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27, No. S, pp.573-591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Oct 2016
Received 30 Sep 2016 Revised 19 Oct 2016 Accepted 21 Oct 2016
DOI: https://doi.org/10.7856/kjcls.2016.27.S.573

유형별 농촌마을의 색채 인식 비교 연구

김은자 ; 한채원 ; 임창수 ; 박미정 ; 최진아 ; 권순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in Rural Villages
Eun-Ja Kim ; Chae-Won Han ; Chang-Su Lim ; Mee-Jung Park ; Jin-Ah Choi ; Soon-Chan Kw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Correspondence to: Eun-Ja Kim Tel: +82-63-238-2615 E-mail: kej@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eople are making multilateral efforts to create beautiful agricultural landscapes.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do not blend i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which are mostly primary colors that are not chosen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was addressed in the three following steps: 1) Research tool was used to identify predominant colors and images that represent various types of rural areas; 2) landscape experts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and pilot study on using these colors; and 3) the main study was done by investigating how local people and out-of-town visitors perceive the colors. The village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projects were mostly represented by achromatic colors, meaning white, black, and variations of gray. Also, adjectives such as “modern” were shown to be keywords that symbolize the atmosphere. Less developed villages had more greenish colors and “natural” as their keyword. Developed villages in suburban areas were mainly represented by shades of blue and green, while less developed ones were mainly represented by green and yellow. In special types of rural areas, developed and developing were represented by achromatic and green colors, whereas less developed ones were represented by green and blue. Respondents were also asked 1)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village’s current overall color scheme and 2) whether they thought there was harmony between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tructures. People responded with “so so” for the first question, while some answered “not good enough” and “no” for the second.

Keywords:

rural villages, color perception, type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농촌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부터 현재의 일반 농산어촌 개발 사업에 이르기까지 농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 등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농촌마을 주민들의 행복지수를 증대시키고, 나아가 살고 싶은 농촌, 찾고 싶은 농촌을 이루어 농촌지역의 소득화, 활력화를 이루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농촌은 지역마다 고유한 이미지 전략을 개발하여, 농촌다움이 살아있는 아름다운 농촌을 만들어 주민들에게는 자부심과 소속감을 고취함은 물론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다.

농촌이미지는 농촌과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하나의 이미지로 인식, 기억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으로 특히 시각적, 정서적으로 강한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색채는 가장 중요한 이미지 형성인자로 그 비중을 차지한다(Kim 2010). 이는 그 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배경을 암시하고 나아가 지역성,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방안으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농촌색채의 정립은 각 농촌의 기능과 특성에 부합되는 농촌 이미지 연출을 위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기본계획이 수립되어져야 한다.

농촌의 경우 과도한 색채 사용 방지, 조화로운 색채 환경 형성, 획일적인 경관형성을 막기 위한 방안 도출은 여전이 미흡한 실정이며, 이는 대부분 도시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촌을 대상으로 한 객관적이고 색채 관리기법 연구는 확립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농촌은 대부분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방향을 설정하고 색채를 선정하는 경우가 많다(Lee 2011).

한편, 농촌경관은 자연환경이 우세한 지역으로, 농촌 환경색채는 자연환경색채와 인공 환경색채의 조화로움 속에서 이루어진다. 자연환경색채와 인공 환경색채의 부조화는 곧 자연경관을 해치는 요소로까지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마을 운동은 농촌의 초가지붕과 전통적 지붕을 사라지게 하고 원색계열의 지붕들을 탄생시켰으며, 이러한 현상은 현재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음에 따라 농촌경관의 전체적인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별 상징성을 중시하던 건축물 외관의 색채계획은 2000년 이후로 주변 경관과의 조화관계를 배려한 경향으로 점차 변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Lee 2011), 최근 급성장한 신재생 에너지 보급 사업은 농촌마을의 주택마다 주변의 자연환경색채를 고려하지 않은 천편일률적인 태양광판의 설치 등으로 인해 우수한 농촌경관을 훼손하는 요소로 기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높은 농촌관광수요가 늘어난다 해도 농촌다움이 살아있지 않은 무분별한 인공경관색채의 난무함으로 인해 지역이미지 형성에 있어 무의미함을 자아낸다. 농촌은 도시와 달리 자연환경색채와 인공 환경색채가 조화되면서 농촌의 정체성을 표출할 수 있는 경관색채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을 유형화하여 경관색채 개선을 도모하는 것으로,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을 대상으로 색채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녹색성장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에너지사업의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농촌마을 색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농촌마을의 유형별 특징에 따라 다수의 사람들이 공감하는 경관색채의 지향 이미지를 살펴봄으로써 농촌 이미지를 새롭게 구축하기 위한 구체적인 색채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농촌마을 유형

농촌마을의 입지유형에 관련된 연구는 1980년대 중반부터 농촌지역을 정주생활권 또는 지역사회로 인식하여 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Choi et al.(1985)는 시·군 행정구역을 단위로 분석을 한 후 전국의 144개 농촌지역 정주생활권에 대해 대도시근교형, 일반농촌형, 특수농촌형으로 구분하고 중심도시 인구 규모, 인구 증가율, 경지율을 유형화 지표로 삼아 지역유형을 구분하였다. Lee(1987)는 전국 139개 군 지역을 대상으로 53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후 11개 요인의 득점을 기초로 한 군집분석으로 지역유형을 수도권 대도시근교형, 목축·과수 어촌형, 서남해안 어촌형, 동남부공업화진행형, 접적지 및 태백 산간형, 영남 내륙형, 서남부 평야형, 발전 잠재형의 8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Shin(1993)은 정주권 개발 대상 794개 면 지역을 공간적 단위로 삼고 35개 지표를 이용한 주성분분석을 한 후 지역유형을 수도권근교촌, 내륙 교통중심촌, 제조업 중심촌, 내륙농업 중심촌, 해안 평야촌, 해안 관광촌, 산지관광촌의 7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Jang(1997)은 전국 1,257개 면지역 중 경지율을 기준으로 산간농업지역, 평지농업지역, 중간농업지역으로 구분하였고, Jung et al.(1999)은 전국의 읍·면 지역을 과소화 산간지역, 과소화 중간지역, 과소화 평야지역으로 구분하였다.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2002)에서는 전국 시·군 지역을 도시성, 농업성, 보전성에 따라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법에 의한 전문가조사를 토대로 8개 지역유형으로 구분하였다. Lim(2005)은 138개의 시·군을 각 농촌지역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다면적인 농촌정책 구상을 위해 유형화하여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Lee(2006)는 아름마을 가꾸기 시범사업을 대상으로 하여 23개 마을을 고찰 후 19개 마을을 크게 3개 유형으로 나누어 농촌 기반시설과 마을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Lee(2008)는 경상남도 14개의 읍·면, 199개 행정리와 262개 행정리를 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농촌입지유형별 농촌지역의 정주요인을 분석하였다. Yang et al.(2005)은 경상남도 5개 군을 대상으로 농산어촌지역 지대구분을 위한 구분기준과 지표를 개발하여 5개의 유형으로 나눈 지대 구분안을 도출하였다. Jang(2010)은 농촌과 주택의 유형을 농촌지역 특성과 건축적 함의에 관한 분석기준을 설정하여 4개의 마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Kim et al.(2014)은 농촌지역개발사업의 계획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2,934개의 마을을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Kim(2014)은 충청남도 16개 시·군에서 171개 읍·면지역을 대상으로 6유형을 분류하여 유형특성을 분석하였다.

