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the Journal | For Contributors | Browse Archives |
ISSN : 1229-8565 (Print) / 2287-5190 (Online)
ISSN : 1229-8565 (Print) / 2287-5190 (Online)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5, No. 3, pp. 423-443 | |
Abbreviati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 |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 |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24 | |
Received 07 Aug 2024 Revised 09 Aug 2024 Accepted 13 Aug 2024 | |
DOI: https://doi.org/10.7856/kjcls.2024.35.3.423 | |
인스타그램 패션 인플루언서 이미지별 스타일링 전략 | |
김민채 ; 임지영†, 1)
| |
㈜크리스티앙 팀장 | |
1)경상국립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 |
Styling Strategies of Instagram Fashion Influencers Based on Their Images | |
Minchae Kim ; Jiyoung Lim†, 1)
| |
Team Leader, Christian Co., Ltd., Seoul, Korea | |
1)Professo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 |
Correspondence to : †Jiyoung Lim Tel: +82-55-772-1456 E-mail: jylim@gnu.ac.kr | |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images of fashion influencers on Instagram and analyze the styling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image. For this purpose, 50 domestic female macro fashion influencers on Instagram with over 100,000 followers each were selected. As of April 20, 2024, 30 recent photos from each influencer’s Instagram were collected, totaling 1,500 photos for use in the study. The photos were grouped by influencers with similar fashion images,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items, colors, and material styling. The study results classified the types of fashion images of the fashion influencers into six categories: casual, unique, girlish, comfort classic, sexy, and modern chic image, with the casual image being the most prevalent. The casual image styling prominently featured the use of accessories such as sunglasses and hats. Unique images were characterized by styling techniques such as layering a dress over pants or using structurally shaped clothing. The girlish image was influenced by the balletcore trend, highlighted by the use of ribbons and frills. Comfort classic not only demonstrated the essence of classic through the use of items or colors but also emphasized the classic image by utilizing shooting locations and props. The sexy image frequently showcased boldly fitted styles, while the modern chic image prominently featured styling in monochromatic colors.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by fashion brands to emphasize products and styles with clear concepts in influencer marketing. Additionally, since the styling of these influencers is widely utilized in both high fashion and mass fashion, the findings will help present practical and broad styling directions.
Keywords: Instagram, fashion influencer, fashion image, styling |
‘한국패션소비시장 빅데이터 2023 연감’에 따르면, 2024년 시장 규모는 3.5% 성장하여 51조 3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Lee 2023). 이처럼 패션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중요성도 더욱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가 옷을 구매하기 전,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미디어의 인플루언서를 통해 패션 트렌드와 스타일링을 참고(Choi 2023)하는 것은 하나의 흐름이 되었다.
패션 인플루언서는 자신의 스타일과 취향을 통해 수많은 팔로워에게 영감을 주고 이들이 제공하는 스타일과 트렌드 정보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이에 따라 많은 브랜드가 패션 인플루언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한 개인이 전문의 인플루언서로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며, 광고나 협찬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게 한다. 이렇듯 패션 인플루언서가 정보 전달자로서 패션 시장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이들이 표현하는 패션 이미지도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인플루언서들은 자신이 추구하는 이미지에 맞추어 적절한 패션 아이템, 색채, 소재 등을 선택하는 것은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패션 인플루언서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패션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소비자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Han 2019)과 같은 소비자 구매행동이나 구매의도, 추천의도와 관련된 연구와 패션 인플루언서의 패션 디자인 특성(Kim & Lee 2019; Park & Ha 2023)이나 Y2K 패션의 표현 특징을 분석(Lim & Choi 2023)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국내 패션 인플루언서의 스타일 기법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패션 인플루언서의 패션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각 이미지에 따른 스타일링 기법을 분석하여 이미지별 스타일링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스타그램 패션 인플루언서의 스타일링은 하이패션 뿐만 아니라 매스패션의 활용이 높기 때문에 실제적이고 폭넓은 스타일링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패션 브랜드가 인플루언서의 마케팅 활용에 있어서 명확한 콘셉트로 제품과 스타일을 강조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플루언서란 SNS 상에서 다양한 활용과 역할로 다수의 팔로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 일반인 정보원이다(Kim & Choo 2019). 인플루언서들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플랫폼은 대표적으로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으로(Song & Lee 2021), 그중에서도 비주얼을 중심으로 하는 바이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Kim & Lee 2019). 다양한 카테고리의 인플루언서 중에서도 패션 인플루언서는 SNS를 통해 자신의 일상 스타일을 노출시키고 자신이 추구하는 콘셉트를 소비자에게 확실하게 전달하며 패션 아이템의 쇼핑 정보나 스타일링 방법을 공유한다. 최근에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이 패션 제품을 직접적으로 판매하거나 콘텐츠를 발행하기 시작하면서 그 영향력이 더 확대되는 추세이다.
