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5, No. 4, pp.555-567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24
Received 12 Nov 2024 Revised 18 Nov 2024 Accepted 29 Nov 2024
DOI: https://doi.org/10.7856/kjcls.2024.35.4.555

영상매체에 표현된 샬럿(Charlotte) 여왕 복식의 표현효과 : 들롱 이론을 중심으로

김주애
경상국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의류학과 교수
The Expressive Effects of Queen Charlotte’s Costume Expressed in Visual Media : Focusing on the Deolong Theory
Ju Ae, Kim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Correspondence to: Ju Ae, Kim Tel: +82-55-772-1454 E-mail: jakim@gn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ve effects of the costumes worn by Queen Charlotte of the United Kingdom in visual media, based on the Delong’s theory. The research method first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of pri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for theoretical research. Next, a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over-the-top (OTT) dramas ‘Queen Charlotte (2023)’, ‘Bridgerton 1 (2020)’, and ‘Bridgerton 2 (2022)’ as visual media research tools. Based on the analysis of expressive effects, according to Delong’s theory, the costumes worn by Queen Charlotte in the dramas exhibited excitement, calmness, strength, and delicacy. These mostly aligned with Delong’s expressive effects. The young Charlotte displayed elegance with pure pastel tones and small, rounded decorative elements, although less than other expressive effects. When the Queen’s authority peaked, intense and bold colors and dominant line decoration elements exhibited the most expressive effect of intensity. Due to Queen Charlotte’s strong and charismatic traits in the drama, intensity was the most frequently derived expressive effect. The analysis showed that intensity was used most effectively to represent the Queen’s authority. Additionally, accessories such as wigs and necklaces were us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formative elements to maximize the expressive effect of intensity.

Keywords:

expressive effect, Queen Charlotte, vidsual media, Delong theory

Ⅰ. 서론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넷플릭스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들은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호황을 누리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의 대표작 <Bridgerton, Netflix 2020> 방영 후, 코르셋 검색이 급증하였고, <Bridgerton 2, Netflix 2022>는 3월 공개 이후 28일 동안 6억 2,711만 시청 시간을 기록하여 넷플릭스 영어 TV 시리즈 중 1위를 차지하였다(Nasha 2022).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성장으로, 최고 권위있는 영화 시상식의 하나인 아카데미시상식(94회)에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애플TV 플러스 영화 <CODA 2021>의 작품상 수상, 넷플릭스 작품 <The Power of The Dog 2021>가 감독상을 수상할 정도로 스트리밍 서비스의 파워가 강력해졌다. 이러한 관심과 함께 OTT 서비스를 통한 시대극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며, 시대극에서 복식의 표현효과는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화의상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크림슨 피크(Crimson Peak)에 표현된 아르누보 영향(Kim 2022), 브리저튼(Bridgerton)에 표현된 리젠시시대 복식의 조형적 특징(Kim 2023) 등이 있다. 영상매체에 표현된 복식의 표현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는 뵈플린(Wölflin) 이론을 기본으로 한 영화의상(Yoon 2009) 외에 들롱(DeLong) 이론을 바탕으로 남성복으로는 루이 16세(Kim 2012), 헨리 8세(Kim 2016) 등의 연구가 있으며, 여성복으로는 엘리자베스 1세 여왕(Cho & Yang 2003), 마리 앙투아네트(Kim & Troute 2010), 빅토리아시대의 엘리자베트 황후(Kim 2023)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다(Kim 2023). 최근 가장 핫한 OTT 드라마 <Bridgerton>은 엘른 미로즈닉(Ellen Mirojnick)이 극에서 총 7,500개의 많은 의상 소품으로 사교계의 화려함을 강조하였으며, 마크 엘리엇 필처(Marc Elliot Pilcher)가 제73회(2021년) 에미상(Emmy Awards)의 우수 헤어스타일링상을 수상하였다. 이러한 복식 규모와 수상으로 브리저튼에 대한 복식 연구는 있었으나, 극에서 가장 화려한 복식을 착용하며 극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OTT 플랫폼에서 제작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Bridgerton 1> (Shonda 2020), <Bridgerton 2> (Shonda 2020), <Queen Charlotte: a Bridgerton story> (Anna 2023)의 3편을 중심으로 극에서 샬럿 여왕이 착용한 복식에 대해 Delong 이론을 바탕으로 여왕복식의 표현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결과는 영상매체 외에 뮤지컬, 연극 등 시대 배경의 극에서 들롱의 이론에 입각한 복식 표현은 극의 완성도와 몰입도를 높여 극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ㆍ문화적 배경

영국 조지 3세(George William Frederick)는 1760년부터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과 아일랜드의 국왕이며, 1800년 연합법이 제정된 이후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왕이다. 조지 3세의 아내인 샬럿(Sophie Charlotte, Herzogin zu Mecklenburg, 1744~1818)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작 카를 루트비히의 막내딸로 태어나, 17세에 조지 3세와 결혼하였다. 당시 영국 궁정의 실권은 조지 3세의 모후인 작센고타의 아우구스타가 갖고 있었다. 샬럿여왕은 9남 6녀의 자식을 두었으며, 헨델이나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등 여러 음악가들을 후원하였다. 1811년 조지 3세의 정신이상 증세 악화로 황태자가 섭정하여 조지 3세의 사망 때까지 섭정시대(1811~1820년)가 계속되었다(Hammer 2006). 조지 4세 섭정기는 리젠시 시대에 해당된다. 영국은 밖으로 나폴레옹전쟁ㆍ빈회의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안으로는 경제공황과 노동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았으나 황태자의 사생활 문란 등으로 의회와 국민의 신뢰를 잃어 개혁은 이룩하지 못하였다(Hammer 2006). 리젠시시대 이전의 18세기는 문화적으로는 프랑스가 우위였지만 정치 경제적으로는 영국이 비상한 발전을 보인 시대이며, 프랑스는 사상적으로 영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Lee et al. 1999). 영국의 실용적이고 단순한 복식 스타일이 크게 유행하여 영국풍에 크게 열광하는 앵글로마니아(Anglomania)가 생겨나고 르댕고트, 프록코트, 둥근 차양이 달린 모자 등의 유행은 물론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영국적 취향이 두드러졌다(Kim et al. 2010).