유형 구분은 대체로 시·군을 단위로 하는 경우가 많고, 읍·면이나 마을을 단위로 하는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공간단위가 작아질수록 자료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주로 인구, 지리적, 경제적 특성에 관련된 지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색채 개선을 통해 정주생활권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Choi(1985)의 정주생활권의 구분을 나타낸 유형화 결과를 이용하여 대도시근교형, 일반농촌형, 특수농촌형으로 제시·추진하였다.

2. 경관색채

경관색채와 관련된 연구는 지역의 특성과 색채 분석 및 자연과의 조화성을 위한 색채 계획 관련 연구와 색채의 인식·선호도 조사 관련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먼저 지역과 경관 특성에 맞는 색채 분석 연구를 살펴보면, Kang(2015)은 김해시의 자연환경 및 문화자원을 중심으로 환경색채를 조사, 분석하고, 경관 특성을 형성할 수 있는 색채의 범위와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Lee et al.(2005)은 도시 주거공간의 부산지역 2곳을 선정하여 환경적인 영향 속의 색채 변화를 분석하였다. Kim(2013)은 연구대상지역을 천안과 아산으로 지정하여 그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울리는 일정한 범위의 색채를 제시하였다. Seo et al. (2011)은 도시정체성 확립을 위해 동해시의 경관과 조화되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Kim(2007)은 색채 조화론 등을 고려하여 시각적 조화와 질서를 주는 색채계획을 기본으로 하여 환경이 가지고 있는 스케일과 인간, 도시, 환경과의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Moon(2011)은 지역색의 개념과 홍성군의 건축 환경 색채 분석을 통해 색채사용에 있어 가감과 배색방향을 제시하였다. Moon et al.(2006)은 도시의 쾌적한 미적 환경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의 도시 전체의 색을 권역별로 분석을 실시한 뒤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이미지 연출방법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Lee et al.(2009)은 농촌지역에서 자연경관을 이루는 색채와 인공경관인 건축물의 지붕색채를 중심으로 지역의 아이덴티티 형성을 유도하는 색채를 도출하고, 도출 된 색채를 기반으로 마을 전체가 통일된 조화를 이루며 자연환경과 어울리는 일정한 범위의 색채조절의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그 곳에서 도출된 문제점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Lee(2012)는 현재의 농촌주택에서 색채계획의 잘못된 점을 조사하고 이를 기본으로 하여 환경설계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농촌 환경에 적합한 농촌주택의 색채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Lim(2012)은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하여 16개 시군의 구체적인 공공환경색채의 지침에 기초가 되는 큰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16개 시군의 권역별 이미지를 추출한 후 그에 따른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Yeo et al.(2013)은 농어촌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색에 맞게 대 권역 도시에서 수립된 색채가이드라인에 맞춰 소 권역 농어촌 지역의 색채가이드라인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im et al.(2009)은 연구대상지인 거제시 농촌지역에서 2001년부터 2006년에 걸쳐 시행된 ‘집단마을 지붕색채조절 사업’을 바탕으로 자연경관을 이루는 색채와 인공경관인 건축물의 지붕색채를 중심으로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환경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Lee et al.(2003)은 농촌마을의 경관색채를 조사 및 분석하고 농촌마을을 사회·물리적 환경에 따라 유형화하여 농촌마을 입지유형별 색채팔레트를 제시하였다.

경관색채 인식·선호도 관련 조사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Yoo et al.(2010)은 목포시의 주요 수변공간 가로변건축물들의 구성과 색채를 조사·분석한 후 이용자 평가를 통해 조사지역별로 수변공간의 가로변 건축물 경관색채의 미의식과 그 미적판단기준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경관색채 이미지, 구성원리, 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서 수변공간의 가로변 건축물의 지역별 경관색채 관리 및 계획을 위한 방향성 제시와 향후 색채계획 및 관리기준 설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Lee(1997)는 건축공간의 색채평가에 있어서의 남·여에 의한 공통점과 상의점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색채의 평가에 관한 기존 논문과 외장색채의 평가에 관한 기존 논문으로부터 얻어진 연구결과를 남·녀 별로 나누어 정량적으로 분석·비교하였다. Park et al.(2005)은 조사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전공, 지역 간의 색상의 인지도와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여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Kwon et al.(2005)은 인간 생활의 기본 요소인 주거 공간의 색채디자인 계획을 위해 색의 치료적 효과를 고려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Lee et al. (2005)은 지구별 경관색채현황을 조사하고, 경관을 바라보는 평가자의 시각에서의 면접조사·분석을 통해서 총체적인 색채 환경현황의 특성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향과 지향이미지를 제안하였다. 그 밖에 Hwang et al.(2005)은 색채에 관한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한국인의 주관적인 색채 감성을 객관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고 연구하고자 개발된 색채 감성 이미지 척도(PCIS)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상황 맥락이나 제품의 선호 색채연구에 적용한 사례 및 분석 결과들을 제시하였지만, 농촌의 색채 인식을 유형별로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촌마을을 유형화하여 유형의 특성이 반영된 경관 색채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을 대상으로 한 색채 인식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Ⅲ. 연구방법

1. 연구체계

본 연구는 유형별 농촌마을의 색채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Fig. 1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 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농촌마을 입지유형을 분류하고, 둘째, 색채관련 문헌을 통해 조사도구(안)을 개발하고, 셋째, 조사도구(안)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타당성 조사와 pilot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현지조사를 통해 유형별 농촌마을의 색채 인식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넷째, 조사결과를 정리하여 유형별 농촌마을의 색채 관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ig. 1.

