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0, No. 4, pp.635-656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19
Received 02 Oct 2019 Revised 11 Nov 2019 Accepted 11 Nov 2019
DOI: https://doi.org/10.7856/kjcls.2019.30.4.635

약용작물 관련 전통지식의 이용방법 분석

서경원 ; 서기춘 ; 이민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n Analysis of the Utilization to Traditional Knowledge in Relation to Medicinal Crops Classified as Native Resources
Kyeongwon Seo ; Ki Chun Seo ; Minu Le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in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Correspondence to: Kyeongwon Seo Tel: 82-63-238-2634 E-mail: skw2633@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ABS(Access and Benefit-sharing) has emerged with the signing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ong with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ABS is also related to the issue of benefit-sharing of traditional knowledge. In order to protect Korea’s traditional knowledge, as it is related to genetic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create proactive defensive measures to prevent other countries from acquir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Therefore, traditional knowledge should be systematically placed in a database to secure evidence of Korea’s prior medical knowledge. This study examines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medicinal crops, which was placed in a systematic database, and the literature and field survey data on this traditional knowledge as related to plant resources were reviewed. As a result, 339 samples of traditional knowledge concerning 58 plant resources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 21 program.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traditional knowledge on the use of medicinal crops was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crops, agricultural items, parts of the plants, and disease system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ll analyzed.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the traditional knowledge by conducting field research on native crops.

Keywords:

medicinal crops, genetic resources, ABS, defensive protection, database

I. 서론

국제적으로 자국이 보유한 생물자원뿐만 아니라 그것의 이용방법인 전통지식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통지식이 관심받기 시작한 것은 생물다양성협약(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이후로, 이 협약은 멸종되어가는 생물의 종(種 species)을 보호하여 생물다양성을 보존함으로써 자원의 지속적 이용을 확보하려는 데 목적이 있으며, 생물다양성의 보존과 지속적 이용에 적합한 전통지식의 보전과 활용을 촉구하기 위해 법적·제도적 행동강령까지 제시하였다(RDA 2009).

또한 2010년 생물다양성협약 부속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유전자원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가 체결됨에 따라 외국의 유용한 생물유전자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공국으로부터 사전통보승인(PIC: Prior Informed Consent)를 받고, 생물유전자원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에 대한 공유 방법과 기술이전이나 지식재산권 관련 문제 등에 합의(MAT: Mutually Agreed Terms)하여야 하며, 계약의 이행사항을 보고하여야 한다. 유전자원뿐만 아니라 유전자원에 관련된 전통지식과 그러한 지식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유를 규정하고 있다(RDA 2018).

국제 이익공유의 사례를 들면, 마카(Maca, Lepidium meyenii)는 페루가 원산지인 뿌리식물로서 ‘안데스 산삼’ 또는 ‘천연 비아그라’로 일컬어지며 성기능 강화제로 민간요법으로 수세기에 걸쳐 이용되었다. 그런데 2001년 Pure world Botanicals사가 미국에서 마카의 추출물인 ‘Macapure’에 대한 특허를 인정받았으나 페루 농민들이 ‘생물해적행위(biopiracy)’라며 반대운동을 시작하였고, 이 사건을 계기로 페루에서는 전통적으로 계승해온 유전자원을 해외로 반출시켜 의약품 등을 개발할 경우, 페루정부 및 토착지역사회와 일정한 비율로 이익을 공유하도록 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NIBR 2014).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가 체결된 이후 각 국가들은 자국의 생물유전자원과 그와 관련된 전통지식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여 국제사회의 이익공유와 관련된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구는 앞으로 벌어진 국제분쟁에 대응하여 한국의 다양한 유전자원과 그와 관련된 전통지식을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를 위해 민간의 약용작물에 관한 전통지식을 조사 및 기록한 문헌자료를 검토하여 그 이용방법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더불어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와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Ⅱ. 선행연구 검토

유전자원과 관련된 전통지식에 대한 선행연구는 약용작물 자체에 대한 연구보다는 식물유전자원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고문헌 분석, 현지조사와 설문조사, 현지조사방법론, 전승양상 연구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 고문헌을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먼저 고농서의 내용을 분석한 RDA(2013)의 연구에서는 고농서 속에 구황, 벽온, 구활 등을 위해 이용되었던 식물과 그 이용방법을 정리하였다. Koo(2015)의 연구에서는 식물별로 고문헌에 기록된 쓰임새를 정리하고 오늘날 활용도의 평가도 같이 논의하였다. Park(2016)의 『산림경제지』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이용해왔던 생물자원을 식물, 동물, 균류 등으로 분류하여 분류군별 특성을 분석하고, 이 세 가지 분류군에서 세부적으로 과별, 이용부위별, 질병계별, 법제방법, 이용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현지조사 연구들을 살펴보면, Jeong et al. (2014)의 충남내륙지역 연구, Park & Chun(2015)의 전라남도 연구, Kim et al.(2015)의 제주도 연구 등은 지역별로 분포되어 있는 민속식물을 원주민을 대상으로 한 현지면담조사를 통해, 과, 속, 아종, 변종, 품종 등의 식물분류를 통해 식물의 구성을 파악하고, 약용, 식용 등의 용도별, 잎, 줄기, 뿌리 등 이용부위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 여부 등을 논의하였다. 국립수목원에서 수행한 한국의 민속식물 연구(KNA 2013)에서도 전국 단위로 조사한 민속식물에 대한 기본 정보와 전통지식, 지방에서 불리는 명칭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Jeong(2014)의 전국 단위로 약용식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에서도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 등 5개 내륙지역과 제주도, 울릉도 등을 포함한 73개의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민속약용식물의 분류군을 유형화시키고 명칭, 부위별 이용방법,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Cheon et al.(2015)의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천렵에 이용된 식물에 대한 전통지식을 조사하기 위해 반구조식 설문조사를 통해 식물의 구성과 천렵용 외에 약용, 식용 등의 이용방법, 천렵용 식물의 성분 및 효능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식물 유전자원에 대한 전통지식의 현지조사방법론을 체계화하는 연구들을 살펴보면, Han et al.(2013)은 전통 민간요법 연구를 통해 사전조사, 현지조사, 중간검토, 심층조사로 체계화한 조사 매뉴얼을 제시하였으며, 발굴한 자료를 DB화하고 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까지 논의하였다. Shin(2012)의 약초민간전승요법에 대한 다학제간 조사방법론에 대한 연구에서는 식물의 지역명, 증상별 식물 이용현황 등을 파악하는 예비조사, 생애연구를 위한 심층면담 방법, 제형적 측면 조사방법 등의 전반적인 조사방법을 제시하고, 더불어 국어학, 식물학, 약리학, 약제학, 문화인류학 등 다학적인 접근방식을 제안하였다.

넷째, 식물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의 전승양상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Bak(2009)는 나물과 약초에 관련된 전통지식을 식용, 약용과 같은 일상생활자원, 생업자원, 장소마케팅의 문화자원, 산업자원으로서 활용되어 전승되는 양상을 논의하였으며, 또한 Bak (2011)는 산청지역의 민간요법 전승 연구에서 약초 채취, 자가 치료, 민간치료사 활동, 약용 동식물 재배·사육 등의 측면에서 전승되는 양상을 논의하였다. Oh & Kim (2014)의 연구에서는 과거 개인단위에서 이루어졌던 민간요법이 구전(口傳)이 아닌 인터넷 공간 속에 온라인 카페를 통해 익명의 사람들끼리 소통되고, 대량 생산과 판매라는 산업적 형태로 변화하고, 학문적인 과학적 검증까지도 요구되며 그 존재양상이 바뀌어 전승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대한 연구는 고문헌자료 분석에서 현지조사, 설문조사, 현지조사방법론, 전승양상까지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그간 연구한 자료를 바탕으로 전통지식에 대한 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물론 거시적으로 유전자원와 관련된 전통지식에 대한 이용방법의 유형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미시적으로 약용식물에서 작물을 중심으로 작물별, 품목별, 식물의 부위별, 질병계통별 이용방법의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약용작물을 중심으로 고문헌에 기록된 자료와 기관별 현지조사를 통해 정리한 보고서 자료를 검토하여 이용방법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2018년에 직접 현지조사를 통해 토종작물 대상으로 보유 현황을 파악하고 약용관련 전통지식의 전승양상을 살펴보았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유전자원, 농업생명자원, 토종작물 등의 개념은 현행 법령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생물다양성법’)」 제2조(정의)에서는 유전자원을 ‘유전(遺傳)의 기능적 단위를 포함하는 식물·동물·미생물 또는 그밖에 유전적 기원이 되는 유전물질 중 실질적 또는 잠재적 가치를 지닌 물질’이라 하고, 「농업생명자원의 보존·관리 및 이용에 관하 법률(이하, 농수산생명자원법)」에서는 농업유전자원을 ‘농업생물자원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가치를 지닌 유전물질’로서 야생종, 재래종, 육성종, 도입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한 토종작물(또는 농산물, 농작물) 관련 조례에서는 토종작물을 ‘야생종과 재래종 중에서 지자체장이 지정한 것’으로 규정한다. 한국토종연구회의 경우 토종자원의 개념을 ‘한반도의 자연생태계에서 대대로 살아왔거나 농업생태계에서 농민에 의하여 대대로 사양, 재배 또는 이용되고 선발되어 내려와 한국의 기후 풍토에 잘 적응된 동물, 식물, 그리고 미생물’로 본다.

한편 약용식물이란 질병의 치료에 이용하는 식물로서 식물성 생약의 원식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Sung et al. 2015), 농업유전자원과 토종자원의 범주에 모두 속하며, 유전자원의 다양한 유전물질 가운데 주로 약용으로 활용되는 식물을 말한다. 민간에서 약용으로 활용되는 식물은 야생에서 자라나는 자생식물과 농가에서 작물로 재배하는 재배식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원, 농업유전자원, 토종자원, 약용식물과 같은 유전자원의 다양한 분류 중에서 농가에서 재배한 식물 가운데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되었던 약용작물을 대상으로, 대대로 경험을 통해 터득 해오면서 전승해 온 전통지식을 분석하였다.

