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0, No. 2, pp.223-235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May 2019
Received 25 Jun 2018 Revised 14 Aug 2018 Accepted 04 May 2019
DOI: https://doi.org/10.7856/kjcls.2019.30.2.223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아동지도역량강화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곽길여 ; 이숙1),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대학원
1)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Investig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hildren Guidance Empowerment Program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Teachers
Gil Yeo Kwak ; Sook Lee1),
Graduate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Correspondence to: Sook Lee Tel: 82-31-673-5363 E-mail: sookleej@hanmail.net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examined the difficulties community children’s center teachers face when teaching children and what behaviors of children they particularly feel difficulty while teaching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empowering teachers to provide proper guidance for maladaptive children. Surveys were conducted on 431 workers affiliated with community children’s centers in the Jeonnam reg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first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 and life guidance fields to be very important. Second, teachers voiced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competence for dealing with problematic situations of children and particularly in teaching children who were disobedient and absentminded to engage in activities through their experience with teaching maladaptive children. Third, they demanded empowerment education that would improve expert skills and qualifications that could satisfy the various demands of children and parents, such as the skill to handle problematic behavior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children and parent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actu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in providing for maladaptive children, thereby acting as a fundamental investigation to explore the needs for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the capacities for children’s guidance and examine the demands of teachers, such as contents composition, operation hours, and lecture method.

Keywords:

cmmunity child center teacher, child guidance capacity enhancement program

I. 서론

인간은 사회적 환경을 필요로 하고 타인과의 끊임없는 상호 작용 속에 살아간다.

