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민의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동기, 여가혜택과 만족간의 영향 관계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tendency and benefits of outdoor recreation in rural areas. The preferences and importance of the benefits of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in rural areas were simultaneously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discussion of a four quadrants portfolio map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social benefits in quadrant i had the characteristics of ‘sharing nice experiences with others’, ‘having contact/interchange with others’, ‘colleagueship/helping each other’, ‘being together with friends’, and ‘making new friends.’ These social benefit types were perceived a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but the real level of achievement was rather low. Thus it seem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to apply the social benefit typ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experience of nature and relaxation benefits in quadrant ii had the characteristics of ‘relaxation and recreation’, ‘understanding nature’, ‘nature experience’, ‘getting away from everyday life’, and ‘experiencing new things.’ These benefits and experience of nature we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by the participants in outdoor recre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ir real achievements were highly recognized, thus they seemed to be proper types for the goals involved in developing an outdoor recreation activity program in rural areas. The personal and challenge benefits in quadrant iv had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of mental ability’, ‘improvement of self-esteem’, ‘fitness’, ‘increase in determination’, ‘possible danger’, ‘achievement’, ‘excitement’, and ‘adventure.’ These benefits had less importance to the participants, but had relatively high achievement, thus it might be important to make further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endency, seasons and facilities.
Keywords:
rural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benefits of leisure, motivation of leisure, rural tourismI. 서론
주 5일 근무의 보편화, 경제력의 향상,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여가 생활이 급속히 늘어나고, 이로 인하여 사회에서의 생업 이외에 자연에서 여가를 즐기는 야외 레저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민여가활동조사(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에 따르면, 유형별 여가활동에서는 휴식활동이 62.2%로 가장 많으며, 주로 혼자서 즐기는 사람이 58.8%로 절반이상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대가 70%이상이 ‘혼자서’ 여가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대는 ‘가족과 함께’ 53.3%로 나타났다. 국민여행실태조사(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에서도 여행지에서의 주요 활동이 자연 및 풍경감상, 음식관광, 휴식과 휴양, 야외위락 및 스포츠 활동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반자는 ‘가족/친적’이 80.7%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Statistics Korea 2013)의 「사회조사」 결과에서는 레저시설 이용인구는 관광명소, 온천장 등 71.4%(2013년) 대비 65.8%(2011년)에 비해 5.6%p 증가하였고,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활동을 가족(54.4%)과 함께 보내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10대, 20대의 경우 친구와 주로 여가를 보내며, 30대 이후로는 가족 비율이 제일 높았다. 평소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27.1%), 보통(47.8%), 불만족(25.1%)로 나타났는데 불만족 주된 이유는 경제적 부담(57.7%), 시간부족(21.1%)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렇게 증가하는 여가활동에 대한 변화는 자연기반, 휴양, 휴식으로의 여가활동 선호와 가족단위 등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으며, 여가활동을 통해서 나타나는 결과는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삶의 질 향상, 자아실현, 스트레스 해소, 모험과 흥분, 도전, 만족감이 형성된다고 하고 있다( Park 2007). 야외여가활동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사회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며 각 개인에게는 다양한 활동을 위한 기회, 건강한 삶의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하다(Chung 1997; Hong, Lee & Suh 2016). 여가활동 중 야외여가활동은 활동범위도 넓으며 스트레스 해소, 친교, 환경보전 등의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며(Lee & Kim 2007), 현대인들이 자연기반의 야외여가활동을 통하여 건강을 추구하는 것도 도시거주 환경과 업무에서 오는 정신적인 피로를 풀고, 정서적 안정감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Kim 2015). 자연기반형 여가활동은 개인의 만족뿐만 아니라 서로간의 친밀감을 유지시켜 주는 동시에 재미와 행복감을 높여주므로 중요한 여가 활동으로 각광받고 있다(Lee & Kim 2007).
