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27, No. 4, pp.779-794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Nov 2016
Received 17 Oct 2016 Revised 16 Nov 2016 Accepted 23 Nov 2016
DOI: https://doi.org/10.7856/kjcls.2016.27.4.779

도시 텃밭 재배활동 다양화를 위한 기능성 텃밭모델 이용자 분석

박은희 ; 한경숙 ; 장윤아 ; 정순진 ; 박동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과
User Analysis of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to Diversify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Eunhee Park ; Kyungsook Han ; Yoonah Jang ; Sunjin Jeong ; DongKeum Park
Urban Ag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 Korea

Correspondence to: Kyung-Sook Han Tel: +82-63-623-6940 E-mail: kshan9@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In this study, a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is proposed for vegetable gardening users in urban areas to grow different vegetables for various purposes. H vegetable garden user(uneducated) and Y vegetable garden user(educated) urban vegetable gardening users were provided with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and allowed to manage their allocated gardens directly. As the issues raised by the field work and its associated solutions were investigated, the opinions from each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usage survey for vegetable gardening,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y had mostly cultivated vegetables. Second, with regard to the kinds of vegetables cultivated in autumn, both groups chose the vegetables required for producing Kimchi. Third,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ir interest in growing various plants was the major motivation to start gardening. Fourth, regarding the inclusion of flowers and herbs in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re than 90% of the members of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 level of the inclusion was appropriate or could be higher.

Keywords:

crops association, cultivated crops, functional vegetable garden, urban agriculture, vegetable

I. 서론

최근 도시민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직접 생산하고, 건강과 여유에 대한 욕구를 도시농업을 통해 표출하면서 도시는 Farm City로 변화중이다( Yeo et al. 2012). 우리나라 도시농업은 2006년 텃밭상자에서 시작하여(An et al. 2013) 가정이나 빌딩 옥상, 아파트 베란다에 텃밭이 만들어 지고, 청소년의 정서함양, 원예치료 등을 위한 농업체험이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측면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수요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Park & Yang 2012). 2010년 15만명 수준이었던 도시 텃밭 이용자는 2011년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2012년 5월 시행)된 후, 도시농업 활동 확산과 도시 텃밭 보급 등을 바탕으로 지난 해 7배나 증가한 108만명을 기록했고, 도시 텃밭 면적도 668ha에서 같은 기간 동안 6.4배나 증가했다( Park 2016).

이에 따라 작물의 종류와 재배일정, 병해충 관리방법 등과 같은 텃밭 활동에 대한 정보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인터넷 블로그, 도시 텃밭 관련 서적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배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텃밭작물의 경우, 식재 시기와 재식간격, 관수 방법 등에 따라 생육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재배 일정과 관수, 병충해 예방과 관련된 올바른 정보 전달이 필요한(Park & Yang 2012) 시점이다.

또한 현재 도시 텃밭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 상추, 고추, 토마토 등에 집중되어 있고( Jeong et al. 2014), 허브류, 식용꽃 등의 선호도가 채소류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Moon et al. 2014). 더불어 Seo et al.(2012)의 연구에 따르면, 주말농장의 다년계약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전체 농장의 6.1%에 불과하여 과수 및 다년생 식물 재배에 어려움이 있으며, 사계절 이용방법과 약용식물, 과수 등 관리와 기술의 습득을 위한 경로와 체계가 부족하여(Lee et al. 2000) 도시민들이 쉽게 다른 작물을 도입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진행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과거 먹기 위해 재배하는 텃밭의 형식에서 벗어나 정원과 같이 디자인하고, 재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생식물 자원을 적용한 텃밭 정원 형태의 야생화 텃밭모델 개발(Song et al. 2015)과 먹거리와 경관용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쉼터 텃밭, 생태 치유형 약용텃밭 등 도시 텃밭 정원 모델제시와 도심 녹색 디자인 소재로서의 텃밭 개발( Jeon et al. 2015) 등 다양한 형태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도시 텃밭을 이용하는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텃밭 작물을 재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이용목적에 맞는 작물의 조합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능성 텃밭 모델을 제안하고, 직접 재배하도록 하였으며, 기능성 텃밭 모델의 실제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도시민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작물 재배교육 수료자와 일반 시민들의 이용실태를 비교ㆍ조사하였다.


II. 연구방법

1. 재배대상지 및 조사대상

본 연구의 재배대상지는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의 H 도시 텃밭과 광주 서구 양동의 Y 도시 텃밭이다. H 텃밭은 기존에 공원으로 이용하려다가 시민들의 요구에 의해 현재의 텃밭이 운영되게 되었으며, 북쪽으로는 근린공원, 서, 남쪽으로는 중고등학교, 동쪽으로는 은평 경찰서와 인접하여 있다. 주택가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도로변에서는 보이지 않고, 지형이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텃밭은 계단식으로 배치가 되어 있다. Y 도시 텃밭은 도로 옆에 위치하며, 아파트 단지와 마주하여 있고, 뒤쪽으로는 일반 다른 텃밭이 운영 중이며, 주변으로는 주택들이 들어서 있다. 전체적인 텃밭은 일반 도로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지만, 위쪽에서는 지형차가 크지 않아 거의 평평하다. 재배 텃밭은 서울 H 도시 텃밭(65두둑)과 광주 Y 도시 텃밭(10두둑)이며, 기능성 텃밭모델의 배치도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이 직접 텃밭을 조성하였다. 조사대상자는 H 도시 텃밭에서 텃밭을 분양 받은 60명의 일반 시민(Table 1)과 Y 도시 텃밭에서 분양 받은 39명의 재배교육 수료자(Table 2)로 구성되어 있다.