특히 아동기는 가정에서부터 유치원, 어린이집을 거쳐 학교로 확대되면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 적응이 활발해지는 시기이다(Hong 2016). 현대에 와서 정보ㆍ지식 기반사회가 도래하며 맞벌이가 증가하고 양육의 어려움을 겪는 등 가족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사회적 차원에서 아동 돌봄은 당위성이 제기되어, 방과 후 돌봄 서비스를 전담하는 공공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필요성에 기초하여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에 제도화되어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ㆍ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설립되었다(Park 2017).특히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에서 소외되기 쉬운 아동과 그 부모에게 돌봄과 교육을 제공해주는 기본적인 사회적 지지체계로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실제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은 저소득층과 생계형 맞벌이 가정이 많다. 이용 아동의 대부분은 초등학령기 아동들이며, 오후 1시 이후부터 저녁 7시 전후까지 돌봄 서비스를 받고 있어 아동과 교사가 함께 하는 시간이 부모보다 더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6년 12월 말 기준으로 전국 4,107개소에 106.668명의 아동이 이용하고 있다. 이중 경제상황별 이용아동 수는 중위소득 50%이하 27,030명이라고 보고하고 있으며, 모자가정 아동이 17,672명, 부자가정 아동이 12,473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별관리 아동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다문화가정아동이 13,343명으로 가장 많으며, 장애아동은 2,380명, 북한 이탈주민가정아동은 383명이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과 한부모 가정, 장애아동 및 다문화가정 등 요보호아동에 대한 중재 역할이 절실하게 필요하며 지역아동센터가 상당부분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요보호아동은 심리사회적 요인과 물리적 환경에서 발생되는 요인들이 충돌하여 정서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부적응행동으로 발전될 경우 이를 예방하고 감소할 수 있는 교사의 조기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부적응행동이란 아동이 주위 환경, 사회규범 및 요구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타인에게 인정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갈등, 긴장, 불안 등의 심리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조화를 이루지 못할 때 나타나는 행동을 말한다. 부적응행동 유형으로 공격적 행동, 퇴행적 행동, 신체적 징후(습관적 장애) 등이 있으며 행동 장애, 성격장애, 미성숙, 사회적 비행 등의 특성이 나타난다(You 1995). 이러한 아동의 부적응 행동이 조기에 중재되지 않으면 성장하면서 청소년기, 성인기에 더 큰 문제가 되어 성격장애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범죄행위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Hong 2016) 빠른 시기에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지도를 통하여 발생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여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빈곤 그 자체보다 빈곤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의 결과로서 아동의 심리ㆍ정서적인 문제가 심각하다고 제기하고 있다(Lee 2000; Kim 2012). 더욱이 Bae & Choi(2016)는 가족 형태와 구조가 한부모 가족이나 다문화가족, 맞벌이 가족 등으로 다양해짐에 따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및 가족이 나타내는 욕구나 문제가 복잡하며 심각해진다고 했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부모는 자녀의 교육과 돌봄에 대해 교사들에게 많은 것을 요구할 뿐 아니라 상당부분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적응행동지도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역량이 더욱 강화 될 필요기 있다. 지금까지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전문성, 직무만족도, 직무성과 등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다(Choi 2017). 또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부적응문제가 많다는 인식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으나 부적응행동의 개선을 위한 중재기법이나 상담 방법들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이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들을 참고로 살펴보면 이들 연구에서도 공통적으로 아동의 부적응행동에 대한 지도의 어려움에 관해 구체적인 내용을 보고하고 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한 Hong(2003)의 인식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충동적으로 행동하거나 순응적이지 못한 아동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응행동 유형에 맞는 전문지식의 부족으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보고했다. 초등학생들의 학교부적응 유형과 대응방안에 관한 Kim et al.(2002)의 연구에 의하면, 교사가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적절하게 지도하려고 해도, 전문지식 부족으로 애로사항이 많아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전문성 있는 지도 교사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은 유아기관이나 초등학교 교사에 비교해 아동의 부모보다 더 많은 시간을 아동과 함께 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대처방법이나 지도기법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가 부족할 경우 아동지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부모들 또한 교사들에게 자녀지도에 관한 정보나 지침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이 아동발달이나 부적응행동에 대한 지도방법 등에 관해 적당한 교육과 훈련을 받는 것도 교사로서의 직무를 원활히 수행하기에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아동의 부적응행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부적응행동 개선을 위한 중재기법이나 상담방법, 부모교육 등에 관한 요구도 조사를 하여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아동지도 역량강화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실제적 가치가 높은 연구라 보겠다. 