현재 외래 종자의 유입과 작물의 대량생산 체제로 한반도에 오랫동안 토착화되어온 우리의 토종 약용작물이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민간에서 전승되어오는 약용작물관련 전통지식은 현대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오늘날 유전자원과 그와 관련된 전통지식을 활용하여 미용, 건강기능식품 등의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여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한국의 다양한 약용작물과 그와 관련된 전통지식도 다양한 상품개발과 산업화에 활용될 수 있는 생물자원이자 지식자원으로서 현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2. 분석방법

약용작물에 대한 전통지식을 수집하기 위해 참고한 단행본은 총 6권으로, 고문헌에 기록된 자료를 검토하기 위해 『식물의 쓰임새 백과』(Koo et al. 2015), 『전통지식 모음집: 약용작물이용편』(RDA 1997), 『(고농서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온고이지신』(RDA 2013), 『토종농사는 이렇게』(Byun 2017)을, 현지에서 원주민을 대상으로 수집한 전통지식의 보고서 자료를 검토하기 위해 『한국의 민속식물: 전통지식과 이용』(KNA 2013), 『자연에서 찾은 민간요법, 약초』(RDA 2005)을 참조하였다.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약용으로 활용되는 식물자원 58개에 대한 전통지식 339건을 수집하고 분류하여 코딩을 통해 분석하였다.

문헌자료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구체적 분류방법은 약용작물의 대분류로 작물 3항목, 중분류로 품목 8항목, 소분류로 식물자원 58항목을 설정하고, 약용작물의 활용방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식물 부위 10항목, 질병계통 13항목, 증상 88항목, 이용방법 16항목을 설정하였다. 작물 3항목은 식량작물, 원예작물, 특용작물로 분류하였다. 품목은 식량작물에 곡류, 두류, 서류, 원예작물에 채소, 과수, 화훼, 특용작물에 유지 종실류, 견과류로 분류하였다. 식물의 이용부위 10항목은 씨(종자), 잎, 뿌리, 껍질, 줄기, 열매, 꽃(수염), 열매꼭지, 전초, 잎줄기(경엽)으로 분류하였다.

질병계통 13항목은 신경계통, 눈 및 눈 부속기, 귀 및 유돌, 순환계통, 호흡계통, 소화계통, 피부 및 피하조직, 근골격계통, 비뇨생식계통, 임신 및 출산, 손상 및 중독,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기타로 분류하였으며, 이 분류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 및 질병명을 참고한 것이다. 약용작물의 이용방법 16항목은 즙 복용, 머금음(양치액), 음식조리, 달임약(차),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 입욕제, 베개 충전재, 머리감기, 생식, 씹거나 깨물음,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찜질, 문지름, 붙임, 바름으로 분류하였다. 약용작물에 대한 정리한 데이터를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작물과 품목 및 식물 이용부위, 이용방법과 품목 및 식물 이용부위, 질병계통별 변수 간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2018년에 강원 홍천, 경기 양평, 전북 진안의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토종작물의 보유현황을 파악하고 약용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전통지식을 수집한 현지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3개 지역을 선정한 이유는 민간단체에서 토종씨앗 실태조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곳으로, 토종작물을 보존하고 있는 보유자를 선별하여 조사하는데 용이하였기 때문이다. 강원 홍천에서는 전국여성농민회가 중심이 되어 토종씨앗 실태조사와 더불어 토종씨앗을 보존하기 위한 채종포를 운영하고 있다. 경기 양평에서도 농업을 통한 생태계 보전에 관심이 있는 성가소비녀회의 수녀들이 토종농사에 관심 있는 민간단체와 농업인들과 연계하여 토종씨앗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전북 진안의 마령면은 농림부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중심지활성화사업의 대상지로 토종씨앗 실태조사를 통해 토종씨앗 기록집을 발간하였다.

The list of the holders of native crops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토종작물을 보존하고 있는 보유자 총 50명을 대상으로 159건의 토종작물을 파악하였다. 보유자 50명 가운데 여성이 41명, 남성이 9명으로 주로 여성들이 씨앗을 보존하여 왔으며, 연령대는 40대 후반부터 90대까지 있었다. 이렇게 조사한 보유현황을 작물과 품목별로 분류하여 그 특성과 전통지식을 살펴보았다.


Ⅳ. 결과 및 고찰

1. 작물별 활용도 분석

약용작물관련 전통지식 339건에서 원예작물이 233건(68.7%)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며, 그 다음으로 식량작물이 84건(24.8%)을 차지하였다. 특용작물은 22건(6.5%)을 차지하며 약리적으로 활용되는 빈도가 미비하게 나타났다.

1) 작물과 품목의 관계에 따른 활용도 분석

작물별 품목의 빈도분석을 한 결과, 식량작물 84건(24.8%)에서는 두류 48건(14.2%), 곡류 28건(8.3%), 서류 8건(2.4%) 순으로 나타난다. 원예작물 233건(68.7%)에서는 채소가 205건(60.5%)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그 외에 과수 16건(4.7%), 화훼 12건(3.5%)을 차지한다. 특용작물 22건(6.5%)에서는 유지 종실류 15건(4.4%)이 많이 차지하며 그 외에 견과류가 7건(2.1%)을 차지한다.

2) 작물과 식물 이용부위의 관계에 따른 활용도 분석

전체 작물에서 식물 이용부위별 활용도를 보면 씨(종자) 96건(28.3%), 뿌리 68건(20.1%), 잎 48건(14.2%), 줄기 42건(12.4%), 열매 41건(12.1%), 열매꼭지 11건(3.2%), 잎줄기(경엽) 9건(2.7%), 껍질, 꽃(수염), 전초가 각각 8건(2.4%) 순으로 나타났다.

작물별 식물 이용부위의 빈도분석을 한 결과, 식량작물 84건(24.8%)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부위는 씨(종자)가 55건(16.2%)을 차지하고, 그 외에 뿌리 10건(2.9%), 줄기 5건(1.5%), 꽃(수염) 4건(1.2%), 잎과 열매가 각각 3건(0.9%), 껍질과 전초가 각각 2건(0.6%) 순으로 차지한다. 원예작물 233건(68.7%)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부위는 뿌리가 56건(16.5%)을 차지하며, 그 외에 잎 40건(11.8%), 줄기 37건(10.9%), 열매 34건(10%), 씨(종자) 31건(9.1%), 열매꼭지 11건(3.2%), 잎줄기(경엽) 9건(2.7%), 껍질 6건(1.8%), 전초 5건(1.5%), 꽃(수염) 4건(1.2%) 순으로 차지한다. 특용작물 22건(6.5%)에서 많이 이용하는 부위는 씨(종자) 10건(2.9%)이며, 그 외에 잎 5건(1.5%), 열매 4건(1.2%), 뿌리 2건(0.6%), 전초 1건(0.3%) 순으로 차지한다.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rops and the agricultural items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rops and the part of the plants

2. 이용방법별 활용도 분석

약용작물 관련 전통지식 339건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이용방법은 달임(차) 101건(29.8%), 붙임 40건(11.8%), 바름 37건(10.9%), 즙 복용과 음식조리가 각각 34건(10%),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32건(9.4%), 기타 14건(4.1%), 양치액(연기 머금음) 11건(3.2%), 씹거나 깨물음 8건(2.4%),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 7건(2.1%), 찜질 6건(1.8%), 생식과 문지름 4건(1.2%), 머리감기 3건(0.9%), 입욕제와 베개 충전재가 각각 2건(0.6%)순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기타 14건(4.1%)은 구체적인 활용방법이 언급되지 않은 것들을 분류한 것이다.

1) 품목과 이용방법의 관계에 따른 활용도 분석

품목별 이용방법의 빈도분석을 한 결과 곡류 28건(8.3%)에는 달임(차) 13건(3.8%)이 가장 많으며, 그 외에 음식조리 4건(1.2%), 즙 복용 3건(0.9%), 양치액(연기 머금음),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 베개 충전재, 씹거나 깨물음,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찜질, 바름, 기타가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하였다.

달임(차)은, 율무, 조, 옥수수를 달이거나 차로 마셨으며, 음식조리는 메밀, 옥수수, 수수를 수제비, 죽, 조청 등으로 만들어 먹었다. 즙 복용은 수수와 귀리의 씨(종자)나 뿌리를 삶아서 즙을 내어 마셨다. 베개 충전재로는 메밀을 활용하였으며 두통에 효과적이다.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은 해독하기 위해서 조의 씨(종자)를 볶아서 가루를 내어 차나 물에 개어 바르거나 마셨다. 양치액(연기 머금음)은 옥수수를 먹고 남은 하얀 속을 말렸다가 태워서 연기를 마시면 치통에 좋다.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에서는 메밀대를 태워 만든 잿물에 손가락을 담그면 생손앓이에 효과적이다. 씹거나 깨물음은 율무의 껍질을 깨물면 구취가 나아진다. 찜질은 메밀의 씨(종자)와 소금을 넣어 끓인 물로 찜질하여 타박상을 치료하였다. 바름은 기장을 즙이나 가루를 내어 화상 부위에 발랐다.

두류 48건(14.2%)에는 달임(차) 18건(5.3%)과 붙임 8건(2.4%)이 가장 많으며, 그 외에 음식조리 5건(1.5%), 찜질과 바름이 각각 3건(0.9%), 양치액(연기 머금음)과 씹거나 깨물음,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기타가 각각 2건(0.6%), 즙 복용, 입욕제, 베개 충전재가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하였다. 달임(차)은 결명자, 강낭콩, 작두콩, 아주까리(피마자), 팥, 검정콩을 활용하였으며, 붙임은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와 잎을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였다. 음식조리는 갈증이 날 때 녹두로 국수를 만들어 먹었으며, 산후조리를 위해 완두로 죽으로 쑤어 먹었다.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items and the formula

찜질에는 아주까리(피마자)와 검정콩을 활용하였다. 아주까리는 그 잎을 짓찧어 천에 싸서 더운 물에 담갔다가 건져 눈두덩에 올려놓으면 결막염에 효과적이고, 검정콩은 삶아서 천에 넣어 베개처럼 만들어 찜질하면 목 등의 부위가 결렸을 때 좋다. 바름은 주로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를 기름으로 짜서 상처부위에 발랐다. 양치액(연기 머금음)은 설종 질환에 아주까리기름을 묻힌 종이를 태워서 연기를 마셨다. 씹거나 깨물음은 아주까리 씨(종자)를 불에 구워서 이빨이 아픈 곳에 물고 있으면 치통이 나았다.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은 완두를 가루로 내어 얼굴에 바르면 기미를 없애는데 효과적이며, 야맹증에 결명자를 가루로 내어 물에 타서 마셨다. 즙 복용은 녹두로 즙을 내어 먹으면 여러 가지 독극물에 대한 해독의 작용을 한다. 입욕제로 결명자를 사용하면 혈액순환에 좋으며, 베개 충전재로 결명자를 사용하며 두통에 효과적이다.