지금까지 연구들을 살펴보면 여가활동은 개인의 삶과 만족에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건강유지와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농촌에서의 야외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도시민을 대상으로 농촌에서의 야외 여가활동에 대한 동기, 혜택과 만족간의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고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혜택에 대한 성취도와 중요도를 비교분석하여 농촌에서의 야외여가활동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야외 여가활동과 농촌관광
야외 여가활동은 야외에서 자연환경과 더불어 즐길 수 있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캠핑, 등산, 낚시, 사이클링, 스키 등이 있다. 전통적으로 전문가나 마니아층의 암벽등반, 클라이밍, 빙벽등산 등이 위주였다면, 최근에는 트레킹, 산책, 하이킹, 자전거 등 누구나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야외 여가활동 위주로 재편성되고 있다( Park 2007; Han 2015). 야외 레크리에이션은 자연자원을 기반으로 자연이나 도시의 녹지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Kim & Kim 2013), 자연기반형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에 대해 참여 동기와 가치의 영향관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관계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최근 자연의 편안함과 더불어 건강을 추구하는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여가활동을 선호하며, 이러한 배경은 관광목적지로써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Marek 2012). 캐나다 앨버타에서는 농촌관광을 단순히 농장에 기반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서의 휴가ㆍ여가, 특수목적의 여가활동인 생태관광, 걷기ㆍ산책, 등반, 승마, 자전거타기, 사냥과 낚시, 교육목적 여행, 예술과 문화유산 관광 등을 포함하여 농촌관광개발에 접근하고, 농촌관광으로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하는 편익ㆍ혜택을 약속한다고 하고 있다(Humaira 2010). 우리나라 농촌관광에서도 자연체험프로그램, 농촌체험프로그램, 야외활동프로그램으로 분류하고 있다( Ryu et al. 2003). 자연환경과 더불어 레크리에이션을 즐기는 것은 복합적인 형태로 참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농촌에서의 자연환경과 더불어 다양한 야외여가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Yook & Jo(2014)는 농촌마을 캠핑을 통한 관계 체험 효과에서 주민은 물론 여행자 간의 관계를 증진함으로써 만족도와 재방문의도, 치유효과도 증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바 있다. 미국 농림부 경제연구보고서(Richard & Dennis 2005)와 유럽 야외여가활동보고서(Simon et al. 2007)에서는 야외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걷기, 하이킹, 자전거타기, 조깅ㆍ달리기, 캠핑, 피크닉, 사냥, 딸기 등 숲의 열매따기, 야생버섯 채취, 크로스컨트리 승마, 자연학습ㆍ자연감상 등을 언급하였다. 두 보고서에서 나타나는 공통되는 주장은 야외여가활동을 환경관광이라 하여, 환경을 보존하고 지역민의 웰빙을 향상시키는 자연 지역으로 여행하는 책임 있는 관광으로 정의하고, 운동 부족의 사람들에게 건강한 삶을 영유하는 중요한 치유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위스콘신주의 Statewide Comprehensive Outdoor Recreation Plan(SCORP 2012)은 국가의 자연유산은 모든 미국 국민이 평등하게 누려야 하는 자원이라 하여 미국의 위대한 야외라는 비전을 두고, 주(州) 차원은 물론 지역 및 소규모 농촌까지 계획하여 행동전략을 보여주고, 정신건강 향상, 마을공동체와의 결속, 능동적인 시민상 등 야외 여가활동에 대한 5개년 계획을 세우고 있다.
2.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
동기는 인간 내면의 변화로서 실제 행동함에 있어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Lee & Oh 2005). 이러한 내면행동은 관광객의 실제적 행동과 연관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관광만족을 유도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관광객의 동기를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Crompton(1979)과 Dann(1981)의 Push-Pull이론이 대표적이다. Push-Pull이론은 관광객이 행동을 결정하는데 내적요소에 영향을 받는지 혹은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관계를 증명한 것으로( Shin & Hwang 2010), Crompton(1979)과 Dann(1981)의 연구에서 Push요인은 관광객 개인이 가지는 내부적인 관광동기이며 휴식욕구, 일상탈출, 모험, 건강, 학습욕구 등 관광객의 행동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Pull요인은 관광목적지의 매력속성과 관련하여 관광자의 행동을 유발하는 외부적인 관광동기라고 할 수 있다. 관광지를 선택할 때 문화 및 역사적 자원 자연풍경, 해안, 기후, 서비스, 위락시설, 편리성, 활동 매력성, 신기성 등이 대표적이다. Kim & Kim(2006)은 서울과 6대 광역시 및 8개도에 농촌관광객의 참여 동기로 적극적 체험, 단순휴식, 고향방문 등 3가지 요인을 나타냈으며, 군집분석 결과 각 군집은 소극적 참여형, 단순 휴식형, 적극적 참여형의 3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 Park & Kim(2011)은 농촌관광 동기에 있어서 재충전, 흥미, 학습, 농촌생활체험, 가족, 사회성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Kim & Um(2009)은 농촌관광 참여 동기를 목적형, 탈출형 두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목적형 동기를 높게 지각하는 방문객들은 관리운영과 관련된 편익과 활동형 체험을 중요시하고, 탈출형 동기를 높게 지각하는 방문객들은 농촌환경의 매력성과 관련된 편익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Yoon et al.(2009)은 농촌관광동기를 휴식, 사회화, 학습, 가족단결, 새로운 경험, 흥미로 구분하였고, 농촌관광에 대한 군집분석결과 가족단결형, 소극형, 전반적 강한 동기형, 학습 사회적 흥미형의 4가지로 형태로 나타났다. Devesa et al.(2010)는 관광동기로 휴식추구형에서 접근성, 조용함, 자연유적보존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문화추구형은 도로표지판, 주차장, 가이드, 유적지 보존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향토식품 및 자연추구형은 주차장, 숙박시설, 자연유산보전, 스포츠시설, 향토음식의 질, 레스토랑 등에 높은 만족도를, 재방문형은 보완적인 여가활동, 조용함, 유적지보존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ark & Kim 2011).
