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3, No. 4, pp.571-587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22
Received 30 Sep 2022 Revised 25 Oct 2022 Accepted 26 Oct 2022
DOI: https://doi.org/10.7856/kjcls.2022.33.4.571

시대극 ‘Cheri’에 표현된 벨 에포크 시대 조형예술의 특징

김주애
경상국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의류학과 교수
Characteristics of Belle Époque Era’s Formative Art Expressed in Period Drama ‘Cheri’
Ju Ae, Kim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College of Natur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Correspondence to: Ju Ae Kim Tel: +82-55-772-1454 E-mail: jakim@gn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art of costumes, architecture, crafts through the period drama in the Belle Epoque.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 of in the Belle Epoque fist, and analyzed after capturing images in ‘Cheri’ focusing on the women's costumes, architecture and crafts. As a result, Léa costumes showed characteristics of costumes in the Belle Epoque of the peak period the influence of art nouveau as with remarkable expression of exotic taste in accessories based on the oriental motif as well as in S-curve style dress, empire tunic style, pastel color, soft materials etc. As for Charlotte costumes, hourglass or S-shaped dress which was in fashion before the Belle Epoque was worn, showing characteristics of costumes in the early stage under the influence of art nouveau through its dark color and splendid ornaments. For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crafts, a variety of colors were used with winding or crossed curves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rt Nouveau and bright and soft pastel color influenced by impressionism.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iron and class that were very popular in the Belle Epoque were widely used, and in the crafts,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formative art such as plant patterns, birds, female motif and especially exotic-taste motif were very well expressed in the formative art of the Belle Epoque. This way, motif and exotic taste such as organic curve, soft tone, bright and soft mood of pastel tone, plant, birds, butterfly and female were examined commonly as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in the field of various formative art.

Keywords:

Belle Époque, period drama, Cheri, formative art

Ⅰ. 서론

19세기 말에 나타난 새 양식에 대한 변화 욕구는 이전 시기와는 완연히 다른 새 질서를 창조하려는 미술공예 운동을 일으켰다. 이때 등장한 아르누보(Art nouveau) 예술 양식은 어느 시기보다도 현대 예술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므로, 시대적 예술사조로 큰 의미를 지닌다. 1890년대에서 1910년에 걸친 아르누보 예술 영향 시기 중 아르누보 예술 시기의 절정기에 해당하는 1900년대부터 제1차 세계대전 이전까지의 벨 에포크(Belle Epoque) 시대는 현대 사회로의 변화와 함께 복식의 변화가 현저하였으므로 복식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최절정기인 벨 에포크 시대는 어느 시기보다도 세기말의 급격한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예술 양식이 복식을 포함한 건축ㆍ회화ㆍ공예 등의 다양한 조형예술 분야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쳤으므로 벨 에포크 시대에 적용된 조형예술의 다양한 분야들을 관련하여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벨 에포크 시대의 선행 연구는 벨 에포크 시기의 건축에 나타난 심미주의적 경향에 관한 연구(Park & Chun 1995), 아르누보 예술 양식 시대 배경의 영화 복식(Lee & Chung 2007), 아르누보 장신구의 조형적 특성 연구(Nam & Song 2009), 1900년대 여성 패션의 현대화 양상 고찰(Park & Lee 2010) 등으로 조형예술의 각 분야 별로만 연구가 이루어져 복식과 관련하여 다른 조형분야를 함께 고찰한 연구는 미진하므로 벨 에포크 시대의 다양한 조형예술 분야들을 함께 고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 배경을 총체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는 영상물 중 벨 에포크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시대극 영화 <Cheri>(Benoliel & Frears 2009)를 통해,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적용된 벨 에포크 시대의 복식, 건축ㆍ공예 분야에 표현된 조형예술 분야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조형예술 분야 간의 관련성을 고찰한다. 이 연구는 벨 에포크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시대극 영화의 복식 디자인 및 다른 조형예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ㆍ문화적 배경

‘La Belle Epoque’로 불리는 벨 에포크 시대는 빅토리아 시대의 엄격한 윤리적 분위기에서 탈피하여 재미와 유머를 강조하였다(Kim et al. 2010). 1900년대 전반은 19세기 말 아르누보(Art Noueau) 스타일의 10여 년 간의 연장이며,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 수년간을 프랑스에서는 벨 에포크, 영국은 에드워드 시대(1901~1910)로 일컬어진다(Shin 2006). 벨 에포크 시대에 유럽 강대국들은 식민지 쟁탈을 통해 제국주의를 확립하면서 국가의 재력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중상주의와 자본주의의 본격적인 발달로 신분 상승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부르주아 계층은 더욱 확대되고 철도의 발달과 인구집중으로 도시가 팽창되었으며 중ㆍ상류층이 점점 늘어나면서 풍요로워지고 안정된 시대였다. 이러한 번영은 제1차 세계대전 전까지 지속되었고 과학의 발전과 함께 사회 전반에 걸친 변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복식에서는 20세기 초까지도 과거의 잔영이 남아 있었으며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라 복식 스타일의 전환기적 변화를 거쳐 20세기 현대 복식으로 발전되었다. 벨 에포크 예술운동의 한쪽 날개를 대표하는 아르누보 양식은 곡선이나 동식물 무늬가 특징이며, 이는 획일적이고 무미건조한 기계문명에 반발하고 수공예에 중요성을 부여하려는 운동이며 영국의 존 러스킨(John Ruskin),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의 제창을 시작으로 유럽과 미국의 젊은 예술가들의 호응을 얻어 확산되었다(Shin 2006). 아르누보 스타일은 유동적이면서 상징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조형적 특징의 하나로 비대칭 균형을 추구하였다. 형태의 불균형은 모든 단계에서 나타나며, 생명과 운동을 암시하는 격동적인 요소로서 표현되었다(Chung 1989). 이러한 아르누보 양식은 파리 박람회는 물론 실내장식, 가구, 식기, 여성의 장신구, 소설의 삽화, 선전용 포스터 등 생활의 여러 분야에 적용되었다(Shin 2006). 세기말부터 20세기 초기의 패션계는 다른 예술 장르와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변화가 일어났다. 아르누보는 인상주의(Impressionsim)에 의해 부드러우며 환한 색조가 주조를 이루었고(Chung 1989), 인상파 화가들은 여성의 의상을 오브제로서 다루어 생생한 자료를 디자이너들에게 제공하였다(Shin 2006). 이중적인 색채 효과를 위해 얇고 비치는 소재나 레이스를 이용하여 오버 드레스 형태의 튜닉식으로 덧입었다. 이 시기의 복식에 많이 사용된 레이스와 러플은 부와 사회적 지위의 상징 외에 환상적인 색채 효과를 내는 방법으로 이용되었다(Chung 2013).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의 복식은 한 시대의 정치ㆍ경제ㆍ사회적 구현물인 동시에 그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가 표출되고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이기도 하다. 또한 다른 조형예술과 마찬가지로 복식은 형태, 선, 색채, 재질 등의 조형 요소로 구성되면서 예술 양식을 수용하고 표현한다(Chung 1989). 20세기 초의 다른 패션 변화의 흐름은 유럽 여러 나라들이 중국, 일본과의 활발한 교역으로 인해 동양풍의 이국 정서가 만연하여 유럽 여자복식에 동양적인 요소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Shin 2006). 19세기부터 시작된 자포니즘의 유행은 1920년대까지 지속되어 일본, 중국을 비롯한 극동 아시아에 대한 관심에 따라 이들을 중심으로 하는 오리엔탈 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러시아 발레 뤼스(Ballet Russe)의 파리 공연에서 영감을 얻은 폴 푸아레(Paul Poiret)가 동양풍의 푸아레 룩을 선보인 바가 있다(Fig. 1)(Kim et al. 2006). 1905년경에 이르러 아르누보의 전성기는 사라지고 1907년부터 기본적인 스타일에 조금씩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1908, 1909년 폴 푸아레의 혁신적인 디자인이 발표되면서 패션의 방향이 전환되었다(Shin 2006). 프랑스의 아르누보는 루이 15세와 16세 양식을 회상시키는 전통적인 스타일에 자리를 내어 주며, 독일과 스코틀랜드, 오스트리아의 장식 미술계 역시 아르누보 양식을 점차 포기하고 기하학적 양식으로 옮겨갔다. 유기체적이고 생명력 있는 선은 정지되었으며, 1910년이 되자 아르누보는 상업적 광고 디자인 분야에서만 명맥을 유지하였다(Bandimoa 2014(as cited in Waddell 1977)).