Overview of Seoul H Vegetable garden and user classification

Overview of Seoul H Vegetable garden and user classification

2. 조사방법

이용자 조사를 위해 기능성 텃밭 모델 배치도를 대상자들에게 배포하고, 작물 일정과 배치도에 따라 재배하도록 하였으며, 2016년 4월 21일부터 6월 30일까지 대상자에 대해 직접조사한 후, 자료를 토대로 이용자 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 하였다(Fig. 1).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 일반 특성, 텃밭재배 기초 조사, 텃밭 작물 이용현황 조사, 기능성 텃밭 모델 재배활동 조사, 만족도 및 개선점 조사로 구분된다. 조사대상자 일반 특성은 성별, 연령, 직업, 관련 전공 여부, 소득수준, 경험 유ㆍ무 등이며, 텃밭재배 기초 조사 문항은 재배활동과 관련된 텃밭활동 목적, 재배지식, 재배교육 경험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텃밭 작물 이용현황 조사 부분은 기존 텃밭활동에서 주로 이용한 작물 종류와 현재 기능성 텃밭에서 재배하고 있는 작물에 대한 의견, 가을철 작물에 대한 의견 등을 조사하는 문항이고, 기능성 텃밭 모델 재배활동 문항에서는 기능성 텃밭을 운영하며 발생하는 전반적인사항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Fig. 1.

Example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for users.

3. 기능성 텃밭 모델

기능성 텃밭 모델은 도시민의 텃밭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농진청에서 개발(Park et al. 2016)하였으며, 도시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현재 보완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기능성 텃밭 모델은 총 4개의 그룹, 10개의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텃밭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그룹 보고 즐기는 텃밭(알록달록 텃밭, 향이 있는 텃밭). 2그룹 맛있는 텃밭(샐러드 텃밭, 바비큐 텃밭), 3그룹 건강기능성 텃밭(고혈압 예방을 위한 텃밭, 암 예방을 위한 텃밭, 당뇨 예방을 위한 텃밭,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텃밭, 다이어트 텃밭), 4그룹 배우는 텃밭(학습용 텃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텃밭모델은 규격 600×100 ㎝, 면적 6 ㎡로 각 유형에 적합한 기능성 작물들이 배치되어 있다(Table 3).

Functional garden model type

보고 즐기는 텃밭(그룹1)에서 알록달록 텃밭(유형1)은 적축면상추, 청치마상추, 비트, 한련화, 케일, 가지, 방울토마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색이 있는 채소류, 식용꽃 등을 이용하면 더욱 다채롭게 재배할 수 있다. 향이 있는 텃밭(유형2)은 타임, 라벤더, 캐모마일, 로즈마리, 바질, 애플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용, 약용, 장식용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맛있는 텃밭(그룹2)의 샐러드 텃밭(유형3)은 다채, 로메인상추, 적근대, 양상추, 당근, 브로콜리, 강낭콩, 방울토마토로 구성되며, 수확하여 간단한 조리를 거쳐 이용 가능한 작물로 배치되어 있고, 바비큐 텃밭(유형4)은 감자, 로메인상추, 적축면상추, 겨자채, 풋고추, 매운고추, 잎들깨, 옥수수를 배치하여 바비큐 파티에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건강기능성 텃밭(그룹3)의 재배 작물은 타임지 선정 10대 항암식품, 일본국립암연구소 선정 20가지 항암 채소 목록과 고혈압, 당뇨, 뇌졸중, 다이어트 관련 문헌 및 논문, 방송매체 등을 참고하여 배치하였다. 고혈압 예방을 위한 텃밭(유형5)은 부추, 쑥갓, 미나리, 생강, 땅콩, 도라지, 완두콩, 토마토, 암 예방을 위한 텃밭(유형6)은 생강, 양배추, 흰민들레, 시금치, 케일, 콜리플라워, 가지, 토마토, 당뇨 예방을 위한 텃밭(유형7)은 비트, 땅콩, 도라지, 야콘, 쥐눈이콩, 당조고추, 가지,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텃밭(유형8)은 비트, 자색고구마, 부추, 시금치, 케일, 도라지, 서리태, 일당귀, 둥근마, 다이어트 텃밭(유형9)은 고구마, 감자, 콜라비, 일당귀, 양상추, 당근,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블루베리로 구성되어 있다.

배우는 텃밭(그룹4)의 학습용 텃밭(유형10)은 고구마, 땅콩,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수박, 봉선화, 방울토마토, 옥수수가 배치되며, 주로 유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교과과정에 수록된 작물을 참고하여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 일반 특성

조사에 응답한 텃밭 이용자의 성별은 H 도시 텃밭 남성 30.0%(18명), 여성 70.0%(42명), Y 도시 텃밭 남성 33.3%(13명), 여성 66.7%(26명)로 나타났다. 연령에서 H 도시 텃밭은 51~60세가 36.7%(22명)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41~50세 33.3%(20명), 31~40세 18.3%(11명), 61~70세 8.3%(5명), 70세 이상과 21~30세 1.7%(1명)이었으며, Y 도시 텃밭은 41~50세가 41.0%(16명)로 가장 높았고, 51~60세가 28.2%(11명), 61~70세 18.0%(7명), 31~40세와 70세 이상이 5.1%(2명), 21~30세 2.6%(1명)이었다. 직업부분에서 H 도시 텃밭은 주부가 45.0%(27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회사원 18.3%(11명), 기타 15.0%(9명), 농업ㆍ원예 종사자 10.0%(6명), 전문직 8.3%(5명), 자영업 3.3%(2명) 순이었고, Y 도시 텃밭은 전문직이 28.2%(11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농업ㆍ원예 종사자와 자영업이 20.5%(8명), 기타 15.4%(6명), 주부 10.3%(4명), 회사원 5.1%(2명)로 조사되었다. 소득수준에서 H 도시 텃밭 경우 300만원대가 26.7%(16명)로 가장 높았고, 100만원 미만 23.3%(14명), 100만원대 18.3%(11명), 500만원 이상 11.7%(7명), 200만원대 15.2%(15명), 400만원대 8.1%(8명), 무응답 1.7%(1명)이고, Y 도시 텃밭 200만원대가 23.1%(23명)로 가장 높았으며, 100만원대 20.5%(19명), 300만원대 17.9%(15명), 500만원 이상 12.8%(12명), 100만원 미만 10.3%(18명), 400만원대와 무응답 7.7%(3명)으로 나타났다(Table 4).