신고전주의는 프랑스 혁명을 전후로 한 18세기 말부터 낭만주의가 등장하기 전인 19세기 초반(1789~1815년경)까지 그리스, 로마의 고전을 모형으로 내용보다 형식, 감성보다는 이성을 중시하는 유럽의 문학과 예술을 지배하였던 미술사조이며 이성을 통해 자연과 인공적인 것 사이의 균형을 모색하여 이상화된 자연미와 조화미를 추구한다. 로코코풍은 프랑스 혁명에 이르기까지 복식 전반을 지배하는데, 18세기 중엽부터 약간 다른 경향을 보이게 된다. 고대식의 간소한 아름다움이 로코코 양식에 융합되기 시작하였다. 리젠시 시대는 리젠시 양식이 유행한 시기로 엠파이어 스타일(1795~1825년경)의 후기에 해당된다. 혁명 후의 혼란스러운 분위기로 인해, 프랑스의 모드는 영국으로 그 무대가 옮겨졌다. 영국은 산업혁명 결과, 직물 생산기술 발전으로 세계문화의 중심이 되었다. 영국 복식의 양식은 그 민족성과 유력한 시민의 힘 그리고 군복의 영향과 직물의 재료와 양식이 혼합되어 남자다운 견고함과 검소함이 우세를 보였다. 여자 복식에도 남자 옷의 영향이 많이 나타나며, 남자복식은 이를 기회로 세계 패션의 지배력을 갖게 된다(Chung 1997).

2. 복식 특징

혁명 이전의 18세기는 여성 로브가 발달하여 로브 아 라 프랑세즈(robe a la francaise), 로브 아 라 씨르까시엔느(robe a la circassienne), 로브 아 라 까라꼬(robe a la carco) 등 여러 종류가 착용되었다. 로브 아 라 까라꼬(robe a la carco)는 영국식 상의가 부인용 승마복으로 되자 프랑스에서도 복식의 간소화 경향이 나타났다. 1780년대부터 1790년대에 유행한 상의 이부식 로브는 1780년대 영국 상류층 부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여 영국에서는 피에로 재킷으로 불렸다(Lee et al. 1999). 18세기 초에 유행하던 퐁파두르형은 1760년대부터 머리 높이는 올라가고 그 위에 장식이 높이 쌓여졌다. 1770년대의 머리형은 예술성이 풍부하였고 1780년대 가발은 환상적으로 과장되었다. 1785년부터 복장의 간소화로 높은 머리는 궁중의 공식 행사에서 착용하였다(Lee et al. 1999). 프랑스 혁명은 복식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르네상스 이후 귀족들이 주도하던 복식문화는 혁명을 주도한 계층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로코코 스타일이 사라지고 고대 그리스 로마 복식을 재현한 신고전주의 스타일이 등장하였다(Bae et al. 2016).

리젠시 시대의 복식은 혁명기 이후 신고전주의의 영향을 받아 고대 그리스 로마 스타일로 변화하였는데 이 시기의 여성 복식은 코르셋이나 후프에서 벗어나 자유와 편리함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Bae et al. 2016). 초기에는 폭이 넓지 않은 긴 스커트에 하이웨이스트, 짧은 퍼프소매 등 장식 없는 단순한 형태가 특징이었다. 슈미즈 가운의 착용으로 드러나게 된 팔은 긴 장갑과 숄이나 모피로 가려 여성미를 돋보이게 하였다. 통령시대 이후 슈미즈 가운은 가슴이 더욱 넓게 파였으며 신체의 곡선을 드러내기 위하여 더욱 얇은 모슬린(muslin)을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슬림한 미적 효과와 입고 활동하기 편한 기능적인 의복이었다(Chung 1997). 조세핀(Joséphine de Beauharnais) 황후는 이 시기 패션 리더로 단순한 실루엣과 옷감의 우아하고 자연스러운 주름, 다채로운 자수를 활용해 귀족 취향의 복식을 새롭게 만들었다(Bae et al. 2016). 리젠시시대의 엠파이어 드레스는 긴 소매와 무광택 소재로 초기 그리스 스타일 드레스였다. 또한 다양한 소매와 허리 뒤로 긴 트레인이 추가되어 화려하고 우아한 스타일을 이루었으며, 꼴레트 칼라 장식도 추가되었다. 밝은 드레스 색상과 대조되는 다른 색상의 장식스커트가 뒤에 트레인 처럼 부착되었다.