Research process

2. 조사도구 개발

경관 및 환경색채 관련 선행연구 41건을 분석하여 입지유형별 이미지 및 대표색채 도출 의식 조사를 위한 조사도구(안)을 개발하였다. 농촌마을을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조사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농촌마을의 유형 구분은 본 연구가 농촌마을 색채 개선을 통해 정주생활권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Choi(1985)의 정주생활권의 유형화 결과에서 나타난 3가지 유형(대도시근교형, 일반농촌형, 특수농촌형)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구성 내용은 각각의 유형별 농촌마을 조사도구에 해당되는 개념정의(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 유형별 농촌마을의 경관 색채 사진 등을 참고자료로 제시하고, 이미지 및 색채 특성, 색채 인식, 일반 사항의 총 17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사진자료의 경우 대도시근교형, 일반농촌형, 특수농촌형의 농촌마을에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을 대상으로 일출 3시간 후부터 일몰 3시간 전 사이에 원경, 중경, 근경으로 디지털 사진촬영 한 것으로, 각각의 유형별 조사도구에 제시함으로써 본 조사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Table 1).

The contents of the investigative tool

‘농촌마을 유형별 이미지 색채 도출을 위한 조사도구(안)’의 내용적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전문가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타당성 조사는 총 8명의 전문가에게 2016년 5월 24일부터 31일까지 E-mail 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 조사의 내용은 유형별 조사도구의 구성 체계, 내용, 형용사 어휘 추출을 실시하였다. 형용사 어휘의 경우 Lee(2011)의 논문에서 언급하고 있는 농촌다움과 관련된 형용사와 농촌 경관 색채 관련 논문 34건에서 언급된 형용사의 빈도수에 따라 50개의 형용사를 추출하여 전문가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 후 응답빈도에 따른 순위 30개를 추출하였다(Table 2).

Adjectives

또한 조사도구(안)의 구성에 대한 이해 및 인지와 보완점 도출을 위하여 2016년 5월 31일 논산 황금빛마을에서 마을 주민 10명을 대상으로 pilot 조사를 실시하였다. pilot 조사 결과, 조사유형별 개념 정의를 추가하고, 형용사 어휘 정리와 설문 문항 수정, 중복의미 삭제 등을 수정·보완하였다.

3.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농촌마을을 정주생활권의 유형화로 나타낸 Choi(1985)의 연구결과에 따라 대도시근교형, 일반농촌형, 특수농촌형으로 농촌마을을 유형화하여 조사지역을 선정하였다. 주변에 대도시가 인접하여 도시적 건물의 특성이 나타난 마을을 의미하는 대도시근교형 농촌마을은 경기도 여주를 선정하였으며, 주민 대부분이 논, 밭농사에 종사하고 하천과 평야를 끼고 있는 형태의 마을인 일반농촌형 농촌마을로는 전라남도 담양을, 주민 대부분이 어업에 종사하며 도서 지역에 위치한 마을인 특수농촌형 마을은 제주지역으로 각각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해당지역의 20대 이상 마을주민과 내방객 210명을 대상으로 조사원이 조사대상자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뒤 설문에 응답할 것을 요청하는 자기기입식으로 이루어졌다. 유형별 응답자의 쉬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설문지에 제시되어 있는 대도시근교형, 일반농촌형, 특수농촌형 농촌마을 사진을 따로 확대 제시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토록 하였으며, 회수한 21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PC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인 빈도, 백분율 등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특성

응답자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3과 같이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의 남녀 비율은 남성 64.6%(129명), 여성 37.4%(77명)이며, 연령은 60대 이상 22.3%(46명), 50대 21.4%(44명), 20대 19.4%(40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회사원 39.0%(80명), 농업인 14.1% (29명), 주부 14.1%(29명) 등으로 나타났으며, 거주 지역은 농촌 54.4%(94명), 도시 45.6%(11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respondents (N=208)

2. 대도시근교형 농촌마을 조사 분석 결과

1) 농촌마을의 모습

제시된 대도시근교형 농촌마을 사진에서 농촌마을 이미지 반영 정도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 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반영하고 있음이 29.0%, 반영하고 있지 않다가 27.5%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반영하고 있음이 36.2%로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보다 반영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Reflection of rural village figure (N=69)

2) 농촌마을 색채와의 적합성

제시된 대도시근교형 농촌마을 사진과 농촌마을 색채와의 적합성에 관한 설문 결과, 에너지 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그렇지 않다가 31.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너지 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그렇다가 3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suitability of color and the rural village’s photo (N=69)

3) 농촌마을 연상 이미지

대도시근교형 농촌마을 사진을 보고 떠오르는 연상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 이미지가 5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딱딱한(30.9%), 복잡한(23.5%)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N=69)

4) 농촌마을 연상 색채

대도시근교형 농촌마을의 연상 색채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파란색 계열이 38.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무채색계열(27.9%), 녹색계열(19.1%)순으로 도출되었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녹색계열이 57.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무채색계(14.7%), 파란색계열(11.8%) 순으로 도출되었다.

Associated color of rural village (N=68)

5) 농촌마을 연상 색채에 따른 연상 이미지

농촌마을의 연상 색채에 따른 연상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이 49.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련된, 깨끗한 도 각각 29.0%, 27.5%로 도출되었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자연적인 이미지가 40.6%, 전통적인, 평온한, 소박한 이미지가 각각 27.5%로 조사되었다.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color (N=68)

6) 농촌마을 상징 색채

농촌마을 상징 색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청록색계(파란색계열)가 37.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청록색계(녹색계열)와 무채색계열이 각각 21.7%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청록색계(녹색계열)가 52.9%로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고, 황색계, 무채색계도 각각 17.6%, 13.2%로 도출되었다.

Symbol color of rural village (N=68)

7) 농촌마을 상징 색채

미래 농촌마을의 색채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 이미지가 35.3%, 자연적인 이미지가 30.9%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 있지 않은 마을은 자연적인 이미지가 29.4%, 평온한, 소박한 이미지가 각각 25.0%로 나타났다.