Fig. 1.

Oriental style dress (Shin. 2006). 288.

2. 벨 에포크 시대의 복식

1900년대의 벨 에포크 시대는 S-커브 스타일(S-curve style)이 주로 이용되었다. 1890년에서 1910년까지 20년간 여성들의 옷은 계속 단순해지는 과정을 밟았다. 1893년의 공황과 뒤이은 불경기가 지속되면서 장식이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스커트에서 소매로, 엉덩이에서 가슴으로 강조점이 옮겨졌다. 1890년대에는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leg of mutton sleeve)로 구성된 아워글라스 스타일(Hourglass style)이 유행되었으나, 세기말을 거쳐 1900년대에 이르자 의복의 부풀림 대신 깁슨 걸 스타일(gibson girl style)로 불리는 자연스러운 실루엣의 S자형 스타일이 유행되었다(Fig. 2). 이것은 1897년경 소매가 축소되면서 관심의 초점이 엉덩이로 이동하였고, 자연스러운 엉덩이 라인을 만들기 위해 고어드 스커트가 주를 이루었다. 또한 가슴과 엉덩이를 강조하고 아랫배가 납작한 S자형 실루엣을 위해서 옆 모양이 S자 형태가 되도록 보강된 코르셋을 입었다. 실루엣의 유연함과 운동감을 더하기 위해 스커트 길이가 더욱 길어져 바닥에 끌렸으며, 치마 밑으로 화려한 프릴을 단 페티코트를 입었다(Bae 2008). 드레스의 실루엣이 날씬하고 간단해지면서 꽃과 깃털, 브레이드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메리 위도우(Merry widow) 모자가 유행하였다(Chung 1989). 1900년대는 오리엔탈 룩의 유행으로 일본의 기모노를 연상하는 티 가운, 기모노 코트와 만다린(mandarin) 소매의 실크 누비 재킷이 유행하였다. 푸아레는 이국적인 디자인 원천으로서 오리엔탈리즘을 적용하여 기모노 소매를 응용한 기모노 코트, 터번과 하렘팬츠, 호블 스커트(hobble skirt), 회교도 탑을 연상시키는 형태의 미나레 튜닉 스타일(minaret tunic style) 등을 발표하였다(Fig. 3)(Kim et al. 2006). 허리를 강조하는 아워글라스 라인이 차츰 변화되면서 튜블러 라인에 가까워졌으며, 앞선 세기에 도입되었던 실용적인 테일러 슈트는 여전히 유행하면서 더 심플한 의상으로의 전환을 예고하였다. 푸아레는 당시 예술이나 문화에 영향을 준 신고전주의, 동방풍 그리고 러시아 발레단에서 많은 디자인의 영감을 받았다. 바로 전 시대의 유기적ㆍ곡선적이며 비대칭적인 아르누보 양식에서 벗어나 직선적이고 단순한 기모노 슬리브, 하이 웨스트라인(high waistline), 대칭적이며 리듬이 잘 표현된 디자인을 선보인 그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여성의 아름다운 신체 곡선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스타일을 창안해 내었다(Fig. 4). 벨 에포크 시기인 1911년경에 허리선에서부터 드레스 밑단 부분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장식이 들어간 호블스커트인 페그 톱(peg top)스커트가 인기가 있었다(Fig. 5). 이것은 허리선 부분에 드레이프를 넣어 엉덩이는 부풀고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실루엣이다(Kim et al. 2010).

Fig. 2.

S-curve style dress (Chung 2013). 343.

Fig. 3.

Minaret skirt (Shin. 2006). 288.

Fig. 4.

Evening dress (Kim et al. 2010). 397.

Fig. 5.

Peg top skirt (Kim et al. 2010). 397.

