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창업 지원사업 사례지역 분석을 통한 지역연계 강화방안 연구 : 청년마을과 청년센터를 중심으로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regional linkage of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and field research at youth villages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centers. The mai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fostering a sense of solidarit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is crucial for settling young entrepreneurs and revitalizing local economies. Mentorship programs linking local residents with incoming youth and supportive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o achieve this. Second, instead of vertical building structures, a horizontal space configuration using idle facilities, such as offices, meeting rooms, classrooms, workshops, study rooms, and shared kitchens, across the region is recommended to integrate entrepreneurship support facilities more effectively into local communities and improve accessibility for youth. Third, a long-term support system tailored to each stage of the entrepreneurial process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young entrepreneurs and encourage their long-term settlement in the reg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scope of the study to more diverse regions, further detailing strategies to revitalize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Keywords:
youth, startup, support space, local settlement, idle facilityⅠ. 서론
창업은 사업을 처음 시작한다는 뜻으로, 능력을 갖춘 개인이나 소수의 인원이 목표를 세우고 물적ㆍ인적 자원을 투입하여 재화의 생산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MOLEG 2024). 창업은 경제성장, 시장 및 고용 창출, 한계효용 증가 등을 일으키고, 사회혁신을 추구함으로써 우리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된다(Yoo 2021). 신규 창업자와 기업의 출현은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해 주민 소득에 기여하며, 다양한 산업군의 발전을 통해 지역 경제 구조의 다변화를 촉진하고, 산업 분야의 균형발전을 이끈다. 또한, 창업은 지역 내 혁신과 경쟁을 활성화하여 기업 성장과 기술 발전을 유도하고, 지역 사회의 참여와 협력을 증진시켜 주민 간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정부는 창업 활성화를 위해 “역동적이고 좋은 일자리와 경제 활력을 더해주는 행복 시대”를 목표로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등 다양한 창업지원 창구를 통해 청년, 여성, 대학생 등 광범위한 계층의 창업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도 불구하고 전국 창업 사업체 수는 2020년(148만 개)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122만 개로 조사되어 창업시장이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KOSTAT 2024).
창업시장의 위축은 우리나라의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 문제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국가 전체 인구의 7%를 초과하면 고령화 사회, 14%를 넘어서면 고령사회, 20%를 초과하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8년에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4%를 돌파하며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5년에는 20.6%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고령인구의 증가는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를 의미한다. 생산 가능 인구는 경제활동이 가능한 연령대의 인구로, 만 15세 이상 65세 이하를 포함한다(KOSIS, 2024).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는 중장기적으로 국가와 지역의 성장률 및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도권에 비해 지방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의 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2020년 기준 전국 생산 가능 인구는 전년 대비 0.4% 감소한 반면, 수도권에서는 0.3% 증가하여 생산 가능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청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구감소 위기를 겪고 있는 지방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에서의 청년 로컬창업은 지역 가치 창출과 강화, 지역문제 해결, 생활 인구 확보 등에 기여하여 지역 활력을 증진 시킬 중요한 방안으로 기대되고 있다(KRIHS, 2023). 이에 따라 정부는 창업지원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514억 원 증가시키는 등 청년창업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창업지원 사업이 일회성 또는 단년도 지원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연속성이 부족하다는 점, 실적 위주 사업 진행에 따른 지원자 전문성 및 역량 부족으로 사업 아이템과 경쟁력이 약화 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Bea and Kim 2020). 