Future color of rural village (N=68)

8) 농촌마을의 환경색채 인식

농촌마을 환경색채 인식에 관한 설문은 총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크게 환경색채 만족도, 자연 환경과 인공 환경 조화 정도, 규제 및 통일성 필요정도, 관광산업에 도움되는 정도, 정서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대한 내용으로 구분되었다. 농촌마을의 환경색채에 관한 만족도는 보통이 40.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불만이 29.9%로 나타났다.

Environmental color satisfaction of rural village (N=67)

현재 농촌마을의 자연 환경과 인공 환경의 조화정도 분석 결과, 보통이 35.8%, 그렇지 않다가 31.3%로 조사되었다.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balance (N=67)

농촌마을 인공 환경 색채의 규제 및 통일성 필요 정도 분석 결과, 44.8%가 그렇다고 답하였고, 매우 그렇다가 22.4%로 색채 규제 및 통일의 필요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aturalNecessity of regulation and unity (N=67)

농촌마을 이미지에 맞는 색채로 개선 시 지역경쟁력과 관광산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관한 조사 결과, 그렇다가 44.8%로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Helpful to the regional competence and tourist industry (N=67)

농촌의 미관과 주변 환경 개선을 통하여 개선된다면 주민과 내방객에게 정서적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관한 조사 결과, 그렇다가 44.8%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고, 매우 그렇다가 31.3%로 대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Rural landscap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make an impact on resident (N=67)

3. 일반농촌형 농촌마을 조사 분석 결과

1) 농촌마을의 모습

제시된 일반농촌형 사진에서 농촌마을 이미지 반영 정도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반영하고 있음이 32.9%, 반영하고 있지 않다가 24.3%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잘 반영하고 있음이 34.3%,반영하고 있음이 32.9%로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보다 반영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Reflection of rural village figure (N=70)

2) 농촌마을 색채와의 적합성

제시된 일반농촌형 사진의 농촌마을 색채와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그렇지 않다가 3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그렇다가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suitability of color and rural village’s photo (N=70)

3) 농촌마을 연상 이미지

일반농촌형 사진을 보고 떠오르는 농촌마을의 연상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 이미지가 5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잡한(45.7%)/딱딱한(45.7%)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자연적인 이미지가 40.0%로 가장 높게 도출 되었으며 평온한(31.4), 소박한(31.4%)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N=70)

4) 농촌마을 연상 색채

일반농촌형 농촌마을의 연상 색채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무채색계가 45.7%로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파란색계열(18.6%), 녹색계열(18.6%)순으로 도출되었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파란색계열이 65.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무채색계(17.1%), 파란색계열(11.4%) 순으로 도출되었다.

Associated color of rural village (N=70)

5) 농촌마을 연상 색채에 따른 연상 이미지

일반농촌형 농촌마을의 연상 색채에 따른 연상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이 5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딱딱한, 복잡한도 각각 37.1%, 35.7%로 도출되었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자연적인 이미지가 50.0%, 평온한, 전원적인 이미지가 각각 34.3%, 30.0%로 조사되었다.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color (N=70)

6) 농촌마을 상징 색채

농촌마을 상징 색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무채색계열이 35.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청록색계(녹색계열)이 24.3%, 청록색계(파란색계열)이 22.9%로 나타났다.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청록색계(녹색계열)가 61.4%로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고, 황색계, 무채색계도 각각 12.9%, 11.1%로 도출되었다.

Symbol color of rural village (N=70)

7) 미래 농촌마을의 색채 이미지

미래 농촌마을의 색채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이 40.0%, 조화로운 이미지가 32.9%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 있지 않은 마을은 자연적인 이미지가 47.1%, 전통적인, 전원적인 이미지가 각각 28.6%, 22.9%로 나타났다.

Color of rural village in future (N=70)

8) 농촌마을의 환경색채 인식

농촌마을 환경색채 만족도에 관한 설문에서는 보통이 5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Environmental color satisfaction of rural village (N=70)

현재 농촌마을의 자연 환경과 인공 환경의 조화 정도 분석 결과, 보통이 34.3%, 그렇지 않다가 32.9%로 조사되었다.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balance (N=70)

농촌마을 인공 환경 색채의 규제 및 통일성 필요 정도 분석 결과, 그렇다가 51.4%로 색채 규제 및 통일의 필요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ecessity of regulation and unity (N=70)

농촌마을 이미지에 맞는 색채로 개선 시 지역경쟁력과 관광산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관한 조사 결과, 그렇다가 44.3%로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Helpful to the regional competence and tourist industry (N=70)

농촌의 미관과 주변 환경 개선을 통하여 개선된다면 주민과 내방객에게 정서적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관한 조사 결과, 그렇다가 61.4%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고, 매우 그렇다가 25.7%로 대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Rural landscap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make an impact on residents (N=70)

4. 특수농촌형 농촌마을 조사분석 결과

1) 농촌마을의 모습

제시된 특수농촌형 사진에서 농촌마을 이미지 반영 정도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의 경우 보통이다가 40.6%,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반영하고 있음이 40.6%, 잘 반영하고 있음이 34.8%로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보다 반영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Reflection of rural village figure (N=69)

2) 농촌마을 색채와의 적합성

제시된 특수농촌형 사진의 농촌마을 색채와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그렇다가 30.4%, 그렇지 않다가 29.0%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매우 그렇다가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suitability of color and rural village’s photo (N=69)

3) 농촌마을 연상 이미지

농촌마을의 연상 색채에 따른 연상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이 4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잡한, 딱딱한 도 각각 42.0%, 33.3%로 도출되었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소박한 이미지가 40.6%, 자연적인, 평온한 이미지가 각각 39.1%, 37.7%로 조사되었다.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N=69)

4) 농촌마을 연상 색채

농촌마을의 연상 색채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무채색계가 56.5%로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녹색계열(15.9%), 파란색계열(14.5%)순으로 도출되었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녹색계열이 66.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파란색계(14.5%), 무채색계열(8.7%) 순으로 도출되었다.

Associated color of rural village (N=69)

5) 농촌마을 연상 색채에 따른 연상 이미지

농촌마을의 연상 색채에 따른 연상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이 5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딱딱한, 어두운도 각각 40.6%, 29.0%로 도출되었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자연적인 이미지가 44.9%, 평온한, 전원적인 이미지가 각각 39.1%, 26.1%로 조사되었다.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N=69)

6) 농촌마을 상징 색채

농촌마을 상징 색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무채색계열이 44.9%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청록색계(녹색계열) 18.8%, 청록색계(파란색계열) 14.5%로 나타났다.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청록색계(녹색계열)가 71.0%로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고, 청록색계(파란색계열)는 11.6%, 무채색계열은 8.7%로 도출되었다.