인플루언서 유형은 다양한 각도로 분류되고 있는데, Choi & Kang(2017)은 팔로워 수에 따라 500명~1만 명까지는 ‘마이크로’, 1만 명~100만 명까지 ‘매크로’, 100만 명 이상을 ‘메가’로 구분하였다. 또한 Raavi(2021)는 1000 이상~1만 미만은 ‘나노 인플루언서’, 1만 이상~5만 미만까지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5만 이상~50만 미만은 ‘미드-티어 인플루언서’, 50만 이상~100만 미만은 ‘매크로 인플루언서’, 100만 이상~500만 미만은 ‘메가 인플루언서’ 500만 이상은 셀러브리티 인플루언서로 분류했다. Honda(2008)은 전문가, 유명인, 모델과 같은 매스미디어, 프로패셔널 인플루언서와 타인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일반인인 개인 인플루언서로 분류하였으며, Oh & Sung(2018)은 전문가, 유명인, 일반인으로 인플루언서 유형을 분류하였다.
패션 이미지는 패션으로 나타난 분위기를 이미지화하고 구체화 시킨 것으로 이를 통해 개인의 개성과 미적감각을 표현해 준다(Song & Lim 2007). 패션 이미지의 유형으로 Kim & Lee(2005)는 내추럴, 로맨틱, 마린, 밀리터리, 소피스티케이트, 아방가르드, 엘레강스, 액티브, 에스닉, 클래식, 컬러니얼, 캐주얼로 패션 이미지를 유형화하였고, Park(2007)은 클래식, 모던, 소피스티케이트, 엘레강스, 캐주얼, 스포티브, 내추럴, 로맨틱, 에스닉, 아방가르드, 섹시, 빈티지. Kim & Kim(2014)는 내추럴, 모던, 스포티, 캐주얼, 클래식, Hong et al.(2014)은 패션 이미지 유형을 클래식, 소피스티케이트, 어반, 캐주얼, 시크 모던, 모즈 모던, 베이식 캐주얼, 에스닉, 아방가르드, 액티브 아웃도어, 스트릿 키치로 분류하였다.
공통된 이미지를 중심으로 보면, 패션 이미지는 자연의 자연스러움을 표현하는 내추럴, 낭만적이고 몽상적인 귀엽고 사랑스러운 여성적인 표현을 기본으로 하는 이미지의 로맨틱,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도시적인 감성의 이미지인 소피스티케이트, 격식과 전통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실험적 이미지의 아방가르드, 우아하고 고상한 감성으로 차분한 이미지의 엘레강스, 활발하고 동적인 액티브, 각국의 민속의상이나 직물 등에서 영감을 받은 스타일인 에스닉, 유행에 좌우되지 않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스타일인 클래식, 단순하고 간결하며 현대적 이미지의 모던, 평상복의 형식적이지 않은 이미지로서 일상적으로 편안한 이미지의 캐주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패션 스타일링은 패션 전반의 총체적인 이미지를 만들고, 타인에게 개인의 성격이나 취향 등의 내적인 미를 외부로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다(Jung & Lee 2014). 이는 ‘패션 코디네이션’과 유사한 말로 볼 수 있다(Lee & Roh 2008).