서류 8건(2.4%)에는 붙임 4건(1.2%), 음식조리 2건(0.6%), 즙 복용과 바름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하였다. 붙임은 감자를 짓찧거나 갈아서 상처부위에 붙였다. 음식조리는 고구마를 삶거나 엿으로 만들어 먹었는데, 신경통이나 변비에 좋다. 즙 복용은 감자의 뿌리를 갈아서 마셨으며, 바름도 감자를 짓찧어 습진 부위에 발랐다.

채소 205건(60.5%)에는 달임(차) 56건(16.5%)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즙 복용 28건(8.3%), 붙임 26건(7.7%), 바름 24건(7.1%),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22건(6.5%), 음식조리 13건(3.8%), 기타 11건(3.2%), 양치액(연기 머금음) 7건(2.1%),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 6건(1.8%), 문지름 4건(1.2%), 머리감기, 생식, 씹거나 깨물음이 각각 2건(0.6%), 입욕제와 찜질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하였다.

달임(차)은 댑싸리, 아욱, 박, 상추, 파, 갓, 시금치, 수박, 마늘, 호박, 수세미오이, 가지, 생강, 미나리, 부추, 토란, 연, 방아, 무, 달래, 더덕, 양파, 도라지를 활용하였다. 즙 복용은 갓, 오이, 수세미오이, 생강, 미나리, 부추, 연, 무, 우엉을 활용하였다. 붙임에는 상추, 파, 갓, 수박, 마늘, 오이, 호박, 가지, 생강, 배추, 미나리, 부추, 토란, 연, 우엉이 활용되었다. 바름에는 상추, 파, 수박, 오이, 수세미오이, 가지, 생강, 배추, 토란, 연, 달래, 우엉, 도라지가 활용되었다.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은 수박, 마늘, 참외, 호박, 수세미오이, 가지, 방아, 우엉, 더덕, 당근, 도라지를 활용하였으며, 주로 껍질, 뿌리 등을 말려서 가루를 내어 상처부위에 바르거나 물에 타서 복용하였다.

음식조리는 마늘, 호박, 생강, 부추, 박하, 무, 우엉을 활용하였다. 마늘은 다져서 꿀에 넣어 먹으면 기관지에 좋으며, 소주에 재운 후 꿀에 밀봉해놓았다가 먹으면 위염에 효과적이다. 호박은 주로 기관지가 안 좋을 때 미꾸라지와 함께 넣고 끓이거나 찜으로 조리하였으며, 그 외에 보리엿에 재워 숙성했다가 먹었다. 생강은 버섯중독을 해독할 때 콩과 함께 갈아서 쪄서 먹었으며, 부추는 이질에 고춧가루와 함께 먹거나, 설사에 죽을 쑤어 먹었다. 박하는 술로 빚어 놓았다가 위염이 있을 때 먹었으며, 무는 엿으로 만들어 먹으면 기관지에 좋다. 우엉은 중풍을 앓고 있을 때 수제비로 만들어 먹었다.

양치액(연기 머금음)은 고추, 파, 가지, 생강, 부추, 당근을 활용하였으며, 치통이나 구내염에 씨(종자)를 끓인 물 또는 태운 재를 물에 섞어 입에 머금고 있거나, 즙이나 잎 등을 달인 물로 양치를 하면 나아졌다.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은 고추, 가지, 부추를 활용하였다. 말린 고추를 보리길금을 함께 끓인 물이나 가지의 말린 줄기, 잎, 뿌리 등을 삶은 물에 동상 걸린 손과 발을 담갔다. 부추는 치질에 걸렸을 때 잎과 뿌리를 삶으면서 나온 김으로 환부를 쪼이고, 그 물로 여러 번 씻어냈다.

문지름은 오이와 가지를 활용하였는데, 벌레에 물렸을 때나 티눈, 사마귀가 났을 때 열매나 열매의 꼭지로 문질렀다. 머리감기는 탈모를 방지하기 위해 박하의 잎을 삶은 물이나 우엉의 뿌리를 식물성 기름에 담가 우려낸 액으로 머리를 감았다. 생식은 불면증에 상추를, 산후조리에 미나리를 생으로 먹으면 좋다. 씹거나 깨물음은 치통에 구운 마늘이나 부추의 뿌리를 소금에 절인 것을 아픈 이빨로 깨물고 있으면 나아진다. 입욕제는 당근의 생잎줄기나 말린 것을 목욕물에 한줌 넣으면 보온 효과가 있다. 찜질은 부종이 심할 때 생강과 함께 솔잎을 뜨겁게 삶아서 자루에 넣어 찜질하였다.

과수 16건(4.7%)에는 달임(차) 6건(1.8%), 음식조리, 생식,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이 각각 2건(0.6%), 즙 복용, 씹거나 깨물음, 붙임, 바름이 각각 1건(0.3%)을 차지한다. 달임(차)은 감기에 걸렸을 때 곶감을 뜨거운 물에 담가 복용하거나, 야뇨증에 감꼭지를 끓여 마셨다. 생식은 체함, 설사, 숙취 등에 홍시를 먹으면 나아진다.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은 체하였을 때 대추의 씨(종자)를 말려 가루 낸 것을 물에 타서 마시거나, 대추를 태운 재를 참기름에 개어 화상 부위에 붙였다.

즙 복용은 감기에 걸려 기침이 심할 때 대추의 진액을 내어 먹으면 효과적이다. 음식조리는 감을 식초로 만들어 1년 동안 발효시켜 먹으면 간에 좋다. 씹거나 깨물음은 대추의 씨를 파내고 그 속에 우황을 조금 넣어서 아픈 이빨로 물고 있으면 통증이 완화된다. 붙임은 대추와 아주까리를 함께 찧어서 환을 만들어 귀에 붙이면 외이염에 효과적이다. 바름은 무좀에 대추나무의 잎을 찧어서 나온 즙을 발랐다.

화훼 12건(3.5%)에는 달임(차)과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이 각각 4건(1.2%), 음식조리, 씹거나 깨물음, 찜질, 바름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하였다.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은 주로 잇꽃(홍화)의 씨(종자)를 가루로 내어 물과 함께 복용하였다. 달임(차)는 잇꽃(홍화)과 해바라기의 씨(종자), 줄기, 뿌리 등을 달인 물을 마셨다. 음식조리는 잇꽃으로 술을 빚어 먹으면 어혈을 푸는 데 효과적이며, 씹거나 깨물음은 해바라기의 줄기를 태워 만든 재를 물에 개어 매실에 묻힌 후 아픈 이빨로 깨물고 있다. 찜질은 잇꽃을 며칠 술에 담가두었다가 물을 절반 섞어서 다친 부위에 찜질하며, 바름은 미용으로 잇꽃을 찧어 연지를 만들어 발랐다.

유지 종실류 15건(4.4%)에는 음식조리와 바름이 각각 4건(1.2%), 달임(차) 3건(0.9%), 양치액(연기 머금음), 머리감기,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붙임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하였다. 바름은 주로 참깨, 들깨, 검은깨의 씨(종자)를 기름으로 짜서 발랐으며, 그 외에 식초에 하루 정도 담가서 그 액체를 솜에 묻혀 발랐다. 음식조리는 차조기를 삶아서 먹거나 기름 또는 술로 만들어 먹었다.

달임(차)은 들깨, 차조기의 씨(종자), 뿌리, 전초를 활용하였다. 양치액(연기 머금음)은 참깨의 씨(종자)를 태워서 가루를 낸 후 물에 타서 입에 머금고 있으면 치통이 나아진다. 머리감기는 참깨의 잎을 머리에 비벼 거품을 내서 감았으며, 이렇게 하면 머리카락에 윤기가 있어진다.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은 차조기의 잎을 말려 분말로 만들어 복용하였으며, 붙임은 들깨의 잎을 짓찧어 뱀에 물렸을 때 붙였다.

견과류 7건(2.1%)에는 음식조리 3건(0.9%), 바름 2건(0.6%), 달임(차)과 씹거나 깨물음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하였다. 음식조리는 변비나 설사에 땅콩을 껍질 채 쌀 식초에 담가 두었다가 같이 복용하거나, 산후조리에 땅콩과 돼지족발을 같이 푹 끓여 나온 국물을 먹으면 산모의 젖이 잘나온다. 바름은 땅콩을 분말로 만들어 식초에 개어서 동상에 발랐고, 호두를 짓찧어 기름이 나오도록 볶은 후 다시 찧은 것을 아연화연고에 섞어서 피부염에 발랐다. 달임(차)은 호두를 찧은 것을 참기름과 1:1로 섞어 끓인 것을 감기에 걸렸을 때 복용하였다. 씹거나 깨물음은 호두를 쇠꼬챙이에 끼우고 기름에 달궈서 이빨로 물고 있으면 치통이 나아진다.