그런데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의 직무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아동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을 대상으로 아동지도영역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을 점검하고, 부적응행동지도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어느 부분에서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느끼는지 분석하는 요구도 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이 아동을 지도할 때 갖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또한 아동의 어떤 행동을 지도하는데 특히 어려움을 겪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교사의 부적응 아동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의 편의상 전남지역의 일부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으로 전국표본이 아니므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이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의 아동지도영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의 부적응행동 및 지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의 부적응아동지도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자료수집의 편의상 전라남도 5개 시와 17개 군 지역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교사(시설장, 생활복지사)전체집단 836명(2017년 기준) 중에서 의무교육에 참여한 교사 4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전남지역은 농ㆍ어촌 등 지형적 특성과 조손가정, 다문화 가정이 많아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은 이러한 부분에 도움을 주는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어서 전남지역 교사들의 아동지도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자 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3월 6일부터 3월 16일에 걸쳐 직접 실시하였으며 480부를 회수하여 무응답이 있거나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한 434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2. 설문지 구성

본 연구의 설문지 문항 영역은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과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인식한 아동지도업무의 중요성, 아동 부적응행동 및 지도, 부적응 아동지도에 대한 교사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교육 요구 등으로 구성되었다.

아동지도 업무의 중요성 영역은 Ko(2007)의 지역아동센터(공부방)의 상담실태 및 상담요구도 분석, Kong(2008)의 지역아동센터 운영평가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Lim(2007)의 초등학교 생활지도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들을 참고하여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부적응행동지도에 대한 인식 영역은 3문항으로 소속된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부적응아동이라고 생각되는 아동, 부적응행동지도의 어려움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하위 10문항 중에서 선행연구들(Kang 2009; Park 2014; Sun 2014; Ham 2015)의 연구에서 부적응행동으로 보고되었던 주의산만, 과잉행동, 규칙위반, 공격적 행동, 교사 지시거부, 낮은 사회성, 또래관계 미숙 및 의존적 행동, 모둠활동 참여거부 등을 포함하였으며, 부적응행동지도를 위한 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묻는 질문 등 전체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교사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교육 요구에 대한 영역은 Yoon(2018)의 대구시 지역아동센터 실무자의 인식과 요구, Lee(2015)의 통제능력부족하거나 산만한 아동을 어떻게 지도할지에 관한 요구, Hong(2003)의 연구에서 충동적으로 행동하거나 순응적이지 못한 아동 부적응행동 지도에 관한 요구, Ham(2015), Lee(2017)의 부모교육에 관한 요구 등을 참고하여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아동지도의 중요성이나 부적응행동 지도에 대한 인식, 상담 요구도에 대한 분석 등 일부 영역에 국한하여 실시되었으나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부적응 아동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조사를 실시하는데 목표를 두었으므로 아동지도의 중요성 인식, 부적응행동에 대한 인식, 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등을 포괄적으로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1차적으로 제작된 설문지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관련교수 1인과 지역아동센터 교사 10인에게 설문문항들이 각 영역의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는지 검토하도록 의뢰하였다. 그 결과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어 본 연구의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한 설문지 항목을 구성하기 위한 선행문헌의 세부 내용은 Table 1에 제시되었다.

