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무플라주 룩에 나타난 패션 이미지와 코디네이션 기법 분석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shion image and coordination technique using camouflage pattern which is emerging as a trend of fashion in recent years. To this aim, camouflage fashion photos of the last three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camouflage pattern of military fashion’s rough and masculine image appeared not only in sporty casual, bohemian image and classical image, but also as romantic and feminine image, which shows that camouflage is now widely used as a variety of images by widening the range of existing images. To make these images, various coordination may be used such as piece, crossover, layered, plus one, and optional. Accordingly, this can suggest the coordination of the camouflage look which is changing variously from the existing image.
Keywords:
camouflage, fashion image, fashion coordinationI. 서론
트렌드를 넘어 변함없이 사랑받고 있는 밀리터리 룩의 대표적인 요소인 카무플라주 패턴은 중성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젠더리스 룩이 떠오르면서 다시금 주목받고 있으며(Choi 2018) 2018년 패션 트렌드 중 하나가 되었다.
카무플라주는 밀리터리 위장 패턴(military camouflage pattern)으로서 적으로부터 아군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안된 일종의 보호색과 같은 군복 특유의 패턴이다(Yun 2016). 이러한 이유로 카무플라주는 여전히 군사적 아이덴티티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현재 카무플라주 패턴은 일반인들에게 익숙하고 군사적 의미가 아닌 개성을 보여주는 패턴이며(Kim 2017), 더 이상 감추는 것이 아닌 드러내는 것이라는 새로운 목적성을 가지게 되었으므로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Hwang 2010).
최근 카무플라주 패턴은 기존의 군복의 이미지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귀엽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나 전통적인 이미지와의 다양한 접목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색채에 있어서도 그린, 브라운에서 탈피하여 핑크나 퍼플과 같은 여성스러운 컬러에서부터 빨강, 파랑, 노랑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나타나고 있다. 카무플라주 패턴은 더 이상 위장으로서 사용된 밀리터리의 전유물이 아닌 매력적인 패션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렇게 변화된 카무플라주 패턴에 의해 새로운 이미지로 재창조되고 있는 카무플라주 룩에 대한 학문적 재정립의 필요성을 가지며 체계적인 코디네이션 기법의 도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패션 컬렉션은 패션 코디네이션을 총체적으로 볼 수 있는 좋은 예시가 되고, 패션 코디네이션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Choi 2009) 패션 컬렉션을 통해 카무플라주 패턴이 만들어 내는 다양한 패션 이미지를 분류하고 디자이너가 표현해내는 독특한 연출 방법을 분석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카무플라주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카무플라주 패턴의 특성에 관한 연구(Sa 2003; Hwang 2010; Yun 2016; Kim 2017)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카무플라주 패턴을 응용하여 제품을 개발한 연구(Han 2013; Shin 2013; Jeong 2016)가 있었다. 그리고 스트리트 패션에 초점을 맞추어 카무플라주를 포함한 밀리터리 룩의 디자인 요소와 스타일 유형을 분석한 연구(Kim & No 2018)가 있었으나 현대 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룩의 패션 이미지를 분류하고 코디네이션 기법을 접목시켜 분석한 사례는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패션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카무플라주 패턴이 만들어내는 패션 이미지와 코디네이션 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카무플라주 룩의 다양한 패션 이미지 연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로서 카무플라주의 유형을 정리하고, 패션 이미지와 코디네이션 기법을 정리하고자 하며, 실증적 고찰로서 최근 3년간 국·내외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룩의 패션 이미지와 코디네이션 기법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카무플라주
카무플라주는 프랑스어 camoufler(변장하다)에서 파생된 용어로 유기체의 몸 빛깔을 주변 환경과 식별하기 어렵게 위장하여 적으로부터 유기체의 몸을 숨기는 방법(Yun 2016)을 뜻한다. 사전적 정의로는 명사 ‘군인·장비의 위장’, ‘보호색이나 형태(Naver English Dictionary 2018) 등을 통한 동물들의 위장’이란 의미와, 동사 ‘위장하다, 감추다’의 의미가 있다.
카무플라주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사냥꾼들은 맹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동물들의 카무플라주 효과를 적용하여 가죽, 깃털, 나뭇잎 등으로 위장했으며(Sa 2003), 이는 나아가 전쟁에도 사용되어 전쟁무기를 주변 자연과 구별될 수 없게 하여 공격과 방어에 용이하도록 카무플라주 문양을 접목하였다(Shin 2013). 이러한 밀리터리 카무플라주 패턴은 초기에 단순한 형태로 고안되어 18세기 중반 저격수나 소총 부대가 그들의 유니폼으로 녹색이나 칙칙한 색상의 군복을 입음으로써 현실화되었다.
현대적 의미의 카무플라주 패턴이 군복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16년 독일의 특수부대원, 참호 기습 부대원 등과 같은 정예 군들이 녹색, 갈색, 회색의 조각 패턴을 헬멧에 칠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독일의 ‘splinter’ 패턴, 영국의 ‘Denison’, 미국의 ‘woodland’ 패턴 등으로 발전되었다(Yun 2016).
그중 우드랜드 패턴은 전 세계 삼림의 형태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그 모양과 색을 조합하여 만든 패턴으로 세계의 어느 지형에서나 잘 어울리도록 설계되었다(Kim 2011). 또한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의 표준 위장 무늬 전투복이라는 이유로 인해 세계 각국에 큰 영향을 끼쳤는데, 이것을 본뜬 위장 무늬도 세계 각국에서 등장했을 뿐만 아니라 냉전 종식으로 미군이 축소되면서 잉여품 전투복이 세계 각지로 수출돼 90년대 후반에 이르면서 세계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위장복, 가장 일반화된 위장 무늬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Hong 2011; Han 2013).
이처럼 초기 카무플라주 패턴은 패션이 아닌 은신의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카무플라주는 군사적 아이덴티티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점차 범위를 넓혀 발전되어왔고 특히 패션이나 예술 등 대중문화의 핵심 분야에서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Hwang 2010). 카무플라주의 디자인적 가치는 매우 뛰어나 지속적으로 유행 패션에 등장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대중적으로 사랑받아오고 있다.
카무플라주 문양의 유형은 밀리터리 카무플라주 패턴을 기본으로 한 선행연구(Han 2013; Shin 2013; Yun 2016; Kim 2017; Camopedia 2018)를 참고로 다음 7가지로 정리하였다.