2) 식물 이용부위와 이용방법의 관계에 따른 활용도 분석

식물 이용부위별 이용방법의 빈도분석을 한 결과 씨(종자) 96건(28.3%)에서 많이 활용하는 이용방법은 달임(차) 32건(9.4%)이 많으며, 그 외에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12건(3.5%), 바름 11건(3.2%), 음식조리 10건(2.9%), 붙임 9건(2.7%), 기타 8건(2.4%) 양치액(연기 머금음) 5건(1.5%), 즙 복용과 찜질이 각각 3건(0.9%), 씹거나 깨물음 2건(0.6%), 베개 충전재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s of the plants and the formula

잎 48건(14.2%)에서 많이 활용하는 이용방법은 즙 복용 12건(3.5%), 붙임 11건(3.2%)이 많으며, 그 외에 음식조리와 달임(차)이 각각 5건(1.5%), 바름 4건(1.2%),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3건(0.9%), 기타 2건(0.6%), 양치액(연기 머금음),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 입욕제, 머리감기, 생식, 찜질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뿌리 68건(20.1%)에서 많이 활용하는 이용방법은 달임(차) 24건(7.1%)이 많으며, 그 외에 즙 복용 13건(3.8%), 음식조리와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7건(2.1%), 붙임 6건(1.8%), 바름 5건(1.5%),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 2건(0.6%), 양치액(연기 머금음), 머리감기, 씹거나 깨물음, 찜질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껍질 8건(2.4%)에서는 음식조리, 달임(차), 기타가 각각 2건(0.6%), 베개 충전재와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줄기 42건(12.4%)에서 많이 활용하는 이용방법은 바름 11건(3.2%), 달임(차) 10건(2.9%), 붙임 9건(2.7%)이 많으며, 그 외에 음식조리 4건(1.2%),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 3건(0.9%), 씹거나 깨물음 2건(0.6%), 즙 복용, 양치액(연기 머금음),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열매 41건(12.1%)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이용방법은 달임(차) 11건(3.2%)이 많으며, 그 외에 바름 6건(1.8%), 음식조리 5건(1.5%), 붙임 4건(1.2%), 씹거나 깨물음과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3건(0.9%), 즙 복용, 양치액(연기 머금음), 생식, 문지름이 각각 2건(0.6%),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꽃(수염) 8건(2.4%)에서는 달임(차) 5건(1.5%), 음식조리, 찜질, 붙임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열매꼭지 11건(3.2%)에서는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5건(1.5%), 문지름과 기타가 각각 2건(0.6%), 양치액(연기 머금음)과 달임(차)이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전초 8건(2.4%)에서 달임(차) 5건(1.5%), 즙 복용, 입욕제, 머리감기가 각각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잎줄기(경엽) 9건(2.7%)에서 달임(차) 6건(1.8%), 즙 복용 2건(0.6%), 생식 1건(0.3%) 순으로 활용된다.

3. 질병계통별 활용도 분석

약용작물에 대한 전통지식 339건 가운데 가장 많이 언급된 질병으로는 소화계통 87건(25.7%), 피부 및 피하조직 58건(17.1%), 호흡계통 48건(14.2%), 손상 및 중독 38건(11.2%),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 19건(5.6%), 신경계통과 임신 및 출산이 각각 16건(4.7%), 비뇨생식계통 14건(4.1%), 순환계통 12건(3.5%), 근골격계통 13건(3.8%), 기타 9건(2.7%), 눈 및 눈 부속기 7건(2.1%), 귀 및 유돌 2건(0.6%) 순으로 나타났다. 질병계통과 이용방법의 빈도분석을 비교한 결과 질병계통에 따라 이용방법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신경계통 질환

신경계통 질환으로는 두통, 중풍, 신경통, 불면증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16건(4.7%)에서 이용방법은 달임(차) 5건(1.5%), 음식조리 3건(0.9%), 즙 복용, 베개 충전재, 기타가 각각 2건(0.6%), 생식과 바름이 각각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두통에는 박하, 더덕, 작두콩의 씨(종자), 뿌리, 잎줄기, 열매를 달임(차)으로 활용하였으며, 베개 충전재로 메밀과 결명자의 씨(종자)를 사용하였다. 음식조리는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로 기름을 짜서 복용하였으며, 그 외에 기타 방법으로 아주까리의 씨(종자)와 대추를 함께 짓찧어 종이에 바른 다음 젓가락에 말아서 콧속에 넣는 방법이 있다.

중풍에는 무로 즙을 내어 먹거나, 우엉의 껍질을 가루로 만들어 수제비를 만들어 먹었으며, 그 외에 기타 방법으로 박의 씨(종자)를 먹으면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인 방법이 언급되지 않았다. 신경통에는 양파로 즙을 내어 마시고, 고구마로 엿을 만들어 먹거나 수세미오이를 달인 물을 마셨으며, 생강즙과 감자 눈을 갈아 밀가루에 섞어서 신경통이 느껴지는 부위에 발랐다. 불면증에는 상추를 생식으로 먹었으며, 대추를 달여서 1일 3회 복용하였다.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disease system and the formulas

2) 눈 및 눈 부속기 질환

눈 및 눈 부속기 질환으로는 시력저하, 결막염, 야맹증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7건(2.1%)에서 이용방법은 달임(차) 3건(0.9%),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과 찜질이 각각 2건(0.6%) 순으로 나타났다. 시력저하에는 결명자, 해바라기, 차조기의 씨(종자)를 달여 마셨다. 결막염에는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와 잎을 짓찧어 천에 싸서 더운 물에 담갔다가 눈두덩에 올려놓거나 도라지를 나팔꽃의 씨와 함께 가루로 낸 것을 꿀을 넣어 환으로 만들어 하루에 3번 복용하였다. 야맹증에는 결명자를 댑싸리와 함께 가루 낸 것을 하루 3회에 미음에 타서 복용하였다.

3) 귀 및 유돌 질환

귀 및 유돌 질환으로는 외이염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에서 이용방법은 붙임 2건(0.6%)만 나타났다. 대추를 아주까리와 함께 찧어서 환을 만들어 비단주머니에 싸서 귓속에 넣었으며, 아주까리(피마자)의 기름을 두 세 방울 귓구멍에 떨어뜨리고 탈지면으로 막아두면 나아졌다.

4) 순환계통 질환

순환계통 질환으로는 저혈압, 고혈압, 신장염, 혈액순환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12건(3.5%)에서 이용방법은 달임(차) 6건(1.8%), 음식조리 2건(0.6%), 즙 복용, 입욕제,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기타가 각각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저혈압에는 생강을 달여서 먹으면 손발이 더워지고 혈압이 상승된다. 고혈압에는 양파의 뿌리로 즙을 내어 먹거나 감의 잎을 말려 차로 마셨고, 그 외에 기타로 결명자가 혈압을 내리고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능이 있는데 그 이용방법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신장염에는 옥수수를 죽으로 쑤어 먹었거나, 마른 수박의 껍질, 옥수수수염, 연근을 달여서 마셨다. 혈액순환에는 결명자의 전초를 입욕제로 사용하거나 차조기의 잎을 말려 만든 가루를 복용하면 좋다. 또한 잇꽃(홍화)을 술로 담가 먹으면 어혈을 풀어주고, 미나리를 삶거나 짓찧은 물을 마시면 피가 맑아진다.

5) 호흡계통 질환

호흡계통 질환으로는 비염, 감기, 기관지, 코피, 가래, 폐렴(폐농양), 충농증(부비동염), 편도염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48건(14.2%)에서 이용방법은 달임(차) 21건(6.2%)이 많으며, 그 외에 즙 복용, 음식조리,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이 각각 7건(2.1%), 기타 4건(1.2%), 붙임 2건(0.6%) 순으로 나타났다. 비염에는 차조기의 열매로 기름을 짜서 복용하거나 파의 흰 줄기 부분을 세로로 쪼개 속을 제거하고 미끈미끈한 것을 콧등에 붙였으며, 수세미오이의 줄기를 말려 가루를 낸 것을 콧속에 넣었다.

감기에는 박, 파, 감, 대추, 생강, 호두, 토란, 무, 차조기의 뿌리, 줄기, 열매, 전초를 달여 마셨으며, 수세미오이와 대추로 즙을 내어먹거나 마늘의 뿌리를 빻아서 가루로 만들어 숯과 같이 물에 타서 마셨다. 기관지에는 수세미오이, 부추, 연의 잎, 뿌리, 줄기로 즙을 내어 마셨다. 마늘, 호박, 무, 수수, 더덕으로 음식을 조리하여 먹기도 하였는데, 주로 꿀에 절이거나 술을 담그고 찜을 하였다. 또한 수세미오이, 박하, 작두콩, 아주까리(피마자), 도라지의 씨(종자), 뿌리, 열매, 전초를 달여 마셨으며, 가지의 열매꼭지, 우엉의 씨(종자), 도라지의 뿌리를 말려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복용하였다. 그 외에 기타로 동아의 껍질이 천식에 좋으며, 참외의 꼭지를 말려 약으로 사용하였다.

코피에는 조, 옥수수수염, 도라지의 뿌리를 달여 마시거나, 방아의 말린 잎을 가루로 만들어 물에 타서 복용하였다. 또한 연의 뿌리를 찧어서 나온 즙에 솜을 묻혀 콧속에 넣으면 출혈이 멈추었으며, 그 외 기타로 박하의 잎이 코 막힌 것을 뚫어주고 코피를 멎게 한다. 가래에는 우엉의 뿌리로 즙을 내어 마시거나 차조기의 잎으로 술을 담가 먹었으며, 강낭콩과 작두콩을 달여 마셔도 효과가 있다. 폐렴(폐농양)에는 미나리로 즙을 내어 먹거나 동아의 씨(종자)가 효과가 있지만 이용방법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충농증(부비동염)에는 수세미오이의 뿌리를 태워 만든 재를 따뜻한 물에 타서 복용하였으며, 편도염에는 도라지의 뿌리를 달여서 마셨다.

6) 소화계통 질환

소화계통 질환으로는 간 질환, 변비, 치통, 치질, 체함, 설사, 황달, 복통, 구내염, 토혈, 구토, 대변출혈, 복부팽만, 구취, 충수염(맹장염), 위염, 복막염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87건(25.7%)에서 이용방법은 달임(차) 28건(8.3%)이 많으며, 그 외에 음식조리 13건(3.8%), 즙 복용 11건(3.2%), 양치액(머금음) 10건(2.9%), 씹거나 깨물음 8건(2.4%),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7건(2.1%), 바름 5건(1.5%),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과 기타가 각각 2건(0.6%), 생식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간 질환에는 메밀로 죽을 쑤어 먹거나 감식초를 복용하였으며, 미나리를 달여 마시기도 하였다. 변비에는 주로 음식조리와 달임(차) 방법이 활용되었는데, 음식조리는 호박의 잎으로 국을 끓이고 고구마를 삶아서 먹었으며, 땅콩을 식초에 발효시켜서 복용하였다. 달임(차)은 결명자, 아욱, 수세미오이, 감, 아주까리(피마자)를 활용하였다.