더불어 청년창업의 상당수가 여전히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지역 소멸 및 침체를 해결하기 위한 청년 로컬 창업지원 정책과 사업의 실효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청년 창업자들이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인적ㆍ물적 자원 지원뿐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지역 특징 및 문화에 대한 이해 등 사회적 흡수를 위한 공간적ㆍ제도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창업 활성화 지역과 지원기관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와 운영자 인터뷰를 실시하여 청년창업 지원 공간의 구성 방향과 지원사업의 제도적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지역 연계 강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사에서는 운영 주체를 지자체와 민간 기업으로 구분하여 청년창업 지원 과정과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창업지원 사업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운영 주체별 청년 창업 지원을 위한 공간 구성 방안도 조사하여 외부 또는 지역 청년들이 창업과 정착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적ㆍ물리적 지원강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Ⅱ. 선행연구 고찰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지역연계 강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청년창업 지원사업 내용을 분석하고, 청년센터 및 청년마을을 대상으로 청년창업 지원과 관련된 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및 관련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1. 청년창업 지원사업 현황과 과제
청년창업 지원사업은 2021년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 마련을 기점으로 창업 준비 단계부터 창업 후기까지 광범위한 범위의 창업 과정을 지원하면서 시작되었다. 2012년 청년창업 예산 관리에 따라 청년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예산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2020년 35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일자리, 주거, 교육 등 청년들이 살기 좋은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분야별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중, 청년창업 분야를 살펴보면 12개 관련 부처가 청년 기술창업 전주기 지원과 분야별 창업지원 강화를 위해 34개의 과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160조 원을 투자하여 190 만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4년 수립된 청년정책 시행계획에서는 최근 심화되고 있는 청년실업 문제 및 고용시장 침체 등 사회 여건과 정책 기조를 반영하여 사업추진 분야 전반을 청년 삶과 연관성이 높은 과제로 개선하였으며, 일자리 분야의 경우 지원제도 다각화와 청년수요를 반영한 일터 조성 분야를 강화하였다. 특히 창업 활동 지원 분야에서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 창업자 지원, ICT 분야 활용 창업자 지원, 해외 진출 목적의 청년 창업자 지원, 농업 및 어업창업 지원, 전통문화 및 게임 관련 창업지원 등 청년수요를 반영한 지원 분야의 다각화를 추진 중이다. 2017년에 추진된 중기부 창업지원 사업은 창업 아카데미, 창업 대학원, 창업 선도대학 육성 등 청년 창업인을 정부에서 육성하는 사업이 주를 이루었다면(Choi and Gwak 2017), 최근에는 청년들의 아이디어를 지원하고 디지털, 농림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수요를 수용하는 형태의 사업지원으로 변화되고 있다. 하지만, 중앙 및 지자체의 주요목적에 따라 청년창업 지원사업을 편성 및 운영하고 있어 사업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적합한 지원사업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은 지원사업의 실효성에 한계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지역별 특화 분야에 대한 지원이 사업에 거의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점도 개선하여야할 문제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사업의 공급과 수요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추진되는 지원사업의 운영 주체를 통일하고 사회변화에 대응하여 지원분야의 유동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청년정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사업 내용의 항목변화 및 과제의 개수는 Table 1과 같다.
2.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현황과 과제
2018년부터 행정안전부에서 추진된 청년 마을 사업은 인구ㆍ경제ㆍ제도ㆍ사회 부문에서 진행되는 지역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2023년 기준 39개 지역에 청년 마을을 조성하여 현재에도 운영 중에 있다(Fig. 1). 청년 마을은 중앙정부에서 사업을 지원 하지만 운영 주체를 전문 컨설팅 업체에 대행하여 독창적인 창업 형태를 유도하였고 참여지역의 민간업체와 지자체, 중간 지원조직 대표와 주민이 협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창업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단기 지원에 그치는 기존의 지원사업과 다르게 성과에 따라 최대 3년간 단계적으로 지원하여 창업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도를 향상시켰으며, 커뮤니티 형성 지원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청년들도 지역 유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사업비 이상으로 지역경제에 기여 하는 효과를 창출하였다. 청년 마을 사업은 전국적으로 지역과 연계한 창업문화를 조성한 대표적 정부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Jo et al. 2022).