Comparison of responder’s general characteristics

농업 또는 원예업 등 관련 전공 여부 문항에서 H 도시 텃밭은 아니다가 86.7%(52명), 그렇다가 13.3%(8명), Y 도시 텃밭은 아니다가 59.0%(23명), 그렇다가 41.0%(16명)로 나타났고,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5), 과거 텃밭 운영 경험 여부는 H 도시 텃밭에서 있다 90.9%(52명), 없다 13.3%(8명), Y 도시 텃밭에서 있다 97.4%(38명), 없다 2.6%(1명)로 응답 하였다. 이용 년차는 H 도시 텃밭의 경우 1년차가 46.7%(28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년차 28.3%(17명), 3년차 13.3%(8명), 4년차 10.0%(6명), 미응답자가 1.7%(1명)으로 조사되었으며, Y 도시 텃밭도 1년차가 41.0%(16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년차 33.3%(13명), 3년차 15.4%(6명), 4년차 10.3%(4명), 미응답자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2).

Comparison of ratios of educated to non-educated gardeners among the functional gardening users

Fig. 2.

Comparison of users’ years of gardening experience (%).

2. 텃밭 재배 기초 조사

이용하고 있는 도시 텃밭의 방문주기로는 H 도시 텃밭은 주 2~3회 55.0%(33명)가 가장 높았으며, 주 1회 31.7%(19명), 거의 매일 6.7%(4명), 주 3~4회 5.0%(3명), 2주에 1회 1.7%(1명)였고, Y 도시 텃밭은 주 1회 53.8%(21명)가 가장 높았으며, 주 2~3회 28.2%(11명), 거의 매일 7.7%(3명), 주 3~4회와 2주에 1회 2.6%(1명), 한 달에 1번 5.1%(2명)으로 조사되었다. 텃밭활동 목적에 대한 응답으로 H 도시 텃밭에서는 안전한 먹거리 재배 35.0%(21명), 여가활동 31.7%(19명), 자녀의 교육 20.0%(12명), 이웃과의 교류와 건강 및 신체 활동 6.7%(4명)이었으며, Y 도시 텃밭에서는 여가활동 43.6%(17명), 안전한 먹거리 재배 25.6%(10명), 이웃과의 교류 12.8%(5명), 자녀의 교육과 건강 및 신체 활동 7.7%(3명), 귀농ㆍ귀촌 준비 2.6%(1명)로 나타났다. 텃밭활동 목적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6). 농작물 재배에 대한 지식 정도에 대한 문항에서 H 도시 텃밭은 조금 있다 46.7%(28명)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보통이다 18.3%(11명), 전혀 없다 23.3%(14명), 많다 8.3%(5명), 아주 많다 3.3%(2명) 순이었다. Y 도시 텃밭도 조금 있다가 51.3%(20명)로 가장 높았고, 보통이다 25.6%(10명), 전혀 없다 15.4%(6명), 많다 5.1%(2명), 아주 많다 2.6%(1명) 순이었으며, 응답자 본인의 농작물 재배 지식 정도는 어느정도인가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7).

Comparison of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activity purposes of the users

Comparison of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s’ gardening knowledge

텃밭 작물 재배교육 경험문항에서 H 도시 텃밭은 전혀 없다 55.0%(33명)로 가장 많았으며, 1~3회 30.0%(18명), 전문 교육 경험 8.3%(5명), 4~6회 3.3%(2명), 7~9회와 10회 이상이 각각 1.7%(1명)으로 나타났고, Y 도시 텃밭은 1~3회 33.3%(13명)로 가장 많았으며, 전혀 없다 4~6회가 각각 25.6%(10명), 전문 교육 경험 10.3%(4명), 7~9회와 10회 이상이 각각 2.6%(1명)로 나타났다( Fig. 3).

Fig. 3.

Comparison of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gardening education participation of the functional gardening users(%).

재배교육의 텃밭 활동 시 도움정도로 H 도시 텃밭은 도움 된다가 45.0%(27명)로 가장 많았으며, 아주 도움 된다 23.3%(14명), 무응답 21.7%(13명), 보통이다 6.7%(4명), 잘 모르겠다 3.3%(2명)로 나타났고,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없었다. Y 도시 텃밭 또한 도움 된다 53.8%(2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주 도움 된다 28.2%(11명), 무응답 7.7%(3명),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5.1%(2명), 보통이다와 잘 모르겠다는 2.6%(1명)로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8). 또한 앞으로 재배교육이 진행된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 묻는 문항에서는 H 도시 텃밭은 그렇다 88.3%(53명), 아니다 5.0%(3명), 잘 모르겠다 6.7%(4명)이었고, Y 도시 텃밭은 그렇다 92.3%(36명), 아니다 5.1%(2명), 잘 모르겠다 2.6%(1명)로 응답하였다.