치통에는 고추, 참깨, 파, 팥, 가지, 옥수수의 씨(종자), 뿌리, 열매를 태워서 나온 연기를 마시거나 재를 물에 타서 머금고 뱉었으며, 즙을 내어 양치액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동아와 박을 달여서 마시거나 마늘, 대추, 호두, 부추, 해바라기,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 뿌리, 줄기, 열매를 씹거나 몇 초 동안 깨물고 있었다. 가지의 열매꼭지를 말려 가루로 내어 복용하기도 하고 토란의 줄기와 우엉의 뿌리를 갈거나 달여서 아픈 부위에 발랐다.

치질에는 방아의 잎으로 즙을 내어 먹거나, 부추의 잎을 삶으면서 나오는 뜨거운 김으로 환부를 쪼이고 그 물로 여러 번 씻어냈다. 또한 수세미오이의 뿌리를 태워 나온 재를 술이나 온수와 함께 복용하였다. 참깨를 식초와 2:1 비율로 한 달 동안 발효시킨 것에 솜을 묻혀 환부에 바르거나 도라지의 잎을 짓찧어 나온 즙에 참기름과 섞어 바르기도 하였다.

체함에는 감자의 뿌리와 수수의 씨(종자)로 즙을 내어 먹거나, 아주까리(피마자)를 기름으로 짜서 복용하였다. 율무, 갓, 시금치, 미나리, 박하, 무, 해바라기의 씨(종자), 뿌리, 잎, 줄기를 달여서 먹었으며, 홍시를 먹거나 대추를 가루로 내어 끓인 물에 타서 복용하였다. 그 외에 기타로 참외의 열매꼭지를 활용하는데 그 이용방법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설사에는 연을 즙으로 내어 먹거나 결명자와 아욱의 씨(종자)를 달여 먹었다. 음식으로는 완두와 부추로 죽으로 쑤어 먹고, 땅콩을 식초와 함께 발효시켜 먹었으며, 들깨의 뿌리를 우유와 갈아 마시거나 곶감을 먹었다.

황달에는 미나리의 잎줄기로 즙을 낸 것과 율무를 달인 것을 마시거나, 참외의 열매꼭지를 말려서 가루를 낸 것을 코로 흡입하면 나아진다. 복통에는 오이, 부추, 방아, 박하, 도라지의 잎과 뿌리로 즙을 내거나 조를 달여 마셨으며, 토란의 줄기를 갈아서 밀가루와 생강을 조금 넣고 섞어서 환부에 바르면 통증이 나아진다. 구내염에는 가지의 열매꼭지, 생강의 줄기, 당근의 잎을 찧어서 나온 즙이나 달인 물을 양치액으로 사용하였으며, 연의 뿌리를 달여 마시거나 수박의 껍질을 태운 재를 환부에 발랐다.

토혈에는 부추의 잎으로 즙을 내어 먹거나 수박의 씨(종자)를 달여 마셨으며, 구토에는 아욱과 작두콩의 씨(종자)와 부추와 달래의 뿌리를 달여 마셨다. 대변출혈에는 가지의 뿌리를 달인 물에 환부를 담그거나 열매꼭지를 가루로 내어 복용하였다. 복부팽만에는 수세미오이의 씨(종자)를 말려서 가루로 내어 물에 타서 복용하였다.

구취에는 율무를 씹거나 깨물었으며, 충수염(맹장염)에는 동아가 효능이 있는데 구체적인 방법이 언급되지 않았다. 위염에는 마늘과 박하로 음식을 조리하였는데, 마늘은 소주에 담가 6개월 동안 보관하였다가 건져내어 벌꿀을 넣어 1개월 동안 더 보관하였다가 복용하였으며, 박하는 뿌리를 말려 술을 담가 먹었으며, 율무와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를 달여 마시기도 하였다. 복막염에는 검정콩을 달여 마셨다.

7)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으로는 미용, 생손앓이, 습진, 화농성 염증, 부종, 두드러기, 화상, 티눈, 피부염, 종기, 탈모, 담괴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58건(17.1%)에서 이용방법은 바름 17건(5%)과 붙임 16건(4.7%)건이 많으며, 그 외에 달임(차)과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이 각각 6건(1.8%), 머리감기와 기타가 각각 3건(0.9%),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과 문지름이 각각 2건(0.6%), 즙 복용, 입욕제, 찜질이 각각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은 당근의 잎을 입욕제로 사용하며 피부보습에 효과가 있고, 참깨의 잎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에 윤기가 난다. 완두를 가루로 내어 얼굴에 바르면 기미가 사라지며, 수박의 흰 부분이나 오이를 썰어서 얼굴에 붙이면 피부가 좋아진다. 수세미오이의 즙을 얼굴에 바르면 좋고, 들깨를 짠 기름을 주근깨, 기미에 발랐으며, 잇꽃(홍화)으로 연지를 만들어 입술에 발랐다. 그 외 기타로 동아의 씨(종자)로 화장품을 만들기도 하였는데 그 이용방법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생손앓이에는 메밀의 줄기를 태워 만든 잿물에 손가락을 담그거나 파의 줄기를 쪼개서 진이 나오는 쪽을 손가락에 붙인다. 습진에는 가지의 잎을 말려 가루로 내어 바르거나 수세미오이를 달여서 바르기도 하고, 파를 달인 물로 환부를 씻었으며, 감자의 눈을 도려내어 찧어서 즙을 낸 후 솜에 묻혀 발랐다. 화농성염증에는 마늘과 파를 함께 짓찧어서 붙이거나, 파를 갈아서 꿀과 섞어 붙이고, 아주까리(피마자)의 잎에 소금을 조금 넣고 찧어서 붙이기도 하였다.

부종에는 율무, 팥, 수세미오이의 줄기, 옥수수수염을 달여서 마시거나 생강과 솔잎을 함께 삶아서 자루에 넣어 찜질을 하고, 그 외에 기타 방법으로 동아 껍질이 부종에 좋다고 하지만 그 이용방법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두드러기에는 결명자의 씨(종자)와 조의 줄기를 달여 마셨다. 화상에는 대추를 태운 재를 참기름에 개어서 발랐으며, 오이를 얇게 썰어서 붙이거나 오이 즙을 발랐다. 감자를 얇게 썰거나 강판에 갈아서 또는 그 뿌리를 긁어서 붙였으며, 우엉의 잎을 붙이기도 하였다. 참깨, 수박, 수세미오이, 가지, 토란, 달래, 기장, 아주까리(피마자)을 찧어서 즙을 내거나 말려서 가루를 내고, 기름을 짠 것들을 화상 부위에 발랐다.

티눈에는 생가지 통째로 또는 가지의 꼭지를 잘라낸 부분을 환부에 문질렀다. 피부염에는 우엉의 잎과 아주까리(피마자)를 찧어서 붙였으며, 호두를 찧어서 기름이 나오도록 볶은 후 아연화연고와 섞어서 발랐다. 종기에는 참외의 씨(종자), 호박의 열매꼭지, 더덕의 뿌리를 말려서 가루로 내어 참기름에 개어 바르거나 물에 타서 복용하였다. 또한 갓의 잎, 호박의 꽃,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와 잎을 찧어서 붙였으며, 연의 잎을 갈아 발랐다. 탈모에는 박하와 우엉의 뿌리로 머리를 감거나, 배추와 검은깨의 씨(종자)를 기름으로 짜서 발랐으며, 그 외에 참외의 잎이 머리털이 나는 데 좋다고 하지만 그 이용방법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담괴에는 갓의 잎을 즙으로 내어 마셨다.

8) 근골격계통 질환

근골격계통 질환으로는 관절염, 요통, 근육경련, 골절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13건(3.8%)에서 이용방법은 달임(차) 5건(1.5%),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붙임, 바름이 각각 2건(0.6%), 즙 복용과 찜질이 각각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관절염에는 율무, 잇꽃(홍화)의 씨(종자)와 꽃을 달여 마시거나, 잇꽃의 씨(종자)를 말려 가루로 내어 복용하였다. 또한 우엉의 잎을 불에 살짝 구워서 붙였으며, 생강이나 토란을 갈아서 밀가루와 섞어서 발랐다.

요통에는 연의 잎으로 즙을 내어 먹거나 작두콩의 뿌리를 달여 마셨으며, 갓의 씨(종자)를 볶아서 찧은 후 꿀을 섞어서 천에 바른 다음 환부에 붙였다. 근육경련에는 방아의 잎을 달여 마시거나, 검정콩을 삶아서 자루에 넣어 찜질한다. 골절에는 잇꽃(홍화)을 가루로 내어 물이나 차에 타서 복용한다.

9) 비뇨생식계통 질환

비뇨생식계통 질환으로 오줌소태(방광염), 월경불순, 야뇨증, 소변임통, 소변출혈, 탈항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14건(4.1%)에서 이용방법은 달임(차) 8건(2.4%), 즙 복용과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이 각각 2건(0.6%), 붙임과 바름이 각각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오줌소태(방광염)에는 수수의 뿌리로 즙을 내어 마시거나, 댑싸리의 씨(종자)와 전초, 수박의 껍질, 옥수수수염을 달여 마셨다.

월경불순에는 율무와 미나리의 전초를 달여 마시거나, 잇꽃(홍화)의 씨(종자)와 수세미를 말려 가루로 내어 복용하였다. 야뇨증에는 감의 열매꼭지를 달여 마셨으며, 소변임통에는 미나리의 뿌리로 즙을 내어 먹거나 토란의 줄기를 달여 마셨다. 소변출혈에는 상추의 씨(종자)를 찧어서 배꼽에 붙이며, 탈항에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을 찧어서 바르고 30분 후에 항문이 들어 간 후 씻어낸다.