3. 들롱의 표현효과

들롱이 제시한 표현효과 이론은 다섯 가지 복식 양식의 기본 범주를 통해 복식과 신체가 이루는 다양한 형태를 보다 기본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인 인지론적 방법이다(Keum 1997, as cited in DeLong 1987). 닫힌 형식과 열린 형식(closed-open)은 A(apparel), B(body), C(construct)와 주변 공간과의 관계에 대한 형식이다. 전체인지 형식과 부분인지 형식은 A, B, C와 A, B, C 세부사항 간의 관계에 대한 형식이다. 관찰자가 전체를 먼저 인지한 후 부분을 인지하는 전체인지 형식은 실루엣이 A, B, C의 연속되는 선으로 구분된다. 부분을 먼저 인지한 후 전체를 인지하는 부분인지 형식은 A, B, C 내의 독립적인 부분으로서 그 세부적인 형의 명료성으로 전체가 나중으로 인지되는 것이다. 평면분리 형식과 평면통합 형식은 형태가 배경과 이루는 평면적 관계 형식이다. 평면분리 형식은 형태가 배경과 분리되어 먼 거리에 있는 것처럼 보여지고 시각을 끄는 힘이 강하여 대상의 정확한 한계를 느낀다, 평면통합 형식은 배경, 명도, 농도, 형태 크기의 유사성에 기인한다. 평평한 형식과 둥근 형식은 A, B, C의 속성에 따라 평평한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둥근 형태이다. 명료형식과 불명료형식은 A, B, C가 얼마나 가깝게 인식되는지, 아니면 멀리 인식되는지를 구분한다. 표현효과는 하나의 복식에 대해 시각을 통해 보았을 때, 우리는 형, 선. 색채, 재질 등을 지각하게 되고, 관찰의 우선성을 통해 인지 후에 복식에 표현된 기호 의미로 감정을 느낀다. 복식에 표현된 기호를 유형으로 분류하여 디자이너의 의도를 분석하는 과정이 해석이다(Keum 1997, as cited in DeLong 1987). 표현은 의복-신체-구조의 특징으로, 형태와의 직접적인 경험에서 감정이 나타나는 것이다. 표현효과는 의복-신체-구조를 인지하며 느껴지는 감정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본적인 정신 상태에서 비롯된다. 표현효과는 의복-신체-구조의 배열 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DeLong 1998).

표현효과는 개개 요소들이 하나의 관념으로 통합되어 나타난다. Delong은 복식의 형태 표현효과를 흥분감(excitement), 평온함(calmness), 강렬함(strength), 우아함(delicacy)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관념으로 분류하였다. 이것은 복식구조에서 조형요소와 관찰의 우선성 관계를 통해 추론된다(Keum 1997, as cited in DeLong 1987).

흥분감에 있어서, 형은 단순하고 대조적인 서너 개 이상의 다수이며, 선은 불연속적인 선, 대각선 및 지그재그 선이 사용된다. 색채는 난색 계열의 강렬한 원색, 명도대비가 강한 색이 나타나고 재질감은 단순하고 깨끗하게 처리되어 연속적인 가장자리의 매끈한 표면이나 소재, 디테일로 불연속적인 가장자리를 가진 형으로 꽉 찬 표면을 구성한다. 관찰의 우선성은 개방형, 부분-전체형, 공간분리형. 입체형. 명료형 또는 불명료형으로 나타난다. 평온함의 경우, 형은 크고 작은 형들 사이에 약간의 대비나 분명한 위계가 있고, 인체형과 유사한 연속적인 선이 나타난다. 색채는 무채색과 부드러운 중성색, 푸른색 계통의 한색이 이용된다. 재질감은 연속적인 가장자리와 차분한 바탕의 매끈한 표면이다. 평온함에 있어서, 관찰의 우선성은 폐쇄형, 전체-부분형, 공간통합형, 입체형, 명료형으로 나타난다(Keum 1997, as cited in DeLong 1987).

강렬함의 경우, 형은 실루엣이 강조된 커다란 형이며, 선은 연속적인 선, 방향이 있는 선, 지배적인 선, 두꺼운 선, 대담한 선이다. 색채는 강한 명도대비, 짙은 색채, 중성의 밝은색이며, 재질감은 가장자리가 매끈한 표면과 조합을 이루는 매우 거친 질감의 부분, 독특한 조합을 이루는 짙은 색의 표면이다. 관찰의 우선성은 폐쇄형, 전체-부분형, 공간분리형, 평면형, 명료형으로 나타난다. 우아함에 있어서는, 형은 작고 둥글고 부드러운 가장자리의 형태로 나타나고, 선은 부드러운 곡선, 불연속적이며 가벼운 느낌의 선들이다. 색채는 깨끗한 난색, 따뜻하고 시원한 느낌의 엷은 색에 재질감은 미묘한 변형을 준 표면으로, 날염이나 흐리게 처리된다. 관찰의 우선성은 개방형, 부분-전체형, 공간통합형, 입체형. 불명료형으로 나타난다(Keum 1997, as cited in DeLong 1987).

