약 57.8%, 배점은 총 배점의 약 57.3%로 나타났다. 이는 2기에 비해 3기에는 두 영역 의복재료와 관리(C1.)와 의복제작 및 선택(C2.)이 비슷한 비율로 출제되고 있어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16학년도부터「가정」중등임용시험이 전공A 14문항, 전공B 8문항으로 전체 22문항, 총 배점 80점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까지 의생활의 문항 수는 총 3문제가 일관되게 출제되고 있으며, 총 배점은 10∼12점으로 어느 특정 분야에 치중되지 않고 각 분야별로 균등하게 출제되고 있다.
3. 의생활의 평가 영역별 출제 경향
의복재료와 관리(C1.) 영역의 내용 요소는 의복재료의 이해(C11.), 의복관리(C12.), 의복과 환경(C13.)으로 구분되어 있다. 평가 내용 요소 의복재료의 이해(C11.)에서는 실과 섬유의 종류와 특성과 직물의 가공 및 염색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의복관리(C12.)에서는 의복의 세탁방법 및 의복의 보관, 소재에 따른 다림질 방법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의복과 환경(C13.)에서는 의복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따른 지속가능한 의생활에 대한 내용 등을 다루고 있다.
Table 4의 평가 내용 요소별 출제 경향을 살펴보면, 의복재료의 이해(C11.)의 문항 배점은 약 33.3점으로 의복재료와 관리 영역 전체의 45.6%로 가장 높은 출제 비율을 나타냈으며, 의복의 관리(C12.)와 의복과 환경(C13.)의 배점은 각각 19.8점으로 전체의 27.2%를 차지하였다. 특히, 의복재료의 이해(C11.)에서는 옷감의 종류와 특성(C113.)에 대한 문항이 총 배점 16.3점(49.0%)으로 가장 큰 배점으로 조사되었으며, 2009학년도부터 꾸준하게 출제되고 있다. 다음으로는 2기(2009 2013학년도)에는 전혀 출제되지 않았던 직물의 가공 및 염색(C114.)에 대한 내용이 3기(2014∼2023학년도)의 2015, 2017, 2020, 2023학년도에 총 배점 8점으로 출제되었다. 이는 최근 의류산업분야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기능성 섬유와 특수 가공법에 대한 내용들로 건강한 의생활을 위한 트렌드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섬유의 종류와 성능(C111.)에 대한 문항은 2010, 2013, 2014, 2018학년도에 총 배점 7점이 출제되었으며, 주로 섬유의 성능에 대한 내용으로 특히,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단점을 보완한 신소재에 대한 내용들이 주로 출제되고 있어 직물의 가공 및 염색(C114.)의 내용과 연관된 것들이다. 실의 종류와 특성(C112.) 에 대한 문항은 2009∼2022학년도까지는 단 한 번도 출제되지 않았으며, 2023학년도 전공A 7번 문항으로, 실의 종류와 특성(C112.)와 직물의 가공 및 염색(C114.)의 융복합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스타킹과 면소재의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표시단위와 실의 굵기를 계산하는 항장식과 항중식의 계산법에 대한 문항이 실생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에피소드 형식으로 출제되었다. 의복의 관리(C12.)와 의복과 환경(C13.)의 문항 배점은 각각 19.8점으로, 의복의 관리(C12.)에서는 의복의 세탁(C121.)에 대한 문항이 12.5점(63.0%)으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의복의 보관(C123.)은 2010년과 2022학년도에 각각 한 번 씩 출제되었으며, 그 비율은 15.1%에 해당한다. 의복의 충해와 습기(C124.)는 2009∼2023학년도에 단 한 번도 단독 문항으로 출제되지 않았다. 2022학년도에 한복의 보관방법 중 충해방지 약품 보관방법에 대한 내용이 일부 출제되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해당문항을 의복의 보관(C123.)으로 분류하였다.