Symbol color of rural village (N=69)

7) 미래 농촌마을의 색채 이미지

미래 농촌마을의 색채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현대적인이 46.4%, 세련된 이미지가 26.1%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 있지 않은 마을은 전원적인 이미지가 34.8%, 자연적인, 친근한 이미지가 각각 33.3%, 24.6%로 나타났다.

Color of rural village in future (N=69)

8) 농촌마을의 환경색채 인식

현재 농촌마을의 환경색채에 관한 만족도는 보통이 65.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만족이 21.7%, 불만이 11.6%로 도출되었다.

Environmental color satisfaction of rural village (N=69)

현재 농촌마을의 자연 환경과 인공 환경의 조화 정도 분석 결과, 보통이 52.2%, 그렇지 않다가 27.5%로 조사되었다.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balance (N=69)

농촌마을 인공 환경 색채의 규제 및 통일성 필요 정도 분석 결과, 50.7%가 그렇다고 답하여 색채 규제 및 통일의 필요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ecessity of regulation and unity (N=69)

농촌마을 이미지에 맞는 색채로 개선 시 지역경쟁력과 관광산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관한 조사 결과, 그렇다가 47.8%, 매우 그렇다가 29.0%로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Helpful to the regional competence and tourist industry (N=69)

농촌의 미관과 주변 환경 개선을 통하여 개선된다면 주민과 내방객에게 정서적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관한 조사 결과, 그렇다가 52.2%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고, 그렇다가 52.2%, 매우 그렇다가 21.7%로 대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Rural landscap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make an impact on residents (N=69)


Ⅴ. 요약 및 결론

인간은 환경을 인지할 때 87%이상 시각에 의존하며, 색채는 시각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색채는 경관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요인이자, 농촌경관 자원화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Lee 2011). 농촌의 환경색채계획은 지역의 자연경관에 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조화로운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구체적인 색채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다(Kim 2012). 이에 따라 지역성, 고유성의 농촌경관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연 경관색채와 인공 환경 색채와의 조화성이 시급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도구 마련은 현저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색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추진되었다. 특히 급성장한 농촌마을의 신재생에너지사업에 있어 태양광판의 설치 등으로 야기되고 있는 경관색채에 대하여 보다 실천적인 방향, 즉 자연 환경색채와 인공 환경색채의 조화로운 농촌 경관색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마을을 대도시근교형, 일반농촌형, 특수농촌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경기여주, 전남담양, 제주지역을 선정하여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210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Table 40과 같다.

Conclusion

첫째, 농촌마을의 색채와 이미지는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이 잘 반영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징 이미지는 에너지 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은 무채색계열과 “현대적인”, “복잡한”, “딱딱한”,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은 청록색계열(녹색계열)과 “자연적인”, “평온한”, “소박한”이 밀집되어 분포하였다. 이는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의 시설물 색채 등에서 도시적 특성을 가진 형용사와 무채색 계열 색채를 선택하였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에서는 자연과 어우러진 농촌의 모습을 느끼는 형용사와 녹색계열 색채를 선택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농촌마을 유형별 상징색채 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 대도시근교형의 경우 에너지사업이 들어간 마을의 상징 색채는 “파란색 계열”, “녹색 계열”의 순으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지 않은 마을의 상징색채는 “녹색 계열”, “황색 계열”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농촌형 조사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간 마을의 상징 색채는 “무채색 계열”, “녹색 계열”의 순으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지 않은 마을의 경우 “녹색 계열”, “황색 계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수농촌형 조사 결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간 마을의 상징 색채는 “무채색 계열”, “녹색 계열”의 순으로 나타났고, 에너지사업이 들어가지 않은 마을의 경우 “녹색 계열”, “파란색 계열”로 나타났다. 자연환경과 밀접한 농촌마을의 특성상 녹색 계열색이 유형별로 중첩되어 나타났고, 각 유형별 특성에 맞는 상징 색채가 도출되었다. 에너지사업이 들어간 마을의 색채는 자연환경과 조화로울 수 있도록 조정이 필요하며, 향후 도출된 계열에 맞는 세부적인 색채를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마을의 색채 인식 부문을 살펴봤을 때, 현재 농촌마을의 환경색채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자연환경과 인공환경 조화 정도는 보통, 그렇지 않다로 인식하였고, 색채의 규제 및 통일성의 필요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채개선이 지역경쟁력과 관광산업, 주민(내방객)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농촌마을의 환경색채에 대한 뚜렷한 인식과 조화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상태이나, 색채 규제와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농촌 유형에 따른 상징 색채와 이미지는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과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이 상반되게 나타났으며, 색채 인식은 전반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었으나 색채개선의 필요성 정도는 높게 나타나 앞으로의 색채개선 연구와 적절한 정책 개발이 요구된다.