청년마을 사업은 사업준비, 사업지원, 심사와 선정, 프로그램 운영, 참여자 모집과 홍보, 팀 경영, 지역내외의 협력, 지역내외의 네트워킹, 내와부 평가, 행정관리 등 10단계로 진행된다. 진행단계 중 지역내외의 협력과 네트워킹 단계가 있는 것이 청년마을 사업의 가장 큰 특징이며, 대표자 즉, 컨설팅 업체 대표자의 지역 거주기간과 청년마을 사업 참여자의 평균 거주기간, 프로그램 참여 인원 규모, 참여자 이주(정착) 규모 등이 평가항목에 포함되어 단계별 창업지원을 통한 청년정착을 최종 목표로 추진된 사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업을 진행하는 민간기업의 대표 및 직원들이 느끼는 부담감 해소와 참여자 및 지역청년을 위한 숙소 등 거점공간 마련이 미흡하였다는 부분은 청년마을 프로젝트의 한계점으로 지적된다(MOIS 2022). 청년마을을 운영하는 기업은 예비 창업자들을 24시간 관리하기 때문에 축적된 피로는 청년마을의 시스템과 공간 운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청년마을의 성과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피로도 축적으로 인해 사업 후반으로 갈 수 록 예비 창업자에 대한 관심과 공간관리 능력이 저해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차년도 사업부터는 관리자의 부담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관리자 커뮤니티 강화 및 형성 등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2020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역자원 및 특성을 활용하는 지역 크리에이터를 육성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으로 지역의 자원과 특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을 도모할 가능성이 있는 예비 창업자를 지원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원 유형을 지역가치, 로컬푸드, 지역기반제조, 지역특화관광, 거점브랜드, 디지털문화체험, 자연친화활동 으로 구분하여 지역 고유의 특성과 자원을 활용하도록 유도하였고, 사업비는 개발, 브랜드, 홍보, 커뮤니티 형성, 인건비, 임차비 등에 사용 가능하게 하여 자원 활용 및 정착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업비 지원 이외에 멘토링, 마케팅 등 성장단계별 프로그램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 사업은 지역자원을 활용한 창업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으로의 유입 및 이주를 유도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사업비 지원과 함께 전문지식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교육도 지원하여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 초기창업부터 정착까지 필요한 청년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 가치 창출 이외에 지역발전 이라는 사회적 역할을 함께 요구하고 있는 로컬크리에이터 라는 명칭이 지원 대상자의 의지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의구심과 창업 이후의 성장단계에 대한 미흡한 단기적 지원사업 등은 로컬크리에이터 지원사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지원사업을 통해 21년 기준 196개의 로컬크리에이터 업체가 선정되었으며 이 중 20~30대 비율이 56%로 분석되었다. 2023년에는 신규로 100개 사 내외의 로컬 크리에이터를 모집하여 추진 중에 있다(Jang et al. 2021).
3. 청년센터의 운영 및 공간구성 현황
청년센터(Business Incubator)는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마케팅, 경영전략, 업무공간 등 창업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이 센터는 예비 창업에 필요한 자금, 기술, 경영 등 다양한 요소를 교육하고 지원함으로써 초기창업의 위험부담을 줄이고 원활한 성장을 도와 창업 성공률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년센터의 주요 지원사업으로는 멘토링 및 창업 교육, 네트워킹 지원, 자금 지원, 사무공간 제공 등이 있으며, 공간 구성에 따라 시제품 제작소, 방송국, 공유주방 등 다양한 지원시설을 운영한다. 청년센터는 「청년기본법」 제24조 4항 ‘청년지원센터의 지정’에 따라 운영되고 있으며, 청년정책 안내 및 홍보, 청년 관련 시설과의 연계 협력, 청년 지원사업 등을 수행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청년센터에 대하여 Kang & Park(2016)은 창업지원센터의 공간을 창작공간, 교육 공간, 전시 공간, 자료 공간, 휴게 공간으로 나누어 공간별 기능과 특성을 구분하였으며, Lee(2006)는 창업지원센터를 운영 주체에 따라 공공기관 주도형, 대학 연관형, 민간기업 주도형, 정부주도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주요 업무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현재 전국에 약 213개의 청년창업 지원센터가 운영 중이며, 지역별 분포를 보면 서울ㆍ경기 지역에 79개소, 부산 16개소, 전라도 권역 12개소 순으로 나타난다(Choi et al. 2024).
4. 청년창업 지원사업 선행연구 분석
국내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방향성을 고찰하기 위해 관련 제도의 분석과 함께 지원사업의 지속 가능성 및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들을 검토하였다. 청년창업 지원사업에 관한 연구는 주로 창업정책과 제도를 중심으로 향후 예비 창업자에게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Part et al.(2012)는 정부의 창업정책과 청년창업 현황을 분석하여 청년 창업가의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지속 가능한 창업 모델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고, Jung et al.(2015)은 청년 창업가 인터뷰를 통해 브랜딩 통합을 통한 지속적 지원과 현재 지원사업의 진입장벽 완화가 청년창업 활성화에 필수적임을 도출하였다. 또한 Lee and Kim(2023)은 관련 법령과 조례를 분석하여 정부와 지자체 간 기준 통합, 중복사업의 통폐합, 중앙과 지자체 간 연계사업 추진이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임을 제시하였다.