1900년대의 헤어스타일은 큰 변화가 없었다. 여성들은 깁슨 걸에 의해 유행된 부풀린 퐁파두르(pompadour) 스타일을 따라서 큼직한 웨이브와 위로 끌어올린 머리 앞부분에 패드를 끼워 넣고 가발을 사용하여 부풀린 모양으로 꽃, 빗, 보석 장식을 하는 것이 잠시 유행하였다(Shin 2006). 1890년대 여자들은 챙이 넓지 않은 작은 펠트 모자, 밀짚모자를 주로 썼으나 1900년대 초반에는 모자가 커지면서 리본ㆍ꽃ㆍ깃털ㆍ레이스로 장식하였고, 스포티한 차림에는 비버 햇(beaver hat)을 썼다. 장갑은 남녀 모두에게 중요한 액세서리로 정장이나 무도회용으로 이용되었으며, 여자들은 평상시에는 짧은 장갑을, 이브닝 파티에는 긴 장갑을 주로 착용하였다. 이외에 여자들은 긴 파라솔, 접는 부채, 스카프 등을 액세서리로 이용하였다(Bae 2008). 핸드백은 유행되지 않았으나, 부채 타입의 백과 같은 재미있는 형태로 일부 이용되었다(Cunnington & Cunnington 1970). 그 외 액세서리로 패션 리더였던 알렉산드라 왕비처럼 초커 아래로 다이아몬드 리비에르(riviere) 목걸이를 겹쳐 착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도그 칼라(dog collar) 초커와 더불어 벨 에포크의 화려함을 가장 극대화시킨 티아라는 1880년대 초반부터 1920년대까지 유행했는데, 1900년에서 1915년 사이에 특히 많이 제작되었다(Yoon 2021). 목걸이나 브로치로 착용할 수 있게 변신이 가능한 ‘트랜스포머 티아라’도 널리 사랑받았다. 이 시대에는 티아라 초커, 리비에르 목걸이를 착용하고, 가슴에는 ‘드방 드 코사지(devant de corsage, 보디스에 장식하는 커다란 브로치)’까지 한꺼번에 장식한 여인도 흔히 볼 수 있었다. 1910년경에 파리에서는 티아라가 구식 패션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뉴욕에서도 인기가 사라졌고, 유일하게 왕실의 엄격한 예법을 따르던 영국에서만 티아라의 수요가 꾸준하였다(Yoon 2021).

3. 벨 에포크 시대의 건축 및 공예

건축에서 새로운 방향이 제시되는 가운데 러스킨(Ruskin)은 산업혁명에 의해 야기된 장인정신(craftmanship)의 쇠퇴를 한탄하고, 기계로 만든 값싸고 천한 장식 모방을 비판하였다. 모리스(Morris)는 러스킨과 마찬가지로 중세의 건축을 참미하였고 건축에 있어서 장식적 요소와 구조적 요소의 조화와 동질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장식 모티브들은 유동적인 선을 지니거나 식물형태와 같은 자연 형상에서 추출하도록 하였다(Chung 1989). Fig. 6은 엑트로 기마르(Hector Guimard) 작품으로 1900-1901년에 걸쳐 파리 지하철역 포르도팽(Porte Dauphine)입구를 주철로 만든 환상적이고 장식적인 구성으로 제작하여 파리 아르누보 혹은 메트로 양식이나 기마르 양식으로 불릴 만큼 주목을 받았다(Jin 2005(as cited in Lydia 2002)). 또한 아르누보 주택을 설계한 벨기에 건축가 빅토르 오르타(Victor Horta)는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Fig. 7)을 유사한 모티브의 도자기, 목재 및 철제 장식과 결합하여 기능적 요소와 장식의 조화를 만들어 통일된 예술 작품을 만들었다(Jin 2005(as cited in Lydia 2002)). 라비로뜨(Lavirotte)는 석재를 기본재료로 사용하여 아르누보의 식물 장식이나 에로티시즘을 상징하는 인체 모양 장식으로 변형시킨 후 여기에 세라믹, 광택 벽돌, 나무, 철물, 조각물 등으로 아르누보 장식 어휘를 첨가하였다. 라비 로뜨 석재를 기본바탕으로 하여 그 위에 여러 재료들을 섞어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표면 질감 효과를 추구하였으며, 특히 세라믹을 즐겨 사용하였다(Lim 1997). 역사주의의 대표적인 네오-바로크(Neo-Baroque)는 1900년을 전후하여 파리에서만 유행하던 양식으로 거의 모든 역사 장식 주의 건축가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한 양식이었으며, 건물을 장식 없는 평활 벽면에 의해 단순 매스로 구성하되 전체 윤곽 및 개구부, 지방, 베란다 등의 부분을 굽이지는 물결모양의 장식과 바로크 곡선으로 처리하였다. 혹은 건물을 인체 곡선에 유추시켜 건물 전체를 조각적 곡선으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라비 로뜨의 건축에서 네오-바로크의 개념으로 설명 될 수 있는 부분이 많다(Lim 1997). Fig 8의 라비 로뜨의 라프광장 3번지 아파트 출입구이다. 여기서 라비 로뜨는 여러 종류의 역사 양식을 레퍼토리 개념으로 차용하여 장식어휘로 각색한 후 여기에 세라믹, 광택 벽돌, 나무, 철물, 조각물 등으로 된 아르누보풍의 장식 어휘를 첨가하는 전형적인 역사 장식 주의 경향을 보여주었다(Lim 1997).

Fig. 6.

Metro station entrance (Lydia 2005). 67.

Fig. 7.

stained glass of Hotel (Lydia 2005). 86.

Fig. 8.

Apartment (Lim 1997). 303.

금속공예도 아르누보 특성을 충분히 포함하고 있는 작품들이 많았다. 스테인드 글라스(stained glass)도 아르누보 특유의 유기적 곡선으로 식물이나 동물의 형상, 그리고 사람, 특히 여성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이 창작되었다. 영국 아르누보 공예 중 대표적인 가구의 특성으로는 유기적 모티브들을 섬세하게 사용하였으며, 식물형태에서는 줄기가 반복되고 수직선들이 우아하게 굽은 마디에 의해 접합 부분에서 단절되거나, 여린 가지를 엉키게 하거나 가지들을 번성하게 하는 방법으로 형상화시켰다(Chung 1989). 가우디 외에 아르누보 가구 쪽에 관심을 가진 가스파르 호마르(Gaspar Homar) 작품(Fig. 9)에서도 유기적인 곡선을 잘 나타내고 있다(Go 1998(as cited in Duncan 1994)). 조각 분야에서는 기념물의 조각 형식과 실내 벽난로나 테이블 위 장식용 작은 조각이 발달되었다. 아르누보는 상징주의 미학을 기초로 출발하여 조각도 상징적 표현과 장식성이 강조되었다. 아트 아누비스 조각에서 사용된 주제는 여성이며, 장식성이 강조된 경우는 여성적 주제 외에 식물이나 곤충, 물결 표현도 사용되었다. 또한 주제로 채택한 자연물과 작품의 기능을 일치 시키고자 하는 실용성이 중요시되었다(Chung 1989).

Fig. 9.

Bed (Duncan 2003). 77.