3.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혜택
농촌 야외여가활동은 여가활동 참여를 통해 참여자에게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여가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여가효과에 대한 특정한 타입과 일반적인 범주들을 설명하면서 여가효과에는 개인적 효과, 정신 생리학적 효과, 사회적ㆍ문화적 효과, 경제적 효과, 환경적인 효과가 있으며, 활동을 통해서 심리적, 정신학적으로 다양한 혜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재해석이 가능하다(Silvennoinen & Tyrvainen 2001). 여가활동은 일차적으로 즐거움, 휴식, 원기회복, 이차적으로 존재론적 욕구인 정체감, 삶의 의미 등을 끌어낼 수 있는 광범위한 활동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여가는 행복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여가활동은 경제적, 산업적, 환경적,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Han 2015). 사람들이 야외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혜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며, 기대이론은 사람들이 특정 활동에 참여하는 이유가 개인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한 동기 때문이라고 한다(Manning 1999). 하지만 동기는 혜택과 동등하지 않다. 왜냐하면 혜택의 흐름은 레크리에이션을 하는 사람의 기대치에 비례하는 체험의 질에 좌우되며, 모든 사람들이 다 동등하게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자기발전, 건강증진, 그리고 사회적 혜택을 야외레크리에이션을 통해서 더 많이 얻기를 기대하는 것이다(Manning 1999; Silvennoinen & Tyrvainen 2001). Marek(2012)는 야외레크리에이션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선별 요인들을 수요의 계층, 레크리에이션 기회의 범위, 군집, 품질, 스트레스, 모험에 관한 개인적 인식, 정서적 상태 등이라고 언급했으며, 레크리에이션에 참가하여 얻은 체험을 통해 고차원적인 혜택으로, 개인적인 것일 수도 있고,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혜택일 수도 있지만, 개인적 혜택은 신체적, 정신적 발전이 있고, 사회적 혜택은 가족관계 강화, 경제적 혜택은 의료비용 감소, 환경적 혜택은 공해수준이 낮춰지는 것이다(Manning 1999; Marek 2012).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본 연구모형은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동기는 혜택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동기는 만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혜택은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 1과 같이 농촌 야외 여가활동의 동기, 혜택, 만족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여가활동의 동기와 혜택 간 관계에 있어 연구들이 미흡하지만, Kim & Yoo(2013, 2014) 연구를 비롯하여 심리학 등 관련된 연구인 소셜 커머스 이용 동기와 고객혜택간의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동기의 각 요인이 가지게 되는 혜택에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혜택과 만족간의 관계에서는 Gwinner et al.(1998)은 고객관점에서 혜택을 사회적 혜택, 심리적 혜택, 경제적 혜택, 고객화 혜택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중요성과 지각정도를 실증분석하고 고객 만족도, 고객 충성도, 전환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Lee et al.(2002)은 관계 혜택이 종업원 만족과 호텔식음료업장에 대한 만족이라는 변수를 통해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관계마케팅 연구영역에서는 고객들이 기업과의 장기적 관계유지를 통해 과연 어떠한 혜택들을 얻을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들이 있으며, Jung & Yang(2013)도 사회적 혜택은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사회적 혜택으로 인하여 사람 대 사람뿐만 아니라 사람 대 기계와의 관계에서도 서비스 제공자와 수용자 또는 서비스 수용자간의 친밀관계를 통해 만족을 형성시킨다고 하였다. 이 같은 관계들을 고려한다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 가설 1.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1-1.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개인적 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1-2.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사회적 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1-3.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자연체험과 휴식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1-4.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도전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야외여가활동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농촌 야외여가활동 혜택이 야외여가활동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설문의 구성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문항과 변수들은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선행연구와 이론에 근거하여 구성하였다.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8문항,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는 Lee & Oh(2005)와 Kim & Kim(2006), Lee & Oh(2005), Yoon et al.