Literature research and application point for the questionnaire composition of an item

3. 자료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1.0을 사용하여 설문의 특성에 맞게 기술통계분석으로 변수들의 빈도와 평균값,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일반적 사항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은 Table 2와 같이 교사의 성별은 여성이 84.8%, 연령은 40대~50대가 69%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많고 연령대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최종 학력은 4년제 대졸자가 45%로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사 자격을 가진 교사는 94.6%, 근무 경력은 7년 이상 근무자가 35.7%로 가장 많았다. 교사가 소속된 지역아동센터의 아동 수는 평균 27.09명이고 교사 개인이 지도하는 아동 수는 평균 24.6명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n(%)

2. 아동지도 업무의 중요성 인식

아동지도 업무에 관해 교사들이 인식한 각 영역별 중요정도는 매우 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 중요하지 않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로 구분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의 점수로 Table 3에 제시하였다. 먼저 아동지도 영역의 평균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심리ㆍ정서적 지원이 4.33(SD=0.73)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기본생활지도 4.28(SD=0.71), 부적응행동지도 및 상담 4.27(SD=0.77), 문화ㆍ예체능 4.14(SD=0.78), 아동학습지도 및 과제물 3.94(SD=0.80)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답변은 부적응 아동 뿐 만아니라 일반 아동 전체에게 심리ㆍ정서적 지원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라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본다. 부적응행동지도/상담 역시 높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교사들이 부적응행동 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Child guidance

다음으로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평균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기본생활지도가 4.16(SD=0.69)로 가장 높았으며, 아동학습지도 및 과제물 3.99(SD=0.75), 문화 및 예체능 3.72(SD=0.83)순으로 높았다. 반면 심리ㆍ정서적 지원 3.68(SD=0.81), 아동 부적응행동지도 및 상담 3.53(SD=0.88)로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사들 대부분이 심리ㆍ정서적 지원이나 부적응행동 지도 및 상담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면서도 실제로 수행을 잘 못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여 두 영역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재교육을 통해 보완되어야 할 아동지도 영역에 대해 아동 부적응행동 지도 및 상담은 4.26(SD=0.75), 심리ㆍ정서적 지원 4.11(SD=0.75)로 가장 높게 답변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스스로 부적응 아동지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적인 부분과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특성에 맞고 일상생활지도 속에서 심리ㆍ정서적 지원이 가능하도록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본생활지도 3.81(SD=0.83), 문화 및 예체능 지원 3.79(SD=0.82), 아동학습지도 및 과제물은 3.36(SD=0.85)으로 나타났다.