① 우드랜드 기본 패턴(Woodland Basic Pattern)
세계에서 가장 흔한 일반적 위장 무늬로 리프 패턴의 계량형 패턴이다(Han 2013). 형태 위주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컬러감의 우드랜드 패턴과 추가로 그림이 들어간 경우, 퍼즐형의 우드랜드 패턴 역시 포함한다.
② 우드랜드 소프트 변형 패턴(Woodland Soft Pattern)
우드랜드 패턴을 곡선적으로 변형한 패턴으로 도트나 마블링 형태의 카무플라주를 포함한다.
③ 우드랜드 하드 변형 패턴(Woodland Hard Pattern)
우드랜드 패턴을 직선적으로 변형한 패턴으로 브러쉬나 초코칩 형태의 카무플라주를 포함한다.
④ 동물의 피부에서 착안한 패턴(Animal Pattern)
동물의 피부에서 모티브를 얻어 양식화시킨 패턴이다. 패션에서의 동물 패턴은 그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동물 문양의 경우 카무플라주의 기본 패턴인 우드랜드 문양이 동일 컬렉션에서 사용되었거나 밀리터리 컨셉의 컬렉션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⑤ 식물에서 착안한 패턴(Plant Patterns of flowers or leave)
식물의 형태에서 모티브를 얻어 양식화시킨 패턴이다. 패션에서의 식물패턴은 그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동물 문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는 카무플라주의 기본패턴인 우드랜드 문양이 동일 컬렉션에서 사용되었거나 밀리터리 컨셉의 컬렉션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⑥ 자연물에서 착안한 패턴(Natural Patterns)
동·식물을 제외한 자연물을 모티브로 한 패턴으로 비, 안개, 구름 등과 같은 자연물에서 모티브를 얻어 양식화시킨 패턴이다. 동·식물 문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는 카무플라주의 기본 패턴인 우드랜드 문양이 동일 컬렉션에서 사용되었거나 밀리터리 컨셉의 컬렉션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⑦ 디지털 패턴(Digital Pattern)
카무플라주 패턴을 픽셀화한 패턴이다.
이상의 카무플라주의 유형별 대표 문양을 Table 1에 정리하였다.
2. 패션 이미지
패션 이미지란 패션이 전달해 주는 전체적인 느낌으로 카무플라주의 형태, 색채, 재질 등에 따라 전달되는 이미지가 다르게 표현되며, 패션 이미지는 패션 스타일 분류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Lee 2004).
패션 이미지는 본 연구에서 분석을 위해 사용한 이미지인 스포티 캐주얼, 로맨틱 페미닌, 보헤미안 에스닉, 클래식, 모던 시크의 5가지 패션 이미지로 정리하였다.
스포티 캐주얼 이미지는 스포츠 웨어가 갖는 기능성과 편안함을 일반 의복에 도입한 활동적이고 간편한 스타일이다(Park et al. 2006). 주로 신축성 소재나 방·발수성 소재, 로고 그래픽을 사용하며(Han & Kim 2014) 자연스럽고 경쾌해 보이는 헤어와 선명한 색상을 이용한 메이크업(Lee 2003) 등을 활용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오늘날 일상복으로도 착용되는 기능성 스포츠 웨어로 패션 감각을 지닌 작업복이나 운동복을 스포츠 캐주얼 이미지라 정의하고, 이에 속하는 패션으로 사파리 룩, 스포츠 웨어 룩, 워크 웨어 룩, 군복 스타일로 분류(Choi 2009)하기도 하였다.
로맨틱 페미닌 이미지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부드러운 곡선적 실루엣과 화려한 장식이나 디테일로 표현한 이미지이다. 어깨나 가슴, 허리, 힙선을 강조(Lee 2004)하여 귀엽고 사랑스러운 스타일로 연출하며, 낭만적인 느낌을 위해 플라워나 도트, 동화적 문양 등을 사용한다(Han & Kim 2014). 주로 새틴이나 벨벳, 실크, 시폰 등의 고급 소재의 아이템에 화려한 액세서리를 활용하기도 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페미닌 이미지를 로맨틱 감각의 여성적이고 사랑스러운 스타일로 정의(Lee 2003)하거나 관능성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를 섹시 페미닌 이미지라 정의(Je & Lee 2009)하기도 하였다.
보헤미안 에스닉 이미지는 각 문화권의 민속의상이나 목가적인 낭만, 자연미와 같은 소박한 감성과 함께 히피나 집시 등의 자유분방함을 표현한 이미지이다. 주로 거친 면, 마직, 가죽, 스웨이드와 같은 천연소재와 트위드, 코듀로이, 데님, 니트 등을 사용(Han & Kim 2014)한다. 자수, 아플리케, 패치워크, 민속 문양 등의 모티브가 사용되며, 천연소재와 자연 색채를 이용(Park 2004)하여 신체를 구속하지 않는 편안하고 친근한 실루엣을 강조한 스타일이다. 또한 인위적인 것들로부터 벗어나 자연으로 돌아가고픈 현대인의 소망을 담아 표현한 내추럴 이미지(Lee 2004)로 정의하기도 하였다.
클래식 이미지는 고전적, 전통적이란 의미(Park et al. 2006)로 유행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보수적인 스타일(Yoon 2017)이다. 세대를 초월한 가치와 보편성을 갖는 이미지(Lee 2003)를 뜻하며,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따뜻하고 깊이 있는 색상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립심이 강한 여성의 감성(Yoon 2017)으로 남성적 이미지가 강하게 가미(Han & Kim 2014)되어 표현된 스타일인 매니시를 포함하여 품위 있으며 안정감 있는 절제된 스타일로서 정의하였다.
모던 시크 이미지는 엘리트적 감각의 단순하고 베이직한 룩으로 문명화된 사회의 도시적 세련미가 느껴지는 스타일(Park 2004)이다. 의복에 있어 불필요한 장식 등을 삭제하고 가장 간결하게 표현되는 이미지(Je & Lee 2009)로서 단순화된 라인이 특징이다. 또한 모던과 현대적 세련미가 조화된 스타일로서 스트레이트 실루엣을 주로 사용한다.
3. 패션 코디네이션
패션 코디네이션은 두 가지 이상의 아이템들을 통합, 조정하는 것으로 의상과 액세서리, 헤어 및 메이크업 등에서 형태나 색채, 소재 등이 갖고 있는 요소들의 공통성이나 상호 연관성에 따라 분류하고 재배치하는 것으로 패션에 의해 만들어지는 무형의 이미지가 바로 패션 코디네이션의 궁극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Lee 2003).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피스, 크로스오버, 레이어드, 플러스원, 옵셔널, 미스매치, 시프트의 7가지 코디네이션 기법으로 정리하였다.