(2009), Park & Kim(2011), Humaira(2010), Han(2015) 등에서 15문항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혜택은 Manning (1999)과 Silvennoinen & Tyrvainen(2001), Philipp & Robert(2010), Marek(2012), Han(2015) 등에서 19문항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야외여가활동의 만족도 문항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1점 전혀그렇지 않다, 5점 매우그렇다)를 이용하였다.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실증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농촌지역으로 유입하기 위한 야외 여가활동 주체자인 6대 광역시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8월 15일~24일(10일간)동안 6대광역시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성인 남ㆍ여를 대상으로 리서치 전문조사기관의 협조로 광역시 패널을 이용한 Web survey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조사를 동시에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표본은 지역ㆍ성ㆍ연령별 인구비율에 따른 유의할당으로 표본추출을 하여 총 510개의 조사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전체 회수된 설문지 중 일부 누락된 설문을 제외하고 총 501개의 유효표본을 이용하여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우선 인구통계적인 특징과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동기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분석을 위해 크론바하알파(Cronbach’s α) 계수를 활용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타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여가활동의 동기, 혜택, 만족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도시민의 농촌 야외여가활동 혜택에 대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는 측정된 성과요인의 우선순위를 상대적인 중요도와 성취도ㆍ만족도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기법이다. 어렵고 복잡한 통계분석방법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평가속성의 평균값과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쉽게 결과를 도출하는데 유용하며, 기준변수들을 어렵지 않게 배치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므로 시각적으로도 우수하다(Byun & Noh 2002; Jeoung & Seo 2010). IPA는 이용자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 전에는 각 속성의 중요도, 이용 후에는 성취도를 이용자 스스로가 평가하게 함으로써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성취도를 동시에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Ko 2006; Kong 2006). IPA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중요도와 성취도를 각각 한 축으로 하는 4개의 사분면에 각 연구에서 사용된 기준 변수를 배치시켜 사분면 각각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Jeoung & Seo 2010).
IV. 결과 및 고찰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표본의 특성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응답자 성별은 남성이 244명(48.7%), 여성 257명 (51.3%)보다 다소 적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60대가 전체의 113명(22.6%)로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고, 40대 50명(20.8%), 50대(1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전문대졸 또는 대졸이 340명(67.8%)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고졸 91명(18.2%), 대학원졸 63명(1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참여자의 월 소득은 600만원 이상 114명(22.8%)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300~400만원미만이 99명(19.8%), 400~500만원미만이 88명(17.6%)으로 참여자의 절반이상이 대기업 연봉 수준의 소득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설문참여자들이 60~40대 연령으로 대부분이 고학력, 고소득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업에서 살펴보면 사무/전문/경영이 271명 전체 응답자의 54.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전업주부 71명(14.2%), 자영업 58명(11.6%)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은 서울이 230명(45.9%)로 가장 많았고, 부산 83명(16.6%), 인천 65명(1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야외 여가활동 동반자는 가족 59.7%와 친구/연인 25.1%가 가장 많았고, 혼자 여가를 즐기는 경우도 11.2%로 나타났다. 체류기간도 당일방문이 46.7%, 1박2일 34.3%의 순으로 나타났다. 야외 여가활동은 가족과 당일 또는 1박2일을 주 2회 이하 85.2%정도로 즐기고 있는 행태로 나타났다. 야외 여가활동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해 알아본 결과, 만족한다는 응답(매우 만족 3.8% + 다소 만족 50.9%)이 54.7%로, 불만족한다는 응답(불만족 6.0% + 매우 불만족 0.4%) 6.4%보다 48.3%p 더 높게 분석되었다.