4. 시놉시스

드라마 <Bridgerton> 시즌 1은 크리스 밴 듀즌(Chris Van Dusen)이 감독하고 숀다랜드(Shondaland)가 제작에 참여하였다. 의상은 엘렌 미로즈닉(Ellen Mirojnick)이 담당하였으며, 골다 로슈벨(Golda Rosheuvel)이 조지 3세의 아내 샬럿 왕비(Sophie Charlotte) 노년을 연기하였다. 헤어는 마크 엘리엇 필처(Marc Elliot Pilcher)가 담당하여 제73회(2021년) 에미상(Emmy Awards) 우수 헤어스타일링상을 수상하였다. <Bridgerton> 시즌 1은 1813년 리젠시시대 초창기(Jung 2022) 런던의 상류사회 브리저튼 가문 남매 중 샬럿왕비가 사이먼(Simon)과 다프네(Daphnne) 결혼을 허락하는 내용이다. 극에서 사교계의 화려함을 강조하기 위해 드라마의 8개 에피소드에는 드레스와 상의, 망토, 모자 등 총 7,500개의 의상 소품이 이용되었다. 크리스 밴 듀즌이 감독한 <Bridgerton> 시즌 2는 숀다랜드가 제작 하였으며 의상은 소피 카날레(Sophie Canale)가 담당하였다(zemler 2022). 시즌 2는 브리저튼 가문 장남의 로맨스 내용을 다루고 있다. 조지 3세와 조지 4세 섭정기를 배경으로 하는 <Queen Charlotte: a Bridgerton story, Anna O, 2023>은 톰 베르카가 감독을 맡고 숀다랜드가 제작하였으며, 샬럿 여왕 역은 인디아 암아티피오(India Amarteifio)가 맡았다. 왕비의 젊은 시절, 영국의 왕 조지 3세와의 결혼이 결정되어 조지를 처음 만나 결혼하기까지의 과거 시점과 왕비가 된 이후의 현재 시점을 다루었다. 샬럿 여왕은 영국 왕실 조상 중 흑인 혼혈이 있을 것이란 주장의 인물로 초상화의 모습이 전형적인 백인의 외모와 달라 흑인 혼혈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어왔다. <Bridgerton>에서는 역사적 가설을 채택하여 인종적 다양성을 추구하고 유색인종을 왕비의 배역에 캐스팅하였다. 그 당시 아프리카 국가들의 왕족과 귀족 출신의 흑인들이 영국사회에 있었으나 제대로 귀족사회로 편입되지 못했는데 샬럿 왕비가 왕과 결혼하고, 영국 정부에서 사회융합을 위해 흑인들에게 작위를 수여하면서 정착하게 된다. 이 극은 혼혈의 유색인 왕비를 주인공과 조연으로 선택하여 글로벌 사회로의 범위를 넓혔다.


Ⅲ. 연구방법

이론적 연구를 위해 18세기 중엽부터 조지 3세(1738-1820)가 활약한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기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복식에 관련된 문헌, 선행연구 및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여 시대 배경과 복식 특징, 들롱 이론을 파악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최근 OTT 서비스 중 관심이 증대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에서 리젠시시대(1811~1820) 배경의 <Bridgerton 1(2020)> <Bridgerton 2(2022)>, 조지 3세와 조지 4세 섭정기를 배경으로 하는 <Queen Chalotte: a Bridgertonstory 2023>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드라마에 표현된 샬럿 여왕의 복식 이미지 분석을 위하여 넷플릭스 사이트의 샬럿 여왕을 다룬 드라마 장면을 크롬의 확장 프로그램 ‘GoFullPage’를 이용하여 캡처하였다. 색상은 Pantone, FHI Cotton TCX 2801에서 조사하였다. 여왕 복식은 <Bridgertion 1>의 8개 에피소드에서 16개, <Bridgertion 2>의 8개의 에피소드에서 10개 <Queen Chalotte: a Bridgertionstory> 6개의 에피소드에서 37개로 총 63개를 1차로 선정하였다. 1차 선정한 이미지 중, 샬롯여왕이 착용한 복식 중 복식 1개에서 표현효과가 2개 이상 뚜렷이 겹쳐서 분석이 어려운 것과 실내복을 제외하고 표현효과가 잘 나타나서 분석이 가능한 것을 2차로 최종 22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들롱 이론에 입각한 샬럿 여왕 복식의 표현효과를 흥분감, 평온함, 강렬함, 우아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선정한 드라마의 영상자료에서 복식의 표현효과가 잘 표현된 것을 의상 전공자 3명이 각각 캡처하여 공통적인 것을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1. 흥분감(excitement)

Table 1A에서 샬럿 여왕은 앞이 오픈된 로브(robe) 속에 스터머커(stomacher), 페티코트를 착용하고 있다. 복식 형태는 역삼각형의 스터머커, 로브 사이로 노출된 페티코트의 삼각형, 로브 스커트부분의 사다리꼴 형태, 어깨를 덮은 케이프(cape) 윗부분의 삼각형, 원통형 소매 등 단순하고 대조적인 서 너개 이상의 다수의 형태로 다양하게 연출되었다. 선의 경우, 네크라인의 수평선, 소매통의 수직선, 케이프 어깨선, 소매장식선 및 스터머커의 사선, 스터머커 상단의 리본장식과 앙가장트(engageantes) 소매 레이스 끝장식의 곡선, 팔발라(falbala) 장식의 대각선 등 다양한 선과 불연속적인 선이 이용되었다. 색채는 로브의 에프리콧 셔벗(Apricot sherbet)색, 팔발라와 소매끝 리본장식의 가네트(Garnet)색, 페티코트와 스토머커의 말라가(Malaga)색 등 난색과 강렬한 색상이 이용되었다. 직물무늬로 꽉 찬 소재의 스타머커와 페티코트에 스터머커 윗부분의 작은 프릴과 리본장식은 꽉 찬 표면 효과를 더하였다. 관찰의 우선성에서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불연속적인 가장자리를 이루며, 팔발라와 여러 겹의 레이스로 장식된 앙가장트 소매, 상단에 리본과 프릴로 장식된 스터머커는 복식의 가장자리 윤곽선을 고르지 않게 하여 개방형으로 나타났다. 복식의 표면에 불명료함의 깊이감을 부여하여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다. 케이프 형태로 어깨 상완부 윗부분을 살짝 가렸지만 허리를 조이고 가는 소매통으로 입체형을 이루었다. 케이프 부분 등이 먼저 인지되어 부분–전체형이며, 로브와는 다른 소재와 무늬로 구성된 스터머커, 페티코트는 소재와 색상 차이로 공간 분리형태를 이루며, 매끈한 표면을 이루는 명료형과 다양한 표면 재질감으로 불명료형이 같이 나타났다. 복식요소와 관찰의 우선성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흥분감의 표현효과를 잘 표현하고 있다.