4. 영화 시놉시스

콜레트(Colette)의 소설‘Cheri’를 각색한 영화 <Cheri>는 스티븐 프리어즈(Stephen Frears)가 감독하고 크리스토퍼 햄튼(Christopher Hampton)이 각본을 담당하였다. 의상은 콘소라타 보일(Consolata Boyle)이 디자인하고, 촬영은 다리우스 콘지(Darius Khondji), 프로덕션 디자이너(production designer)는 앨런 맥도널드(Alan MacDonald), 총괄 영화미술감독(supervising art director)은 데니스 쉬넥(Denis Schnegg), 음악은 알렉상드르 데스플라(Alexandre Desplat)가 맡았다. <Cheri>는 제59회 베를린 국제영화제(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경쟁부문 후보에 올랐으며, 미셸 파이퍼(Michelle Pfeiffer, 레아 역), 루퍼트 프렌드(Rupert Friend, 셰리 역), 캐시 베이츠(Kathy Bates, 펠로 역)가 출연하였다. 영화 의상디자이너 보일은 레아의 캐릭터는 엠파이어 웨이스트(empire waists) 라인의 티 가운, 시누아즈리 디테일이 있는 가운, 고급스러운 란제리, 진주 및 자수 사리와 같은 세련되고 유동적인 실루엣을 선호하는 완전히 현대적인 여성으로 표현하였다. 보일은 레아를 그 시대를 특징짓는 호화로움으로 표현하기 위해 르누아르(Renoir), 클림트(Klimt), 발레 뤼스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인상파 색상을 사용하였다(Bahrenburg 2009). 영화는 엑토르 기마르가 설계한 호텔 메자라(Hôtel Mezzara)를 배경으로 하였다(Daily Paris 2009). 다리우스 콘지의 부드러운 촬영에 의해 보여지는 아르누보풍의 앨런 맥도널드의 세트나 데니스 쉬넥의 의상은 정교하게 이루어졌고, 알렉상드르 데스플라의 음악은 영화의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켰다(Honeycutt 2009). <Cheri>는 19세기 말에서 1차 세계대전 이전 시기인 벨 에포크 시대 프랑스 파리를 배경으로, 은퇴한 창녀 레아와 펠로 부인의 아들인 셰리(Cheri)라는 별명을 가진 프레드(Fred)와의 불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유명한 미녀 레아는 상류층 고객들로부터 부를 축적하여 성공하였으나 누구와도 사랑에 빠지지 않았다(IMDb 2009). 은퇴 후에도 레아의 매력은 지속되었으며, 레아는 이전 동료였던 펠로 부인으로부터 아들을 맡아 달라는 부탁으로 프레드를 만나면서, 그들의 관계는 6년이나 지속되었다. 그러나 이후 프레드는 에드미(Edme)와 결혼하게 되어 레아와 헤어지게 되지만, 레아와 프레드 사이의 연민은 지속되었다. 1차 세계대전 후, 프레드는 자신이 사랑할 수 있는 유일한 여성이 레아 임을 깨닫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자살하게 된다.


Ⅲ. 연구방법

이론적 연구를 위해, 벨 에포크 시대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복식, 건축, 공예에 관련된 문헌, 선행연구 및 영화 관련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벨 에포크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시대극 <Dilili in Paris>(Boeffard & Ocelot 2018), <Diary of a Chambermaid>(Larsen & Jacquot 2015), <Chocolat>(Altmayer & Zem 2015), <Midnight in Paris>(Aronson & Allen 2011), <Cheri>(Benoliel & Frears 2009), <Moulin Rouge>(Baron & Luhrmann 2001), <The Go-Between>(Heyman & Losey 1971), <The Time Machine>(Pal & Pal 1960), <Our town>(Lesser & Wood 1940) 중, 벨 에포크 시대 배경의 복식 외에 건축 및 공예 분야까지 함께 벨에포크 시대 조형예술 특징이 뛰어나게 연출되어 그 시대의 조형예술의 여러 분야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영화 <Cheri>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Cheri>는 제59회 베를린 국제영화제(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경쟁부문에 노미네이트되고, 제31회 모스크바 국제영화제(The International Moscow Film Festival) 갈라 상영 부분에 노미네이트 되어 영화 완성도와 예술성이 검증되었다. 영상자료는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DVD(GOM player 2.3.63.5327)를 이용하여 벨 에포크 시대 조형 예술 특징이 잘 표현된 여자복식과 실내 인테리어를 포함하여 건축 및 공예 등을 중심으로 캡처하였다. 영화 <Cheri>에서, 벨 에포크 시대의 특징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복식 이미지로 레아 드 론발(Léa de Lonval) 의상 12개와 샬롯 펠로(Charlotte Peloux) 의상 9개의 총 21개 의상 중에서 조형적 특징 분석에 적합한 레아 의상 8개, 펠로 의상 6개로 14개를 최종적으로 이용하였다. 건축ㆍ공예 이미지 38개 중, 27개를 최종 선정하여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영상매체를 통해 벨 에포크 시대의 조형예술 분야인 복식ㆍ건축ㆍ공예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여자복식과 그 외 조형물인 건축ㆍ공예 분야 두 부분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여자 복식 특징은 조형적 요소인 실루엣, 색상, 소재, 아이템, 액세서리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벨 에포크가 적용된 건축ㆍ공예품을 분석한 후, 두 영화에 나타나는 벨 에포크 시대의 조형예술 복식과 건축ㆍ조각ㆍ공예에 표현된 조형적 특징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자료의 이미지 캡처는 벨 에포크 시대 조형예술의 특징이 잘 나타난 것을 의상전공자 4명이 동일한 영상자료를 조형예술 분야별로 각각 캡처하여 공통적인 것을 선정한 후, 다시 검토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1. 영화 <Cheri>의 여자 복식

Fig. 10은 주인공 레아가 프랑스 비아리츠(Biarritz)의 그랑 팔레 호텔(Grand Palais Hotel) 레스토랑에 들어서는 장면이다. 여기서 레아는 이전보다 허리선이 높아지고 치마폭이 약간 좁아진 스트레이트 롱 실루엣의 밝은 블루(light blue)색 엠파이어 튜닉 드레스를 착용하고 있다. 이 드레스는 이전의 빅토리아 시대에 비해 허리를 강하게 조이지 않고 부드러운 줄무늬 실크 드레이프 주름이 스커트 아래까지 연결되어 우아하게 표현되었다. 화려한 큰 모자와 머리장식은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인 벨 에포크 시대 복식 특징을 잘 나타내며 긴 암 렝스(arm length) 장갑, 팔찌, 허리띠, 코사지, 파우치 백(pouch bag) 등의 액세서리로 장식 효과를 내었다. Fig. 11의 그랑 팔레 호텔 앞 해변가에서 레아가 착용한 밝은 청록(light blue green) 색 엠파이어 테일러드슈트는 이전보다 부피가 감소되고 흐르는 듯한 실루엣이며,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 초기의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에서 벗어나 일직선 소매와 굵은 허리 밴드로 하이 웨스트라인을 강조하고 있다. 꽃과 리본으로 장식된 화려한 메리 위도우 햇은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 절정기인 벨 에포크 시대 복식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파란색은 고귀하고, 거룩하며 신성한 이미지를 가지므로(Kim et al. 2009) 레아는 창녀의 신분이지만 착용한 복식 중 파란색 계열 의상이 많아 신비롭고 신성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Fig. 10.