2. 연구개념의 신뢰성과 타당성분석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특징을 파악하면 다음과 같다. 여가활동 중에서 농촌지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야외 여가활동의 목적을 중심으로 도출한 결과,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자연경관감상과 마음의 안정ㆍ휴식을 위해가 평균 4.0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건전한 삶을 위해, 건강을 위해가 평균 3.9점으로 타나났고, 자기계발, 새로운 경험을 하는 것을 즐긴다, 다소 지출이 생기더라도 야외 여가를 즐긴다가 각각 평균 3.5점으로 나타났다.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의 15개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Varimax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KMO=0.896, Barett’s Sphericty=2997.355(df=105, p=0.000)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각각의 요인은 3가지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요인은 건강과 휴식, 둘째 요인은 체험과 모험, 셋째 요인은 기타 활동으로 명명하였다. 야외여가활동 동기의 연구개념을 설명하는 총 설명력은 59.254%로 나타나고 있다. 신뢰도 검증결과, Cronbach’s α계수는 건강/휴식 0.826, 체험/모험 0.816, 기타 활동 0.780로 나타나 농촌지역에서의 야외여가활동 동기는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혜택은 관광객들의 동기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기 때문에 관광객들의 동기에서 일부 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나타나고자 하는 특징은 휴식과 레크리에이션, 자연에 대한 이해가 평균 3.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체단련, 타인과 좋은 경험공유, 친구와 함께 어울리기, 자연체험, 일상으로부터 일탈이 각각 평균 3.7점, 자부심/자신감 향상, 성취감, 타인과 접촉ㆍ교류, 동료의식, 새로운 것 체험이 각각 평균 3.6점, 정신력 단련과 자기결정력 증대가 각각 평균 3.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혜택 19개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Varimax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KMO=0.944, Barett’s Sphericty=4414.714(df=153, p=0.000)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각각의 요인은 4가지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요인은 개인적, 둘째 요인은 사회적, 셋째 요인은 자연체험과 휴식, 네 번째 요인은 도전으로 명명하였다.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혜택 연구개념을 설명하는 총 설명력은 64.219%로 나타나고 있다. 농촌지역에서의 야외 여가활동 혜택의 요인별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s α 계수는 개인적 혜택 0.862, 사회적 혜택 0.847, 자연체험과 휴식혜택 0.840, 도전혜택 0.779로 나타나 농촌지역에서의 야외 여가활동 혜택에 있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설검증
가설 1인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하위가설 1-1인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개인적 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전체 회귀모형은 F값이 72.091(p=0.000)로 유의수준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된 R²는 0.299로 나타나 29.9%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회귀식에 투입된 변수들의 회귀계수에 대한 t값 결과,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는 개인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형성되었으며, 표준화 회귀계수 β값이 건강/휴식, 체험/모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인 활동은 개인적 혜택에 영향관계를 형성하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1-1은 부분 채택 되었다.
하위가설 1-2는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사회적 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전체 회귀모형은 F값이 100.957(p=0.000)로 유의수준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 R²는 0.375로 나타나 37.5%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회귀식에 투입된 변수들의 회귀계수에 대한 t값 결과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는 사회적 혜택에 영향관계가 형성되었으며 표준화 회귀계수 β값이 체험/모험, 건강/휴식, 기타활동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2는 채택되었다.
하위가설 1-3은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자연체험과 휴식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전체 회귀모형은 F값이 66.642 (p=0.000)로 유의수준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 R²는 0.289로 나타나 28.9%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회귀식에 투입된 변수들의 회귀계수에 대한 t값 결과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는 자연체험과 휴식에 영향관계가 형성되었으며 표준화 회귀계수 β값이 건강/휴식, 기타활동, 체험/모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3는 채택되었다.
하위가설 1-4는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도전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전체 회귀모형은 F값이 63.225(p=0.000)로 유의수준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 R²는 0.272로 나타나 27.6%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회귀식에 투입된 변수들의 회귀계수에 대한 t값 결과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는 기타활동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형성되었으며 표준화 회귀계수 β값이 기타활동, 체험/모험, 건강/휴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4는 채택되었다.
가설 2인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야외여가활동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전체 회귀모형은 F값이 49.418(p=0.000)로 유의수준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 R²는 0.225로 나타나 22.5%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회귀식에 투입된 변수들의 회귀계수에 대한 t값 결과,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는 야외여가활동 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형성되었으며, 표준화 회귀계수 β값이 기타활동만이 만족에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건강/휴식, 체험/모험은 만족에 대하여 영향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경우, 아직까지 농촌에서의 여가활동보다 농촌체험활동이라는 목적의식이 더 인식되었을 경우와 농촌지역이 아직은 여가활동 장소로 시설이나 공간적인 구성부분이 미흡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설2는 부분 채택되었다.