이용아동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어야 할 부분 중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향상 4.43(0.68), 사회성 발달 4.33(0.67)로 대부분의 교사가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아동 자신에 대한 평가로 가족관계, 학교생활, 또래관계, 자신의 신체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사회성은 또래관계나 교사, 중요한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부분은 교사의 개별아동에 대한 지지와 격려 등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전문적인 지도능력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기본생활습관 향상 4.24(SD=0.72), 학습동기부여 및 학업 성취도 향상 4.00(SD=0.76)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을 지도하면서 느꼈던 어려움의 정도에서 반항적ㆍ폭력적 행동을 보인 아동 4.13(SD=0.86)으로 매우 높았다. 활동거부 및 의욕이 없는 아동 4.10(SD=0.84)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Kang(2009)의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동문제로 제시한 공격성, 비행, 위축, 우울 등과 유사한 것이다. 초등 학령기의 반항 및 폭력행동, 우울/위축 등은 중ㆍ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청소년 비행으로 전환될 확률이 매우 높고 성인기로 이어질 수 있으니 교사들이 아이들의 이러한 행동을 예방하고 적절한 지도와 중재자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3. 부적응행동지도에 대한 인식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을 지도하는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가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의 비율을 합한 결과 87.7%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전문지식 지원과 교사의 지도를 신뢰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요구(Sun 2014)하였는데, 지역아동센터 교사 역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음으로써 아동지도역량이 향상된다면 사회적 신뢰감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소속된 지역아동센터 내 부적응아동이라고 생각되는 아동이 몇 명 정도인가라는 질문에 6명 이상 8%, 5~6명이 15.4%, 3~4명이 있는 경우가 36.3%, 1~2명이 35.4%, 0명이 4.9%라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95%의 지역아동센터가 부적응 행동을 보인 아동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3~4명이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한 Cho(2015)의 연구에서 대다수의 교사(75.8%)가 지도상 어려움을 가진 유아를 만났고, 담당 반에서 지도하기 어려움을 가진 유아 수는 2~3명인 경우가 많다고 보고한 것과 유사하다.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을 지도하는 데 가장 필요한 교사의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의 평균을 살펴보면 문제행동 상황에 따른 대처 능력 4.49(SD=0.61), 아동에 대한 애정적인 태도 4.42(SD=0.67), 개별 아동에 대한 이해 4.36(SD=0.61), 다양한 아동지도 경험 4.29(SD=0.61), 아동상담기법 4.27(SD=0.71) 등 모든 문항에서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Ham(2015)의 비선호 아동을 지도하는데 교사가 희망하는 조력서비스로 아동의 다양한 행동유형과 문제행동 대처 방법의 지침서 필요성을 제기한 점과 맥을 같이한다고 보겠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Table 4에서 제시하였다.

Awareness of child in problematic behavior and guidancen(%)

4. 부적응행동지도 역량강화 교육 요구

지역아동센터에서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을 지도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매일 만나는 종사자가 상담관련 교육을 통해 직접 지도하는 것이 좋다라는 응답이 51.3%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스스로 아동지도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있으며 아동지도 능력을 강화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교사 스스로 돌봄이 필요한 아동과 그 부모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지역아동센터의 역할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음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센터에 상담인력 지원이 32.9%, 전문 상담기관에 의뢰 15.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문제행동아동 지도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이 필요하다 93.1%, 교육을 받을 의향에 대해 93.8%의 교사가 그렇다고 답했다.

부적응행동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과정에서 희망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응답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문제행동 아동을 위한 상담기법이 4.49(SD=0.61)로 매우 높았고 아동과 의사소통기법 또한 4.38(SD=0.68)로 높고, 문제 상황에 따른 대처방법 4.37(SD=0.65)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부적응아동을 지도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아동과 상호작용하면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인 부분과 교육적 차원의 상담보다는 좀 더 전문적이고 아동의 문제를 변화 할 수 있는 상담기법을 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아동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아동과 일상적인 관계에서 교사의 긍정적인 지지나 격려, 문제행동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의사소통 기법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Kim(2008)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수퍼비젼 실태 및 교육 욕구에 관한 연구에서, 종사자의 교육 참여는 이용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와 대처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전문적인 기술과 역량을 강화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질적인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고, 이용아동의 전인적인 성장을 위한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의 요구는 4.15(SD=0.67)로 아동의 문제행동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인식에서 부모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모는 자녀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녀의 행동에 관심 갖고 행동을 이해하고 교사와 친밀관계를 유지해야 하나 지역아동센터를 보내는 부모 중 일부는 생계형 경제활동으로 인해 자녀와 함께 있는 시간이 부족하고 자녀의 문제행동 변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낸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부모역할을 적절히 수행하면서 아동의 부모에게 가정에서 적절한 부모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거나 상담해 줄 수 있다면 아동의 부적응행동 개선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으로 부모의 양육방식 변화와 부모상담이 어렵기는 하나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Sun(2014)의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전반적인 아동 발달의 이해는 3.88(0.74)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교육 프로그램 과정 운영에 관한 조사결과, 교육 가능 시간은 평일 오전 78.7%, 교육 회기의 경우 ‘1~2회기’ 와 ‘3~4’회기 80%, 교육 시간은 2시간 55.1%, 교육비 지불은 국가나 지자체부담 75.4%, 강의방법은 사례 적용강의 6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교육회기의 경우 단기회기에 답한 비율이 높은데 이는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부족과 교육비지불에 대한 부담감이 큰 것으로 이해된다. 1~2회기 등 단기 프로그램은 그 효과성이 낮고, 교사들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상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을 하려면 중장기 8~10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업무를 대신해줄 수 있는 대체인력이 지원된다면, 현장에서 적용가능 한 사례중심과 훈련 등의 내용으로 중장기 8~10회기 프로그램으로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좀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본다. 현재 지역아동센터 운영지침(2018)상 교사들의 전문적인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비 지원에 관한 사항은 없으며 교사교육 시간은 연 25시간(기존 종사자에 한함)으로 의무화 되어 운영지침, 행정회계, 프로그램 및 평가, 종사자 인문학, 아동인권, 아동발달 이해, 부모교육 등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육시간은 주제에 따라 2~4시간 정도 이거나 1회성에 그치며 대부분이 이론 강의이며 온라인 강의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문제행동 아동이나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을 지도하고 부모와 연계해서 지도할 수 있을 만큼의 교육 효과를 보기엔 부족한 실정으로 다양한 지원체계가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Table 5에 제시하였다.