청년 창업가의 성공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도 존재한다. Yu(2021)는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투자유치 기회 확대와 지원 인력 인프라 강화를 청년창업 활성화의 중요한 요소로 꼽았고, Park & Hong(2023)은 기술보증기금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금조달, 생존역량 강화, 창업전략 수립이 청년 창업인의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더불어 학력과 동종업종 경험이 생존율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Lee & Lee(2024)는 창업 멘토링 프로그램 등 지원기관 운영 프로그램이 청년 창업자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이러한 프로그램의 강화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청년 창업가를 위한 지원시설과 커뮤니티의 역할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Lee(2023)은 서울시 청년 커뮤니티센터 ‘오랑’의 위치, 규모, 운영 프로그램 등을 분석하여 센터의 운영 프로그램과 접근성이 청년 커뮤니티 활성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ANOVA 분석으로 제시하였으며, Choi & Gwak(2017)은 회귀모형을 사용해 정부 지원이 청년 창업기업의 매출과 고용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Jung & Choi(2021)은 청년 활동 지원사업의 긍정적 효과를 지속하기 위해 단기 지원 중심의 현 구조를 장기적 지원이 가능하도록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Lee & Kim(2023)은 이러한 장기적 지원 체계 구축과 더불어 중앙과 지방의 연계사업 추진이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 방안임을 제시하였다.
지역 맞춤형 창업 지원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Jung et al.(2015)은 지역 맞춤형 지원과 진입장벽 완화를 통해 지방의 창업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하였고, Park & Hong(2023)은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중소도시의 창업환경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금 지원과 창업전략 수립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 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청년창업의 주요 문제로는 자금조달의 어려움, 경험 부족, 인적 네트워크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창업환경이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지방 도시에서는 청년창업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초기 자금 지원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창업자의 역량을 높이는 한편, 중앙과 지방 간 연계된 지원체계를 구축해 지역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책 접근성을 개선하여 청년들이 정책과 지원사업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적인 지원체계를 통해 로컬창업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점으로 선행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었다.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범위
본 연구는 청년창업 활성화 지역과 지원기관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와 운영자 인터뷰를 실시하여 청년창업 지원 공간의 구성 방향과 지원사업의 제도적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지역 연계 강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실제 청년창업 지원사업에 의해 지역 청년이 정착한 사례지역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사업운영에 대한 운영자들의 의견과 사업효과, 운영중인 지원공간을 조사하였다. 운영 주체에 따른 사업추진 현황과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조사현장을 민간과 지자체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민간운영 대상지는 행전안전부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조성된 39개 지역 중 청년마을 테마에 따라 커뮤니티, 관광, 음식, 농업 등의 5개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지자체 운영 대상지는 향후 지원기관 구조의 변동 및 개편 가능성을 고려하여 최근 제정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해 시범적으로 기본ㆍ시행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5개 시ㆍ군 내 위치한 청년창업 지원센터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민간운영 청년마을은 공주 자유도, 목포 괜찮아 마을, 무안 주섬주섬, 괴산 뭐하농, 세종 농땡이 이며, 지자체 운영 청년센터는 당진 청년타운 나래, 부여 청년센터이다.