가설3 ‘농촌 야외여가활동 혜택이 야외여가활동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전체 회귀모형은 F값이 21.475(p=0.000)로 유의수준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 R²는 0.141로 나타나 14.1%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회귀식에 투입된 변수들의 회귀계수에 대한 t값 결과, 농촌 야외여가활동 혜택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형성되었으며 표준화 회귀계수 β값이 사회적 혜택과 자연체험과 휴식혜택이 만족에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개인적 혜택과 도전혜택은 만족에 영향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 사회적 혜택에서는 여가활동의 기본성격인 타인과의 교류와 접촉에 주안점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자연체험과 휴식에 대한 혜택에서는 최근 들어 급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건강과 자연에 대한 열망에 대한 선호도에서 나타나는 차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가설3은 부분 채택되었다.
4. 농촌 야외여가활동 혜택에 대한 IPA 분석
농촌지역에서의 야외여가활동 혜택에 따른 성취도와 중요도를 동시에 비교ㆍ분석하기 위해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활용한 그 결과는 Fig. 2와 Table 10과 같다. 1사분면에서의 사회적 혜택들은 ‘타인과 좋은 경험공유’, ‘타인과 접촉/교류’, ‘동료의식/서로 돕기’, ‘친구와 함께 어울리기’, ‘새로운 친구 사귀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은 야외 여가활동의 참여자에게 매우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되지만, 실질적인 성취도는 낮은 편이 되기 때문에 프로그램개발 시 부분적으로 목표달성 성과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사분면에서의 자연체험과 휴식혜택들은 ‘휴식과 레크리에이션’, ‘자연에 대한 이해’, ‘자연체험’, ‘일상으로부터 일탈’, ‘새로운 것 체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은 야외 여가활동의 참여자에게 매우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되며, 동시에 실질적인 성취도 또한 높게 인식되기 때문에 농촌지역에서의 우선 순으로 야외 여가활동프로그램개발 및 조성 시 목표로 적합한 유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3사분면은 중요도와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모두가 낮은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의 야외여가활동의 혜택에서 나타나지 않은 부분이다. 4사분면에서의 개인적 혜택, 도전 혜택들은 ‘정신력 단련’, ‘자부심/자신감 향상’, ‘신체 단련’, ‘자기 결정력 증대’, ‘자신에게 일어날 위험 가능성’, ‘성취감’, ‘자기극복’, ‘흥분/스릴감’, ‘모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은 야외 여가활동의 참여자에게 낮은 중요도의 속성을 가지지만 상대적으로는 높은 성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외 여가활동프로그램개발 및 조성 시 참여자들의 성향이나 계절별, 시설별에 따른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촌 야외여가활동에 대해 만족 항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농촌 야외여가활동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도시민들의 여가활동 중 농촌에서의 야외여가활동 참가자의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 혜택과 야외여가활동 만족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농촌 야외여가활동에 대한 혜택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자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농촌 야외여가활동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실증연구에 필요한 모집단은 농촌지역으로 유입하기 위한 야외 여가활동 주체자인 6대 광역시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8월 15일~24일(10일간)동안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성인 남ㆍ여로 리서치전문조사기관에 의뢰하여, 광역시 패널을 이용한 Web survey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조사를 동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표본은 지역ㆍ성ㆍ연령별 인구비율에 따른 유의할당으로 표본추출을 하여 총 510개의 조사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전체 회수된 설문지 중 일부 누락된 설문을 제외하여 총 501개의 유효표본을 이용하여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인구통계적인 특징과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동기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분석을 위해 크론바하알파(Cronbach’s α) 계수를 활용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타당성분석을 활용하였다.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동기, 혜택, 만족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다중회귀분석으로 그 관계를 파악하였고 도시민들의 농촌 야외여가활동 혜택에 대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하여 하위가설 4가지로 분류한 결과, 먼저 개인적 혜택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건강/휴식, 체험/모험 요소가 타나났다. 그리고 사회적 혜택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는 체험/모험, 건강/휴식, 기타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체험과 휴식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는 건강/휴식, 기타활동, 체험/모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전활동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는 기타활동, 체험/모험, 건강/휴식으로 나타났다. 