피스 코디네이션은 피스(piece)의 ‘조각, 단편, 일부분’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바탕으로 각각 떨어져 있는 아이템의 단순한 조합(Je & Lee 2009)을 의미한다. 가장 대중적인 스타일링 방법으로 패션에서는 상의로 블라우스, 셔츠, 스웨터, 베스트, 재킷 등이 있고 하의로 스커트, 팬츠가 있으며 전의로는 원피스, 코트 등의 단품(Choi 2009)을 가리키며 이와 같은 단품들을 조화롭게 꾸미는 방법을 말한다.
크로스오버(crossover) 코디네이션은 ‘교체하다’, ‘엇갈리다’의 의미로 이질적인 두 개의 것을 믹스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 것(Kim et al. 2005)을 말한다. 즉 성질이 다른 것을 하나로 융합시키는 것(Lee & Shin 2000)을 의미하며, 재질, 모양, 감각적 분위기가 다른 개체를 짜 맞춤으로 해서 오는 기묘함과 의외성을 매력으로 추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여성·남성적, 동·서양, 엘레강스·스포티와 같은 상반되는 이미지의 연출 요소에 의한 믹스 앤 매치나 이질적인 소재의 믹스 앤 매치, 그리고 계절을 대표하는 아이템끼리의 믹스 앤 매치 등과 같은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Park 2003)을 의미한다.
레이어드(layered)란 ‘층을 이루고 있는, 켜로 된’이란 뜻으로 패션에서의 레이어드는 두 개 이상의 아이템을 겹쳐 입는 것을 의미(Choi 2009)하며 자연 보온이 필요한 가을, 겨울에 주로 활용(Kim & No 2018)하는 코디네이션 방법이다. 여러 가지 레이어드 테크닉에 의해 드레스 온 스커트, 팬츠 온 드레스, 팬츠 온 스커트, 동일 아이템끼리의 레이어드, 니트 세트 스타일링, 슈퍼 스타일링(Choi 2009)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나눠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이템을 크게 상의, 외투, 하의로 나누어 아이템의 중복 착장이 일어난 경우를 레이어드 코디네이션에 포함하였다.
플러스원(plus-one) 코디네이션은 기본이 되는 어떤 스타일에 한 가지 아이템을 더해서 새로운 이미지로 변화시키거나 기존의 이미지를 더욱 풍부하게 부각시켜(Je & Lee 2009) ‘시각적인 돋보임’(Choi 2009)을 위한 연출 방법이다. 스카프, 벨트, 모자, 목걸이, 가방 등의 액세서리를 활용하여 포인트를 주는 방법이 주를 이루며, 일상적인 옷차림을 탈피한 변화론적 방법과 보조적인 연출로 의복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연출한 조화론적 방법(Lee 2003)이 있다.
옵셔널(optional) 코디네이션은 특정한 스타일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좋아하는 의복을 골라 이상적으로 연출하여 새로운 스타일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파츠 코디네이션이라고도 한다(Kim et al. 2005). 즉 옵션 룩은 현대인들의 센스, 입는 방법, 코디네이션에 의해서 새로운 매력을 제시하며, 사람들의 자유선택에 따라 코디네이션이 완성(Lee & Shin 2000)되는 패션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깨에 걸치거나 허리에 두르는 등 기본적인 착용법을 벗어난 독특한 착장법으로 스타일링 한 경우를 옵셔널 코디네이션에 포함하였다.
미스매치(mismatch) 코디네이션은 본래의 용도에서 벗어나거나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것과의 매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의외성이 주는 진기함을 추구하는 스타일링으로 이질감 속에서 새로운 스타일링의 발상(Oh 2006)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부조화가 일어나 잘못 입은듯한 느낌이 드는 의상, 또는 속옷의 겉옷화가 이루어진 경우를 미스매치 코디네이션에 포함하였다.
시프트(shift)란 ‘이동하다, 바뀌다, 변화하다’라는 뜻으로 시프트 코디네이션은 옷을 마음대로 바꿔 입는 방법을 의미(Choi 2009)하며, 수트(suit)가 그 대표적 아이템으로 서로 다른 수트의 상‧하의를 교차하여 자연스러운 매칭으로 스타일링 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패턴은 같지만 컬러가 달라 서로 다른 짝을 입은듯한 의상을 시프트 코디네이션에 포함하였다.
Ⅲ. 연구방법
본 연구는 최근 패션 트렌드로 다양한 아이템에 적용되고 있는 카무플라주 룩의 패션이미지와 코디네이션 기법을 분석하고 이로써 카무플라주를 활용한 다양한 패션 이미지 연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고찰로서 논문과 국내 서적,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및 네트워크 검색 등을 통해 카무플라주 개념과 유형, 패션 이미지와 코디네이션 기법을 정리하였다.
카무플라주의 유형은 선행연구를 참고로 기본 우드랜드, 소프트 우드랜드, 하드 우드랜드, 동물, 식물, 자연물, 디지털 무늬 총 7가지로 범주를 정하였다. 단, 동물무늬와 식물무늬 유형인 경우에는 카무플라주의 표현인지 단순히 동·식물의 표현인지 그 경계가 모호하여 밀리터리 카무플라주의 기본 개념에서 너무 벗어나지 않도록 패션쇼의 컨셉이 밀리터리인 경우로 한정하였다.
패션 이미지는 본 연구에서 분석을 위해 사용한 이미지인 스포티 캐주얼, 로맨틱 페미닌, 보헤미안 에스닉, 클래식, 모던 시크의 5가지 패션 이미지에 맞추어 정리하였다.
패션 코디네이션은 피스, 크로스오버, 레이어드, 플러스원, 옵셔널, 미스매치, 시프트 7가지로 정리하였다.
실증적 고찰로서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룩을 수집하여 패션 이미지별, 패션 코디네이션 기법별로 분류, 분석하였다.
카무플라주 룩 수집은 2016년 S/S를 기점으로 2016F/W, 2017S/S, 2017F/W, 2018S/S, 2018F/W 6개의 시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그 코리아(www.vogue.co.kr)의 레디 투 웨어(Ready to Wear), 오뜨 꾸뛰르(Haute Coutre), 서울 패션위크(Seoul Fashion Week), 리조트(Resort) 컬렉션을 포함하였다. 카무플라주 룩의 범주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리한 카무플라주의 유형(Table 1)에 해당하는 문양이 포함된 사진 268장을 수집하였다.