2. 연구의 방법
연구는 민간에서 운영하는 청년마을 대표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청년창업 지원센터 관계자에 대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운영되고 있는 시설 및 공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공간 구성 현황을 파악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현장조사 및 심층 인터뷰는 2024년 4월 2일, 5월 21일, 5월 22일, 5월 30일, 5월 31일, 9월 11일, 9월 12일 총 7차례 실시하였다. 효과적인 인터뷰 진행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파악한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사전에 배포한 후 대면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질문은 청년마을 기획 및 운영과정, 사업의 긍정적 효과, 청년창업공간 활용도, 창업지원 활성화를 위한 의견, 청년창업 커뮤니티 운영, 커뮤니티 운영을 통한 효과 등으로 구성하여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효과와 활성화 방안 전반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able 3). 청년창업 지원공간 현장조사는 관계자 대동 하에 대상지에 조성되어 있는 지원공간을 방문하여 공간 설명과 구성방식, 운영현황, 고충 등에 대한 의견을 교류하는 형식으로 실시하고 공간현황 및 구성형태를 사진 및 항공영상 촬영을 통해 기록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청년마을 및 청년센터 관계자를 대상으로 청년창업 지원제도 운영과정 및 효과 등 제도적 부분과 청년창업 지원을 위한 공간 구성 및 개선사항 등 시설 부분에 대하여 인터뷰를 진행하고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현장조사는 공주, 목포, 무안, 괴산, 세종에 위치한 청년마을 5곳과 당진, 부여에 위치한 청년센터 2곳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 민간운영 청년창업 활성화 지역(청년마을)
공주 자유도 청년마을은 청년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창업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커뮤니티 형성을 강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존에 정착한 청년 및 주민들이 신규 청년들의 멘토로 참여해 지역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역정착 및 창업 성공률을 높혔다. 단순히 창업공간과 자금을 지원하기보다 지역과 연계하여 스스로 다양한 창업기회를 기획하도록 하였다. 또한, 장기 체류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이 장기적으로 지역에 머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지역 주민과의 교류를 통해 자유도 주변 약 40여 개의 창업 이주 사례를 실현 시켰다. 지역 주민이 제공한 공간을 청년들이 활용하여 상호 협력적인 지역경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커뮤니티를 통한 상호작용이 창업 성공과 지역정착에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청년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자금 제공이 아니라 실질적인 지원공간을 제공하는 방향 마련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창업 활동을 위해 콘텐츠 메이커, 브랜딩 등과 같은 시설지원이 필요하다. 창업, 브랜딩, 유통 등 제품 생산과 소비과정 전 분야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체류 프로그램과 멘토링을 강화해 청년들의 지역정착을 유도하여 지방 중소도시로의 로컬창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괜찮아 마을은 청년들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시작하였다. 2018년 행정안전부에 제출한 제안서의 핵심은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것이였다. 마을에서 창업과 취업을 강요하지 않고 청년들이 지역을 경험하면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는데 집중하였다. 이 과정에서 청년들은 서로 유대감과 커뮤니티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였다. 마을의 운영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청년들이 스스로 재미와 흥미를 느끼는 활동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자연스럽게 마을에 정착하여 창업 및 생활을 지역에서 해결하기 시작하였다.
청년마을 운영의 가장 큰 효과는 ‘자연스러운 정착’이다. 청년들에게 단기적으로 머물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였지만 결과적으로 오랜 시간 마을에 머물며 지역에 정착하였다. 이는 창업이나 경제적 이유가 아니라 커뮤니티와 유대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였다. 유대감이 형성되면 자연스럽게 서로에 대한 신뢰와 애정이 쌓이게 되고 창업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20여 개의 창업팀이 형성되었고 현재도 주변 지역에서 점포를 운영중에 있다.
청년창업에 초점을 맞춘 정책보다 청년들이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청년들이 창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는 재정적 지원이 아니라 지역과 장기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업과 주거를 지원하는 제도 이외에 다양한 프로그램 및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청년창업 지원공간은 예비 청년창업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커뮤니티 형성에는 취약하다. 청년들이 장기적으로 지역에 정착하고 창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의지할 수 있는 관계망이 필요하다. 청년들이 모여 교류할 수 있는 사회적 공간과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지역과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 공간적 개선이 필요하다.
주섬주섬 마을은 청년창업 지원이 단순한 사무실 제공에 그치고 있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에 필요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폐교, 창고, 낙후된 관사 등 기존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유휴공간들을 리모델링 하여 유입 청년들의 창업공간과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청년들의 아이디어로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창업과 정착을 유도하였다.
‘동물’을 테마로 창업 분야를 특화시켜 외지인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였다. 낙후, 소멸, 염전 등 부안 지역의 부정적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해 연령에 상관없이 방문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고, 폐료를 리모델링 하여 조성한 동물원은 주 6,000여 명의 관광객이 찾을 정도로 활성화되었다. 지역에 창업한 청년들은 스스로 꾸민 창업공간에 애착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지역 내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고 창업청년들이 지역을 활성화 시키는 주체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청년들이 지속적인 창업 활동을 위해서 단기적인 창업 지원사업 이외에 공간의 장기적 사용과 자율성 보장이 필요하다.