평가내용 요소 의복과 환경(C13.)은 의복과 건강(C131.)에 대한 문항이 총 배점 12점(60.5%)으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으며, 그 다음이 지속가능한 의생활 5.3점(26.9%), 의복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2.5점(12.6%)의 순으로 출제되었다. 특히 의복과 건강의 출제 문항의 특징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2기(2009∼2013학년도)에는 자연환경이나 계절에 따른 의복착용법에 관한 내용이었다면 3기(2014∼2023학년도)에는 의복의 쾌적 기후나 스마트 헬스케어 의류인 라이프세이프 재킷에 대한 내용이 출제되고 있는데, 이것은 최근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를 활용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스마트의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의류제품의 소비와 폐기, 처분에 관한 내용인 지속가능한 의생활(C133.)은 5.3점(26.9%), 의복과 환경의 상호작용(C132.)은 2.5점(12.6%)으로 출제되었다. 최근 의류산업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패스트패션(fast fashion)에 의한 환경오염에 대한 내용이 2022 개정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교과서에 수록됨에 따라「가정」교사 임용시험에서도 패스트패션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친환경패션과 슬로우패션(Slow-fashion) 등에 대한 내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의복의 제작과 선택(C2.)영역의 내용 요소는 의복디자인(C21.),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C22.),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C23.), 복식 문화(C24.)로 구분되어 있다. 평가 내용 요소 의복디자인(C21.)에서는 의복디자인의 원리와 요소 및 패션코디네이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C22.)에서는 한복과 서양복의 의복구성방법, 의류의 재활용 시 필요한 의복제작방법과 의류산업과 관련된 직업 등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C23.)에서는 의복의 착용동기 및 기능과 상황에 따른 옷차림 및 의복의 동조성과 개성에 대한 내용들을 담고 있으며, 복식 문화(C24.)에서는 한국과 서양의 복식사와 한국 전통 복식문화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Table 5의 의복의 제작과 선택(C2.) 영역의 평가 내용 요소별 출제 경향을 살펴보면,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C22.)의 문항 배점이 약 53.3점으로 의복 제작과 선택 영역의 약 38.5%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양의복구성 및 봉제(C221.)는 2011, 2014, 2015, 2019학년도를 제외하고 총 11차례 출제되었다. 문항의 총 배점 약 43.8점으로 의복 제작 및 생활용품 제작(C22.)에서 82.2%의 압도적인 비율로 나타났다. 문항의 내용은 주로 의복의 고쳐 입기, 인체의 특징에 따른 보정, 의복의 다양한 원형활용 및 의복제작 및 마름질에 대한 내용이 출제되고 있으며, 기존의 의복제작 시 다뤄지는 내용보다는 의복의 재활용이나 리폼에 대한 주제로 마름질 방법 및 재단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의복의 재활용과 리폼(C222.)에 해당하는 문항은 총 배점 약 7점(13.1%)로 2011, 2014, 2015년에 각각 출제되었다. 그러나 수편물 및 자수(C224)와 생활용품제작(C225.)에 해당하는 문항은 전체 년도를 통틀어 단 한 번도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행연구(Kim 2019)에 따르면, 7차 교육과정(2007)에서는 수편물과 자수 실습이 평가되었으나 이후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수편물과 자수에 대한 실습 항목이 제외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대바늘과 코바늘을 이용한 수편물과 생활용품 제작 등의 실습위주의 수업이 교과서에서 사라지는 추세이며, 의복의 무분별한 생산과 소비로 인한 환경오염 등을 우려하여 의복의 재활용이나 재이용, 업 사이클(Up-cycl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교 교육현장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은 의복 디자인(C21.)으로 총 문항 배점이 약 31.8점으로 전체의 약 23.0%에 해당하는 비율로 출제되었다. 의복디자인(C21.)에서는 의복의 선, 실루엣, 디테일, 트리밍, 소재, 문양, 컬러 등의 의복디자인의 요소(C211.)에 대한 문항이 약 20.3점으로 63.9%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은 의복디자인의 원리(C212.)로 문항 배점 약 10점(31.4%), 패션코디네이션 및 착장법(C213.)은 약 4.7%의 순으로 출제되고 있다. 복식 문화(C24.)는 문항 배점이 약 26.8점으로 전체 문항 배점의 19.4%로 나타났다. 주로 서양복식(53.3%)과 한국복식(39.2%)에 대한 내용들이 출제되고 있는데, 2015 개정 교육과정 개편의 내용 중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내용 요소로 인해 2014학년도 이후인 3기(2014∼2023학년도)에는 서양복식사에 관한 내용은 2018학년도 19세기 근대복식에 대한 내용이 1회 출제된 것이 전부인 반면, 한국복식에 대한 문항은 2019, 2020, 2022학년도 총 3회가 출제되어 이 역시 현행(2015 개정) 교과서의 내용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개편에 의한 교과서의 내용에서도 ‘한국의 의식주 생활문화의 독창성’에서 한국복식인 한복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한국복식에 대한 관심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한국복식사에 대한 문항의 세부 내용은 주로 조선시대 남자 포인 철릭과 여자의 속옷과 여성의 쓰개에 대한 내용이 출제되었다. 