패션 이미지 분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클래식, 엘레강스, 로맨틱, 에스닉, 컨트리, 스포티, 매니시, 시크, 모던, 아방가르드 10가지의 이미지로 분류하였으나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카무플라주 룩은 복합적인 이미지를 담아내는 경우가 많고 이미지의 경계가 모호하여 아이템이나 디테일이 유사한 패션 이미지끼리 묶어 스포티 캐주얼, 로맨틱 페미닌, 보헤미안 에스닉, 클래식, 모던 시크, 아방가르드 총 6가지의 이미지로 재분류하였다.
패션 코디네이션 기법 분류는 이론적 고찰에서 정리한 피스, 크로스오버, 레이어드, 플러스원, 옵셔널, 미스매치, 시프트의 총 7가지 기법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션 이미지와 패션 코디네이션 기법을 교차분석하여 카무플라주 룩의 패션 이미지별 코디네이션 기법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7장의 빈도를 보인 아방가르드 이미지는 7가지의 코디네이션 기법으로 분류하기에는 그 결과 해석이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아방가르드 이미지를 제외한 스포티 캐주얼, 로맨틱 페미닌, 보헤미안 에스닉, 클래식, 모던 시크 5가지 이미지의 사진 261장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진 선정의 객관성 및 정확한 분석을 위해 의류학 전공 교수, 박사, 대학원생의 여러 차례 검증을 거쳐 정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1.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 이미지 분석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이미지는 스포티 캐주얼, 로맨틱 페미닌, 보헤미안 에스닉, 클래식, 모던 시크의 5가지 이미지로 분류되었다.
스포티 캐주얼 이미지는 스포츠 웨어의 기능성과 편안함을 추구하는 활동적이고 캐주얼한 스타일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스포티 캐주얼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스포츠 아이템을 활용한 스포티 스타일, 여유 있는 핏과 즉흥적 감각의 힙합 스타일, 캠핑이나 등산과 같은 야외 활동에 용이한 캠핑 룩 스타일이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1~4와 같다.
Fig. 1은 스포티한 이미지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트레이닝복 셋업과 카무플라주 다운재킷에 운동화, 그리고 볼캡을 매치시켜 스포티 이미지를 극대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스타일링에 전체적으로 비비드한 블루 컬러를 사용하여 스포티 이미지의 다이나믹하고 액티브한 느낌을 부각시켰다. Fig. 2는 스포티한 이미지를 나타내 줄 수 있는 볼캡과 좌우로 화이트 컬러 라인이 들어간 트랙 팬츠에 비비드한 레드 컬러 카무플라주를 사용하여 더 강렬하고 액티브한 느낌을 주었으며, 다운 소재의 아노락에 지퍼로 여밀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하고 실용성을 강조하였다. Fig. 3은 Yellow 색상을 베이스로 한 트레이닝 셋업은 끈으로 허리를 조절할 수 있고 후드가 달려있어 편안하면서도 활동적인 이미지의 스포티한 룩을 표현하였으며, 검은색 비니를 코디네이션 하여 힙합스러운 느낌을 드러낸다. Fig. 4는 얇고 가벼우면서 땀 배출 기능이 뛰어나 운동이나 등산을 할 때 많이 착용하는 윈드브레이커에 동일한 패턴의 기장이 다소 짧은 숏팬츠를 입음으로써 활동적이고 스포티한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또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레인부츠를 코디하여 보다 캐주얼하고 실용적인 캠핑룩 스타일링을 보여주었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스포티 캐주얼 이미지는 트레이닝복이나 아노락 재킷, 후드 티셔츠, 윈드브레이커, 조거 팬츠 등의 아이템으로 실용성을 추구하고 비비드한 컬러의 카무플라주 패턴을 적용하여 스포티하고 캐주얼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또한 다양한 모자나 운동화 등의 액세서리를 매치하여 더욱 스포티한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로맨틱 페미닌 이미지는 여성적이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로서 장식적인 디테일이 많거나 어깨, 가슴, 허리, 힙선을 강조하여 부드러운 곡선적 실루엣이 돋보이는 스타일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로맨틱 페미닌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귀여운 장식이나 디테일로 화려하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표현한 로맨틱 스타일과 절제된 라인과 광택감, 드레이프성으로 우아한 여성미를 표현한 엘레강스 스타일로 카무플라주 패턴이 응용되어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5~8과 같다.
Fig. 5는 사랑스럽고 발랄함이 느껴지는 짧은 기장의 원피스 드레스에 어깨와 밑단 부분에 주름 디테일로 볼륨을 주어 로맨틱한 느낌을 주었다. 또한 원피스 드레스와 더불어 레깅스와 슈즈에 적용된 로맨틱한 컬러는 자칫 딱딱해 보일 수 있는 워커 슈즈에서도 사랑스러운 이미지가 느껴지도록 해준다. Fig. 6은 자칫 밋밋할 수 있는 탑에 주름으로 볼륨감을 주어 사랑스럽고 로맨틱한 느낌을 주었으며 높은 통굽의 슈즈에 적용된 우주 그림의 프린팅들은 발랄한 이미지를 더해주는 듯하다. Fig. 7은 주름으로 가슴에 볼륨감을 주고, 허리와 골반을 강조한 실루엣의 원피스 드레스에 절개 디테일을 넣어 우아하고 엘레강스한 이미지를 더하였다. 또한 테슬 장식이 달린 핸드백과 웨이브 있는 헤어스타일은 엘레강스한 원피스 드레스와 어우러져 여성스러운 느낌을 더해주는 듯하다. Fig. 8은 어깨를 드러내며 리본으로 매어진 긴 기장의 원피스 드레스를 통해 엘레강스한 이미지가 연출되며, 하늘거리는 소재와 소매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장식적인 디테일은 드라마틱한 이미지까지 더해준다. 또한 메탈릭한 액세서리는 원피스 드레스와 어우러져 현대적이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극대화시킨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로맨틱 페미닌 이미지는 톤과 컬러에 얽매이지 않고 드레시한 원피스나 스커트가 주로 사용되어 신체의 곡선을 강조하고 러플이나 플라운스, 리본 등의 디테일로 귀엽거나 우아한 여성적 아름다움을 강조하였다.