Excitement expressed in the visual media

Table 1B에서는, 케이트와 앤소니가 결혼하는 것에 대해 흉보는 귀족 여인에게 자신의 마음이 바뀐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하는 장면으로, 여왕이 착용한 로브는 역삼각형의 스터머커, 삼각형의 페티코트, 원통형 소매, 타원형 리본 등 단순하고 대조적인 형태로 다양하게 연출되었다. 네크라인의 수평선, 소매통의 수직선 및 소매장식과 스터머커의 사선, 앙가장트 레이스 장식의 곡선, 큰 보석으로 장식된 팔발라의 지그재그선 등 다양한 선과 피치 스무디(Peach smoothie)색 로브와 옐로우 크림(Yellow cream)색 스터머커가 착용되었다. 로브의 가장자리의 매끈한 연속적인 선과 공단, 타프타, 시폰 등 다양한 실크소재와 화려한 보석장식의 스터머커, 페티코트로 꽉 찬 표면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다양한 장식들로 불연속적인 가장자리를 이루어 개방형으로 관찰되고, 입체형으로 분석되어 들롱 이론과 같았다,

Table 4C는 여왕이 초상화 포즈를 취하는 장면이다. 여왕이 착용한 복식은 소매의 직선, 목선의 수평선, 앞이 오픈된 사선 등으로 이루어졌다. 두꺼운 재질의 다마스커, 타프타, 부드러운 시폰 등 다양한 실크소재로 불연속적인 가장자리를 이루며, 로브 앞 가장자리의 화려한 장식선과 무늬로 된 표면 재질의 스터머커와 페티코트 부분이 먼저 인지되어 부분 전체형과 공간분리형을 이루었다. 좁은 소매통과 조인 허리로 입체형을 나타내며, 연속적인 가장자리를 가진 매끈한 표면과 두꺼운 다마스커 소재에 레이스장식 등 디테일에 의해 불연속적인 가장자리를 가진 형으로 꽉 찬 표면의 재질이 이용되었다. 관찰 형태와 선, 입체적 실루엣, 불투명한 표현 재질 및 관찰의 우선성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흥분감의 표현효과를 나타내었다.

Table 4D는 여왕이 조지 3세에게 자녀의 죽음을 알리는 장면으로, 이때 착용한 복식은 상하로 연결된 레드 달리아(Red dhlia)색과 확연하게 대비되는 화려한 무늬로 꽉 찬 재질에 금사와 보석으로 장식된 페티코트와 스터머커로 격정적인 흥분감이 잘 표현되었다. 관찰의 우선성은 개방형, 스터머커와 페티코트 부분이 먼저 인지되어 부분-전체형이며, 로브와 다른 소재와 무늬로 된 직물 소재의 스터머커와 페티코트로 소재와 색상 차이로 공간을 분리하여 공간 분리형. 명료형과 불명료형이 같이 나타났다.

Table 4E에서 샬럿 여왕 복식은 역삼각형의 스터머커, 로브의 원통형 소매, 소매단의 사다리꼴 등 다수의 형태로 연출되었다. 네크라인의 수평선, 소매통의 수직선 및 소매장식과 스터머커의 사선, 앙가장트 소매 레이스 장식의 곡선 등 다양한 선과 전체 포피 레드(Poppy red)색으로 강렬함의 표현효과를 나타내었다. 화려한 직물무늬의 스터머커는 꽉 찬 표면 효과를 나타내었다. 관찰의 우선성에서는 팔발라, 레이스로 된 앙가장트, 화려한 직물무늬로 된 스토마커는 복식의 가장자리 윤곽선을 고르지 않게 하여 개방형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복식 표면에 불명료함과 깊이감을 부여하여 입체감을 나타내며, 강조된 허리, 밀착된 소매로 입체적인 형태를 띠었다. 겉에 로브보다 속에 착용된 스터머커와 페티코트의 부분이 먼저 인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샬럿여왕이 착용한 로브는 들롱의 표현 효과 중 조형요소와 관찰의 우선성에서 볼 때 강렬함의 표현효과와 일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샬럿 여왕 복식은 난색 계열의 강렬한 원색과 명도 대비가 강한 색의 로브, 대조되는 형태 및 대각선이나 지그재그선 등 다양한 선을 사용해 흥분감을 나타내었다(Table 1).

2. 평온함(calmness)

Table 2A는 의회에 연설하러 가는 조지에게 용기를 주는 장면으로, 여왕은 모닝 미스트(Morning mist), 미스티 블루(Misty blue)색의 옅은 한색 로브를 착용하고 있다. 형들 간에 약간의 대비 또는 분명한 위계가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로브 중앙의 수직 장식선, 소매 수직선 등으로 인체의 축과 유사한 선들이 많이 이용되었다. 연속적인 가장자리와 차분한 바탕의 매끈한 표면의 재질을 나타내고 있다. 관찰의 우선성에서는 매끈한 소재로 명료한 표면을 이루나 광택소재로 불명료하게 표현되기도 한다. 로브 전체가 옅은 한색 계열의 색으로, 전체로 먼저 인지되어 전체-부분형이며, 상하 같은 소재와 색으로 공간통합형을 나타내며 인체선을 강조하여 드러내는 입체형이다. 복식조형 요소와 관찰의 우선성에서 볼 때 평온함의 표현효과를 많이 나타내고 있다.