전제적으로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와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혜택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가설2는 ‘농촌 야외여가활동 동기가 야외여가활동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 기타활동이 유의한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아직까지 농촌에서의 여가활동보다 농촌체험활동이라는 목적의식이 더 인식되었을 경우와 농촌지역이 아직은 여가활동 장소로 시설이나 공간적인 구성부분이 미흡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가설3은 ‘농촌 야외여가활동 혜택이 야외여가활동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 사회적 혜택과 자연체험과 휴식혜택이 유의한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혜택에서는 여가활동의 기본성격인 타인과의 교류와 접촉에 주안점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자연체험과 휴식에 대한 혜택에서는 최근 들어 급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건강과 자연에 대한 열망에 대한 선호도에서 나타나는 차이라고 사료된다. 넷째, 농촌지역에서의 야외여가활동 혜택에 따른 성취도와 중요도를 동시에 비교ㆍ분석하기 위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활용한 4사분면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1사분면에서의 사회적 혜택들은 ‘타인과 좋은 경험공유’, ‘타인과 접촉/교류’, ‘동료의식/서로돕기’, ‘친구와 함께 어울리기’, ‘새로운 친구 사귀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은 야외 여가활동의 참여자에게 매우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되지만, 실질적인 성취도는 낮은 편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참가자들의 속성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사분면에서의 자연체험과 휴식혜택들은 ‘휴식과 레크리에이션’, ‘자연에 대한 이해’, ‘자연체험’, ‘일상으로부터 일탈’, ‘새로운 것 체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은 야외 여가활동의 참여자에게 매우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되며, 동시에 실질적인 성취도 또한 높게 인식되기 때문에 농촌지역에서의 우선 순으로 야외 여가활동프로그램개발 및 조성 시‘전략/목표’인식하여 활용하면 적합한 유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3사분면은 중요도와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모두가 낮은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의 야외여가활동의 혜택에서 나타나지 않은 부분이다. 4사분면에서의 개인적 혜택, 도전 혜택들은 ‘정신력 단련’, ‘자부심/자신감 향상’, ‘신체 단련’, ‘자기 결정력 증대’, ‘자신에게 일어날 위험 가능성’, ‘성취감’, ‘자기극복’, ‘흥분/스릴감’, ‘모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은 야외 여가활동의 참여자에게 낮은 중요도의 속성을 가지지만 상대적으로는 높은 성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외 여가활동프로그램개발 및 조성 시 참여자들의 성향이나 계절별, 시설별 등에 따른 개발방향을 적절하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에서의 야외여가활동에 대한 한계점과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도시민을 대상으로 농촌에서의 야외여가활동에 대한 동기, 혜택과 만족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내고자 하였다. 가설 1은 기존 관광분야에서 나타났던 성향과 비슷한 양상으로 도출되었지만, 가설 2와 같은 경우는 아직까지 농촌지역에서의 여가활동은 기존의 농촌체험활동 또는 농촌관광활동과 같이 뚜렷한 동기나 목적의식이 미흡한 형태로 농촌이라는 특성과 사회적 변화에 따른 개인적인 성향 차이로 사료되며, 추후 연령대별, 성별 등 인구통계학적인 특징의 수요자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아직까지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농촌에서의 야외여가활동에 대한 예측적인 측면에서 진행된 설문조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점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IPA의 4사분면의 범위와 중심점의 위치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으며 아울러 중요도와 성취도의 비교만으로 정밀하고 다차원적인 결과를 얻는데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촌형 야외여가활동에 대한 다각적인 평가방법을 통해 농촌 야외여가활동영역의 세분화된 프로그램개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of RDA(Project Numbers: PJ01199202)
References
- Byun, WH, Noh, CC, (2002), A countermeasure strategy of tourism marketing for activation of Back je cultural tourism: application to IPA model , JTLR, 14(2), p25-46.
- Chung, YK, (1997), The influence of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arousal seeking and affects on the behavior of sport commitment , MS thesis, Bus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 Crompton, JL, (1979), Motivations for pleasure vacation, ANR, 6(4), p408-424. [https://doi.org/10.1016/0160-7383(79)90004-5]
- Dann, GMS, (1981), Tourist motivation: an appraisal, ANR, 8(2), p187-219. [https://doi.org/10.1016/0160-7383(81)90082-7]
- Devesa, M, Laguna, M, Palacios, A, (2010), The role of motivation in visitorv satisfaction: empirical evidence in rural tourism , Tour Manag, 31, p547-552. [https://doi.org/10.1016/j.tourman.2009.06.006]
- Gwinner, KP, Gremler, DD, Bitner, MJ, (1998), Relational benefits in services industries: the customer’s perspective , J Acad Mark Sci, 26(2), p101-114. [https://doi.org/10.1177/0092070398262002]
- Han, SJ, (2015), A new approach to outdoor recreational activities in the community center, proceedings symposium of the Korean Soc Leis Recreat Park Proc, p59-69.