이상의 분석된 결과를 가지고 일방적인 색채계획이 아닌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된 농촌 유형별 마을 색채계획을 수립하여 향후 마을 조성사업과 관련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개발사업, 경관색채 관련 사업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유형별로 설문 응답자를 대상으로 색채 이미지, 상징색채, 색채 인식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농촌에 거주하는 주민과 농촌을 찾아오는 내방객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 관점에서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더 나아가 전문가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농촌마을 색채에 대한 진단 역시 추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색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타당성 있게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형별 농촌마을 색채 연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from th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No. (PJ01098801)”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 Beak, SJ, (2008), A study on the exterior color of housing in rural area comparing with traditional housing color, Korean Hous Soc , 16(6), p157-166.
  • Byun, SM,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alettes and color schemes in Korean palaces of Chosun dynasty,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
  • Cho, BW, Kim, JY, (2004), Chungcheongnam-do region structure Analysis and respond way, Chungnam Institute basic project, 2004(04).
  • Choi, YB, (1985), Settlement zone set and categoriz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Chung, KW, Moon, SC, Min, SK, (1999), The problems and classification of over-depopulation areas in rural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 Dong, SS, (2012), Traditional elements of rural villages color analysi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 Jang, SJ, (2010), A study on the typology and evolution of villages and houses in rural areas - case study of 13 villages between the 1980s and 2010,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26(7), p63-74.
  • Jang, WH, (1997), Korea mountain regions seperation and character analysis, Ph.D. Dissertation, Kyoungbuk University .
  • Jo, WS, (2006),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color about fishing village and harbor in Gangwon East coast, J Korean Rural Archit , 8(3), p75-82.
  • Kim, EJ, Kwon, SC, (2015),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present condition and color elements in rural villages and houses, J Korea Fed Build Branch Collect , 17(5), p41-49.
  • Kim, HS, (2010), A study on sampling of endemic color of Seoul, J Korea Color Stud , 24(4), p27-39. [https://doi.org/10.17289/jkscs.24.4.201010.27]
  • Kim, JY, Gim, US, Oh, MT, (2004), Characteristic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Based on the Eup and Myon Areas of Chungcheongnam-do,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 26(1), p27-44.
  • Kim, KO, (2001), Study on the proposal on the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al color,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
  • Kim, LN, (2012), A study on the criteria for color selection of building facade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of color-scape,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 Kim, SJ, (2005), A study on the apartment coloring plan by special quality of region,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IT Deisgn Research Institute.
  • Kim, YH, Lee, MH, (2009), Study on color improvement for a regional landscape’s identity formation a case study - external color decoration improvement in rural area buildings, J Korean Design Sci , 22(4), p109-121.
  • Kim, YT, Choi, SM, Kim, HG, Im, SB, (2014),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system by rural village types, J Korean Rural Plan , 20(1), p37-49. [https://doi.org/10.7851/ksrp.2014.20.1.037]
  • Lee, DH, (2008), A comparative study of rural settlement conditions by types of rural location - case study of Goseong-gun in Gyeongnam Province -,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Lee, DJ, (2006),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 throuth facility improvement, Ph.D. Dissertation, Mokwon University .
  • Lee, HS,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color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colors, Master’s thesis, Dongseo University .
  • Lee, JH, (1987), Korea rural area categorization, Rural Econ , 10(4), p141-159.
  • Lee, JH, (2014), Storytelling method using for the urban color planning, Korean Content Sci J , 14(12), p102-111.
  • Lee, JS, (2012),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evaluation of 2D & 3D simulated streetscape, Korea J Color Stud , 26(3), p79-89. [https://doi.org/10.17289/jkscs.26.3.201208.79]
  • Lee, JS, Jin, EM, Jun, TK, Hong, LY, (2010), Framing a guideline for environment color to make rural landscape image, Korea J Color Stud , 24(3), p125-137. [https://doi.org/10.17289/jkscs.24.3.201008.125]
  • Lee, KS, (2009), Study on improvements of environmental color in public space: proposal for policy classification,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
  • Lee, SH, (2008),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lor planning officer.
  • Lee, SH, (2011), Landscape color planning of rural village with cultural climate - focus on GumCheon village, Korea J Color Stud , 25(2), p17-28. [https://doi.org/10.17289/jkscs.25.2.201105.17]
  • Lee, SU, Kwon, OS, Lee, HC, (2003), A dynamic community development model for rural development in Korea,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 13(1), p7-49.
  • Lee, Y, (2011), An alternative coloring selection approach for managing rural landscape,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YA, Tong, M, (2010), Research paper: an approach to determining rural rooftop color by environmental color extraction, Korea J Rural Plan , 16(3), p1-10.
  • Lim, OY, (2010), Environmental color study and analysis of chungnam province, Korea J Color Stud , 24(3), p101-111. [https://doi.org/10.17289/jkscs.24.3.201008.101]
  •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2), A Study on Land Aptitude Evaluation for Sustainable Country Assisted Management.
  • Park, HG, (2008), (A) study on the colorguideline of city image through the analysis of Samcheong-dong local colors, Mater’s thesis, Hong Ik University.
  • Park, KH, Jung, SK, Choi, WM, (2000), An analysi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gropolitan c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n Regional Develop Assoc, 3(2), p37-47.
  • Park, SH, (2001), The farming for 4th country synthesis plan practice-rural synthesis improving plan research,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Seong, JI, Song, MR, (2003), Regional classification and rural region type of characteristic, Korea Rural Econ Inst , 26(3), p1-22.
  • Shin, HC, (1993), A study on rural village and hous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Song, DB, Oh, NH, (2001),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rural communities in Chungnam Province, Korean Regional Develop Assoc , 13(3), p107-120.
  • Suh, JH, Kim, MC, Kim, JP, Hwang, JH, (2014), A study on color image analysis of the community center for improvement of the rural landscape, J Korea Design Knowl , 32(12), p209-220.
  • Yang, WS, Kim, YJ, Ko, YB, Yoon, YC, (2009), Classification of rural area by AHP method, Agric Life Sci , 43(1), p61-71.
  • Yeo, HS, Dong, SS, Suh, JH, (2010), A study about the improving rural landscape’s envrionmental color - focusing on the Gyeongju villages around the Roof Color, J Korea Design Knowl , 16, p63-71.
  • Yim, SH, (2005), An analysis of regional types of rural areas, Korean Association Regional Geographers , 11(2), p211-232.

Fig. 1.

Fig. 1.
Research process

Table 1.

The contents of the investigative tool

Section Contents Question number
Concept definition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
Photo Suburban rural village General rural village Special rural village -
Photo -
Image and color character Image reflection, image suitability, association adjective, association color 8
Color perception Color harmony in rural village, satisfaction, regulation and unity necessity 5
Personal data Gender, age, job, residence 4

Table 2.

Adjectives

① Energetic ② Familiar ③ Simple ④ Static ⑤ Natural
⑥ Rural ⑦ Peaceful ⑧ Traditional ⑨ Clear ⑩ Gentle
⑪ Monotonous ⑫ Harmonious ⑬ Beautiful ⑭ Sophisticated ⑮ Wildlife
⑯ Cheerful ⑰ Individual ⑱ Soft ⑲ Pure ⑳ Elegant
㉑ Noble ㉒ Hard ㉓ Modern ㉔ Preferred ㉕ Dark
㉖ Elevated ㉗ Safe ㉘ Complicated ㉙ Classical ㉚ Happy

Table 3.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respondents (N=208)

Section N(%) Section N(%)
Gender Male 129(62.6) Job Student 26(12.7)
Farmer 29(14.1)
Female 77(37.4) Employee 80(39.0)
Age 20 40(19.4) Self-employed 15( 7.3)
30 37(18.0) Housewife 29(14.1)
40 39(18.9) Others 26(12.7)
50 44(21.4) Residence Rural 94(45.6)
60 and over 46(22.3) City 112(54.4)

Table 4.