10) 임신 및 출산

임신 및 출산 질환으로는 산후조리, 입덧, 하혈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16건(4.7%)에서 이용방법은 음식조리와 달임(차)이 각각 5건(1.5%), 즙 복용 3건(0.9%),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2건(0.6%), 생식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에는 연의 뿌리와 귀리의 씨(종자)로 즙을 내어 먹거나, 메밀, 완두, 호박, 땅콩, 차조기로 음식을 조리하여 먹었다. 메밀은 수제비로 해먹었으며, 완두는 삶아 먹으면 산모의 젖이 많아지며, 호박은 대추, 생강과 같이 달여 마시면 산모의 부기를 빼는데 좋다. 땅콩을 돼지족발과 함께 삶아서 우려낸 국물을 마시면 산모의 젖이 많아지며, 차조기의 잎과 닭을 삶아서 먹으면 자궁출혈에 좋다.

또한 산후조리에 상추의 씨(종자), 호박, 수세미오이, 무를 달여 마셨으며, 미나리의 잎줄기를 생식으로 먹었으며, 잇꽃(홍화)과 참외의 씨(종자)를 가루어 내어 물에 타서 복용하였다. 한편 연의 뿌리를 즙을 내어 먹으면 산후조리뿐만 아니라 입덧에도 효과가 있으며, 하혈에는 수박의 씨(종자)를 달여 하루 2~3회 복용하였다.

11) 손상 및 중독 질환

손상 및 중독 질환으로는 해독, 타박상, 벌레물림, 더위(일사병), 동상, 숙취, 멀미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38건(11.2%)에서 이용방법은 붙임 12건(3.5%), 바름 8건(2.4%), 즙 복용 5건(1.5%), 달임(차)과 물에 담그거나 세척함이 각각 3건(0.9%),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과 찜질이 각각 2건(0.6%), 음식조리, 생식, 문지름이 각각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해독은 주로 뱀독이나 농약중독, 개에게 물렸을 때 등의 여러 가지 독에 해독 작용을 하는 것으로, 녹두로 즙을 내어 먹거나 생강을 콩장과 같이 맷돌에 갈아서 참기름을 넣고 섞은 후 단지에 넣고 쪄서 한 숟가락씩 복용한다. 조와 더덕을 가루로 내어 물에 타서 복용하거나 발랐으며, 배추, 들깨, 토란의 잎과 아주까리(피마자)의 씨(종자)를 찧거나 갈아서 환부에 붙였다. 또한 파, 생강, 우엉을 찧어서 나온 즙을 내어 발랐다.

타박상에는 작두콩의 뿌리와 메밀의 씨(종자)를 달여 마시거나, 잇꽃(홍화)을 술에 담근 물로 찜질하였다. 타박상 부위에 파와 감자의 줄기와 뿌리, 생강의 줄기, 부추의 잎을 찧어서 소금이나 우황가루 등을 섞어 붙이거나 상추, 오이, 토란을 찧어서 나온 즙에 밀가루를 섞어서 발랐다. 벌레물림에는 주로 벌에 물렸을 때, 오이의 열매꼭지로 문지르거나, 파의 뿌리와 마늘의 줄기를 찧어서 붙였으며, 토란의 줄기를 찧어 나온 즙을 바르기도 하였다.

더위(일사병)에는 오이와 부추의 잎으로 즙을 내어 마시거나, 방아의 잎을 달여 마셨다. 동상에는 고추, 가지의 줄기와 뿌리를 달인 물에 환부를 담그거나 세척하였으며, 땅콩을 가루로 내어 식초와 섞어서 바르기도 하였다. 숙취에는 미나리의 잎줄기로 즙을 내어 마시거나 도라지를 달여 마셨으며, 홍시를 먹으면 나아진다. 멀미에는 생강의 뿌리로 즙을 내어 마셨다.

12)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으로는 사마귀, 홍역, 무좀(백발선), 이질, 폐결핵, 회충제, 식중독, 옴, 만성늑막염(흉막염), 임질, 버짐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 19건(5.6%)에서 이용방법은 달임(차) 8건(2.4%)이 많으며, 그 외에 바름 3건(0.9%), 음식조리와 기타가 각각 2건(0.6%), 즙 복용,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 문지름, 붙임이 각각 1건(0.3%) 순으로 나타났다.

사마귀에는 생가지를 문지르거나, 율무로 치료하는데 효험이 있지만 그 이용방법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홍역에는 박을 대나무 잎, 보리, 인동, 하늘타리와 함께 달여 마셨으며, 무좀에는 가지의 뿌리를 달인 물이나 대추의 잎을 찧어 나온 즙을 발랐다. 이질에는 부추의 잎을 고춧가루와 함께 먹거나, 당근의 씨(종자)를 가루로 내어 생강차에 타서 복용하였다. 폐결핵에는 연의 뿌리로 즙을 내어 마셨으며, 회충제로 양파를 달여 마시거나 호박의 씨(종자)를 사용하였으나 그 이용방법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식중독에는 생강즙을 내어 마시거나, 마늘과 가지의 줄기, 미나리의 잎줄기, 아주까리의 씨(종자)를 달여 마셨다. 옴에는 아주까리(피마자)의 기름을 발랐으며, 만성늑막염(흉막염)에는 갓의 씨(종자)를 달여 마셨다. 임질에는 무를 달여 마셨으며, 버짐에는 아주까리(피마자)를 찧어서 유황가루를 섞어서 붙였다.

4. 농가의 토종작물 보유 현황과 약용관련 전통지식의 전승양상

2018년에 강원 홍천, 경기 양평, 전북 진안의 3개 지역에서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한 159건의 토종자원의 보유현황을 살펴보면, 식량작물 81건(50.9%), 원예작물 51건(32.1%), 특용작물 27건(17%) 순으로 보유하고 있다. 오늘날 농가에서 보존되고 있는 토종작물은 식량작물이 가장 많이 차지하는데, 이는 의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질병을 치료하는데 이전보다 약용작물을 잘 활용하지 않게 되면서 주로 약용작물로 많이 활용되었던 원예작물의 비율이 감소된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condition of possession of the native crops

작물별 품목의 보유현황을 살펴보면, 식량작물 81건에서는 두류 53건(33.3%), 곡류 24건(15.1%), 서류 4건(2.5%) 순으로 보유하고 있다. 원예작물 51건에서는 채소 47건(29.6%), 과수 2건(1.3%), 화훼 2건(1.3%), 순으로 보유하고 있다. 특용작물 27건에서는 유지 종실류 24건(15.1%), 견과류 3건(1.9%) 순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는 앞서 약용작물관련 전통지식의 이용방법에서 작물과 품목의 관계에 따른 활용도를 분석한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농가에서 많이 보유하고 있는 작물의 품목 순으로 약용으로 활용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tem of native crops

전체작물의 보유현황에서 현재 농가들은 주로 식량작물을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지만, 작물별 보유 품목을 살펴보면 식량작물에서 두류 53건 다음으로 여전히 원예작물에서 채소 47건이 많이 보존되고 있다. 그 외에 곡류와 유지 종실류 각 24건, 서류 4건, 견과류 3건, 과수와 화훼 2건 순으로 보존하고 있다.

두류 53건으로 보존된 작물로는 결명자, 녹두, 완두, 강낭콩, 작두콩, 팥, 아주까리, 검정콩이 있다. 이 가운데 현지에서 약용으로 활용되는 것들을 살펴보면, 눈 질환에 결명자, 기관지에 작두콩, 소화기관에 팥을 차로 끓이거나 달여서 마시면 좋다. 팥의 경우 이팥이 당뇨와 부기를 빼는데 좋다고 한다. 아주까리는 기름으로 짜서 변비에 복용하면 효과가 있고, 검정콩(서리태)을 꾸준히 먹으면 흰 머리카락이 다시 검어진다고 한다.

채소 47건으로 보존된 작물로는 댑싸리, 아욱, 박, 고추, 상추, 파, 갓, 마늘, 참외, 오이, 호박, 생강, 배추, 부추, 무, 달래, 도라지, 취가 있다. 현지에서 조사한 약용으로 활용되는 채소로는 주로 호박과 생강, 무가 있다. 호박은 산후조리 할 때 산모의 부기를 빼는데 좋다고 하며 주로 음식으로 조리하여 먹었는데, 더덕과 잔대 또는 피문어와 꿀을 호박과 함께 넣어 쪄서 먹거나 호박죽을 쑤어 먹었다. 또한 호박은 살균효과가 있어서 호박 속을 긁어내어 상처부위에 붙이면 새살이 금방 올라온다고 한다. 생강은 주로 감기에 걸렸을 때 차로 끓여 마시거나 배와 함께 달여 마셨다. 무도 감기에 걸렸을 즙을 내어 마셨다.

곡류와 유지 종실류 각 24건으로 보존된 작물을 살펴보면, 곡류에는 메밀, 율무, 조, 옥수수, 수수, 보리가 있으며, 유지 종실류에는 참깨, 들깨, 검은깨가 있다. 여기서 조는 뿌리를 감기에 걸렸을 때 인동꽃과 함께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다. 한편 서류 4건에는 감자만 있고, 견과류 3건에도 땅콩만 있다. 과수 2건에는 대추와 배가 있는데, 배는 감기에 꿀을 넣고 쪄서 먹었으며 대추는 말려서 한약재로 많이 사용하였다. 화훼 2건에는 잇꽃(홍화)과 흰봉선화가 있다. 몸에 두드러기가 났을 때 흰봉선화를 삶은 물로 목욕을 하면 낫는다고 한다.


Ⅴ. 요약 및 결론

국제사회에서 생물다양성협약(CBD)과 나고야의 정서(Nagoya protocol)가 체결되면서, 유전자원과 그와 관련된 전통지식의 이용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둘러싸고 국제 분쟁이 일어나고 있다. 앞으로 벌어진 이익공유와 관련된 국제 분쟁에 대응하여 한국의 유전자원과 그와 관련된 전통지식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DB화함으로써 선행기술의 증거를 확보하여 다른 국가가 그것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방어적 보호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다양한 유전자원 가운데 약용작물에 대한 전통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고문헌에 기록된 자료와 기관별 현지에서 원주민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조사한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약용작물 58개에 대한 전통지식 339건을 수집하였고, 그 데이터를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약용으로 활용되는 작물은 원예작물이 가장 많이 이용되며 그 다음 식량작물, 특용작물 순으로 나타나며, 작물별 품목과 부위의 활용도에 차이가 있었다. 작물별 가장 많이 활용되는 품목과 부위를 살펴보면, 식량작물에서는 두류와 씨(종자)가, 원예작물에서는 채소와 뿌리가, 특용작물에서는 유지 종실류와 씨(종자)로 나타났다.