Empire tunic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1.

Tailored suit (Benoliel & Frears 2009).

Fig. 12에서 레아는 하이넥 칼라와 타이트한 소매로 구성된 레이스 블라우스와 어깨와 가슴을 가로지르는 선으로 장식된 아이보리(ivory) 색 드레스를 착용하고 있다. 이 드레스는 이전 시기에 착용하던 코르셋이나 스커트 버팀대를 착용하지 않아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이루며, 레이스와 부드러운 실크 소재로 여성 신체의 부드러운 곡선이 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 레아의 복식은 부드럽고 비치는 레이스 소매와 유기적인 곡선의 꽃문양 장식으로 벨 에포크 시대의 복식 특징을 잘 표현하며, 심플한 진주 목걸이와 깁슨 걸 헤어스타일로 우아함을 더했다. 사진 왼쪽의 샬롯이 착용한 어두운 청회(dark blue gray)색 드레스는 넓은 어깨와 소매 볼륨감으로 아워글래스 실루엣을 나타내었다. 하이웨이스트에 목선이 깊게 파이고 소매부리의 레이스 프릴 장식, 허리 밴드 장식, 의상 전체에 문양이 있는 두꺼운 실크 소재, 긴 목걸이 등으로 아르누보 예술 양식 시기 이전의 장식 요소가 많이 이용되어 레아 복식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Fig. 13의 산책 장면에서, 레아가 착용한 화이트 블루(white blue) 색 엠파이어 튜닉 드레스는 앞의 사선 여밈, V넥 라인, 벨 소매 등으로 구성되어 S자형 스타일 시대의 부드러운 선보다 직선적인 선들이 많이 이용되었다. 또한 1900년대의 이국주의 영향으로 일본 복식의 오비를 연상시키는 꽃문양으로 장식된 굵은 벨트와 화려한 꽃장식으로 된 메리 위도우 햇을 착용하였다. 레아의 튜닉 드레스 실루엣은 S커브가 많이 완화되어 의상에서는 아르누보 예술 양식 시기에서 아르데코 예술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 스타일을 나타내지만, 넓은 브림의 거대한 모자, 꽃장식, 이국적인 문양의 벨트 등은 아르누보 예술 영향 시대의 절정기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샬롯이 착용한 톤 다운된 흐린 주황(cloudy orange) 색 실크 드레스는 소매에 볼륨감이 있으며, 가슴, 소매, 스커트 밑단에 걸쳐 꽃모양 레이스 아플리케, 소매 끝의 레이스 프릴장식, 길고 큰 목걸이 등은 아르누보 이전 시기의 장식적인 요소를 나타내었다. 그 외에 액세서리로 장갑, 핸드백도 착용하였다.

Fig. 12.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3.

Empire tunic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4의 셰리 결혼식 후 샬롯 집 모임에서, 레아는 어두운 청록(deep blue green) 색 드레스 위에 검은 청록(blue green) 색 벨벳 재킷과 동양적인 모티브의 화려한 꽃문양 벨트와 터번을 액세서리로 착용하여 이국적인 취향을 나타내었다. Fig. 15는 레아가 셰리와 헤어진 후, 같이 생활하던 노르망디(Normandie)에서 벗어나 비아리츠의 그랑 팔레 호텔 숙소에 머물 때 착용한 V넥의 하늘(sky blue) 색 드레스로 동양에서 권위의 상징으로 여겼던 술 장식을 허리 부분에 내려뜨려 장식함으로써 이국적인 취향을 나타내었다. Fig. 16은 샬롯이 비아리츠에서 노르망디로 돌아온 레아의 집을 방문하는 장면이다. 샬롯의 드레스는 볼륨 있는 소매에 목선은 깊이 파이고, 보석 장식의 세로선으로 구성되어 화려한 장식이 유행하던 빅토리아 시대 복식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의상과 함께 큰 모자, 레이스, 파우치 백과 시스루 핑거리스 토시(fingerless tosh)를 착용하였다.

Fig. 14.

Empire tunic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5.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6.

Dress (Benoliel & Frears 2009).

레아가 착용한 흐린 초록(cloudy green) 색 튜닉 스타일 드레스는 기모노 소매, 문양 등을 이용하여 벨 에포크 시대의 이국적인 취향을 나타내었다. 신혼여행에서 돌아온 셰리를 맞이하는 장면 Fig. 17에서, 샬롯이 착용한 탁한 파랑(cloudy blue) 색 실크 드레스는 퍼프(puff) 소매로 어깨가 약간 강조되면서 의상 전체에 길게 레이스 프릴장식과 허리를 가늘게 조인 스커트 속에 언더 스커트를 착용하며 스커트 폭이 넓은 아워글라스 스타일을 나타내었다. Fig. 18의 셰리 결혼식 후 모임에서 샬롯이 착용한 화려한 보석 장식의 검은색 실크 드레스는 깊게 파인 목 부분을 덮는 얇은 소재와 시폰 소매로 시스루(see-through) 효과를 내며 핑거리스 토시와 화려한 긴 목걸이로 장식적 효과를 더했다. Fig. 19의 셰리 결혼식에서, 샬롯은 여러 층의 프릴로 소매 부리를 장식한 벨 소매로 구성된 옅은 복숭아(pale peach) 색 드레스를 착용하였다. 그 위에 문양이 있는 검은(black) 색 레이스 소재의 볼레로 가디건(bolero cardigan)과 스커트를 이중으로 착용하여 비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샬롯은 의상 외에도 꽃으로 전체를 장식한 메리 위도우 햇, 핑거리스 토시, 파우치 백 등 다양한 액세서리로 화려함을 더하였다.

Fig. 17.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8,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9.

Dress (Benoliel & Frears 2009).