보헤미안 에스닉 이미지는 각 문화권의 민속의상이나 편안하고 자유분방한 감성의 스타일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보헤미안 에스닉 이미지 사례를 조사한 결과, 천연소재나 자연색감을 이용해 에스닉, 포클로어, 컨트리 등의 민속적이면서도 자유분방한 느낌으로 카무플라주 패턴이 응용되어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9~12와 같다.
Fig. 9는 신발과 아우터에 적용된 테슬과 올이 풀린 듯한 디테일, 그리고 아우터에서 볼 수 있는 문양과 컬러에서 보헤미안 이미지가 연출된다. 또한 전통적이고 주술적인 느낌이 느껴지는 팔찌 장식에서 에스닉한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 Fig. 10은 니트 소재의 레깅스와 퍼 아우터에 뉴트럴 컬러가 사용되어 컨트리한 이미지가 연출된다. Fig. 11는 컨트리한 느낌의 문양이 여밈 부분에 장식된 카키 색상의 야상과 카고 팬츠가 스타일링되어 컨트리한 이미지가 연출되었다. 또한 레드 브라운의 핸드백에 패치워크 된 듯한 프린트가 어우러져 연출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부각되는 듯하다. Fig. 12은 식물 문양이 간소화된 에스닉한 문양의 탑과 종아리를 반 정도 가리는 기장의 롱 스커트, 아가일 패턴의 신발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에스닉한 이미지가 연출된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보헤미안 에스닉 이미지는 대지·수풀·바다 등 자연물에서 찾을 수 있는 컬러를 사용하였으며 밀리터리 패턴의 아이템에 가죽, 퍼, 니트, 자카드 등 다양한 소재의 아이템을 매치하여 표현하였으며, 태슬이나 프린지, 자수 등의 장식이 부과되어 보헤미안 감성과 에스닉한 이미지를 더하였다.
클래식 이미지는 유행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전통적이고 품위 있는 스타일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클래식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유행에 크게 좌우되지 않아 안정감 있는 클래식 스타일과 남성적 이미지가 강하게 가미되어 표현된 매니시 스타일에 카무플라주 패턴이 응용되어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13~16과 같다.
Fig. 13은 톤 다운된 컬러의 클래식한 더블 재킷, 팬츠, 그리고 구두가 스타일링되어 클래식한 이미지가 연출되었다. Fig. 14는 트위드 재킷을 연상시키는 디테일이 들어간 그레이 색상의 재킷에 미디 길이의 플리츠스커트가 스타일링 되어 클래식한 이미지가 연출되었다. Fig. 15는 체크 패턴에 퍼 장식이 추가된 롱한 기장의 코트를 통해 클래식한 이미지가 연출된다. Fig. 16은 스트라이프 문양이 사용된 셔츠와 넥타이, 그리고 클래식한 롱 코트가 포마드 머리를 한 여자 모델에게 스타일링되어 매니시한 이미지가 느껴진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클래식 이미지는 카무플라주 패턴이 테일러드 수트나 플리츠스커트와 같은 클래식 아이템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거나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아이템이 체크 코트와 같은 클래식한 아이템에 매치되어 보조적으로 활용되어 나타났다.
모던 시크 이미지는 불필요한 장식 등을 최대한 배제한 간결함과 현대적 세련미가 조화된 스타일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모던 시크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단순한 라인을 추구하면서 디테일을 생략한 모던 스타일과 세련된 감각의 시니컬한 시크 스타일에 카무플라주 패턴이 응용되어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17~20과 같다.
Fig. 17은 눈에 띄는 큰 디테일이 없는 직선적인 실루엣의 아우터에 미니멀하면서 모던함이 느껴지는 비비드한 블루 색상을 사용한 팬츠와 슈즈가 스타일링 되어 모던 시크한 이미지가 느껴진다. 또한 실버 소재의 귀걸이는 같은 느낌의 아이 메이크업과 어우러져 연출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극대화해주는 듯하다. Fig. 18은 디테일이 없는 테일러드 재킷과 팬츠에서 도시적이고 모던한 이미지가 연출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사용된 낮은 명도의 그레이 색상이 재킷과 팬츠에서 느껴지는 시크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켜주고 있다. Fig. 19는 딱딱하고 직선적인 실루엣의 셔츠, 팬츠와 더불어 셔츠 밑단에 장식된 직선적인 플리츠 디테일, 앞코가 네모난 스퀘어 토 슈즈에서 모던한 이미지가 느껴지며, 전체적으로 넓게 배색된 화이트 컬러와 어우러져 도시적인 느낌을 준다. Fig. 20은 하늘거리지 않고 다소 힘이 있어 보이는 소재에 직선적인 느낌의 실루엣을 가진 아우터에 미니멀하고 모노톤이 사용된 팬츠와 슈즈를 스타일링하여 전체적으로 도회적인 이미지가 연출되었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모던 시크 이미지는 기존의 모던이나 시크 이미지와는 달리 특정 컬러와 패턴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컬러가 배색된 카무플라주 패턴을 활용하며 형태적 측면에서 직선적인 실루엣의 사용과 디테일을 생략함으로써 단순함을 추구하였다.
2.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 코디네이션 분석
피스(Piece) 코디네이션은 각각 떨어져 있는 아이템을 조화 있게 꾸미는 코디네이션 방법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피스 코디네이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아우터(outer), 이너(inner), 바텀(bottom)으로 3피스에 카무플라주 패턴을 사용한 경우와 아우터, 바텀, 이너와 바텀으로 2피스에 카무플라주 패턴을 사용한 경우, 그리고 1피스에 적용된 카무플라주 패턴 컬러를 사용한 다른 아이템과 조화롭게 스타일링 한 경우가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21~24와 같다.
Fig. 21은 비비드 톤 레드 색상의 카무플라주 패턴으로 통일감을 주어 각 아이템들이 조화를 이루었으며, 화이트 컬러의 후드 부분 레터링과 운동화가 매치되어 스포츠 캐주얼 룩으로서 활용된 카무플라주 패턴을 볼 수 있다. Fig. 22 역시 동일한 카무플라주 패턴의 아이템을 스타일링한 룩으로 전체적 통일된 피스 코디네이션을 볼 수 있다. Fig. 23은 재킷과 팬츠의 카무플라주 패턴을 동일하게 연출하였다. 시스루 이너와 스터드가 달린 액세서리를 매치하여 반항적이고 거친 느낌의 피스 코디네이션을 완성하였다. Fig. 24는 블루, 그레이 컬러의 카무플라주 패턴 이너를 착용한 후 전체적으로 통일감 있는 컬러를 사용하여 각 아이템이 조화를 이루었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피스 코디네이션은 패턴 유형에 관계없이 가장 많은 수로 나타났으며, 이에 사용된 카무플라주 패턴은 디자이너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컬러, 재질감으로 응용되었다. 의복 외에도 모자나 신발, 가방 등의 액세서리 역시 카무플라주 패턴을 적용하여 피스 코디네이션의 조화를 위해 사용되었다.