Calmness expressed in the visual media

Table 4B는 오거스타 공빈을 돌려보내는 장면에서 여왕은 아이스 플로우(Ice flow)색 로브와 스터머커를 착용하여 차분한 분위기로 표현되었다. 의상의 부분이 먼저 인지되지만 앞 로브의 벌어진 스커트부분에서 인체축과 유사하게 아래로 내려가는 직선을 사용하여 들롱의 평온함의 조형요소와 동일하게 표현되었다. Table 4C는 오거스타 공빈을 만나러 가는 장면에서 여왕은 일루전 블루(Illusion blue), 차이나 블루(China blue) 색 로브 아 라 까라꼬(robe a la caraco)를 착용하고 있다. 상하가 분리되어 부분으로 먼저 인식되지만 상하가 같은 계열의 차분한 한색으로 평온함을 나타내며, 노출된 가슴부분과 허리띠 아래로 벌어진 상의의 삼각형 부분들은 유사한 형을 이루었다. 허리밴드로 인체를 강조하여 신체선을 나타내는 입체형이며, 평온함의 표현효과 중 평온함의 조형요소가 많이 표현되었다. 관찰의 우선성에서 인체에 착용한 복식이 배경과 분리되어 폐쇄형을 나타내었다.

Table 4D의 궁전을 안내하는 장면 경우, 여왕의 로브는 크고 작은 형들 간에 약간의 대비 또는 분명한 위계가 있으며, 헤더(Heather)색 로브를 착용하여 전체적으로 차분한 색으로 평온함의 요소를 나타내었다. 관찰의 우선성에 있어서는 로브와 스터머커가 같은 색으로 전체로 먼저 인지되어 전체-부분형이며 연속적인 가장자리선에 의해 폐쇄적으로 나타나 평온함의 표현효과를 나타내었다. Table 4E은 여왕이 조지왕에 대해 애거사 댄버리와 이야기하는 장면에서 더스크 블루(Dusk blue)의 한색 로브를 착용하여 배경과 떨어져 폐쇄형을 나타내고 있다. 페티코트, 스터머커, 로브 등은 같은 색상으로 전체-부분형, 공간통합형으로 나타났다. Table 2는 샬롯 여왕이 착용한 복식 중 평온함의 표현효과가 두드러진 복식을 나타내었다. 조형요소 중 부드러운 푸른 한색과 인체 축과 유사한 선, 연속적인 가장자리와 차분한 바탕에 매끈한 소재를 이용해 평온함이 표현되어 들롱의 이론에 부합되었다.

3. 강렬함(Strength)

Table 3A에서 샬럿 여왕은 비스크(Bisque)색의 페티코트, 스터머커, 로브 위에 아펜핀셔(Affenpinscher)색 펠리스(pelisse)를 착용하였다. 펠리스로 실루엣이 강조된 커다란 형태에 벨벳 외곽선이 연속적인 가장자리선을 나타내며 벨벳 재질로 가장자리가 매끈한 표면을 이루었다. 관찰의 우선성에서는 외투로 인체선이 드러나지 않은 평면형이며, 펠리스가 전체로 먼저 관찰되고 안의 스터머커와 페티코트가 다음으로 인지되어 전체-부분형을 이루며, 아펜핀서색 펠리스는 배경에서 분리되어 폐쇄형으로 나타났다. 복식요소와 관찰의 우선성에서 볼 때 강렬함의 표현효과를 뚜렷하게 나타내었다. Table 4B의 왕실 결혼식 준비 장면에서 여왕은 소테른(Sauterne)색 페티코트, 마졸리카 블루(Majolica blue)색 로브를 착용하였다. 로브가 전체로 먼저 관찰되고 안의 스터머커와 페티코트가 다음으로 인지되어 전체-부분형, 공간분리로 나타났다.

Strength expressed in the visual media

Table 3C의 대관식 장면에서 프레리 샌드(Prairie sand)색 로브는 로브 앞 가장자리의 지배적인 선으로 구성되며, 전체 로브가 먼저 인지되고 페티코트가 인지되는 전체-부분형이며, 색상에 따른 공간분리형을 나타내었다. 앞에서는 허리선을 나타내지만, 펠리스로 전체로 먼저 인지되며 평면형을 나타내었으며 명료하고 매끈한 색상으로 인해 인체를 드러내지 않아 평면형으로 관찰되었다. 오픈된 로브의 가장자리에 지배적이고 대담한 선이 강렬함의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Table 3D의 무도회에서 여왕은 모로코 블루(Moroccan blue), 라즈베리 레디언스(Raspberry radiance) 색 로브를 착용하고, Table 3E에서 착용한 로브는 그린 아이즈(Green eyes), 코랄 클라우드(Coral cloud)의 대비되는 색상과 지배적인 장식선, 화려한 레이스 장식의 앙가장트 소매, 로브의 스커트부분의 둥근선 장식 등은 강렬함의 효과를 더했다. 큰 실루엣, 전체부분, 공간분리 평면형 등으로 강렬함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Table 3F는 샬럿이 다이아몬드가 될 주인공을 찾는 장면으로 스털랙타이트(Stalactite)색 로브를 착용하고 여러 겹의 레이스로 장식된 앙가장트, 크기가 다른 리본으로 장식된 에셀 스토마커는 복식의 가장자리 윤곽선을 고르지 않게 하여 복식의 표면에 불명료함과 깊이감을 부여하여 입체적으로 연출한다. 오픈된 로브 사이로 페티코트의 레이스나 프릴이 보여 장식적이고 입체적으로 연출되었다. Table 4G에서 여왕은 파이어 월(Frie whir)색의 클락(clock)과 스털랙타이트색 로브를 착용하고 있다.