Comparison of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effect of gardening education during gardening

Son & Lim(2014)는 2012년 조사에서는 자녀교육 및 학습이 약 40.7%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던 반면, 2013년의 조사에서는 채소 등 생산활동이 약 30.8%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보고하였다. Hwang & Kim(2013)의 보고도 식품안전 추구의 목적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여가휴식 추구, 가족정서공유 추구, 커뮤니티 추구, 농촌향수 추구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커뮤니티 추구와 농촌향수 추구의 경우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도시농업을 하는데 있어 의미가 크지 않다고 하였다. 더불어 Kim(2015b)도 텃밭활동을 하는 목적으로 건강한 먹거리 재배가 가장 높았고, 취미ㆍ여가 활동, 자녀의 교육 목적, 신체ㆍ건강 증진, 이웃과 소통ㆍ정서적 안정, 귀농준비, 생산판매 순이라고 하여 기존 연구결과와 최근에 조사한 본 연구결과의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외부 먹거리의 식품첨가물 증가 및 생산지 오염 등과 같은 먹거리와 농약 등에 대한 도시민의 불안 심리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 친환경 재배와 직접 재배 등에 그 관심과 참여가 집중된 결과라고 사료된다. Kim(2015b)은 또한 재배교육의 도움 여부에서는 보통이다를 포함하여 그렇다의 비율이 100%였으며, 교육받을 기회가 생기면 참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약 70%가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여 본 연구의 경향과 유사함을 나타냈다.

3. 텃밭 작물 이용현황 조사

텃밭 활동 시 주로 재배하고자 했던 작물 종류로 H 도시 텃밭은 채소류가 86.7%(52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약용식물류 8.3%(5명), 허브식물류 5.0%(3명)였으며, 그 이유로는 작물의 재배가 쉽고 정보가 많다는 응답자가 36.7%(22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구하기 쉽다 21.7%(13명), 재배 작물을 가족들이 좋아 한다 18.3%(11명), 재배 작물이 건강에 좋다 15.0%(9명), 주변사람들이 많이 재배 한다 8.3%(5명)로 조사되었다. Y 도시 텃밭의 경우, 채소류가 84.6%(33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화훼식물류 10.3%(4명), 허브식물류와 약용식물류 2.6%(1명)이었으며, 그 이유로는 작물의 재배가 쉽고 정보가 많다는 응답자가 30.8%(12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구하기 쉽다 23.1%(9명), 주변사람들이 많이 재배 한다 20.5%(8명), 병충해가 없다와 재배 작물이 건강에 좋다는 각각 12.8%(5명)로 조사되었다.

작물 재배 시 식재 시기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어디서 얻는지에 대한 문항에서 H 도시 텃밭은 직접 정한다가 30.0%(18명)로 가장 많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23.3%(14명), 책 또는 인터넷을 참고 한다 20.0%(12명), 주변 텃밭을 따라한다 15.0%(9명), 모종 살 때 물어 본다 11.7%(7명) 순이었으며, Y 도시 텃밭은 책 또는 인터넷을 참고 한다 28.2%(11명)가 가장 많았고, 모종 살 때 물어 본다 23.1%(9명), 직접 정한다 20.5%(8명), 주변 텃밭을 따라한다 15.4%(6명),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12.8%(5명) 순으로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9). 또한 재배 작물의 구입 경로에 대한 답변으로 H 도시 텃밭은 모종시장에서 구입한다는 응답이 65.0%(39명)로 가장 많았고, 텃밭 분양 받을 때 제공 받는다 26.7(16명), 직접 구한다(채취, 재배) 8.3%(5명)순이었으며, Y 도시 텃밭 또한 모종시장이 79.5%(31명)로 가장 많았고, 직접 구한다 17.9%(7명), 인터넷으로 구입 한다가 2.6%(1명)이었다.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 during gardening

봄철 재배가 끝난 후 가을에 재배하고자 하는 텃밭 작물의 종류에 대한 문항에 H 도시 텃밭은 김치채소(배추, 무, 파 등)가 55.0%(33명)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가 추천 작물 25.0%(15명), 약용식물류 11.7%(7명), 허브식물류 5.0%(3), 모르겠다 3.3%(2명)로 나타났다. Y 도시 텃밭은 김치채소(배추, 무, 파 등)가 33.3%(13명)로 가장 높았으며, 약용식물류 28.2%(11명), 화훼식물류 17.9%(7명), 전문가 추천 작물과 허브식물류 7.7%(3명), 모르겠다 5.1%(2명)로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0).

Comparison of percentages of wish-to-cultivate vegetables in autumn from the Functional garden model

Kim(2015a)은 도시 텃밭 이용자들이 텃밭 재배와 관련한 정보입수를 인터넷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주변사람ㆍ친지, 행정기관, 신문, TV 순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시민들의 경우 직접 정하거나 전문가에게 물어본다는 응답이 과반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H 도시 텃밭의 경우 멘토제도가 운영되고 있어 전문가를 만나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잦아 책이나 인터넷을 찾아본다는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육 수료생이 대상인 Y 도시 텃밭의 경우에는 책 또는 인터넷을 찾아본다가 높게 나타나 재배와 관련된 정확한 정보 등을 인터넷으로 배포하는 것이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재배하고 있는 주요 채소 종류로 Jeong(2016)의 보고에서는 상추와 고추 재배자가 과반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토마토, 감자, 가지, 고구마, 도라지, 땅콩, 마늘, 배추 등 이라고 하였으며, 주말농장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Kim(2015b)의 보고에서도 재배 작물 조사결과 채소가 98%로 거의 대부분이었고, 다음으로 화훼류 1.5%, 곡류 0.5%이었다고 하였다. 특히 채소 전체를 조사해본 결과, 상추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고추, 토마토, 깻잎, 가지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또한 채소를 재배하고자 했던 응답자가 두 대상지 모두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채소류의 모종 구입이 쉽고, 재배정보가 많아 상대적으로 재배에 대한 부담이 없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가을철 텃밭채소에 대한 Son(2014)의 보고에서 16.5 ㎡의 면적에서는 상추, 배추, 무로 3종류라 하였고, 33.0 ㎡의 면적에서는 배추, 상추, 무, 쑥갓, 부추, 시금치로 종류가 모두 김치채소류에 집중되어 있었다. 본 대상지 중 H 텃밭 또한 과반 이상이 김치채소에 응답하였으나, 텃밭의 목적으로 여가생활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던 Y 텃밭은 김치채소류가 약 33%에 불과하며, 약용식물, 화훼식물 허브류가 과반을 넘는 결과를 나타내어 텃밭 이용목적이 재배하는 작물의 종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기능성 텃밭모델 재배활동 조사