크로스오버(Crossover) 코디네이션은 이질적인 두 개의 것을 믹스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 코디네이션 방법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 사례를 조사한 결과 계절감이 대비되는 경우, 소재의 재질감이 대조되는 경우, 이미지가 상반되는 경우로가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25~28과 같다.
Fig. 25는 각각 s/s 시즌을 의미하는 수영복에 f/w를 대표하는 야상 코트를 함께 매치하여 서로 상반된 계절감을 보여준다. 또한 서로 다른 재질감과 착장된 의상의 여성적, 남성적 이미지의 차이가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을 더욱 부각시켜 주었다. Fig. 26은 엘레강스한 벨벳 드레스에 스포티한 카무플라주 다운 점퍼를 매치하여 이질적이면서도 조화로운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을 표현하였다. Fig. 27은 스포티 이미지의 대표적 아이템인 아노락 점퍼를 드레시한 스커트와 함께 부드러운 컬러감의 카무플라주 패턴으로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 하였다. 또한 실키한 핑크 컬러 스커트는 하드한 블루 컬러 롱부츠와 대조되며 재질감에 있어서도 색다른 감각의 조화를 이루었다. Fig. 28 역시 클래식한 카무플라주 팬츠에 팝아트적 그래픽을 사용한 가디건, 패치 등의 포인트 요소로 자칫 딱딱할 수 있는 스타일을 역동적인 느낌으로 조화롭게 풀어냈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은 계절감과 이미지가 전혀 다른 의상을 매치하거나 이질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자칫 지루할 수 있는 틀에 박힌 스타일을 환기시키는 역할로 작용하였다.
레이어드(Layered) 코디네이션은 옷을 겹쳐 입은 스타일 즉 아이템의 중복 착장이 일어난 코디네이션 방법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레이어드 코디네이션 사례를 조사한 결과 크게 아우터, 이너, 바텀으로 나누었을 때 중복된 아이템 모두 카무플라주 패턴을 사용한 경우, 중복된 아이템 중 하나만 카무플라주 패턴을 응용한 경우, 레이어드 스타일링에 카무플라주 아이템이 보조적으로 연출된 경우로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29~32와 같다.
Fig. 29는 빛바래고 찢어진 컨트리 감성의 데님 팬츠에 아우터의 중복으로 카무플라주 패턴의 롱코트와 집업 재킷을 매치한 레이어드 코디네이션을 볼 수 있다. Fig. 30은 스프레이처럼 흩뿌려진 카무플라주 패턴의 집업 재킷과 후드 집업을 중복으로 착장하여 자칫 평범할 수 있는 의상에 레이어드 코디네이션으로 트랜디한 감각을 부여하였다. Fig. 31은 하드하게 표현된 우드랜드 패턴의 재킷과 팬츠를 착용하고 퍼플 컬러의 그라데이션 윈드브레이커를 레이어드하여 스포티한 이미지와 함께 자연의 아름다움을 의상에 표현하고 있다. Fig. 32는 카무플라주 패턴 팬츠에 티셔츠, 체크 셔츠를 이너로 착장하고 스타디움 점퍼와 야상 재킷을 레이어드하여 코디네이션을 완성하였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레이어드 코디네이션은 대부분 동일한 아이템을 두 개 이상 겹쳐 입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카무플라주 아이템을 두 개 이상 겹쳐 입거나 카무플라주 패턴의 외투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추가 착장하는 형태가 주로 나타났다.
플러스원(Plus-One) 코디네이션은 기본이 되는 어떤 스타일에 한 가지 아이템을 더하여 ‘시각적인 돋보임’ 효과를 주는 코디네이션 방법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플러스원 코디네이션의 사례를 조사한 결과 기존 룩에 아이템을 매치하였을 때 해당 이미지가 극대화되는 경우와 이미지의 변화가 일어난 경우로 분석되었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33~36과 같다.
Fig. 33은 카무플라주 패턴이 들어간 상·하의에 매치한 퍼 머플러가 보헤미안 이미지를 더욱 극대화해주고 있으며 팬츠에 달린 프린지 디테일과 레드 워커 역시 보헤미안적 감성을 표현하고 있다. Fig. 34 역시 조화론적 연출방법으로서 의상에 비비드 톤의 오렌지와 기타 컬러들이 배색된 오버 니삭스를 추가함으로서 발랄하고 페미닌한 이미지의 카무플라주 스타일을 완성하였다. Fig. 35는 장식이 적고 광택감이 있어 페미닌한 카무플라주 패턴 원피스에 블록체크 카우보이 햇과 새가 수놓아진 부츠를 스타일링하여 보헤미안, 컨트리 적인 이미지로 변화가 일어났다. Fig. 36은 소매가 생략된 재킷 디테일의 원피스로 모던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으나 카무플라주 패턴의 롱부츠와 샤기컷 헤어스타일 연출로 인해 의상과 조화되어 보헤미안 이미지로 변화되었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플러스원 코디네이션은 특성상 카무플라주 패턴의 의상에 추가적으로 색채가 강렬한 액세서리를 더함으로써 카무플라주 의상만으로 드러내지 못했던 패션 이미지를 강조한 사례가 많았으며, 소수이긴 하나 카무플라주 패턴이 플러스원 코디네이션 아이템으로 사용됨으로써 의상의 이미지를 변화시킨 사례도 있었다.
옵셔널(Optional) 코디네이션은 특정한 스타일에 얽매이지 않고 독특한 착장법을 통해 자유롭게 연출하는 코디네이션 방법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옵셔널 코디네이션 사례를 조사한 결과 착장 위치, 묶는 디테일, 여밈 방법 등의 연출 방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37~40과 같다.