Table 4H는 다프네와 사이먼이 추진한 파티에 참석한 장면에서 여왕은 망가노 칼사이트(Mangano calcite) 와 마젠타 퍼플(Magenta purple)색 복식을 착용하고 있다. Table 4I의 여왕이 남편 조지를 찾으러 온 장면에서 후드 달린 잉카 골드(Ince Gold)색 펠리스에 바이올렛 아이스(Violet ice)색 로브를 착용하고 있다. 후드 달린 펠리스가 전체 실루엣을 나타내어 먼저 인지되어 전체부분을 이루며, 신체선을 가리는 펠리스로 평면형을 나타낸다. 펠리스로 인해 큰 실루엣으로 먼저 인지되어 전체-부분형을 이룬다. 외투의 가장자리가 연속선이며 주위 배경과 분리되어 폐쇄형을 나타낸다. 명료하고 매끈한 색상으로 인체를 드러내지 않는 평면형을 이루며 로브와 외투의 확연한 색상 구분으로 공간 분리형을 나타낸다.

Table 3J는 다프네와 사이먼 공작이 여왕에게 결혼 허락을 요청하는 장면에서 여왕은 패션 프루트(Passion fruit)색 로브와 대비되는 램스울(Lamb’s wool)색 페티코트를 착용하여 공간분리형과 전체 부분형을 이루었다. 무지의 로브와 무늬가 있는 스토머커 재질로 공간이 분리되고 페티코트 소재 전체에 화려한 무늬로 표면 재질을 꽉 채워 강렬함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여왕 복식은 복식 조형요소에서 외투를 활용하여 실루엣이 강조된 큰 형태, 강한 명도대비 색채, 지배적이고 대담한 선장식 등으로 강렬함의 효과가 두드러졌다. 복식의 조형 요소 외에 관찰의 우선성에서 전체부분형, 공간 통합, 폐쇄형 등으로 분석되어 들롱 이론의 강렬함 효과와 동일하며, 샬럿여왕 복식에서는 강렬함의 표현효과가 다른 표현효과에 비해 가장 많이 도출되었다.

4. 우아함(Delicacy)

Table 4A는 샬럿 여왕이 정원을 산책하는 장면이다. 여왕의 로브는 목선의 작은 프릴 장식과 리본의 둥근 형태와 선의 경우에는 리본과 소매단 레이스의 곡선, 목앞 트임의 사선 등 불연속적이고 가벼운 느낌의 선이 이용되었다. 따뜻하고 시원한 느낌의 엷은 색채인 앤티크 화이트(Antique white)색이 우아한 느낌으로 표현되며, 주변과 어울리는 개방형과 의상 전체가 같은 색으로 공간통합형을 이루었다. 얇고 부드러운 블라우스 소재, 앙가장트 소매의 레이스 소재나 목선의 프릴 등으로 불분명한 가장자리를 이루며 주변과 어울리게 연결되어 개방적으로 표현되었다. 의상은 허리선을 나타내는 입체형이며, 불명료한 표면으로 구성되었다. 허리벨트의 가로선을 중심으로 상하가 분리되어 부분 전체형을 이루며, 라인을 강조하여 입체형으로 표현되었다. 옅은 색, 불연속적인 선, 표면의 레이스장식 등 불명료한 표면으로 우아함을 나타내었다.

Delicacy expressed in the visual media

Table 4B는 실내 정원을 산책하는 장면으로, 여왕의 로브는 부드럽고 따뜻함을 주는 프렌치 바닐라(French vanilla) 색으로 목선과 앞중심의 작은 프릴장식과 소매단의 부드러운 곡선과 레이스 장식, 작은 문양 등은 우아함의 효과가 강조되어 표현되었다. Table 4C의 귀족 모임이 해산된 장면에서 여왕의 로브는 옅은 카놀리 크림(Cannoli cream)색, 둥근선, 작은 프릴장식으로 우아함의 조형요소로 구성되었다. 같은 색조로 공간이 통합되게 표현되며 인체를 나타내는 입체형에 주름 등으로 불명료한 표면과 불분명한 가장자리로 개방형으로 나타났다.

Table 4D는 여왕이 조지왕과 무도회에 입장하는 장면으로, 로브와 페티코트가 옅은 크리스탈 핑크(Crystal pink)의 부드러운 색과 의복 전체로 드레이프진 주름으로 불투명한 효과를 나타내며 관찰의 우선성에서는 부드러운 주름으로 개방적이며 입체적으로 표현되었고 로브와 페티코트가 같은 색조로 구성되어 의복 전체로 먼저 인지되어 전체-부분형을 나타내며 공간이 통합되게 나타났다.