Request for empowerment education of child guidance in problematic behaviorn(%)


Ⅳ.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아동 부적응행동지도 역량강화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으로 교사의 성별은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연령대가 40대 이후, 7년 이상 근무자가 많았다. 지역아동센터 교사 개인이 지도하는 아동 수는 평균 24.6명으로 나타났는데 부모의 대리적 양육과 훈육을 지원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매우 상당히 부담되는 숫자로 판단된다. 이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업무과중과 높은 피로도로 이어져 아동의 적절한 돌봄과 정서적지지 및 문제 상황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등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하겠다. 따라서 이용아동의 다양한 연령층과 다양한 욕구를 고려한 서비스 제공과 교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 1인당 지도하는 아동 수를 줄임으로서 아동지도에 적합한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지도의 중요성 인식과 관련하여 심리ㆍ정서적 지원, 기본생활지도, 아동 부적응행동 지도 및 상담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재교육을 통해 보완되어야 할 아동지도 영역에 대해 아동 부적응행동 지도 및 상담, 심리ㆍ정서적 지원, 기본생활지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 및 예체능 지원, 아동학습지도 및 과제물은 낮게 나타났다. 이용아동들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어야 할 부분은 아동의 자아 존중감, 사회성 발달로 대부분의 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아동기에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은 성격형성이나 대인관계에서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아동기에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렇게 중요하다고 인식한 아동지도 업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 교육에서 이론적 접근보다 아동과 교사의 친밀감 증진과 아동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지도기법 등이 필요하겠다. 그러므로 교사연수나 재교육은 현장에서 필요하고 적용 가능한 형태의 내용이어야 하며, 교사 역량강화 교육이 정기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을 지도하면서 느꼈던 어려움의 정도에서 반항적ㆍ폭력적 행동을 보인 아동지도의 어려움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활동거부 및 의욕이 없는 아동, 주의 산만한 아동, 자녀문제에 비협조적인 부모, 교사의 지시를 거부한 아동, 또래와 어울리지 못한 아동, 규칙을 지키지 않는 아동, 도벽과 거짓말, 교사주변에 서성거리는 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문제행동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반복된 문제행동이 지속된다면 아동의 건강한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중재가 필요하다. 중재자로서 가장 적합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교사일 것이다. 교사들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주의를 주거나 지켜야 할 규칙을 설명하는 등 방법을 사용하지만 아동의 행동이 변화하지 않고 반복될 때 좌절감을 느끼거나 교사로서 자부심을 잃고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을 무관심하게 대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아동의 부적응행동 문제를 감소하고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부적응행동지도에 대한 인식에서, 부적응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지도하는데 전문적인 지식 습득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응답한 교사 중 95%가 소속된 지역아동센터에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이 있다고 했는데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특성상 또 다른 문제행동으로 발전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용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조치로 매일 만나는 교사들이 부적응행동을 지도하고 대처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이나 문제행동 대처기법 등을 강화하는 방침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지도를 할 수 있는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응답 결과로 문제행동 상황에 따른 대처 능력, 아동에 대한 애정적인 태도, 개별 아동에 대한 이해, 다양한 아동지도 경험, 아동상담기법 등 모든 문항에서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부적응행동을 보인 아동을 지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문 상담사 지원과 배치보다는 교사 스스로 역량강화 교육을 통해서 직접 지도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았다. 이러한 교사들의 요구를 제공해줌과 동시에 아동지도 전문 인력으로서 자기계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질과 자긍심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섯째, 부적응행동지도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 요구에 대해 절반 이상의 교사가 필요하며 교육을 받겠다는 의사를 드러냈다. 특히 희망하는 교육내용은 아동의 부적응행동을 위한 상담기법과 아동과 의사소통기법, 문제 상황에 따른 대처방법,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 아동 발달의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교육 요구 내용은 지역아동센터 아동과 교사의 현실적인 문제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가 미해결되었을 때 교사와 아동의 갈등적 관계가 더 짙어질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부모의 협조가 이루어져야 하나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좀 더 효과적인 상담기법과 부모의 협조를 구하기 위한 전문적 자질함양을 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끝으로 교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간은 평일 오전을 희망, 교육 희망 회기는 1~2회기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업무과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교육시간은 1회기에 2시간, 교육비 지불은 국가나 지자체부담을 희망하고 있으며, 강의방법은 사례적용 강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전문적인 자질을 갖추기 위해 적합한 교육을 희망하나 시간부족과 교육비 지불에 대한 부담이 있는 것으로 본다. 실제로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다양한 부분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교육 기간 동안 교육비 지원과 대체강사 지원 등의 제도적 배려가 이루어진다면 6회기나 8회기 정도의 중단기 회기와 전문가의 수퍼비전이 함께 주어진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교육비용 지원과 전문가에 의한 수퍼비전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전남지역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이 담당하는 아동수가 과다함으로 아동 개개인에 대해 더 많은 관심과 돌봄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교사 1인당 아동비율을 낮출 수 있도록 인건비지원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심리ㆍ정서적 지원과 아동 부적응행동 지도 및 상담을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이 영역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러므로 지자체나 국가 정책상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기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전문 인력으로서 교사의 자긍심과 질적 전문성을 키워주기 바란다. 셋째, 구체적인 부적응행동으로는 반항, 폭력, 무기력 등이며 이에 대한 지도 방법의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현장에서 꼭 필요한 사례관리 등 실제적인 지도 방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넷째,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은 부모협조가 필수적인 지역아동센터 교사에게 특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서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부적응아동이 발견될 경우 심리상담 전문가와의 수퍼비전 등 철저한 사례관리를 통해 부적응행동을 중재하고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교육비 지원과 전문가에 의한 수퍼비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이 부적응 아동지도에 대해 갖는 실제적인 어려움을 조사하고 아동지도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이나 운영시간, 강의방식 등에 대해 교사들의 요구를 탐색하는 기초조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References