뭐하농 마을은 농업을 기반으로 청년들이 지역 사회에 정착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농업, 문화,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들이 자유롭게 창업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청년들의 필요에 따라 카페, 주방, 교육 프로그램 공간 등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창업과 동시에 지역과 교류하고 자발적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청년마을 운영을 통해 약 18명 정도의 청년들이 성공적으로 지역창업을 실현하였고 정착하여 커뮤니티를 확장하고 있다. 청년들은 창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역에서 경제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다양한 청년들이 모여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창업 아이디어와 기회가 생성되며, 이를 통해 창업과 정책을 위한 협력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단순한 자금 지원보다 실질적인 공간 활용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적극 활용하여 제공하는 방법도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청년들이 직접 운영하는 공간에서 자립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멘토링과 함께 장기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농촌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 행정안정부 등 농업과 관련된 중앙부처가 청년들의 창업을 돕는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지방 중소도시로의 로컬창업 확산을 위해 도시창업과 다른 방향으로 농촌창업 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농땡이 마을은 지역 청년들뿐만 아니라 외부 청년들이 농촌에 정착할 수 있는 공간과 커뮤니티 제공을 목표로 기획되었다. 폐교, 폐가 등과 같은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숙소와 창업공간을 마련하였으며, 창업 목적 이외에 커뮤니티 조성 등 청년들이 자율적으로 공간을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마을 운영을 통해 약 60여 명의 청년들이 지역에 창업하는 효과를 창출하였으며, 다양한 창업 프로그램과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 분야의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지역 주민들과 함께 팜파티를 개최하거나 농산물 직판장을 운영하며 소속감 및 유대감을 향상 시켜 주민협력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창업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제도는 장기적인 지원제도이다. 단기적인 자금 지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청년들이 자립할 수 있는 공간과 프로그램을 마련해 주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농촌지역 에서는 청년들이 지속적으로 창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숙소, 교육공간, 물질적 지원 등 다방면의 지원 방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자지체 운영 청년창업 지원센터
청년타운 나래는 주로 당진 지역의 청년창업 및 취업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창업기업에 사무실을 무료로 제공하는 시설이다. 프로그램은 민간위탁 사업으로 관리되지만, 입주 기업의 관리나 공간 운영은 당진시에서 주관하고 있어 청년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과 창업 아이템을 실현 시키는 공간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무료 사무실 임대는 최대 3년이며, 입주 기업들은 주로 청년창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임대 기간은 성과평가를 통해 최대 2년간 연장할 수 있다.
예비창업자를 위한 무료 사무실 임대사업은 창업자들의 초기 자금 부담을 경감시켜 주어 창업 성공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일부 창업자들은 3년의 기간이 창업을 통해 정착하기엔 짧은 기간이라고 느끼고 있었다. 창업을 통해 본인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성실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하는 기업도 있지만 반대로 여러 가지 지원사업을 이용하여 장기간 수혜를 받는 참가자도 존재한다. 이러한 청년들은 지원프로그램에 익숙해져 자립 의지가 약해지는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성실한 창업자들에게도 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청년들의 성공과 지역정착을 촉진하는 목적을 달성하려면 반복 수혜자들을 제지할 수 있는 정책적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창업자들이 장기적으로 센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되, 자립을 위한 책임감과 책임감에 따른 보상 및 페널티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청년센터가 단순히 초기 창업자들의 창업 시작을 지원하는 공간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자립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질적인 방안 마련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여 청년센터는 지자체에서 직원을 청년센터로 파견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창업지원보다 청년들의 모임 공간을 제공하거나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AI 기반 마케팅, 글쓰기, 디자인 등 실제 창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활용도가 높은 편이었다.
커뮤니티 공간제공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약 10여명의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여 창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유휴시설 장기임대 등 창업공간 마련을 위한 사업을 병행하여 창업 청년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상권 활성화에도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일부 청년들은 디지털 기술과 콘텐츠를 활용하여 부여 지역의 전통문화를 홍보하고, 예비청년들의 지역정착 및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고 있다. 다만, 청년센터 공간이 모임과 교육 위주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청년센터를 통한 실질적인 창업사례는 타 지역보다 적은 편이다.
청년센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뿐만 아니라 실습 공간이나 창업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공간제공이 필요하다. 3D프린터나 제봉기, 목공도구 등 시제품 제작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된다면 센터를 이용하는 청년들의 창업률은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외부 청년들이 지역에 유입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청년센터 내에 쉐어 하우스 등과 같은 주거시설을 조성할 수 있다면 예비창업자들의 초기 창업 부담을 줄이고, 지역정착을 유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한다.