기능성 텃밭모델 재배에 참여 한 이유 H 도시 텃밭은 다양한 작물 재배에 대한 흥미로 응답한 비율이 56.7%(34명)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가족이 원해서 15.0%(9명), 한번 해보고 싶어서와 모종 제공으로 인한 경비 절감이 13.3%(8명), 주변의 강요에 의해서가 1.7%(1명)이었으며, Y 도시 텃밭은 다양한 작물 재배에 대한 흥미가 92.3%(36명)로 가장 높았고, 한번 해보고 싶어서가 7.7%(3명)로 나타났다. 봄철 재배가 끝난 후 가을에 재배하고자 하는 텃밭 작물의 종류에서는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1).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motivation to start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선택한 텃밭모델의 종류로 H 도시 텃밭은 알록달록 텃밭이 25.0%(15명)로 가장 높았고, 학습용 텃밭 23.3%(14명), 샐러드 텃밭과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텃밭, 다이어트 텃밭이 각각 10.0%(6명), 향이 있는 텃밭 8.3%(5명), 암 예방을 위한 텃밭 6.7%(4명), 고혈압 예방을 위한 텃밭과 바비큐 텃밭이 각각 5.0%(3명), 당뇨 예방을 위한 텃밭은 선택한 사람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Fig. 4), 선택한 이유로는 건강을 위해서 31.7%(19명),가 많았고, 다음으로는 작물이 마음에 들어서 26.7%(16명), 안전한 먹거리 재배를 위해서 16.7%(12명), 여가활동을 위해서 5.0%(3명), 자녀의 교육을 위해서 20.0%(10명)로 텃밭 유형을 선택한 이유에서는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2). Y 도시 텃밭의 경우, 알록달록 텃밭 28.2%(11명), 샐러드 텃밭 25.6%(10명), 고혈압 예방을 위한 텃밭과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텃밭이 각각 10.3%(4명), 학습용 텃밭 7.7%(3명), 향이 있는 텃밭과 당뇨 예방을 위한 텃밭이 각각 5.1%(2명), 바비큐 텃밭과 암 예방을 위한 텃밭, 다이어트 텃밭이 각각 2.6%(1명)으로 조사되었으며(Fig. 4), 선택한 이유로는 건강을 위해서 33.3%(13명),가 많았고, 다음으로는 여가활동을 위해서 30.8%(12명), 안전한 먹거리 재배를 위해서 17.9%(7명), 작물이 마음에 들어서 10.3%(4명), 자녀의 교육을 위해서 7.7%(3명)로 나타났다. 기능성 텃밭모델 재배 참여목적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motivation for selecting plant types in the functional gardening model

Fig. 4.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selected type in the functional gardening model(%).

기능성 텃밭모델의 문제점으로 H 도시 텃밭에서는 작물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30.0%(18명)로 가장 많았으며, 재배가 어렵다 23.3%(14명), 식생활에 활용 가능한 작물이 적다 16.7%(10명), 없다 13.4%(8명), 흔하지 않은 작물이다 10.0%(6명), 비싼 가격의 작물이다, 화훼ㆍ허브 등 즐길 작물이 적다가 각각 3.3%(2명)로 응답하였고, Y 도시 텃밭은 없다 30.8%(12명)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흔하지 않은 작물이다 17.9%(7명), 재배가 어렵다 15.4%(6명), 작물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가 12.8%(5명), 식생활에 활용 가능한 작물이 적다 10.3%(4명), 비싼 가격의 작물이다 7.7%(3명), 화훼ㆍ허브 등 즐길 작물이 적다 5.1%(2명) 순으로 기능성 텃밭모델의 문제점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3).

Percentages of different responses to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수확량에 대한 만족도로 H 도시 텃밭은 보통이다 51.7%(31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한다 36.7%(22명), 만족하지 않는다 11.7%(7명)로 조사되었고, Y 도시 텃밭은 보통이다 53.8%(21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한다 38.5%(15명), 만족하지 않는다 7.7%(3명)로 조사되었다. 기능성 텃밭모델에 포함된 화훼ㆍ허브류에 대한 의견으로 H 도시 텃밭에서는 적당하다가 66.7%(40명)로 가장 많았으며, 더 많아야 한다 13.3%(8명), 더 줄여야 한다 11.7%(7명), 없어야 한다 8.3%(5명)로 조사되었고, Y 도시 텃밭은 더 많아야 한다가 48.7%(19명)로 가장 많았으며, 적당하다 46.2%(18명), 더 줄여야 한다 2.6%(1명), 없어야 한다 2.6%(1명)로 나타났다. 기능성 텃밭모델의 문제점 조사에서는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확량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일반 이용자와 재배교육 수료자 간의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4).

Comparison of percentages of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the quantity of flowers and herbs included in the functional gardening model

기능성 텃밭모델에의 채소류, 약용식물류, 화훼ㆍ허브식물류에 대한 알맞은 작물 비율 대한 문항에서 H 도시 텃밭은 채소류(56.3) : 약용식물류(23.1) : 화훼ㆍ허브류(20.6)이라고 응답한 반면, Y 도시 텃밭은 채소류(40.6) : 약용식물류(30.0) : 화훼ㆍ허브류(29.4) 이라고 응답하였다( Fig. 5).

Fig. 5.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ratio that the users consider appropriate in the functional gardening model(%).