  • An SG(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Master’s Thesis, Gangnam University
  • Bae EG, Choi IS(2016)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mental health in local center workers: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ADHD. Res Emot and Behav Disord 32(3), 193-215
  • Byun EJ(2013) Verification of the development effect of the counsellor’s counselling capacity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Dissertation, Sungshin Wonen’s University
  • Cho AS(2015)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needs of pre-school teachers’ behavior, play therapy and play therapy training. Dissertation, Chonnam University
  • Choi JG(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regionnal center working environment on workers’ intention of changing jobs. Dissertation, lnha University
  • Ham EJ(20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Instructing non-perferred children.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Hong GY(2003) A study on the teachers’ recognition of manageability children’s map in child education. Master’s Thesis, Wongwang University
  • Hong HM(2016)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rt treatment program on children’s attack in local children’s center. Master’s Thesis, FarEast University
  • Hong KY(2003) A research on th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instruction of up-adaptable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unstitution. Master’ Thesis, WonKwang University
  • Kang JH(2009) Group therapy effect for reducing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s behavior problem. Korean J After-School Child Educ 6(1), 12
  • Kim JH(2008) A study on the super-sighted vision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workers of the local mobility center.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tiy
  • Kim YG(2012) The effect of group theraplay on peer attachment and str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are center. Korean J Play Therapy 15(1), 73-91
  • Kim YS(2014) A study on the envigoration of child counseling using the community center. Master’s Thesis, Kaya University
  • Ko MH(2007) Analysis of actual counseling status and need for counseling at community children center (study room) : focused on the Kyunggi Area.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 Kong CS(2008) Study on operation evaluation and development method of local child care center - focused on Gyeonggi-do Area.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 Lee JA(2017)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rimary care office. Master’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 Lee JA(2017) Factors that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after school care teacher. Master’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 Lee YS(2015)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new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job competence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 Lim TY(2007) A surveyanalysis of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about elementary school guidance, Marster’s Thesis, Chinju Nation University of Education
  • Park IW(2017)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children’s rights.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 Park JY(2014) Counseling status, recognition, and need 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Mar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Song NR(2016)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Sun HW(2014) Problem behavior of elementary teachers and its strategies. Master’s Thesis, Gyeongin University
  • Sun HW(2014) Elementary teachers recognize students’ problems and response strategies.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Yoon MJ(2018)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perception and need on counseling activities in Daegu.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 You YH(1995)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andbox play for children with malfunction behavior.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Table 1.

Literature research and application point for the questionnaire composition of an item

Researcher Subject of research Item extraction and Application point
Lim Taeyeong(2007) Analysis on perception of importance for elementary school guidance Humanity guidance, basic life guidance, emotional cultivation guidance,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
Ko Mihyang(2007) Counselling condi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 and analysis demand of counselling Psychological social emotional support, basic life guidance, parent education, counseling method, knowledge of professional counselling
Kong Changsuk(2008) Evaluation for operating community child center and research for development plan Guidance for study and homework, cultures, physical education and art classes, career guidance
Kang Jihyeon(2009) Group therapy effect for reducing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s behavior problem Aggression, misdeed, withdrawn, depression, uneasy, physical symptom, socially immature, thought problem, attention
Park Huicheol(2014) Mediated effect of stress coping behavior for teacher in Relationship of late student’s problem behavior and exhaustion Rudeness, low sociality, not attentive
Seon Uhyeon(2014)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problem behavior and counterstrategy Sleep, mischief, having difficulty in performing tasks in class, Breaking the rules and diffusive behavior, Non-participant in group work, Talking back to the teacher, Frequent anger, Not relating to friends, Not speaking, Going against teacher’s instruction, Abusive language, Defiance, Telling a lie, Throwing things at teacher, Inciting hostility
Lee Yeseul(2015) Analysis of training requirements for strengthening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ability · Lack of ability to control child, Motivation of learning
· Lack of ability to understand children’s level
· Instruction for absentminded children
· Hard to decide how to handle in facing problematic situations
Lee Jua(2017) Research of analyzing job satisfaction factor in Caring elementary schoolchild officer after school Parental noncooperation
Jang Misun, Kim Jinho(2014) Research of teacher recognition about elementary schoolchild problem behavior · Excessive dependency on teacher, difficulty in controlling feelings when interacting with peers, immature social skills in peer relationships, avoiding interaction
· Violation of regulations, emotional slump and instability
· Interrupting class with noise, mischief and seat breakaway
Ham Eunji(2015) Nonpreferren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Child guidance experience
Children Harassing other children frequently
Selfish children, absentminded child
Child evaluating teacher negatively
Difficulty due to parental noncooperation
Hong Giyeong(2003) Research of teacher recognition about guiding maladjusted children in Education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Child acting impulsively, not adaptive children
Lack of expertise suited to the type of maladaptive behavior
Not proper counseling
Yun Migyeong(2018)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demand for counseling in Community child center in Daegu Professional knowledge relating to counseling, obstruction factors of counseling
Area of counseling, efficient counseling method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n(%)

Variables n %
Gender Male
Female
66
386
15.2
84.8
Age 20~29
30~39
40~49
50~59
60~68
19
91
155
150
19
4.4
21.0
35.7
34.0
4.4
Academic
background
Technical college
A four-year university
Graduate school
183
194
54
41.5
45.0
12.5
Certificate Social worke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 qualifications
1 rate Day care teacher
A juvenile counselor
Others
406
6

14
2
1
94.6
1.4

3.3
0.5
0.2
Certificate
count
≥1
≥2
≥3
429
152
25
98.8
35.0
5.8
A working
career
≤1 year
1 year≤3 years
3 years≤5 years
5 years≤7 years
≥7 years
50
85
61
81
154
11.6
19.7
14.2
18.8
35.7
Total 434 100.0

Table 3.