여왕이 착용한 로브는 복식의 조형요소에서 주로 순수한 파스텔톤과 작고 둥근 장식요소, 불연속적이고 가벼운 느낌의 선과 관찰의 우선성에서 개방형과 입체형으로 우아함의 표현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샬럿의 젊은 시절 초기 영상매체에서는 우아함이 주로 표현되었으며, 여왕복식 전체로 볼 때 다른 표현에 비해 우아함의 표현효과가 적게 나타난 것으로 고찰되었다.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드라마에 착용된 샬럿 여왕 복식을 들롱 이론에 근거하여 표현효과를 분석한 결과, 샬롯 여왕이 착용한 복식은 극의 내용에 따라 강렬함, 흥분감, 평온함, 우아함의 표현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 들롱의 표현 효과와 일치하였다. 샬럿 여왕 복식은 난색 계열의 강렬한 원색과 명도 대비가 강한 색의 로브, 대조되는 형태 및 대각선이나 지그재그선 등 다양한 선을 사용해 흥분감을 나타내었다. 평온함은 부드러운 푸른 한색과 인체 축과 유사한 선, 연속적인 가장자리와 차분한 바탕에 매끈한 소재를 이용해 평온함이 표현되었다. 순수한 파스텔톤과 작고 둥근 장식요소들로 우아함의 표현효과를 나타내었다. 강렬함은 실루엣이 강조된 큰 형태, 강한 명도대비 색채, 지배적이고 대담한 선장식 요소로 표현되었다. 복식 요소 외에 관찰의 우선성에서 전체-부분형, 공간통합, 폐쇄형 등으로 강렬함의 표현효과가 가장 많이 도출되었다. 샬럿 여왕의 강하고 카리스마 있는 성향 때문에, 표현효과 중 우아함은 적게 나타났으나 강렬함이 가장 많이 도출되었다. 여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것에는 강렬함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상 그 외 가발,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가 여러가지 조형요소와 연관되어져 강렬함의 효과를 극대화시켰다. 여왕의 권위를 나타내기에는 강렬함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고찰되었다. 샬럿의 젊은 시절 초기에는 우아함이 많이 표현되었으나 절정기에는 권위와 강렬함이 강조되었다. 19세기 초기에는 여성들이 엠파이어스타일 복식을 주로 착용하지만, 여왕은 18세기 로코코시대 후기의 복식 특징을 나타내는 로브를 착용하여 여왕의 보수적인 성향을 상징하였다. 시대극 의상을 디자인할 때는 스토리와 캐릭터를 파악하여 표현효과에 따른 조형 요소와 관찰의 우선성 모두를 고려할 경우 표현효과를 극대화시켜 극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샬럿 여왕이 착용한 복식 중 의복 아이템 종류가 제한적으로 착용되어 형태 분류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들롱 이론을 토대로 한 복식 분석에 중요한 자료가 되며, 이는 시대 복식의 표현 효과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18세기, 19세기 시대 영화의상 뿐만 아니라 연극, 뮤지컬에서의 시대극 의상 디자인 및 제작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References

  • Anna O(Producer), Tom V(Director)(2023) Queen Charlotte: a Brigerton story [Film]. L.A: Shondaland
  • Bae SJ, Baek JH, OH HA(2016) Contemporary fashion & historic costume in the west. Seoul: Soohaksa, pp222-223
  • Cho YY, Yang SH(2003) The expressive effects of Queen Elizabeth I’s Robes in cinema. JKSC 53(3), 89-106
  • Chung, HJ(1997). A history of fashion. Paju: Gyomoons, p241
  • Jung SJ(2022) [Jung Soo-jin’s account sharing] “Bridgerton 2” and Regency’s “Hate Romance” restaurant. Available from http://bizhankook.com/bk/article/23511, [cited 2023 November 29]
  • DeLong MR(1998) The way we look: Dress and Aesthetics (2"d ed.). New York, NY: Fairchild Books. pp278-281
  • Emily Zemler, Everything Shiny and New Coming in ‘Bridgerton’ Season Two, shondaland, https://naver.me/x7nuZM2H/, [cited 2024 october 11]
  • Hammer Brush(2006) Regent fashion / Regency illustrations. Available from https://blog.naver.com/yc510/40023331617, [cited 2006 April 6]
  • Nasha Smith(2022) Bridgerton Season 2 Breaks Record To Become The Most Popular English Language Series On Netflix. Available from https://naver.me/5chvJtLo, [cited 2022 Apair 20]
  • Wikipedia(2024) Sophie Charlotte, Herzogin zuMecklenburg. Available from https://naver.me/50odCFOs, [cited 2024 October 9]
  • Keum KS 1997(as cited in DeLong MR 1987) The way we look (KS Keum, Trans.). Seoul: Ism (Original work published 1987), pp137
  • Kim JA, Trout BL(2010) The expressive effects of Queen Marie Antoinette’s costumes in the movies. J Korean Soc Cloth Text 34(12), 2039-2050. [https://doi.org/10.5850/JKSCT.2010.34.12.2039]
  • Kim JA(2012) The expressive effects of Louis XVI’s costumes in the movies. KSDC 18(1), 74-82
  • Kim JA(2016) Expressive effects of King Henry VIII’s costumes in films, J Korean Soc Cloth Text 40(3), 554-565. [https://doi.org/10.5850/JKSCT.2016.40.3.554]
  • Kim, JA(2022) The influence of Art Nouveau on Crimson Peak. Res J Costume Cult 30(1), 145-160. [https://doi.org/10.29049/rjcc.2022.30.1.145]
  • Kim JA(2023)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gency women’s costume in ‘Bridgerton’. Res J Costume Cult 31(6), pp824-836. [https://doi.org/10.29049/rjcc.2023.31.6.824]
  • Kim JA(2023) Expressive Effect of Queen Victorian Costumes in period drama. KCLS 34(3), 341-352
  • Kim MJ, Choi HS, Kim YH, Ha JS, Choi SH, Ko HJ(2010) Western fashion multi-contents, Paju: Gyomoons, p256
  • Lee JO, Choi YO, Choi KS(1999) A history of fashion west costume. Seoul: Hyungseul publishing company, pp269-281
  • Shonda R(Producer), Tom V(Director)(2020) Bridgerton [Film]. L.A: Shondaland
  • Shonda R(Producer), Tom V(Director)(2022) Bridgerton 2 [Film]. L.A: Shondaland
  • Yoon JY(2009) A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 of movie costume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Wolffin and DeLong. J Korean Soc Cloth Text 33(7), 1140-1151. [https://doi.org/10.5850/JKSCT.2009.33.7.1140/]

Table 1.

Excitement expressed in the visual media

Table 2.

Calmness expressed in the visual media

Table 4.

Delicacy expressed in the visual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