Son et al.(2014)의 보고에서 16.5 ㎡의 텃밭에 4~6종류, 33.0 ㎡의 텃밭 7~10종류의 작물을 재배하고 있으며, 재배작물로는 16.5 ㎡의 텃밭에는 봄, 여름에 상추, 고추, 들깨, 고구마, 가지, 가을에 상추, 배추, 무였고, 33.0 ㎡의 텃밭에는 봄, 여름에 상추, 고추, 토마토, 들깨, 가을에 배추, 상추, 무라고 하였다. 현재 대상지에 운영되고 있는 텃밭모델은 6.0 ㎡의 면적에 6~9 종의 작물이 재배되고 있기 때문에 있어 기존에 조사된 것보다 많은 종류의 작물을 제안하고 있음에도 작물이 다양하지 않다는 의견이 문제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Lee(2016)는 도시 텃밭에서 11~20 ㎡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고, 이용자들이 여가생활로 즐기는데 적당한 규모라고 보고하여 이를 바탕으로 텃밭모델의 작물 종류와 수량, 규격 등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었다.

재배작물의 채소, 화훼, 허브 등에 대해서도 Kim(2015b)은 서구화 된 식생활로 콜라비, 비트 등 기능성 채소류와 허브가 식재료로 이용되어 텃밭 재배작물로도 주목받고 있다고 보고하였고, 텃밭에 화초나 허브 재배에 대하여 심어보고 싶다는 의견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지 않는 이유로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본 연구 조사에서도 두 대상지 모두 화훼ㆍ허브류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약 85%가 되므로 작물 선정에서는 변화하는 식생활에 맞추어 이용 작물들을 반영하고, 도시 텃밭 재배 공간 확보를 위하여 용지 확보 및 옥상, 컨테이너 등의 재배방법 또한 보완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도시민의 다양한 텃밭작물 재배를 위한 목적으로 완성도 있는 기능성 텃밭모델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으며, 현재 개발된 텃밭모델의 문제점과 보완사항을 조사하였고, 대상자를 재배관련 교육 수료자와 일반 시민으로 나누어 이용분석 및 요구점 등을 비교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텃밭작물 이용현황조사에서 H와 Y 도시 텃밭 이용자 모두 채소류를 재배하고자 했다는 응답이 각각 86.7%(56명), 84.6%(33명)으로 가장 높았다. 그 외에 응답한 작물류를 살펴보면, 일반시민들로 구성되어 있는 H 도시 텃밭의 경우 약용식물과 허브식물류는 응답자가 있었으나, 화훼류는 0%로 조사된 반면, Y 도시 텃밭의 경우 약용식물, 허브식물, 화훼류 모두 응답자가 있었고, 특히 화훼류를 선택한 응답자는 10.3%(4명)로 두 번째로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가을에 재배하고자 하는 텃밭 작물의 종류에 대한 문항에서도 H와 Y 도시 텃밭 이용자 모두 김치채소(배추, 무, 파 등)를 선택한 이용자가 각각 55.0%(33명), 33.3%(13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 외에 선택한 종류로 H 도시 텃밭에서는 전문가 추천 작물, 약용작물, 허브류가 있었고, Y 도시 텃밭에서는 약용작물, 전문가 추천 작물, 허브, 화훼류가 있었다. 조사 결과, 화훼류는 Y 도시 텃밭에서만 응답자가 나타났는데 이는 재배 목적에서 안전한 먹거리를 추구하는 H 도시 텃밭 이용자들이 허브류는 식용이 가능하나 화훼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반면, Y 텃밭의 경우 여가활동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화훼류 또한 재배활동의 범주에 포함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기능성 텃밭모델의 경우 각 유형별로 6~9종류의 작물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량 또한 재배간격에 각 작물 당 1~9개까지 배치되어 있다. H와 Y 도시 텃밭의 이용자들은 처음 기능성 텃밭모델을 선택할 때 다양한 작물 재배에 대한 흥미 때문에 시작했다고 각각 56.7%(34명)와 92.3%(36명)가 응답하였다. 그러나 재배활동을 하며 기능성 텃밭의 문제점으로 작물이 다양하지 않다는 의견이 H 도시 텃밭에서는 30.0%(18명)로 가장 높았고, Y 도시 텃밭에서도 12.8%(5명)가 응답하였다.

넷째, 기능성 텃밭모델 중에서 화훼ㆍ허브류가 포함되어 있는 유형은 4개이며, 향이 있는 텃밭을 제외하고는 각 1종류씩 포함되어 있다. 이용자들은 기능성 텃밭모델에 화훼ㆍ허브류가 포함된 것에 대해 H 도시 텃밭의 경우 적당하다는 의견이 66.7%(40명)로 과반을 넘었고, 더 많아야 한다는 의견은 13.3%(8명)이었으며, 줄여야 한다와 없애야 한다는 의견은 15.3%(12명)이었다. 반면, Y 도시 텃밭의 경우 더 많아야 한다가 48.7%(19명)로 적당하다라고 응답한 46.2%(18명)의 응답보다 높았고, 줄여야 한다와 없애야 한다는 의견은 5.2%(2명)에 불과했다. 또한, 텃밭모델에서 제공하기에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작물의 비율로 H 도시 텃밭 이용자들은 채소류(56.3%):약용식물류(23.1%):화훼ㆍ허브류(20.6%)라고 응답한 반면, Y 도시 텃밭은 채소류(40.6%):약용식물류(30.0%):화훼ㆍ허브류(29.4%)라고 응답하였다.