Child guidance

M(SD)
Study and
homework
Basic life
guidance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
Support for
cultures, physical
education and
art classes
Guidance and
counsel of child
problematic
behavior
Child guidance areas
to be provided by
local child centers
3.94(0.80) 4.28(0.71) 4.33(0.73) 4.14(0.78) 4.27(0.77)
Child guidance area
to fulfill
3.99(0.75) 4.16(0.69) 3.68(0.81) 3.72(0.83) 3.53(0.88)
Areas of child
guidance that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retraining or
job training
3.36(0.85) 3.81(0.83) 4.11(0.75) 3.79(0.82) 4.26(0.75)
 
M(SD)
Child’s parts to be
improved overall
Improvement in giv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asic habits Social development Self-respect
4.00(0.76) 4.24(0.72) 4.33(0.67) 4.43(0.68)
 
M(SD)
Difficulties in
guiding
problematic
behaviors
Children with
school
underachievement
Defiant and
violent child
Inactive and
lack of drive
Not respecting
the rules
Child not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s
3.58(0.88) 4.13(0.86) 4.10(0.84) 3.74(0.85) 3.81(0.86)
Unperceiving child Unadaptable
to one’s age
Kleptomania
and lie
Uncooperative
parents
Telling on
3.96(0.79) 3.76(0.83) 3.60(1.08) 3.85(1.01) 3.41(0.90)

Table 4.

Awareness of child in problematic behavior and guidancen(%)

Variables n %
Professional knowledge required Very necessary 176 40.8
Necessary 202 46.9
Normal 38 8.8
Unnecessary 10 2.3
Very unnecessary 5 1.2
The number of problem behavior
children in the local child center
where teacher belongs
0 21 4.9
1~2 153 35.4
3~4 157 36.3
5~6 66 15.3
≥6 35 8.1
 
M(SD)
Qualification of
teacher in guiding
child in problem
behavio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children
Affection for
children
Various child
guidance
experiences
Ability to handle
problem behavior
Child counseling
techniques
4.36(0.61) 4.42(0.67) 4.29(0.67) 4.49(0.61) 4.27(0.71)

Table 5.

Request for empowerment education of child guidance in problematic behaviorn(%)

Variables n %
The most effective way for guiding
problematic behavior children
Direct guidance from employees 221 51.3
Request for professional counseling organization 68 15.8
Supporting professional counselors to the center 142 32.9
Necessity of empowerment education Yes 403 93.1
No 30 6.9
Intend to participate in
empowerment education
Yes 406 93.8
No 27 6.2
Educable hours Weekday morning 328 78.7
Weekday afternoon 69 16.5
Weekday evening 4 1.0
Weekend 16 3.8
Educational session 1~2 sessions 195 47.1
3~4 sessions 135 32.6
5~6 sessions 57 13.8
7~8 sessions 27 6.5
Teaching hours per one time 1 hour 60 14.5
2 hours 228 55.1
3 hours 92 22.2
4 hours 34 8.2
Payment method Central or local government 313 75.4
Community child center 77 18.6
Partial self-pay 23 5.5
Entire self-pay 2 0.5
Teaching method Lecture focusing of theory 44 10.6
Case applications 273 65.9
Case and practice 95 22.9
Practice 2 0.5
 
M(SD)
Degree of request
for educational
contents
Understanding of
overall child
development
Coping method
with problematic
situation
Communication
skills with
children
Counselling
method for
children in
problem behavior
Parent counseling
and parent
education
Degree of request
for educational
contents
3.88(0.74) 4.37(0.65) 4.38(0.68) 4.49(0.61) 4.15(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