여성 복식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 결과, 여성복식은 벨 에포크 시대 이전 스타일에 비해 의상 스타일과 장식이 단순해졌으나 모자는 화려하게 장식 되었다. 부드러운 파스텔 색상과 함께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었으며 색채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얇은 질감이나 레이스 소재를 함께 사용하여 환상적이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이루었으며 의상에는 대부분 식물 문양이 많이 이용되었다. 레아 의상은 브이넥으로 목선이 많이 노출되고 곡선 외에 사선 등의 직선도 이용되며 파스텔 색상 중에도 옅은 블루 계열 색상과 장식이 적은 심플한 디자인이 이용되어 이지적이고 도회적인 분위기로 연출되었다. 레아는 재킷, 호블 스커트, 엠파이어 튜닉 등 다양한 아이템이 많이 착용되며 부드러운 소재의 실크나 레이스 의상에 대부분 허리벨트를 착용하여 하이웨이스트를 강조하며 우아한 진주 소재의 심플한 주얼리를 착용하였다. 메리 위도우 햇, 터번, 헤어핀, 헤어밴드 등 헤드기어가 다양하게 이용되었다. 특히 레아 의상에서 옅은 파스텔 색상, 동양적인 모티브에 기인한 허리 벨트, 술 장식, 문양 등으로 벨 에포크 시대의 이국적인 취향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이에 반해 샬롯 의상은 벨 에포크 시대 이전의 어깨를 강조하고 치마폭이 넓은 형태이지만 다양하고 짙은 색상과 화려한 장식으로 아르누보 예술 영향 시기 이전의 복식 특징이 많이 표현되고 목선은 노출되지 않거나 피슈로 가리어져 레아 복식과 스타일, 장식, 색상 면에서 차이가 났다. 샬롯 복식은 주황색, 파란색, 검은색, 짙은 회색 등 강렬한 색상과 약간 두꺼운 실크 소재의 드레스를 주로 착용하였다. 샬롯 복식에는 꽃문양이 많이 이용되었으며, 페이즐리 문양이 이용되었다. 샬롯은 전체적으로 꽃장식이 된 화려한 색의 메리 위도우 햇을 주로 착용하여 의상에도 보석, 아플리케, 프릴 장식이 많고 소매 부리의 레이스 장식 등으로 장식적인 면이 강조되었다. 이외 핑거리스 장갑, 긴 목걸이와 드롭형 큰 귀걸이의 주얼리가 이용되었다. 이와 같이 영화에 표현된 여성 복식의 조형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men’s costume

2. 영화 <Cheri>의 건축 및 공예

Fig. 20은 레아 거주지인 메자르 호텔로, 구불거리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2, 3층의 주철로 된 난간 외에 창문 가장자리 벽의 부조 장식에서 유기적인 곡선과 철 재료들이 특징적으로 표현되었다. Fig. 21에서 실내 벽은 아르누보 영향기에 유행된 모리스 패턴으로 이루어졌으며, 철제 계단 난간의 선 등이 실내장식의 곡선적인 분위기와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아르누보의 이미지를 뚜렷이 나타내었다. 유기적인 선으로 구성된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도 부드러운 곡선의 아르누보 특징이 표현되었다. Fig. 22에서 레아가 투숙한 호텔 건물 입구의 유리 지붕과 구불거리는 곡선 형태의 주철기둥 장식은 환상적이며 장식적인 메트로 양식 형태로 구성되어 파리의 아르누보풍을 연출하여 아르누보 예술 최성기인 벨 에포크 시대 특징을 나타내었다. Fig. 23의 호텔 입구 홀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실내 철재 계단 난간은 포도 넝쿨이 뻗어나가는 것처럼 교착하며 굽이치는 곡선으로 연결되어 벨 에포크 시대 예술의 절정기를 나타내고 있다.

Fig. 20.

Balcony (Benoliel & Frears 2009).

Fig. 21.

Living room (Benoliel & Frears 2009).

Fig. 22.

Hotel entrance (Benoliel & Frears 2009).

Fig. 23.

Stair railings (Benoliel & Frears 2009).

Fig. 24의 커튼은 자연소재의 모티브에 비치는 부드러운 레이스 사용으로 이중적이며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으며 실내 가운은 자연 모티브의 꽃문양으로 장식되었고, 시스루 느낌의 비치는 소재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복식에서뿐만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에서 부드럽고 비치는 소재로 유동적인 면을 연출하며 그 당시에 유행한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은 점이 잘 표현되었다. Fig. 25에서 침실의 경우, 철제 침대 뒤의 벽화와 패널 장식은 부드럽고 우아한 곡선으로 장식되었다. 철제 침대의 머리판과 발판은 모두 유기적인 식물 줄기들이 물결치며 서로 교착하는 유동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아르누보 예술 양식을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내었다. Fig. 26의 욕조 다리에서 위로 용솟음치듯 교착되는 강한 곡선이 욕조 전면부에 화려하게 장식된 선과 Fig. 27에서 욕실 화장대의 다리 부분도 굴곡진 강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었다.

Fig. 24.

Robe & curtain (Benoliel & Frears 2009).

Fig. 25.

Bedroom (Benoliel & Frears 2009).

Fig. 26.

Bathtub (Benoliel & Frears 2009).

Fig. 27.

Dressing table (Benoliel & Frears 2009).

Fig. 28의 서랍장은 전면부, 다리, 손잡이 모두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자연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서랍장 위의 새 형태 공예품도 당시 유행하던 자연주의 경향이 적용되었다. Fig. 29의 장식장도 우아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아르누보 예술의 유기적인 특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Fig. 30, 31에서 구불거리고 교착하는 곡선들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의자와 Fig. 31의 탁자도 뿌리부터 꽃봉오리까지 식물의 전체적 형상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아르누보 양식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Fig. 28.

Drawers (Benoliel & Frears 2009).

Fig. 29.

Display cupboard (Benoliel & Frears 2009).

Fig. 30.

Chair (Benoliel & Frears 2009).

Fig. 31.

Table & chair (Benoliel & Frears 2009).

Fig. 32, 33, 34의 공예품에서는 굽이치고 교착되는 선으로 구성된 촛대와 거실의 콘솔, 콘솔 위 거울 가장자리 장식, 레아 방의 거울 등이 다양하고 유기적인 곡선으로 장식되어 아르누보 양식을 잘 표현하고 있다. Fig. 35의 화장대 위의 램프 기둥 부분은 금속으로 제작되었으며 부드럽고 유연한 여성 신체 형태의 곡선으로 표현되었다. 스탠드 갓은 곡선 진 꽃잎과 줄기를 모티브로 한 아르누보 장식 외에, 옅은 색조와 레이스 소재로 구성되어 부드러운 상징적인 이미지를 더했다. Fig. 36의 램프는 곡선으로 내려오는 꽃잎과 줄기에서 자연 모티브를 형상화하였다. Fig. 37의 조각물은 아르누보 영향기의 주요 주제인 여성을 모티브로 아름답게 휘어지고, 굽이치는 유연하고 우아한 여성의 곡선미를 잘 나타내었다. Fig. 38의 유기적인 곡선과 식물 문양으로 이루어진 중국풍 도자기 티 세트(tea set)는 아르누보 영향기에 유행한 이국적인 취향이 적용되었다. Fig. 39의 머리핀도, 여성의 자유를 상징하는 나비 형태와 유기적인 곡선으로 이루어져 아르누보 예술 양식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아르누보 예술양식의 주된 주제인 식물, 새, 나비, 여자 모티브와 파스텔 톤의 밝고 부드러운 분위기로 연출되어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잘 표현되었다.