Reflection of rural village figure (N=69)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ergy business village 12(17.4) 20(29.0) 16(23.2) 19(27.5) 2(2.9)
Non-energy business village 17(24.6) 25(36.2) 16(23.2) 9(13.0) 2(2.9)

Table 5.

The suitability of color and the rural village’s photo (N=69)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ergy business village 12(17.4) 19(27.5) 13(18.8) 22(31.9) 3(4.3)
Non-energy business village 13(18.8) 25(36.2) 22(31.9) 7(10.1) 2(2.9)

Table 6.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N=69)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37(54.4) Natural 26(37.7)
Hard 21(30.9) Simple 24(34.8)
Clear 17(25.0) Peaceful 19(27.5)
Complicated 16(23.5) Rural 17(24.6)
Sophisticated 14(20.6) Familiar 15(21.7)
Monotonous 13(19.1) Monotonous 12(17.4)
Individual 12(17.6) Traditional 10(14.5)
Energetic 8(11.8) Pure 10(14.5)
Dark 6( 8.8) Static 8(11.6)
Safe 5( 7.4) Harmonious 6( 8.7)

Table 7.

Associated color of rural village (N=68)

Section(N/%) Red Yellow Green Blue Purple Achromatic
Energy business village 4(5.9) 1(1.5) 13(19.1) 26(38.2) 5(7.4) 19(27.9)
Non-energy business village 6(8.8) 5(7.4) 39(57.4) 8(11.8) 0(0.0) 10(14.7)

Table 8.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color (N=68)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34(49.3) Natural 28(40.6)
Sophisticated 20(29.0) Traditional 19(27.5)
Clear 19(27.5) Peaceful 19(27.5)
Hard 19(27.5) Simple 19(27.5)
Monotonous 15(21.7) Familiar 15(21.7)
Dark 10(14.5) Rural 13(18.8)
Energetic 12(17.4) Monotonous 12(17.4)
Individual 7(10.1) Pure 10(14.5)
Natural 6( 8.7) Clear 8(11.6)
Complicated 6( 8.7) Soft 8(11.6)

Table 9.

Symbol color of rural village (N=68)

Section(N/%) Achromatic Red Blue-Green (Blue) Blue-Green(Green) Yellow Purple
Energy business village 15(21.7) 6( 8.7) 26(37.7) 15(21.7) 3( 4.3) 4(5.8)
Non-energy business village 9(13.2) 7(10.3) 3( 4.4) 36(52.9) 12(17.6) 1(1.5)

Table 10.

Future color of rural village (N=68)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24(35.3) Natural 20(29.4)
Natural 21(30.9) Peaceful 17(25.0)
Clear 20(29.4) Simple 17(25.0)
Sophisticated 18(26.5) Traditional 16(23.5)
Harmonious 14(20.6) Familiar 15(22.1)
Energetic 12(17.6) Rural 12(17.6)
Cheerful 8(11.8) Pure 12(17.6)
Individual 8(11.8) Clear 10(14.7)
Safe 8(11.8) Harmonious 8(11.8)
Peaceful 7(10.3) Beautiful 8(11.8)

Table 11.

Environmental color satisfaction of rural village (N=67)

Section(N/%) High satisfaction Satisfaction Normal Dissatisfaction High dissatisfaction
Entire 2(3.0) 17(25.4) 27(40.3) 20(29.9) 1(1.5)

Table 12.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balance (N=67)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3(4.5) 14(20.9) 24(35.8) 21(31.3) 5(7.5)

Table 13.

NaturalNecessity of regulation and unity (N=67)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15(22.4) 30(44.8) 7(10.4) 9(13.4) 6(9.0)

Table 14.

Helpful to the regional competence and tourist industry (N=67)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18(26.9) 30(44.8) 7(10.4) 10(14.9) 2(3.0)

Table 15.

Rural landscap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make an impact on resident (N=67)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21(31.3) 30(44.8) 9(13.4) 7(10.4) 0(0.0)

Table 16.

Reflection of rural village figure (N=70)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ergy business village 6( 8.6) 23(32.9) 15(21.4) 17(24.3) 9(12.9)
Non-energy business village 24(34.3) 23(32.9) 14(20.0) 6( 8.6) 3( 4.3)

Table 17.

The suitability of color and rural village’s photo (N=70)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ergy business village 5( 7.1) 19(27.1) 15(21.4) 24(34.3) 7(10.0)
Non-energy business village 20(28.6) 26(37.1) 20(28.6) 2( 2.9) 2( 2.9)

Table 18.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N=70)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38(54.3) Natural 28(40.0)
Complicated 32(45.7) Peaceful 22(31.4)
Hard 32(45.7) Simple 22(31.4)
Monotonous 15(21.4) Rural 18(25.7)
Dark 14(20.0) Familiar 18(25.7)
Sophisticated 12(17.1) Traditional 15(21.4)
Individual 10(14.3) Static 14(20.0)
Clear 9(12.9) Beautiful 10(14.3)
Energetic 8(11.4) Pure 8(11.4)
Safe 7(10.0) Clear 7(10.0)

Table 19.

Associated color of rural village (N=70)

Section(N/%) Red Yellow Green Blue Purple Achromatic
Energy business village 6(8.6) 5(7.1) 13(18.6) 13(18.6) 1(1.4) 32(45.7)
Non-energy business village 0(0.0) 4(5.7) 46(65.7) 8(11.4) 0(0.0) 12(17.1)

Table 20.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color (N=70)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38(54.3) Natural 35(50.0)
Hard 26(37.1) Peaceful 24(34.3)
Complicated 25(35.7) Rural 21(30.0)
Energetic 14(20.0) Traditional 18(25.7)
Monotonous 14(20.0) Simple 17(24.3)
Dark 13(18.6) Familiar 16(22.9)
Sophisticated 12(17.1) Pure 10(14.3)
Clear 11(15.7) Monotonous 9(12.9)
Individual 10(14.3) Static 8(11.4)
Safe 7(10.0) Classical 6( 8.6)

Table 21.