2022학년도에는 조선시대 여성 쓰개의 명칭을 묻는 문항과 한복(견직물)의 관리 및 다림질 방법에 대한 문항으로 두 개의 평가 영역(C1., C2.)과 2개의 평가 내용요소(C12., C24.)가 포함된 복합형 문제가 출제되었다. 마지막으로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C23.)의 문항 배점은 약 26.5점으로 전체 문항 배점의 약 19.1%이다. 이중 가장 많은 출제 비율을 보인 내용은 의복의 동조성과 개성(C236.)으로 문항 배점 약 14점으로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C23.)의 약 52.9%를 차지하고 있다. 문항의 내용으로는 의복의 동조와 비동조에 의한 패션의 생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의복의 동조 현상은 청소년기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로 그들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다음은 의복과 패션(C235.)으로 문항 배점 총 6점(22.6%)으로 유행확산곡선의 유형별 특징과 이해에 대한 내용들이 2013, 2016, 2023학년도에 출제되었다. 2023학년도에는 클래식의 대명사인 트렌치코트의 유행확산곡선의 특징을 이해(C235.)하고, 트렌치코트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와 그 소재의 조직(C113.)이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두 개의 평가 영역(C1., C2.)과 3개의 평가 내용요소(C11., C23., C24.)가 융합된 복합형 문제로 출제되었다.
4. 2015와 2022 개정 의생활 분야의 교육과정 비교
Table 6은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의생활 분야를 비교한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대상에서는 가정생활과 안전,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에서 각각 옷차림과 의복 마련과 의복 관리와 재활용의 내용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간발달과 주도적 삶 영역에서 자기이미지와 표현,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의 영역에서 의복재료와 관리행동과 의복 마련계획과 업사이클링의 내용 요소가 변경되었다. 고등학교 대상의 2015 교육과정 일반선택과목 기술ㆍ가정에서는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과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으로 나뉘었으며, 각각의 내용 요소는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과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으로 구분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활문화와 디지털 환경 영역에서 두 개의 내용 요소로 구분되었으며, 각각 ‘한국의식주 생활문화의 독창성’과 ‘스마트 의류와 메타패션’으로 변경되었다. 이것은 의생활문화에 반영된 미래 변화의 요소를 활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무분별한 의복의 생산과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도구로 메타패션을 활용함으로써 의류생산에서 소비되는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진로선택과목인 생활과학 탐구는 생활환경과 생활과학 영역에서 ‘의류직물과 의복디자인’과 ‘패션산업과 머천다이징’의 두 개의 내용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패션관련 직업 및 진로 개발에 대한 내용 요소가 삭제된 것을 알 수 있다. 교원 임용시험은 개정 교육과정이라는 큰 바탕 하에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Han et al. 2019)는 선행연구의 내용과 같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키워드인 업사이클링, 스마트 의류, 메타패션 등에 대한 중등학교 가정교사 임용시험에서의 그 적용여부 및 가능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Ⅳ.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표시과목「가정」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가 적용된 2009학년도부터 최근의 2023학년도까지의 15년간의 의생활 영역의 기출문제를 평가내용 상세화를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임용시험의 출제문항이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출제방향의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의 중등학교「가정」교사 임용시험에서 의생활 영역의 출제경향을 살펴보면, 의복재료와 관리(C1.)영역 보다는 실천 역량이 포함되어 있는 의복제작 및 선택(C2.) 영역의 문항 수와 배점이 더 높게 나타났다. 평가시기별로는 2기(2009∼2013학년도)에는 의복재료와 관리(C1.) 영역의 문항 배점이 약 26.5%, 의복제작 및 선택(C2.)영역의 문항 배점은 약 73.5%로 의복제작 및 선택(C2.)영역의 배점이 높게 나타났다. 3기(2014∼2023학년도)에는 의복재료와 관리(C1.)영역의 문항 배점이 약 42.7%, 의복의 제작 및 선택(C2.)영역의 문항배점이 약 57.3%로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의복재료와 관리(C1.)영역의 평가 내용 요소별 출제 경향을 살펴보면, 의복재료의 이해(C11.)