Fig. 37은 그레이 컬러 후드 티셔츠를 꽉 조이도록 묶은 후 그 위에 카무플라주 패턴 다운 점퍼를 어깨 아래로 벗겨지듯이 착용하여 트렌디하고 힙합적인 감성을 표현하였다. Fig. 38은 카무플라주 패턴의 크롭탑을 오프숄더로 연출하고 원피스를 허리에 한 번 묶어 섹시한 이미지로 스타일링 하였다. Fig. 39는 카무플라주 패턴 재킷과 화이트 컬러 후드 디테일 재킷을 두 겹으로 착용한 후 여밈을 색다른 방식으로 시도하였다. Fig. 40은 퍼플 컬러의 스웨트 셔츠 소매에 지퍼를 달아 선택하여 연출할 수 있으며 재킷을 반만 걸쳐 힙합 이미지의 옵셔널 코디네이션을 표현하였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옵셔널 코디네이션은 보다 젊은 감각으로 어깨에 걸치거나 허리에 두르거나 이너와 아우터를 연결하여 연출하는 등 독특한 착장 위치와 방법으로 스타일링이 돋보이는 코디네이션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미스매치(Mismatch) 코디네이션은 본래의 용도에서 벗어나거나 어울리지 않는 것을 매치시켜 이질감과 함께 독특한 개성을 추구하는 코디네이션 방법으로 속옷의 겉옷화가 이루어진 경우와 같이 착장법의 부조화에 의해 잘못 입은 듯한 코디네이션 방법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미스매치 코디네이션 사례를 조사한 결과 마치 잘못 입은 듯 의상이 부조화를 이루는 경우, 속옷이 가장 바깥에 착장되어 응용된 경우로 분석되었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41~44와 같다.
Fig. 41은 카무플라주 패턴의 하의에 스타디움 점퍼의 디테일로 마치 상의를 하의에 입은 듯한 느낌을 준다. 또한 메쉬 소재의 상의 위에 메탈릭한 스포츠 브라탑을 착용하여 전체적인 룩에서 부조화를 느낄 수 있다. Fig. 42는 하의에 양쪽이 다른 패턴을 적용하여 카무플라주 패턴과 핀 스트라이프 수트 팬츠의 대조적인 모습을 볼 수 있으며 트레이닝 팬츠의 디테일을 부가하여 부자연스러운 감각의 미스매치 코디네이션을 보여준다. Fig. 43은 전체적으로 스포티, 힙합 감성의 스타일에 블루 컬러의 내피를 카무플라주 점퍼 위에 착용하였으며 Fig. 44는 드레시한 카무플라주 블라우스 위에 화이트 컬러의 코르셋 디테일 원피스를 매치하여 미스매치 코디네이션을 응용하였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미스매치 코디네이션은 전혀 다른 이미지의 아이템을 조합하여 언밸런스하고 독특한 감성으로 다소 낯설지만 뚜렷한 개성을 보여주는 코디네이션 기법으로 나타났다.
시프트(Shift) 코디네이션은 옷을 마음대로 바꿔 입은 듯 서로 다른 수트의 상‧하의를 교차하여 자연스럽게 매칭하는 코디네이션 방법이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시프트 코디네이션 사례를 조사한 결과 무늬는 동일하나 컬러와 재질감이 다른 경우, 무늬는 동일하나 컬러가 다른 경우, 무늬와 컬러가 전혀 다른 경우로 분석되었으며, 대표적 사례는 Fig. 45~48과 같다.
Fig. 45는 아방가르드 이미지 연출을 위해 카무플라주 패턴을 직선적이고 딱딱한 느낌으로 응용하였으며 색감의 차는 있지만 동일한 패턴을 다른 재질감의 상·하의에 적용시켜 시프트 코디네이션을 더욱 부각시켜 주었다. Fig. 46은 발랄한 분위기의 페미닌 스타일로 상·하의의 패턴은 동일하나 전혀 다른 색상을 응용한 카무플라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의와 동일한 패턴의 쇼퍼백을 매치하여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었다. Fig. 47 역시 상·하의의 패턴은 동일하나 옅은 블루와 라임 컬러의 대비를 이용하여 시프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였다. 또한 더플백에 하의에 적용된 컬러를 사용하여 통일감 있는 룩을 완성하였다. Fig. 48은 상·하의 모두 카무플라주 패턴을 사용하였으나 상의에는 그린 계열의 소프트 우드랜드 변형 패턴을, 하의에는 블루 계열의 기본 우드랜드 패턴을 적용하여 감각적인 시프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였다.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션의 시프트 코디네이션은 사용된 카무플라주 패턴의 톤과 색상에 변화를 주었거나 다른 무늬를 매치하여 마치 서로 다른 짝을 입은 듯한 모습으로 연출되었고 수트 외에도 블라우스나 점퍼, 스커트, 원피스 등의 아이템을 사용한 스타일링으로 시프트 코디네이션 기법을 나타내었다.
3. 카무플라주 룩의 패션 이미지별 코디네이션 기법 도출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이미지별 코디네이션 빈도수를 살펴보면 Table 2와 같다.
카무플라주가 적용된 패션의 이미지 빈도수를 살펴보면 스포티 캐주얼, 로맨틱 페미닌, 보헤미안 에스닉, 클래식, 모던 시크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고, 코디네이션 기법은 피스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크로스오버, 레이어드, 플러스원, 옵셔널, 미스매치, 시프트 순으로 나타났다.
패션 이미지별 코디네이션 기법을 살펴보면 스포티 캐주얼 이미지는 모든 이미지에서 많이 나온 피스 코디네이션을 제외하면 계절감이나 이미지가 전혀 다른 의상을 매치하거나 이질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이나 카무플라주 아이템을 어깨에 걸치거나 허리에 묶는 등의 스타일링을 활용하는 옵셔널 코디네이션의 활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로맨틱 페미닌 이미지는 엘레강스한 아이템과 하드한 아이템을 매치한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이나 카무플라주 패턴의 의상에 추가적으로 배색이 강한 액세서리를 더한 플러스원 코디네이션의 활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보헤미안 에스닉 이미지는 가죽, 퍼, 니트, 자카드 등 다양한 소재의 아이템과 매치한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의 빈도가 높았고, 클래식 이미지와 모던 시크 이미지는 3피스나 2피스에 동일한 패턴을 사용하거나 또는 카무플라주 패턴에 사용된 컬러 중 하나로 아이템을 배색하는 피스 코디네이션의 활용이 주로 나타났다.