- Hong, HH, Lee, YG, Suh, KB, (2016), Study on relation between outdoor sports participants’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flow, leisure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well-being , KSLRP, 4(1), p1-14.
- Humaira, I, (2010), Rural tourism-an overview,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Government of Alberta.
- Jeong, C, Seo, YS, (2010), Re-examin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used in tourism studies in Korea , JTS, 22(1), p119-137.
- Jung, SG, Yang, Ho, (2013),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relational benefits,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informativeness & rationality , JMMR, 18(2), p47-71.
- Kim, EH, Yoo, SY, (2013), Social commerce user motives and benefits and consider factors impact on consumer shopping value ,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3 Year Conference proceeding, p400.
- Kim, EH, Yoo, SY, (2014), Cross-model effect of model types, product gender identity and message appeal type , JDC, 12(6), p105-1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6.105]
- Kim, JO, (2015), The impact of nature-based outdoor recreation settings on the healing tourists’ attention restoration an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at ‘forest healing’ program ,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 Kim, JO, Kim, NJ, (2013), Outdoor recreation participants’ cognition of climate change influencing on their behaviors: apply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auto campers in winter , KASTM, 37(6), p11-32.
- Kim, H, Kim, SC, (2006), Market segmentation by the motivation of Rural Tourism, KRTA, 13(1), p29-47.
- Kim, SY, Um, SH, (2009), Analysis on benefits sought and preference of on-site activities based on participation motives of rural tourism , JRT, 16(1), p17-37.
- Ko, KS, (2006), Visitor evaluations of the tourist destination attractiveness, JeJu University.
- Kong, KY, (2006), Evaluation of leisure activity using the IPA method, KASTM, 20(3), p285-303.
- Lee, GM, Kim, J, (2007), Influence of motives of club member to marine sports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 KJPE, 46(2), p117-130.
- Lee, HS, Oh, MJ, (2005), Market segmentation by the motivation types of the tourists to drama location: the case of the BUCHEON fantastic studio , IJTHR, 19(1), p297-311.
- Lee, YK, Choi, BH, Moon, HN, (2002), The effect of relational benefit on customer’s employee and restaurant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 KMR, 31(2), p373-404.
- Manning, RE, (1999), Studies in outdoor recreation: search and research for satisfaction, Corvallis,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 Marek, N, (2012), The model of satisfaction in outdoor recreation, theory and methodology of physical recreation in the light of current research , Marek Nowacki Co., p26-69.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National Report on leisure activities.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 Park, DB, Kim, KH, (2011),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ural tourism motiv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KJCL, 22(2), p283-298. [https://doi.org/10.7856/kjcls.2011.22.2.283]
- Park, SS, (2007), Investigation and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n outdoor leisure sports and their leisure satisfaction , Major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Master’s Thesis.
- Philipp, F, Robert, A, (2010), Benefits and constraints of outdoor recreation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ferences from recreational fishing , Leisure Sci, 32, p55-71.
- Ryu, SM, Bae, JN, Yoo, SO, Kim, SK, Song, KI, Kang, SK, (2003), Green tourism theory and practice, Seoul, Bak-San Pub.
- Richard J. Reeder, Dennis M. Brown, (2005), Recreation, tourism, and rural well-Bein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 A Report from the Economic Research Service, Economic Research Report(7).
- SCORP, (2012), The 2011–2016 Wisconsin Statewide Comprehensive Outdoor Recreation Plan, Wisconsi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 Shin, C, Hwang, JH, (2010), A study on push and pull motivations of visitors to attend rock music festival: a case of Busan , KASTM, 25(4), p69-91.
- Silvennoinen, H, Tyrvainen, L, (2001), Demand for nature tourism services and the environment in Finland, Outdoor Recreation, 8(2), p112-127.
- Simon, B, Liisa, T, Tuija, S, Ulrike, P, Murray, S, (2007), Outdoor recreation and nature tourism: a european perspective, LRLR, p18-25.
- Statistics Korea, (2013), Social survey.
- Yook, SK, Jo, HJ, (2014), Experience effect relationship analysis through the rural town camping, TOSOK 74th Proceeding, p589-605.
- Yoon, IJ, Lee, GM, Kang, HM, Lee, JH, Lee, NM, Lee, HM, (2009), A study of knowing issues of activating marine-leisure sports and the method of its improvement , KJPE, 48(6), p1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