Symbol color of rural village (N=70)

Section(N/%) Achromatic Red Blue-Green (Blue) Blue-Green(Green) Yellow Purple
Energy business village 25(35.7) 5(7.1) 16(22.9) 17(24.3) 4( 5.7) 3(4.3)
Non-energy business village 8(11.4) 2(2.9) 5( 7.1) 43(61.4) 9(12.9) 3(4.3)

Table 22.

Color of rural village in future (N=70)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28(40.0) Natural 33(47.1)
Harmonious 23(32.9) Traditional 20(28.6)
Clear 22(31.4) Rural 16(22.9)
Sophisticated 20(28.6) Peaceful 16(22.9)
Natural 16(22.9) Simple 16(22.9)
Energetic 16(22.9) Harmonious 15(21.4)
Safe 15(21.4) Beautiful 14(20.0)
Individual 14(20.0) Familiar 14(20.0)
Rural 13(18.6) Pure 12(17.1)
Beautiful 9(12.9) Clear 8(11.4)

Table 23.

Environmental color satisfaction of rural village (N=70)

Section(N/%) Highly satisfaction Satisfaction Normal Dissatisfaction Highly dissatisfaction
Entire 7(10.0) 15(21.4) 40(57.1) 7(10.0) 1(1.4)

Table 24.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balance (N=70)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4(5.7) 14(20.0) 24(34.3) 23(32.9) 5(7.1)

Table 25.

Necessity of regulation and unity (N=70)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6(8.6) 36(51.4) 11(15.7) 12(17.1) 5(7.1)

Table 26.

Helpful to the regional competence and tourist industry (N=70)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12(17.1) 31(44.3) 13(18.6) 11(15.7) 3(4.3)

Table 27.

Rural landscap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make an impact on residents (N=70)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18(25.7) 43(61.4) 5(7.1) 4(5.7) 0(0.0)

Table 28.

Reflection of rural village figure (N=69)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ergy business village 6( 8.7) 18(26.1) 28(40.6) 12(17.4) 5(7.2)
Non-energy business village 24(34.8) 28(40.6) 8(11.6) 8(11.6) 1(1.4)

Table 29.

The suitability of color and rural village’s photo (N=69)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ergy business village 3( 4.3) 21(30.4) 19(27.5) 20(29.0) 6(8.7)
Non-energy business village 23(33.3) 21(30.4) 14(20.3) 10(14.5) 1(1.4)

Table 30.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N=69)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32(46.4) Simple 28(40.6)
Complicated 29(42.0) Natural 27(39.1)
Hard 23(33.3) Peaceful 26(37.7)
Energetic 15(21.7) Familiar 23(33.3)
Sophisticated 13(18.8) Rural 17(24.6)
Safe 10(14.7) Pure 13(18.8)
Dark 9(13.0) Harmonious 10(14.5)
Individual 9(13.0) Classical 9(13.0)
Harmonious 7(10.1) Monotonous 9(13.0)
Natural 6( 8.7) Traditional 9(13.0)

Table 31.

Associated color of rural village (N=69)

Section(N/%) Red Yellow Green Blue Purple Achromatic
Energy business village 4(5.8) 5(7.2) 11(15.9) 10(14.5) 0(0.0) 39(56.5)
Non-energy business village 4(5.8) 3(4.3) 46(66.7) 10(14.5) 0(0.0) 6( 8.7)

Table 32.

Associated image of rural village (N=69)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41(59.4) Natural 44.9
Hard 28(40.6) Peaceful 39.1
Dark 20(29.0) Rural 26.1
Complicated 20(29.0) Simple 26.1
Sophisticated 17(24.6) Familiar 20.3
Energetic 9(13.0) Pure 18.8
Monotonous 8(11.6) Classical 17.4
Clear 7(10.1) Harmonious 15.9
Safe 7(10.1) Traditional 13.0
Natural 6( 8.7) Beautiful 11.6

Table 33.

Symbol color of rural village (N=69)

Section(N/%) Achromatic Red Blue-Green (Blue) Blue-Green(Green) Yellow Purple
Energy business village 31(44.9) 7(10.1) 10(14.5) 13(18.8) 3(7.2) 3(4.3)
Non-energy business village 6( 8.7) 3( 4.3) 8(11.6) 49(71.0) 3(4.3) 0(0.0)

Table 34.

Color of rural village in future (N=69)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Associated image N(%) Associated image N(%)
Modern 32(46.4) Rural 24(34.8)
Sophisticated 18(26.1) Natural 23(33.3)
Harmonious 16(23.2) Familiar 17(24.6)
Safe 15(21.7) Simple 16(23.2)
Energetic 13(18.8) Harmonious 15(21.7)
Natural 12(17.4) Traditional 13(18.8)
Complicated 12(17.4) Pure 13(18.8)
Individual 11(15.9) Peaceful 12(17.4)
Beautiful 8(11.6) Beautiful 9(13.0)
Soft 8(11.6) Classical 9(13.0)

Table 35.

Environmental color satisfaction of rural village (N=69)

Section(N/%) Highly satisfaction Satisfaction Normal Dissatisfaction Highly dissatisfaction
Entire 0(0.0) 15(21.7) 45(65.2) 8(11.6) 1(1.4)

Table 36.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balance (N=69)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2(2.9) 10(14.5) 36(52.2) 19(27.5) 2(2.9)

Table 37.

Necessity of regulation and unity (N=69)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12(17.4) 35(50.7) 13(18.8) 9(13.0) 0(0.0)

Table 38.

Helpful to the regional competence and tourist industry (N=69)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20(29.0) 33(47.8) 10(14.5) 5(7.2) 1(1.4)

Table 39.

Rural landscap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make an impact on residents (N=69)

Section(N/%) Strongly agree Agree Neutral Disagree Strongly disagree
Entire 15(21.7) 36(52.2) 14(20.3) 4(5.8) 0(0.0)

Table 40.

Conclusion

Type Suburban General Special
Energy business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Energy business village Non-energy business village
Symbol color Blue, Green Green, Yellow Achromatic, Green Green, Yellow Achromatic, Green Green, Blue
Color and image Energy business village Achromatic, "Modern, Complicated, Hard"
Non-energy business village Green, "Natural, Peaceful, Simple"
Color perception - Environmental color satisfaction: normal
-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 Environment balance: neutral, disagree
- Regulation and unity necessity, regional competence and tourist industry, impact on resident: ag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