3. 시사점
청년창업 지원사업 및 공간을 운영하는 관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개선사항에 대한 공통된 의견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청년창업 지원제도에 대하여 초가 창업 자금과 공간제공에 집중되고 있어 단기적 지원에 그치는 경향이 많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는 청년들이 지원 기간 내에 창업을 성공 하더라도 종료 후 자립하지 못하고 지역을 떠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지속적인 네트워킹 및 지역 사회와의 유대감 형성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자금이나 공간지원 외에도 청년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형성 지원사업, 멘토-멘토링 연결 사업, 창업자들간의 교류지원 사업 등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청년창업 지원공간에 대해서는 기존의 창업공간은 단순히 사무실 형태로만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청년들의 자립심을 하락시킨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시제품 제작이나 실습을 위한 실질적인 창업지원 공간이 부족해 청년들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실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청년들의 자립심과 책임감을 높이기 위해 자율적으로 창업지원 공간을 운영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초기창업부터 정착까지 필요한 디자인, 브랜딩, 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체계 및 공간을 마련하여 지역창업을 유도하여여 한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관리자들이 느끼는 청년창업 지원제도와 창업공간은 단순히 초기창업을 위한 자금과 공간제공을 넘어서 장기적인 자립과 지역정착을 돕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기적인 지원체계와 커뮤니티 형성 지원, 자율적 공간 운영을 강화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며, 청년들의 안정적인 창업과 지역정착을 위한 정책 및 제도적 강화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Ⅳ.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청년창업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청년마을 조성 지역과 청년창업 지원센터를 대상으로 관계자 심층 인터뷰와 지원공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지역 연계성 강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주요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커뮤니티 활동을 통한 연대감 형성은 창업 청년의 지역 정착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신규 창업 청년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주민과 유입 청년을 멘토링 형식으로 연계하고,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청년창업 지원사업들을 패키지 사업으로 재구성하여 지원 체계를 효율화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등 총 121개의 세부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주거공간 지원 부족과 진입장벽 완화의 필요성이 현장에서 지적되고 있다. 이는 행정절차의 복잡성과 정보 부족으로 인해 다양한 지원사업이 실효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년창업 단계를 구분하여 단계별로 필요한 지원을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기반으로 ‘청년정책 기본계획’의 세부과제를 청년창업 단계별로 재구성하여 패키지 지원사업(안)을 Table 5에 제안하였다. ‘청년정책 기본계획’에서 추진하고 있는 세부과제는 부분별로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일자리 마련을 위한 교육지원, 복지환경 개선을 위한 주거지원 등 분야별 구분이 불명확 하거나 중복되는 지원사업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업들을 통합하여 예비 청년창업자들의 성장 단계에 따라 도전 단계, 성장 단계, 안정 단계, 확장 단계 등의 사업으로 재구성하여 지원한다면 예비 청년들의 경제적, 사회적 자립에 실질적인 효과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청년 창업지원 시설 및 공간 개선이 필요하다. 청년센터 중 청년창업 지원공간을 운영하고 있는 38개소의 지원공간 구성을 살펴본 결과, 사무실(86.8%), 회의실(71.1%), 라운지(62.3%), 기타(60.5.%), 강연장(55.3%) 등 사무 및 교육 공간은 잘 조성되어 있는 반면, 휴계실(44.7%)을 제외한 공유부엌(34.2.5%), 체험실(42.1%), 스터디룸(21.1%), 학습실(10.5%) 등 예비 창업자를 위한 시제품 제작 및 커뮤니티 공간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들이 제품을 제작하고 브랜딩 하며 유통할 수 있는 공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관계자 의견과 일치한다. 또한, 지원시설의 위치도 중요한 요소이다. Choi et al.(2024)에 따르면, 읍ㆍ면에 위치한 청년창업 지원센터는 지자체 시ㆍ군청 기준으로 평균 11.7km 이상 떨어져 있어 접근성이 낮았다. 청년 창업자가 이주한 지역이 시내 중심지가 아님을 고려할 때, 외곽 지역에 거주하는 청년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시설의 입지 선정 과정이 보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자유도 청년마을 사례는 지역 내 유휴시설을 리모델링 하여 지원시설을 마을에 수평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사무공간, 시제품 제작공간, 숙박시설 등 다양한 시설의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과의 교류를 원활히 하여 약 40개의 청년 점포가 운영되도록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건물 형태의 수직적 구조 대신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사무실, 회의실, 강의실, 제작실, 스터디룸, 공유주방 등의 공간을 지역에 분포시키는 수평적 공간구성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 형태는 네트워크형(지역 유휴시설 활용)과 타운형(주요 시설을 중심으로 기타 시설 배치)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공주의 자유도와 목포의 괜찮아 마을은 네트워크형, 괴산의 농땡이와 무안의 주섬주섬은 타운형 사례로 분석되었다.