둘째 약용작물의 이용방법은 달임(차)이 가장 많으며 그 외에 붙임, 바름, 즙 복용과 음식조리 등의 순으로 나타나며, 품목과 부위별 활용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품목별 활용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곡류 두류, 채소, 과수는 주로 달임(차)으로 많이 활용되며, 그 외에 서류는 붙임으로, 화훼는 달임(차)과 가루형 외용 및 복용약으로, 유지 종실류는 음식조리와 바름으로, 견과류도 음식조리 등으로 활용된다. 부위별 활용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씨(종자), 뿌리, 열매, 꽃(수염)은 주로 달임(차)으로, 잎은 즙 복용으로, 줄기는 바름으로 나타났다.

셋째 질병계통은 소화계통 질환이 가장 많으며 그 외에 피부 및 피하조직, 호흡계통, 손상 및 중독 질환 등의 순으로 나타나며, 질병계통별 이용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신경계통, 눈 및 눈 부속기, 순환계통, 호흡계통, 소화계통, 근골격계통, 비뇨생식계통, 감염성 및 기생충의 질환에서는 주로 달임(차)을 많이 이용하며, 그 외에 귀 및 유돌 질환과 손상 및 중독 질환에서는 붙임을,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에서는 바름을, 임신 및 출산에서는 달임(차)와 함께 음식조리를 활용하였다.

또한 2018년에 강원 홍천과 양평, 전북 진안의 3개 지역에서 현지조사를 통해 농가들이 보유하고 있는 토종작물 현황과 전통지식의 전승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 159건 작물에서 식량작물 81건(50.9%), 원예작물 51건(32.1%), 특용작물 27건(17%)이 파악되었으며, 작물별 품목의 구성을 살펴보고 어떻게 약용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3개 지역에 국한하여 토종작물의 보유실태 현황을 협소하게나마 조사하였는데, 광복 이후 육종사업이 발달하여 신품종들이 농가에 보급되면서 예부터 대물림으로 받은 씨앗으로 농사를 짓는 이들이 많이 사라졌다.

이 때문에 현재 토종종자를 보존하고 있는 보유자를 찾는 일이 많은 발품이 들며, 토종작물을 보존하고 있는 보유자들이 대부분 고령화되어 가면서 그들이 전승해왔던 전통지식을 갈수록 점점 조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약용작물관련 전통지식의 이용방법의 통계는 현재 사라져가고 있는 토종작물과 그와 관련된 전통지식을 조사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전통지식에 대한 체계적인 방식으로 조사하는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study on the traditional knowledge discovery and value diffusion of native resources (PJ0135100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 Bak GY(2009) Aspects of transmission and practical use of folk customs of Namul(Wild Greens) and Yakcho (Medicinal Herbs) - The case of Gyeongbuk province. Inst Korean Cult 43, 563-598
  • Bak GY(2011) Realities and aspects of transmission of folk therapy in Sancheong(山淸) county - a view of the history of medicinal everyday lives. The Study of Practice Folkloristics 18, 229-268
  • Byun HD(2017) Indigenous farming is like this: from the Origin of crop cultivation to the cultivation method, the medicinal use, the seed gathering, the food table. Hongseong: gmulko, pp1-390
  • Cheon IO, Song MJ, Kim H, Lee KH, Yoo YJ(2015) Traditional knowledge of plants used for river fishing in local communities of North Jeolla Province, Korea.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6(4), 675-681. [https://doi.org/10.7856/kjcls.2015.26.4.675]
  • Han JW, Kim JH, Lee SH(2013) Basic study for discovery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folk remedies: with focus on the case of DB built up on folk remedies by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Humanities Contents 30, 249-269
  • Jeong HR(2014) Ethnobotanical study on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medicinal plants in Korea. Dissertation, Gyeongsang University, pp1-149
  • Jeong HR, Kwon HJ, Choi K, Chung JM, Moon HS(2014) Traditional knowledge on the regional folk plants in inland of Chungcheongnam-do rovince, Korea. Korean J plant Res 27(4), 309-325. [https://doi.org/10.7732/kjpr.2014.27.4.309]
  • Kim HJ, Jeong HS, Kang SH(2015) Ethnobotany of Jeju Island, Korea. Korean J plant Res 28(2), 217-234. [https://doi.org/10.7732/kjpr.2015.28.2.217]
  • Koo JO(2015) The natural benefits of Korean flora. a two-volume set. Seoul: Resource Plant Research Society, pp1-1588
  • KNA(2013) Ethnobotany in Korea: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use of indigenous plants. Pocheon: Korea National Arboretum, pp1-1276
  • NIBR(2014) A guide book to easily understand for the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Vol.1.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pp1-275
  • Oh JM, Kim KD(2014) Present day’s examples of traditional home remedies - examination of Lee Ui Young’s <Myeongpum Sanya-cho (Well-made native grass extract)>. J Human Unific 57, 259-284 [https://doi.org/10.21185/jhu.2014.03.57.259]
  • Park JH(2016) A study on traditional knowledge of ethnopharmacological resource recorded in Sallimgyeongje. Master’ thesis, Jeonju University, pp1-66
  • Park MS, Chun YM(2015) The usage of regional folk plants in Jeollanam-do. Korean J plant Res 28(1), 79-92. [https://doi.org/10.7732/kjpr.2015.28.1.079]
  • RDA(1997) A compil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use of indigenous plants.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1-216
  • RDA(2005) Folk remedies found out in nature, medicinal plant. Suwon: NICS ginseng &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pp1-373
  • RDA(2009) Traditional knowledge & intellectural property right.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1-151
  • RDA(2013) On-Goijisin (For the Modern Application of Old agriculture books) v.9. Jeonj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1-547
  • RDA(2018) A guide book for rights to the traditional knowledge: Nagoya protocol &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Wanj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1-212
  • Sung, JK, Kwon, SI, Lee, HN, Na YW, Son EH, Park HJ, Ryu, KY, Lee, SY(2015) Consider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medicinal plants germplasm in Korea. KJMCS 23(1), 37-48
  • Shin YW(2012) Survey Methodology studies on herbal folklore therapy in Sancheong, based on multidisciplinary approach. Center Korean Stud 42, 197-225 [https://doi.org/10.17790/kors.2012..42.197]

Table 1.

The list of the holders of native crops

Holder Age Gender Number of native crop Region
1 80 M 1 Hongcheon-gun Gangwon Naechon-myeon
2 85 M 1
3 64 M 4
4 79 F 5
5 62 F 1
6 61 F 1
7 49 F 3
8 80 F 6
9 74 F 10
10 73 F 4
11 64 M 7 Seoseok-myeon
12 64 F 5
13 57 F 2
14 80 F 1 Hwachon-myeon
15 63 F 2 Yangpyeong-gun Gyeonggi Danwol-myeon
16 96 F 8
17 75 F 4 Yangdong-myeon
18 64 M 1
19 72 F 1
20 77 F 2
21 80 F 6
22 68 M 4 Jinan-gun Jeonbuk Maryeong-myeon
23 69 M 1
24 73 F 1
25 60 F 1
26 63 F 2
27 80 F 5
28 73 F 2
29 82 F 1
30 70 F 4
31 71 F 3
32 76 F 5
33 78 F 7
34 89 F 4
35 80 F 7
36 85 F 4
37 80 F 4
38 80 M 1
39 - F 1
40 82 F 1
41 79 F 2
42 - F 1
43 58 F 2
44 77 F 1
45 - M 1
46 66 F 2
47 88 F 2
48 78 F 8
49 86 F 6
50 74 F 1

Table 2.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rops and the agricultural items

Agricultural items Total
Cereals Pulse crops Root and tuber crops Vegetables Fruit tree Flowering plant Oils Dry fruits
Crop Food crop N 28 48 8 0 0 0 0 0 84
Total % 8.3 14.2 2.4 0.0 0.0 0.0 0.0 0.0 24.8
Horticultural crop N 0 0 0 205 16 12 0 0 233
Total % 0.0 0.0 0.0 60.5 4.7 3.5 0.0 0.0 68.7
Special crop N 0 0 0 0 0 0 15 7 22
Total % 0.0 0.0 0.0 0.0 0.0 0.0 4.4 2.1 6.5
Total N 28 48 8 205 16 12 15 7 339
Total % 8.3 14.2 2.4 60.5 4.7 3.5 4.4 2.1 100.0

Table 3.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rops and the part of the plants

The part of plant Total
Seed Leaf Root Peel Stem Fruit Flower filament The stalk end of fruit The total of plant Sclerophyll
Crop Food crop N 55 3 10 2 5 3 4 0 2 0 84
Total % 16.2 0.9 2.9 0.6 1.5 0.9 1.2 0.0 0.6 0.0 24.8
Horticultural crop N 31 40 56 6 37 34 4 11 5 9 233
Total % 9.1 11.8 16.5 1.8 10.9 10.0 1.2 3.2 1.5 2.7 68.7
Special crop N 10 5 2 0 0 4 0 0 1 0 22
Total % 2.9 1.5 0.6 0.0 0.0 1.2 0.0 0.0 0.3 0.0 6.5
Total N 96 48 68 8 42 41 8 11 8 9 339
Total % 28.3 14.2 20.1 2.4 12.4 12.1 2.4 3.2 2.4 2.7 100.0

Table 4.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items and the formula