Fig. 32.

Candlestick (Benoliel & Frears 2009).

Fig. 33.

Console (Benoliel & Frears 2009).

Fig. 34.

Mirror (Benoliel & Frears 2009).

Fig. 35.

Lamp (Benoliel & Frears 2009).

Fig. 36.

Lamp (Benoliel & Frears 2009).

Fig. 37.

Sculpture (Benoliel & Frears 2009).

Fig. 38.

Tea set (Benoliel & Frears 2009).

Fig. 39.

Hairpin (Benoliel & Frears 2009).

건축, 실내 인테리어, 조각, 가구 및 공예품에서 구불거리거나 교착하는 비대칭 곡선들이 공통적으로 이용되고 모티브로 식물 문양, 새, 여성이 이용되어 아르누보 예술의 특징적 요소가 반영 되었다. 벨 에포크 시대 특징적인 소재인 철과 유리 등이 건축에 많이 이용되고 공예품에서 이국적인 취향이 반영되어 벨 에포크 시대 조형예술의 특징이 두드러졌다. 이와 같이 벨 에포크 시대의 조형 예술 분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2).

Characteristic of formative art applied with Art Nouveau’s art style


Ⅴ. 요약 및 결론

영화 <Cheri>를 통해 벨 에포크 시대의 복식, 건축, 공예 분야에 표현된 조형 예술 분야의 조형적 특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 복식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레아 복식은 아르누보 예술영향기의 초기에 유행하던 아워글라스 실루엣에서 벗어나 아르누보 예술 절정기인 벨 에포크 시대에 유행한 S커브 실루엣 외에도 하이웨이스트 라인, 스트레이트 실루엣으로 구성된 엠파이어 튜닉 스타일이 많이 착용되어 벨 에포크 시기에서 아르데코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의상 스타일도 특징적으로 표현되었다. 복식에서 파스텔 색상, 메리 위도우 햇 착용 외에 동양적인 모티브에 기인한 허리 벨트, 술 장식, 문양, 터번 등의 이국적인 취향으로 아르누보 예술 영향 절정기의 벨 에포크 시대 특징을 뚜렷하게 나타내었다. 샬롯 의상은 벨 에포크 시대 이전의 어깨를 강조하고 치마폭이 넓은 아워글라스나 S자형 형태의 드레스가 주로 착용되며 다양하고 짙은 색상과 화려한 장식으로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 이전이나 초기 복식 특징이 표현되어 레아 복식과는 스타일, 장식, 색상 면에서 차이가 났다. 건축, 공예 분야는 아르누보 예술 양식의 특징인 구불거리거나 교착하는 곡선들과 인상주의에 의해 형성된 환하고 부드러운 파스텔 색상 외에 골드, 실버 등 다양한 색상이 이용되었다. 특히 건축에서는 벨 에포크 시대의 특징적인 건축 소재인 철과 유리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공예품도 이국적인 취향과 식물 문양, 새, 여성 모티브를 이용하여 벨 에포크 시대 조형예술의 특징이 잘 표현되었다.

벨 에포크 시대의 복식, 건축ㆍ공예 등의 조형예술 분야를 고찰한 결과, 공통적으로 아르누보 예술 양식의 특징인 구불거리거나 교착하는 곡선들이 비대칭적으로 이용되거나 부드러운 파스텔 색상과 식물, 새, 나비, 여자 모티브의 사용과 이국적인 취향이 반영되어 벨 에포크 시대 조형예술의 특징이 잘 표현되었다. 복식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는 건축, 조각 및 공예에서 아르누보 예술 양식의 영향으로 꽃과 다른 여러 가지 식물이나 동물의 유동적 형태들이 유기적이고 굽이치는 아르누보의 상징적인 선으로 표현되었고, 색채 면에서는 부드러우면서 차분하게 가라앉은 연한 색조가 복식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른 조형예술 분야에도 나타났다. 이와 같이 조형예술 분야 간에 표현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선, 색채 및 재질 등의 조형요소 면에서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풍부한 상징성과 표현성을 추구하면서 유동적이고 유기적인 형태 표현과 비대칭적인 형태를 표출하기 위해 물결치듯 구불거리면서 길게 이어지는 유동적인 곡선으로 유사하게 표현되었다. 색채는 인상주의에 의해 생성된 환하고 부드러우며 환상적인 분위기를 보여주는 파스텔 색조 연출에서 공통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재질 면에서 주요 모티브를 꽃이나 유기적인 식물 및 동물의 형상을 이용한 점에서 유사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References