패션 스타일링은 한가지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주로 두 가지 이상의 아이템이나 색상, 소재를 함께 사용한다. 패션 스타일링 기법으로, Jo(2017)는 토털 코디네이션, 어케이전 코디네이션, 아이템 코디네이션, 파츠 코디네이션, 시즌리스 코디네이션, 슈트 코디네이션, 시각적 일치 코디네이션,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 감각적 일치 코디네이션, 패턴 온 패턴 코디네이션, 레이어드 코디네이션, 플러스 원 코디네이션, 믹스 앤드 매치 코디네이션, 미스 매치 코디네이션, 에클레틱 코디네이션으로 분류하였다. Choi et al.(2019)는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을 크게 디자인, 색채, 소재, 무늬, 디자인에 의한 스타일링으로 분류하였고 형태에 의한 스타일링은 플러스 원, 크로스오버, 시즈너블, 피스 스타일링으로 분류하였다. 색채 스타일링은 톤 온 톤, 톤 인 톤, 그라데이션, 세퍼레이션, 액센트 스타일링으로 세부 분류를 하였다. 또한 소재(Material)에 따라 동일한 질감의 소재 연출인 패브릭(Fabric) 스타일링, 유사한 질감의 소재연출인 텍스추어(Texture) 스타일링. 이질적 질감의 소재 연출로 분류하였다. 문양별 소재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으로는 동일 문양의 패턴 온 패턴, 유사 문양의 패턴 온 패턴, 동일 감성의 패턴 온 패턴, 대조적 감성의 패턴 온 패턴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패션 스타일링은 아이템 스타일링, 컬러 스타일링, 소재 스타일링으로 나누어 분석한다면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패션 인플루언서 패션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각 이미지에 따른 스타일링 기법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인플루언서 검색, 매칭 플랫폼인 레뷰 서치의 필터값을 활용하여, 국내 여성 패션 인플루언서 50명을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국내 20~40대 여성, 인스타그램에서 패션 카테고리 인플루언서이며, 팔로워 수가 10만 명 이상인 매크로 인플루언서로 설정하였다. 또한 패션 브랜드의 협찬, 광고를 통한 협업 이력이 있는 계정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20일 기준 최근 2주 이상 새로운 게시물이 없는 경우와 연예인 계정은 제외하였다.
둘째, 선정된 각 패션 인플루언서의 인스타그램 콘텐츠 이미지 수집을 위해, 패션 인플루언서 별로 2024년 4월 20일 기준 가장 최근 게시된 사진 중 30장의 이미지를 수집하였고, 총 1,500장의 사진이 사용되었다. 사진 선정 기준은 상·하의가 보이는 사진이면서 그들이 일상에서 자주 착용하는 룩 위주로 선정한 후, 각 인플루언서별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사진 순으로 선정하였다. 사진 분류 과정은 비슷한 패션 이미지를 가진 패션 인플루언서끼리 그룹화를 진행하였다.
패션 이미지 분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내추럴, 로맨틱, 소피스티케이트, 아방가르드, 엘레강스, 액티브, 에스닉, 클래식, 모던, 캐주얼 총 10가지 이미지로 분류하였으나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유사한 패션 이미지끼리 통합하고 변형하여 캐주얼(Casual), 유니크(Unique), 걸리쉬(Girlish), 컴포트 클래식(Comfort Classic), 섹시(Sexy), 모던 시크(Mordern Chic) 6가지의 이미지로 재분류하였다.
패션 스타일링 기법은 Choi et al.(2019)을 바탕으로 아이템에 의한 스타일링은 피스, 플러스 원, 크로스 오버, 미스 매치, 레이어드 기법을 기준으로 했으며, 컬러 스타일링은 원 컬러, 톤 온 톤, 톤 인톤, 콘트라스트, 액센트, 세퍼레이션, 콤플렉스, 쓰리 컬러, 바이컬러로 분류하였다. 또한 소재 스타일링은 먼저 재질감 스타일링과 문양 스타일링으로 구분하고, 먼저 재짐감 스타일링은 동일 질감, 유사 질감, 이질적 질감으로 분류하였으며, 문양 스타일링은 동일 패턴, 유사 패턴, 대조 패턴으로 분류하되, 솔리드와 솔리드 온 패턴 스타일링을 추가 분류하였다. 각 이미지 유형별 세부 스타일링 기법의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이템 스타일링, 컬러 스타일링, 소재 스타일링 기법은 각각을 100%로 중복체크를 진행하였으며, 아이템 스타일링은 피스 스타일링을 먼저 분류함으로써 다른 스타일링 기법과의 중복을 최소화했다. 이미지 데이터 분류의 정확성을 위해 인플루언서 스타일링 경험이 있는 10년 차 이상 현직 패션 스타일리스트 3인, 교수 및 대학원생 2인으로 구성한 패션 전문가 총 5인이 참여하였다.