이상 패션 이미지별 대표적인 코디네이션 기법과 예시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국내외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룩의 패션 이미지와 코디네이션 기법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카무플라주 룩에 나타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밀리터리 패션의 거칠고 남성적인 이미지의 카무플라주 문양은 액티브한 스포티 캐주얼을 비롯하여 거칠고 자유분방한 보헤미안 이미지나 직선적인 클래식 이미지에 활용되어 나타날 뿐만 아니라 로맨틱하고 여성적인 페미닌 이미지로도 많이 활용되어 나타나 카무플라주는 이제 기존의 이미지에서 점차 범위를 넓혀 다양한 이미지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카무플라주 룩에 나타난 패션 코디네이션을 분석한 결과, 기본적이고 대중적인 코디네이션 기법인 피스 코디네이션을 제외하면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레이어드와 플러스 원, 그리고 옵셔널 코디네이션이 활용되었다. 피스 코디네이션 기법은 3피스나 2피스 전체에 카무플라주 패턴을 사용하거나 1피스에 적용된 카무플라주 패턴과 동일한 색채로 아이템들을 조화롭게 스타일링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은 카무플라주가 사용된 아우터와 이너에 계절감이나 이미지가 전혀 다른 의상을 매치하거나 이질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자칫 지루할 수 있는 틀에 박힌 카무플라주의 패션스타일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밀리터리 아우터를 다른 아우터와 겹쳐입는 방법을 사용한 레이어드 코디네이션 기법, 그린이나 브라운 컬러의 카무플라주 패턴의 의상에 강렬한 컬러의 액세서리를 더해 해당 이미지가 극대화하는 방법을 사용한 플러스 원 코디네이션 기법, 카무플라주 아이템을 어깨에 걸치거나 허리에 묶는 등의 스타일링을 활용하는 방법의 옵셔널 코디네이션 기법 등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카무플라주 룩의 이미지 연출을 위한 패션 코디네이션 방향을 정리하면 스포티 캐주얼 이미지는 모든 이미지에서 많이 사용된 피스 코디네이션을 제외하고는 크로스오버나 옵셔널 코디네이션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로맨틱 페미닌 이미지는 크로스오버나 플러스원 코디네이션이, 보헤미안 에스닉 이미지는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이 매우 효과적이고, 클래식 이미지와 모던 시크 이미지는 피스 코디네이션의 활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최근 패션에 적용된 카무플라주 패턴의 활용 사례를 통해 카무플라주 룩의 패션 이미지와 코디네이션 기법을 이해하고 변화된 패션 이미지 연출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진 분석 시 정면 사진으로 한정하여 의상의 뒷면에 카무플라주 패턴이 있는 의상이 제외되었을 수도 있으므로 실제 빈도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실물이 아닌 사진으로만 분석하였으므로 아이템의 정확한 형태나 착용 방법의 분석에 제한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카무플라주는 다양한 이미지로의 변신이 가능하고 적절한 패션 코디네이션 기법을 통해 더 이상 남성복의 상징도, 거친 군복의 이미지도 아닌 하나의 중요한 패션 아이템으로서, 새로운 디자인 요소로 거듭나고 있으며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fund of research promotion progra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6
References
- Camopedia, (2018), “Famililies” of patterns, Available from http://camopedia.org/index.php?title=Main_Page [cited 2018 Jul 7].
- Choi, EM, (2009), Study on fashion styling shown in collection of Marc Jacobs- focused on “Marc by Marcjacob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p5-33.
- Choi, WH, (2018), The Herald Business 『Choice of Fashion People...Camouflage is rising』, Available fr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508000167 [cited 2018 May 8].
- Han, AN, (2013), Study on handbag design using image of camouflage- focusing on developing of “ANNIE” brand product -,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14-30.
- Han, SJ, Kim, YY, (2014), Fashion Design, Gyohakyeongusa, p237-241.
- Hong, HB, (2011), Defense daily 『ERDL and woodland pattern battle suits』, Available from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02&pn=5&num=2252 [cited 19 Sep, 2011].
- Hwang, EJ, (2010), Research about fashion design using camouflage,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p5-17.
- Je, GY, Lee, KH, (2009), Fashion coordination of black color in fashion collection -focused on 2005~2007 collection-, J Korean Sco Cloth Text, 33(7), p1003-1013. [https://doi.org/10.5850/jksct.2009.33.7.1003]
- Jeong, EJ, (2016), Camouflaged people -focusing on the researcher’s own work-,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 Kim, CJ, No, MK, (2018), Styling comparison of military look appeared on street fashion of Korea and overseas, J Korean Soc Costume, 68(1), p19-23. [https://doi.org/10.7233/jksc.2018.68.1.014]
- Kim, CS, Shin, HS, lee, GH, Lee, EO, Jang, DR, Chae, SK, Choi, IR, Han, MS, (2005), Fashion Design, Paju, Gyomunsa, p207-208.
- Kim, DO, (2017),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amouflage pattern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p5-13.
- Kim, SY, (2011),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using camouflage patterns, Res J Coustume Cult, 19(4), p661-673.
- Lee, HS, (2004), The correlation between clothing style and hair style related to fashion image,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p12-16.
- Lee, SO, Shin, JH, (2000), Fashion trend for total coordination, J Korean Soc Cosmetol, 6(1), p113-147.
- Lee, UY, (2003), A study of total fashion image presentation-with priority given to gorgeous imag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5-44.
- Naver English Dictionary, (2018), Camouflage, Available from https://endic.naver.com/enkrEntry.nhn?sLn=kr&entryId=75ee0ac4cac74a48a73d773b45719768 [cited 2018 Jul 7].
- Oh, SH, (2006), Fashion coordination for stylists, Seoul, Sungandang, p77.
- Park, HW, Lee, MS, Yeom, HJ, Choi, GH, Park, SJ, (2006), Contemporary fashion design, Paju, Gyomunsa, p219.
- Park, SH, (2004),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Yehaksa, p177, 186.
- Park, SS, (2003), A study of fashion correlation-focusing on photogaphs in fashion magazine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p68.
- Sa, JK, (2003), A study on the camouflage patterns in fashion collection,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4.
- Shin, YE, (2013),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human attraction using camouflage imag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6.
- Yoon, HJ, (2017), A study on nail art design by fashion imag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4-37.
- Yun, EY, (2016), A study on the military camouflage pattern designs in 20th century, J Cult Product Design, 47, p285-301. [https://doi.org/10.18555/kicpd.2016.4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