도시 텃밭의 이용자 참여 증가와 텃밭 형태의 변화에 따라 도시민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 재배교육 수료자의 경우, 여러 작물을 이용한 교육 과정과 재배방법 습득 등을 통하여 텃밭에 적용 가능한 작물의 폭이 넓어지고, 거부감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작물을 선택 한 이유로 재배가 쉽고 정보가 많다는 의견이 높아 작물의 재배와 관련한 정보 제공 및 교육 등이 작물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확량 조사에서 두 대상지 모두 보통이다와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모두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유형별로 작물의 종류와 수량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불어 도시 텃밭을 처음 이용하거나 별도의 재배교육을 받지 않은 이용자에게 화훼류 도입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식용, 약용, 작물별 공영식물 도입 등 기능성 화훼류의 추천과 정보 제공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the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No. PJ010265022016)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 An, CH, Lee, KO, Park, YJ, Lim, SB, Kim, KI, Kim, IH, Lim, JH, Lee, BE, Yoon, IS, (2013), The current status and new approach of urban agricultural, Urban Inform Serv, 377, p3-22.
  • Han, KS, Park, EH, Jang, YA, Jeong, SJ, Park, DK, (2016), Functional vegetable garden cultivate and that utiliz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Hwang, YM, Kim, SY, (2013), Study 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weekend farm us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based on cases of weekend farms in Jeonju-si , Korean J Rural Soc, 23(2), p271-298.
  • Jeon, MH, Cho, CH, Kim, SJ, Shin, EJ, (2015), Kitchen garden model and type of plant alignment, Korean J Hort Sci Technol, 33(1), p201-202.
  • Jeong, SJ, Moon, JH, Kim, AK, Choi, JJ, Park, DK, (2014), A study of seedlings market status for urban garden, Korean J Hort Sci Technol, 32(2), p211-212.
  • Jeong, SO, (2016), A study about the sense of community, acquaintanceship, and contentment of urban family garden users: in Jeonju ,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Kim, JW, (2015a), Use satisfaction by facility in urban community garden of Cheongju, MS Thesis, Cheongju University.
  • Kim, MY, (2015b), Analysis for crop cultivation and its decisive factors in urban farming -focusing on Anyang and Gwacheon in Korea , M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 Lee, AK, Lee, SL, Seo, JK, (2000), A survey in status amenity horticultural in weekend farm, Korean J Soc People Plants Environ, 3(2), p39-46.
  • Lee, BG, (2016), The characteristics of kitchen garden of urban agriculture in Busan, M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 Moon, JH, Lee, SM, Jeong, SJ, Kim, AK, Choi, JJ, Gim, KM, Park, DG, (2014), Preference of crop species of allotment gardeners, Korean J Hort Sci Technol, 32(2), p64.
  • Park, DK, (2016), The current situation of urban agriculture and activation strategy for values of farming agricultural , Center For Food, Agricult & Rural Policy, 56, p253-274.
  • Park, EH, Yoo, EH, Han, KS, Jang, YA, Jeong, SJ, Park, DK, (2016), Utilization analysis on participants of functional vegetable garden, J Soc People Plants Environ, 19(5), p393-401.
  • Park, HS, Yang, SH, (2012), Th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urban agriculture in Seoul, Seoul Economic Bulletin, p29-40.
  • Seo, HW, Kim, KJ, Lee, JA, Jung, HH, Song, JS, (2012), Perennial plants species cultivated in weekend family gardens in Korea ,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9, p72.
  • Son, YH, Lim, JE, (2014), The current status of use and the difference of awareness by user groups in the Cheongryongsan vegetable garde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2), p71-80. [https://doi.org/10.7851/ksrp.2014.20.2.071]
  • Son, MJ, (2014), Investigation of crop growth as affected by area and season of urban vegetable garden ,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 Song, YJ, Jeong, JY, Jin, HY, Kim, YJ, Lee, HJ, Lee, CH, (2015), Development of edible garden model using the native herbaceous plants, Korean J Hort Sci Technol, 33(2), p258-259.
  • Yeo, HS, Seo, JH, Jeong, YS, (2012), A case study on urban agricultural activation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design , Korea Design Knowledge Soc, 24, p41-50.

Fig. 1.

Fig. 1.
Example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for users.

Fig. 2.

Fig. 2.
Comparison of users’ years of gardening experience (%).

Fig. 3.

Fig. 3.
Comparison of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gardening education participation of the functional gardening users(%).

Fig. 4.

Fig. 4.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selected type in the functional gardening model(%).

Fig. 5.

Fig. 5.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ratio that the users consider appropriate in the functional gardening model(%).

Table 1.

Overview of Seoul H Vegetable garden and user classification

User classification Characters Persons
Non-educated gardener 60

Table 2.

Overview of Seoul H Vegetable garden and user classification

User classification Characters Persons
Educated gardener 39

Table 3.

Functional garden model type

Group Type Vegetable
(Park et al. 2016. quote)
Group 1.
Watching and enjoying the vegetable garden
Type 1. Colorful
vegetable garden
Lactuca sativa L., Lactuca sativa, Beta vulgaris, Tropaeolum majus, Brassica oleracea var.acephala., Solanum melongena,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Type 2. Aromatic
vegetable garden
Thymus vulgaris, Lavandula species, Matricaria chamomilla, Rosmarinus officinalis, Ocimum basilicum, Mentha
Group 2.
Tasty vegetable garden
Type 3. Salad
vegetable garden
Brassica campestris L., Lactuca sativa var. longiflora, Red Rhubarb Chard, Lactuca sativa var. capitata, Daucus carota L.,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Type 4. Barbecue
vegetable garden
Solanum tuberosum L., Lactuca sativa var. longiflora, Lactuca sativa L., Brassica juncea L, Capsicum annuum L., Capsicum annuum L.(Chungyang Red Pepper),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Zea mays L.
Group 3.
Health functional vegetable garden
Type 5. Hypertension preventive vegetable garden Allium tuberosum Rottl.(A. odorum L.), Crysanthemum coronarium L., Oenanthe javanica, Zingiber officinale Rosc., Arachis hypogaea, Platycodon grandiflorum, Pisum sativum, Lycopersicum esculentum Mill.
Type 6. Cancer preventive vegetable garden Zingiber officinale Rosc.,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Taraxacum coreanum Nakai., Spinacia oleracea, Brassica oleracea var.acephala.,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olanum melongena,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Type 7. Diabetes mellitus preventive vegetable garden Beta vulgaris, Arachis hypogaea, Platycodon grandiflorum, Smallanthus sonchifolius, Rhynchosia Nulubilis, Capsicum spp., Solanum melongena
Type 8. Cardiovascular disorders preventive vegetable garden Beta vulgaris, Ipomoea batatas (L.)Lam., Allium tuberosum, Spinacia oleracea, Brassica oleracea var.acephala., Platycodon grandiflorum, Glycine max, Angelica acutiloba, Dioscorea bulbifera
Type 9. Diet vegetable garden Ipomoea batatas, Solanum tuberosum L.,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Angelica acutiloba, Lactuca sativa var. capitata, Daucus carota L.,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Vaccinium spp.
Group 4.
Learning vegetable garden
Type 10. Learning vegetable garden Ipomoea batatas, Arachis hypogaea,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Citrullus vulgaris SCHRAD., Impatiens balsamina,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Zea mays L.