Agricultural items Total
Cereals Pulse crops Root and tuber crops Vegetables Fruit tree Flowering plant Oils Dry fruits
Formula Juice N 3 1 1 28 1 0 0 0 34
Total % 0.9 0.3 0.3 8.3 0.3 0.0 0.0 0.0 10.0
Gargle (Smoking) N 1 2 0 7 0 0 1 0 11
Total % 0.3 0.6 0.0 2.1 0.0 0.0 0.3 0.0 3.2
Cooking N 4 5 2 13 2 1 4 3 34
Total % 1.2 1.5 0.6 3.8 0.6 0.3 1.2 0.9 10.0
Decoction N 13 18 0 56 6 4 3 1 101
Total % 3.8 5.3 0.0 16.5 1.8 1.2 0.9 0.3 29.8
Cleaning N 1 0 0 6 0 0 0 0 7
Total % 0.3 0.0 0.0 1.8 0.0 0.0 0.0 0.0 2.1
Bath preparation N 0 1 0 1 0 0 0 0 2
Total % 0.0 0.3 0.0 0.3 0.0 0.0 0.0 0.0 0.6
Pillow padding N 1 1 0 0 0 0 0 0 2
Total % 0.3 0.3 0.0 0.0 0.0 0.0 0.0 0.0 0.6
Shampoo N 0 0 0 2 0 0 1 0 3
Total % 0.0 0.0 0.0 0.6 0.0 0.0 0.3 0.0 0.9
Raw N 0 0 0 2 2 0 0 0 4
Total % 0.0 0.0 0.0 0.6 0.6 0.0 0.0 0.0 1.2
Chewing N 1 2 0 2 1 1 0 1 8
Total % 0.3 0.6 0.0 0.6 0.3 0.3 0.0 0.3 2.4
Pulvis N 1 2 0 22 2 4 1 0 32
Total % 0.3 0.6 0.0 6.5 0.6 1.2 0.3 0.0 9.4
Poultice N 1 3 0 1 0 1 0 0 6
Total % 0.3 0.9 0.0 0.3 0.0 0.3 0.0 0.0 1.8
Rub N 0 0 0 4 0 0 0 0 4
Total % 0.0 0.0 0.0 1.2 0.0 0.0 0.0 0.0 1.2
Sticking N 0 8 4 26 1 0 1 0 40
Total % 0.0 2.4 1.2 7.7 0.3 0.0 0.3 0.0 11.8
Application N 1 3 1 24 1 1 4 2 37
Total % 0.3 0.9 0.3 7.1 0.3 0.3 1.2 0.6 10.9
Etc N 1 2 0 11 0 0 0 0 14
Total % 0.3 0.6 0.0 3.2 0.0 0.0 0.0 0.0 4.1
Total N 28 48 8 205 16 12 15 7 339
Total % 8.3 14.2 2.4 60.5 4.7 3.5 4.4 2.1 100.0

Table 5.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s of the plants and the formula

The part of the plants Total
Seed Leaf Root Peel Stem Fruit Flower filament The stalk end of fruit The total of plant Sclerophyll
Formula Juice N 3 12 13 0 1 2 0 0 1 2 34
Total % 0.9 3.5 3.8 0.0 0.3 0.6 0.0 0.0 0.3 0.6 10.0
Gargle (Smoking) N 5 1 1 0 1 2 0 1 0 0 11
Total % 1.5 0.3 0.3 0.0 0.3 0.6 0.0 0.3 0.0 0.0 3.2
Cooking N 10 5 7 2 4 5 1 0 0 0 34
Total % 2.9 1.5 2.1 0.6 1.2 1.5 0.3 0.0 0.0 0.0 10.0
Decoction N 32 5 24 2 10 11 5 1 5 6 101
Total % 9.4 1.5 7.1 0.6 2.9 3.2 1.5 0.3 1.5 1.8 29.8
Cleaning N 0 1 2 0 3 1 0 0 0 0 7
Total % 0.0 0.3 0.6 0.0 0.9 0.3 0.0 0.0 0.0 0.0 2.1
Bath preparation N 0 1 0 0 0 0 0 0 1 0 2
Total % 0.0 0.3 0.0 0.0 0.0 0.0 0.0 0.0 0.3 0.0 0.6
Pillow padding N 1 0 0 1 0 0 0 0 0 0 2
Total % 0.3 0.0 0.0 0.3 0.0 0.0 0.0 0.0 0.0 0.0 0.6
Shampoo N 0 1 1 0 0 0 0 0 1 0 3
Total % 0.0 0.3 0.3 0.0 0.0 0.0 0.0 0.0 0.3 0.0 0.9
Raw N 0 1 0 0 0 2 0 0 0 1 4
Total % 0.0 0.3 0.0 0.0 0.0 0.6 0.0 0.0 0.0 0.3 1.2
Chewing N 2 0 1 0 2 3 0 0 0 0 8
Total % 0.6 0.0 0.3 0.0 0.6 0.9 0.0 0.0 0.0 0.0 2.4
Pulvis N 12 3 7 1 1 3 0 5 0 0 32
Total % 3.5 0.9 2.1 0.3 0.3 0.9 0.0 1.5 0.0 0.0 9.4
Poultice N 3 1 1 0 0 0 1 0 0 0 6
Total % 0.9 0.3 0.3 0.0 0.0 0.0 0.3 0.0 0.0 0.0 1.8
Rub N 0 0 0 0 0 2 0 2 0 0 4
Total % 0.0 0.0 0.0 0.0 0.0 0.6 0.0 0.6 0.0 0.0 1.2
Sticking N 9 11 6 0 9 4 1 0 0 0 40
Total % 2.7 3.2 1.8 0.0 2.7 1.2 0.3 0.0 0.0 0.0 11.8
Application N 11 4 5 0 11 6 0 0 0 0 37
Total % 3.2 1.2 1.5 0.0 3.2 1.8 0.0 0.0 0.0 0.0 10.9
Etc N 8 2 0 2 0 0 0 2 0 0 14
Total % 2.4 0.6 0.0 0.6 0.0 0.0 0.0 0.6 0.0 0.0 4.1
Total N 96 48 68 8 42 41 8 11 8 9 339
Total % 28.3 14.2 20.1 2.4 12.4 12.1 2.4 3.2 2.4 2.7 100.0

Table 6.

The analysis of utiliz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disease system and the formulas

Formula Total
Juice Gargle (Smoking) Cooking Decoction Cleaning Bath preparation Pillow padding Shampoo Raw Chewing Pulvis Poultice Rub Sticking Application Etc
The classification of diseases The nervous system N 2 0 3 5 0 0 2 0 1 0 0 0 0 0 1 2 16
Total % 0.6 0.0 0.9 1.5 0.0 0.0 0.6 0.0 0.3 0.0 0.0 0.0 0.0 0.0 0.3 0.6 4.7
The eye &adnexa N 0 0 0 3 0 0 0 0 0 0 2 2 0 0 0 0 7
Total % 0.0 0.0 0.0 0.9 0.0 0.0 0.0 0.0 0.0 0.0 0.6 0.6 0.0 0.0 0.0 0.0 2.1
The ear &mastoid process N 0 0 0 0 0 0 0 0 0 0 0 0 0 2 0 0 2
Total %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6 0.0 0.0 0.6
The circulatory system N 1 0 2 6 0 1 0 0 0 0 1 0 0 0 0 1 12
Total % 0.3 0.0 0.6 1.8 0.0 0.3 0.0 0.0 0.0 0.0 0.3 0.0 0.0 0.0 0.0 0.3 3.5
The respiratory system N 7 0 7 21 0 0 0 0 0 0 7 0 0 2 0 4 48
Total % 2.1 0.0 2.1 6.2 0.0 0.0 0.0 0.0 0.0 0.0 2.1 0.0 0.0 0.6 0.0 1.2 14.2
The digestive system N 11 10 13 28 2 0 0 0 1 8 7 0 0 0 5 2 87
Total % 3.2 2.9 3.8 8.3 0.6 0.0 0.0 0.0 0.3 2.4 2.1 0.0 0.0 0.0 1.5 0.6 25.7
The skin & a subcutaneous tissue N 1 0 0 6 2 1 0 3 0 0 6 1 2 16 17 3 58
Total % 0.3 0.0 0.0 1.8 0.6 0.3 0.0 0.9 0.0 0.0 1.8 0.3 0.6 4.7 5.0 0.9 17.1
The musculoskeletal system N 1 0 0 5 0 0 0 0 0 0 2 1 0 2 2 0 13
Total % 0.3 0.0 0.0 1.5 0.0 0.0 0.0 0.0 0.0 0.0 0.6 0.3 0.0 0.6 0.6 0.0 3.8
The genitourinary system N 2 0 0 8 0 0 0 0 0 0 2 0 0 1 1 0 14
Total % 0.6 0.0 0.0 2.4 0.0 0.0 0.0 0.0 0.0 0.0 0.6 0.0 0.0 0.3 0.3 0.0 4.1
The childbirth & the puerperium N 3 0 5 5 0 0 0 0 1 0 2 0 0 0 0 0 16
Total % 0.9 0.0 1.5 1.5 0.0 0.0 0.0 0.0 0.3 0.0 0.6 0.0 0.0 0.0 0.0 0.0 4.7
The injury & poisoning N 5 0 1 3 3 0 0 0 1 0 2 2 1 12 8 0 38
Total % 1.5 0.0 0.3 0.9 0.9 0.0 0.0 0.0 0.3 0.0 0.6 0.6 0.3 3.5 2.4 0.0 11.2
The certain infectious & parasitic diseases N 1 0 2 8 0 0 0 0 0 0 1 0 1 1 3 2 19
Total % 0.3 0.0 0.6 2.4 0.0 0.0 0.0 0.0 0.0 0.0 0.3 0.0 0.3 0.3 0.9 0.6 5.6
Etc N 0 1 1 3 0 0 0 0 0 0 0 0 0 4 0 0 9
Total % 0.0 0.3 0.3 0.9 0.0 0.0 0.0 0.0 0.0 0.0 0.0 0.0 0.0 1.2 0.0 0.0 2.7
Total N 34 11 34 101 7 2 2 3 4 8 32 6 4 40 37 14 339
Total % 10.0 3.2 10.0 29.8 2.1 0.6 0.6 0.9 1.2 2.4 9.4 1.8 1.2 11.8 10.9 4.1 100.0

Table 7.

The present condition of possession of the native crops

Variable N (%)
Crops Food crop 81 50.9
Horticultural crop 51 32.1
Special crop 27 17.0
Total 159 100.0

Table 8.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tem of native crops

Variable N (%)
Item Cereal 24 15.1
Pulse crops 53 33.3
Root and tuber crops 4 2.5
Vegetables 47 29.6
Fruit tree 2 1.3
Flowering plant 2 1.3
Oils 24 15.1
Dry Fruits 3 1.9
Total 159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