에 대한 문항 배점이 약 45.8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 요소 상세화 중 옷감의 종류와 특성(C113.)에 관한 문항이 해당 내용 요소 전체의 49.0%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의복의 제작과 선택(C2.) 영역의 평가 내용 요소별 출제 경향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C22.)의 문항 배점이 약 38.5%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양의복구성 및 봉제(C221.)는 2011, 2014, 2015, 2019학년도를 제외하고 총 11차례 출제되어 문항 총 배점의 약 82.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중「가정」의생활 영역을 비교해 보면, 스마트 의류와 메타패션, 업-사이클링에 관한 내용 요소가 추가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패션관련 직업 및 진로 개발에 대한 내용 요소는 삭제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한복의 독창성과 의복의 재활용에 대한 내용은 유지되고 있다. 교원 임용시험은 개정 교육과정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키워드인 업-사이클링, 스마트의류, 메타패션 등에 대한 내용이 향후 중등 가정교사 임용시험에 적용될 가능성을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가정과 임용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고, 향후 임용시험 출제자에게는 출제 문항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된 연구이다. 최근 15년간의 출제 문항들 중 의생활 영역만을 분석한 결과이므로 전체 가정과 출제 문항의 경향으로 일반화하거나 전 기간의 출제 경향을 보는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혀 둔다.
References
- Baek MK(2017) A trend analysis of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J Korean Home Econom Educ Assoc 29(2), 182-195. [https://doi.org/10.19031/jkheea.2017.06.29.2.53]
- Baek RY, Kim JM(2022) Analysis of the questions trend in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area of the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J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struc 22(22), 831-846.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2.831]
- Han SM, Kim KM, Lee YJ(2019) A study of ‘Clothing life’ curriculum on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J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struct 19(23), 715-738.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3.715]
- Jung SH, Park MJ, Chae JH(2012) An analysis of examination items for secondary Home Economics teaching certification - focusing on evaluation content elements of home economics-. J Korean Home Econom Educ Assoc 24(2), 135-154
- Kang JY, Lee YJ(2018) Analysis of the “Clothing Life”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revised in 2015. J Korean Home Econom Educ Assoc 30(4), 15-35. [https://doi.org/10.19031/jkheea.2018.12.30.4.15]
- Kim KS, Lee HH(2016)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of clothings area of college and national teacher’s examin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s. J Korean Fashion Costume Design Assoc 18(4), 125-139
- Kim SB(201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33-38 [https://doi.org/10.19031/jkheea.2019.12.31.4.63]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ㆍ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and evaluation areas of marked subjects 「Home Economics」. Korea Inst Curriculum Evaluation 6-10
- Lee EY, Kim JS, Na YJ(2020)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employing testing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home economics subjects. Human Ecology Res 58(2), 187-200. [https://doi.org/10.6115/fer.2020.014]
- Park MJ, Han J(2022) Exploring the core keywords of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Human Ecology Res 60(4), 625-643. [https://doi.org/10.6115/fer.2022.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