Table 4.

Comparison of responder’s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Frequency(Persons) Percentage(%) Frequency(persons) Percentage(%)
Gender Male 18 30.0 13 33.3
Female 42 70.0 26 66.7
Age 21-30 1 1.7 1 2.6
31-40 11 18.3 2 5.1
41-50 20 33.3 16 41.0
51-60 22 36.7 11 28.2
61-70 5 8.3 7 17.9
Over 70 1 1.7 2 5.1
Job Housewife 27 45.0 4 10.3
Office worker 11 18.3 2 5.1
Farmerㆍplants worker 6 10.0 8 20.5
Professional jobs 5 8.3 11 28.2
Independent business 2 3.3 8 20.5
The others 9 15.0 6 15.4
Income Level Below 100 14 23.3 4 10.3
100-199 11 18.3 8 20.5
200-299 6 10.0 9 23.1
300-399 16 26.7 7 17.9
400-499 5 8.3 3 7.7
Over 500 7 11.7 5 12.8
Nonresponse 1 1.7 3 7.7

Table 5.

Comparison of ratios of educated to non-educated gardeners among the functional gardening users

Classification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2-value p
Frequency(persons) Percentage(%) Frequency(persons) Percentage(%)
* p<0.05
No major 52 86 0.7 23 59 0.0 9.870 0.002
Major 8 13 0.3 16 41 0.0
Total 60 100 39 100

Table 6.

Comparison of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activity purposes of the users

Purpose on activities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 2 -value p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Producing safe foods 21 31.7 10 25.6 4.630 0.455
Leisure activity 19 35.0 17 43.6
Children education 11 18.3 3 7.7
Interchange with the neighborhood 6 10.0 5 12.8
Health & physical activity 3 5.0 3 7.7
Preparation for return-to-farming·village 0 0.0 1 2.6
Total 60 100 39 100

Table 7.

Comparison of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s’ gardening knowledge

Ratio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2-value p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None 14 23.3 6 15.4 1.905 0.795
Little 28 46.7 20 51.3
Normal 11 18.3 10 25.6
Much 5 8.3 2 5.1
Very much 2 3.3 1 2.6
Total 60 100 39 100

Table 8.

Comparison of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effect of gardening education during gardening

Classification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2-value p
Frequency(persons) Percentage(%) Frequency(persons) Percentage(%)
Yes 14 23.3 11 28.2 7.370 0.145
Very Much 27 45.0 21 53.8
No response 4 6.7 1 2.6
So 2 3.3 1 2.6
Well 0 0.0 2 5.1
Not at all 13 21.7 3 7.7
Total 60 100 39 100

Table 9.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 during gardening

Classification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2-value p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Informed by oneself 18 30.0 8 20.5 4.763 0.428
Refer to book or internet 12 20.0 11 28.2
Helped by specialist 14 23.3 5 12.8
Ask when purchasing seedling 7 11.7 9 23.1
Copying 9 15.0 6 15.4
Total 60 100 39 100

Table 10.

Comparison of percentages of wish-to-cultivate vegetables in autumn from the Functional garden model

Inspiration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2-value p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 p<0.05
Kimchi stuff 33 55.0 13 33.3 21.171 0.000 *
Medicinal plant 7 11.7 11 28.2
Flowering Plants 0 0.0 7 17.9
Herbs 3 5.0 3 7.7
Master recommendation crop 15 25.0 3 7.7
Don't know 2 3.3 2 5.1
Total 60 100 39 100

Table 11.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motivation to start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Inspiration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2-value p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 p<0.05
Interest in many crops 30 50.0 36 92.3 24.875 0.000 *
Just try 4 6.7 3 7.7
For heath 15 25.0 0.0
By family 6 10.0 0 0.0
Reducing cost by seedling provided 4 6.7 0 0.0
By force 1 1.7 0 0.0
Total 60 100 39 100

Table 12.

Comparison of percentages for each motivation for selecting plant types in the functional gardening model

Reason for vegetable garden in plantation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2-value p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For health 19 31.7 13 33.3 15.032 0.473
Not in favor of crops 16 26.7 4 10.3
For producing safe foods 12 16.7 7 17.9
Leisure activity 3 5.0 12 30.8
Children education 10 20.0 3 7.7
Total 60 100 39 100

Table 13.

Percentages of different responses to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Problem Frequency(persons) Percentage(%) x2-value p
Lack of various kinds of crops 32 32.3 10.201 0.103
Hard to cultivate 20 20.2
Not many crops used for dietary life 19 19.2
Rare crops 15 15.2
Lack of ornamental crops such as flowering plant and herb etc 13 13.1
Total 99 100

Table 14.

Comparison of percentages of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the quantity of flowers and herbs included in the functional gardening model

Ratio H vegetable garden Y vegetable garden x2-value p
Frequency(persons) Percentage(%) Frequency(persons) Percentage(%)
* p<0.05
More than 8 13.3 19 48.7 9.547 0.008 *
Proper 40 66.7 18 46.2
Lesser 7 11.7 1 2.6
No 5 8.3 1 2.6
Total 60 100 3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