  • Altmayer E(Producer), Zem R(Director)(2015) Chocolat [film]. Paris: Mandarin Cinéma
  • Aronson L(Producer), Allen W(Director)(2011) Midnight in Paris [film]. Ny: Sony Pictures Classics
  • Bae SJ(2008) Contemporary fashion & Historic costume in the West. Seoul: Soohaksa, pp 262-265
  • Bahrenburg G(2009) Costume drama. Available from https://www.vogue.com/article/vd-costume-drama, [cited 2022 February 8]
  • Bandimoa(2014) World practical pattern collection (Bandimoa, Trans.). Seoul: Bandimoa, p8
  • Baron F(Producer), Luhrmann B(Director)(2001) Moulin Rouge [film]. Sydney, NSW: Bazmark Productions
  • Benoliel R(Producer), Frears S(Director)(2009) Cheri [film]. London: UK Film Council
  • Boeffard P(Producer), Ocelot M(Director)(2018) Dilili in Paris [film]. France, Paris: Nord-Ouest Films
  • Chung HS(1989) A history of fashion(1800~1930). Paju: Gyomoonsa, pp47-238
  • Chung HS(2013) A history of fashion. Paju: Gyomoonsa, pp342-344
  • Cunnington CW, Cunnington P(1970) Handbook of English costume in the nineteenth century. London: Faber and faber, p567
  • Daily Paris(2009) Paris in photos appears in Cheri the movie. Available from https://www.paris-in-photos.com/wordpress/paris-in-photos-appears-in-cheri-the-movie/, [cited 2022 February 9]
  • Go YR(1998) Art Nouveau(YR GO, Trans.). Seoul: Sigongsa, p77
  • Heyman J(Producer), Losey J(Director)(1971) The Go-Between [film]. London, UK: EMI Films
  • Honeycutt K(2009) Film review: Cheri. Available from 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reviews/film-review-cheri-92876/, [cited 2022 February 8]
  • IMDb(2009) Cheri [movie post]. Available from https://www.imdb.com/title/tt1179258/plotsummary#synopsis, [cited 2022 January 20]
  • Jin IS(2005) Art Nouveau (IS Jin, Trans.). Seoul: Yekyong, pp67-86
  • Kim MJ, Choi HS, Kim YH, Ha JS, Choi SH, Go HJ(2010) Western fashion multi-contents. Paju: Gyomoonsa, pp379-397
  • Kim YI, Kim EG, Kim GY, Kim HS, Moon YA, Lee YJ, Lee JH, Choo SH (2009) Color language of fashion. Paju: Gyomoonsa, p55
  • Kim YI, Kim SW, Kim JS, Kim HY, Song GO, Lee YH, Lee HJ, Cho EL, Joo MY, Han EJ(2006) Look. Paju: Gyomoonsa, p113
  • Larsen K(Producer), Jacquot B(Director)(2015) Diary of a Chambermaid [film]. Liege, Lge: Les Films du Fleuve
  • Lee HK, Chung HS(2007) A study on the cinema costume for the “TITANIC”. Int J Costume Fashion 57(1), 1-16
  • Lesser S(Producer), Wood S(Director)(1940) Our town [film]. Hollywood, Ca: United Artists
  • Lim SJ(1997) Decoration and structural aesthetics: French-speaking Art Nouveau architecture 1. Seoul: Balun, pp300-303
  • Nam HK, Song SK(2009)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ornaments. J Korean Soc Des Cult 15(3), 110-121
  • Park YS, Chun MH(1995) A study on the aesthetic tendency on Belle epoque(1890-1914) Architecture.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AIK 15(2), 223-227
  • Park SM, Lee JJ(2010) An observation of aspects of modernization of women’s fashion in the 1900s. J Korean Soc Fashion Des 10(3), 115-133
  • Pal G(Producer), Pal G(Director)(1960) The time machine [film]. NY: Loews Cineplex Entertainment
  • Shin SO(2006) A history of costume in the west. Seoul: Soohaksa, pp278-289
  • Yoon SW(2021) The stone that captivated the world. Gyeonggi: Moyosa, pp115-116

Fig. 1.

Fig. 1.
Oriental style dress (Shin. 2006). 288.

Fig. 2.

Fig. 2.
S-curve style dress (Chung 2013). 343.

Fig. 3.

Fig. 3.
Minaret skirt (Shin. 2006). 288.

Fig. 4.

Fig. 4.
Evening dress (Kim et al. 2010). 397.

Fig. 5.

Fig. 5.
Peg top skirt (Kim et al. 2010). 397.

Fig. 6.

Fig. 6.
Metro station entrance (Lydia 2005). 67.

Fig. 7.

Fig. 7.
stained glass of Hotel (Lydia 2005). 86.

Fig. 8.

Fig. 8.
Apartment (Lim 1997). 303.

Fig. 9.

Fig. 9.
Bed (Duncan 2003). 77.

Fig. 10.

Fig. 10.
Empire tunic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1.

Fig. 11.
Tailored suit (Benoliel & Frears 2009).

Fig. 12.

Fig. 12.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3.

Fig. 13.
Empire tunic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4.

Fig. 14.
Empire tunic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5.

Fig. 15.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6.

Fig. 16.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7.

Fig. 17.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8,

Fig. 18,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19.

Fig. 19.
Dress (Benoliel & Frears 2009).

Fig. 20.

Fig. 20.
Balcony (Benoliel & Frears 2009).

Fig. 21.

Fig. 21.
Living room (Benoliel & Frears 2009).

Fig. 22.

Fig. 22.
Hotel entrance (Benoliel & Frears 2009).

Fig. 23.

Fig. 23.
Stair railings (Benoliel & Frears 2009).

Fig. 24.

Fig. 24.
Robe & curtain (Benoliel & Frears 2009).

Fig. 25.

Fig. 25.
Bedroom (Benoliel & Frears 2009).

Fig. 26.

Fig. 26.
Bathtub (Benoliel & Frears 2009).

Fig. 27.

Fig. 27.
Dressing table (Benoliel & Frears 2009).

Fig. 28.

Fig. 28.
Drawers (Benoliel & Frears 2009).

Fig. 29.

Fig. 29.
Display cupboard (Benoliel & Frears 2009).

Fig. 30.

Fig. 30.
Chair (Benoliel & Frears 2009).

Fig. 31.

Fig. 31.
Table & chair (Benoliel & Frears 2009).

Fig. 32.

Fig. 32.
Candlestick (Benoliel & Frears 2009).

Fig. 33.

Fig. 33.
Console (Benoliel & Frears 2009).

Fig. 34.

Fig. 34.
Mirror (Benoliel & Frears 2009).

Fig. 35.

Fig. 35.
Lamp (Benoliel & Frears 2009).

Fig. 36.

Fig. 36.
Lamp (Benoliel & Frears 2009).

Fig. 37.

Fig. 37.
Sculpture (Benoliel & Frears 2009).

Fig. 38.

Fig. 38.
Tea set (Benoliel & Frears 2009).

Fig. 39.

Fig. 39.
Hairpin (Benoliel & Frears 2009).

Table 1.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men’s costume

Actress Léa Charlotte
Element
Item Two-piece suit, dress, tunic & skirt Dress, cardigan & skirt
Form Empire tunic style, s-curve silhouette,
tubular silhouette, high waist line
Hourglass silhouette, s-curve silhouette
Color Pastel blue, blue green, green,
deep blue green, ivory
Marmalade, dark gray,
black, blue, pale peach,
Materials Satin, lace, chiffon, velvet Satin, chiffon, lace, brocade
Detail Fringe, braid, embroidery Frill, applique, embroidery
Accessory Merry widow hat, turban, bracelet, pouch bag,gloves,
corsage, belt, necklace, hairpin, hairband
Merry widow hat, fingerless tosh,
pouch bag, necklace

Table 2.

Characteristic of formative art applied with Art Nouveau’s art style

Formative
art
Clothes and accessories Architecture and craft art
Element
Form Empire tunic style, tubular style,
hobble style, s-curve silhouette
Winding line, undulating curve,
interlacing curve, fluid form
Color Pastel shades, deep blue green, marmalade,blue Soft shade, pastel pink, gold, silver
Materials Satin, velvet, chiffon, lace Metal, glass
Motif Plant(flower,stem,leaf), animal(butterfly) Plant(flower,stem,leaf), angel, animal(bird), wo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