셋째, 창업청년의 창업 성공률 제고 및 지역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의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2016년부터 시작된 ‘청년몰 조성사업’은 정부의 대표적 청년 로컬창업 지원사업으로 언급되고 있다. 전국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청년몰 인지도는 64%, 이용 경험률은 31%로 준수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나 높은 공실률과 폐장사례의 속출 등 문제점이 부각 되면서 실패한 정책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청년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GRI 2024)에 따르면 청년몰의 주요 폐업 요인을 인지도에 비해 낮은 재방문율이라 말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사업목적에 따라 인큐베이터형, 테스트 베드형, 핫 플레이스형 으로 모델을 구분하여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모델별 지원 기간은 3개월 부터 5년 까지 이며, 청년창업 단계별로 지원 기간을 다르게 한다는 내용이다. 선행연구의 결과처럼, 청년들이 창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최소 3년 이상의 집중 지원이 필요하며, 핫 플레이스, 즉 인지도가 있는 점포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5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인터뷰 결과 또한, 1~2년의 단기 지원 사업 보다 3~5년 이상의 장기적 지원사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원사업이 청년창업에 효과적이라는 공통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청년마을 및 청년창업 지원센터를 운영하는 관계자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바라는 지원사업 및 지원시설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으나,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사례조사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추후, 다양한 사례지역으로 조사대상을 확대하여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구체화하여 제시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Project No. RS-2002-RD010246)”,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References
- Bea JH, Kim, KH(2020) Preliminary study for establishing an evaluation system of youth polic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 Choi JS, Choi YJ, Park YG(2024) Study on the creation of shared spaces for young farmers. Proceedings 2024 Spring Korean Soc Community Living Sci Conference, p115
- Choi SG, Gwak GT(2017) A study on role improvement and performance of youth startup. Korea Small Business Institute
- Choi YS, Jo EJ, Jung WS(2023) Support measures for youth local startups to revitalize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Jang MY, Im BY, Song YJ, Yoon ZS(2021) Making youth space and supporting sustainable settlement for young people who migrated to local cities.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 Jo HJ, Kim JY, Seo BK, Jung HM, Lee SD, Lee YS, Lim GY(2022) A study on youth settlement and regional revitalization strategies thorugh performance analysis of youth villag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 Jung IE, Jo HL, Park YJ(2015) A study of government-aid business policy improvements for vatalizing young start up.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Kang CH, Park YJ(2016) A Study on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or center. Proceeding 2016 Korean Inst Interior Design Journal Spring Conference 17(1), pp 43-46
-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4) Framework act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Lee HW(2006)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s of business incubation center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 Lee JB, Lee SJ(2024)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youth entrepreneurship: a comparative study of mentored vs. non-mentored groups. J Venture Innov 7(1), 201-223, [https://doi.org/10.22788/7.1.12]
- Lee SY(2023)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community programs and youth support policy accessibility on social interaction in youth support space: focusing orang in Seoul.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 Lee YJ, Kim CW(2023) The reality and limitations of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MS thesis, Geumgang University
- Park CJ, Hong JB(2023) Empirical study on survival factors of youth start-ups. Asia-Pacific J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8(.6), 27-40, [https://doi.org/10.37727/jkdas.2023.25.4.1421]
- Park JH, Park MS, Kim DY(2012) Current status of entrepreneurship policies and youth entrepreneurship promotion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Korean Assoc Business Educ 27(5), 1-30
- Statistics Korea(2024) Start up company trends
- Statistics Korea(2024) Working age population
- The 1st Basic Plan for Youth Policies(2021) Joint Ministries
- Yoo JW (2021)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d of Gyeonggi province’s youth enterprenseurship support policy. Gyeonggi Welfare Foundation
- Yu JW(2021)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Gyeong-gi-Do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Gyeonggi Welfare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