패션 인플루언서의 패션 이미지는 총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캐주얼(40%)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유니크(16%), 걸리쉬(14%), 컴포트 클래식(12%), 섹시(12%), 모던 시크(6%)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Fashion image types | Number of influencers | Number of photos |
---|---|---|
Casual | 20( 40%) | 600( 40%) |
Unique | 8( 16%) | 240( 16%) |
Girlish | 7( 14%) | 210( 14%) |
Comfort classic | 6( 12%) | 180( 12%) |
Sexy | 6( 12%) | 180( 12%) |
Modern chic | 3( 6%) | 90( 6%) |
Total | 50(100%) | 1,500(100%) |
캐주얼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는 주로 일상에서의 편안함과 스타일리시함을 결합하여 경쾌하고 자유분방한 분위기를 나타내었다.
캐주얼 이미지를 표현하는 주요 아이템으로는 Fig. 1과 같이 티셔츠, 데님 팬츠, 스니커즈가 있으며, 이러한 아이템들은 편안한 착용감과 활동성을 제공하여 일상에서 자주 활용되었다. 또한, 액세서리로는 선글라스, 모자, 운동화가 포인트 아이템으로 활용되었다.
컬러는 그레이, 베이지, 블루, 네이비 등 베이직한 컬러가 주로 활용된다. Fig. 2는 그레이 후드 집업과 베이지색 카고 팬츠로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이러한 색상들은 어떤 스타일에도 무난하게 어울리며, 편안한 이미지를 준다. 캐주얼 이미지에서 비비드한 컬러가 포인트로 사용되어 경쾌하고 밝은 이미지가 표현되기도 한다.
소재로는 가볍고 편안한 저지류, 면 소재, 데님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소재들은 착용감이 좋고, 활동성이 뛰어나 일상에서의 활용도가 높다. 또한, 레터링이나 Fig. 3과 같이 카무플라주 등의 패턴이 활용되고 있다.
유니크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은 독특하고 창의적인 요소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유니크한 이미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아이템은 Fig. 4와 같이 기하학적 구조의 실루엣이나 전위적인 디테일을 가진 옷들이었다. 이러한 옷들은 독특한 형태와 디자인을 강조하며, 착용자에게 개성과 독창성을 부여한다. 액세서리로는 메탈릭한 소재의 아이템이나 과장된 형태의 장신구들이 포함되었다.
유니크한 스타일에서 색채는 무채색이 주를 이루며, Fig. 5처럼 흑백의 강한 명도대비가 사용되었다. 이는 강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만들어 내며, 스타일에 날카로움과 세련됨을 더해주었다. 메탈릭한 컬러는 포인트로 활용되며, 실버나 골드와 같은 색상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메탈릭한 색상은 스타일에 미래지향적이고 혁신적인 느낌을 부여한다.
소재의 선택 역시 유니크한 스타일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소재가 활용되며, 특히 광택감 있는 소재가 많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Fig. 6의 골드 스커트와 같이 메탈릭한 원단, 반짝이는 패브릭, 특수 가공된 소재들이 포함된다.
걸리쉬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은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소녀적인 분위기를 나타내었다.
걸리쉬 이미지를 나타내는 대표 아이템으로는 Fig. 7과 같은 A라인의 미니스커트가 있었으며 프릴 장식, 리본을 활용한 아이템들도 있었다. 이러한 디자인 요소들은 소녀적인 느낌을 강조하며,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액세서리로는 삭스, 헤어핀, 미니백이 사용되었다.
컬러는 주로 화이트나 Fig. 8과 같은 부드러운 파스텔 톤이 중심이 된다. 화이트는 순수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파스텔 톤은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였고, 이러한 색상들은 전체적인 스타일에 밝은 느낌을 더해주었다.
소재는 주로 Fig. 9와 같은 시폰, 부드러운 니트, 코튼 소재가 활용되었고, 패턴은 작은 플로럴 패턴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스타일에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더해준다.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은 편안하면서도 세련된 클래식 스타일을 선호했다. 이 스타일은 유행에 영향을 받지 않는 베이직하고 클래식한 아이템들로 구성되며, 실용적이면서도 스타일리시한 요소들을 포함하였다.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를 나타내는 대표 아이템으로는 Fig. 10과 같은 트렌치코트나 블레이저 재킷, 캐시미어 코트, 가벼운 니트 가디건과 같은 아우터가 있다. 또한 버튼 셔츠, 슬림 핏 니트와 같은 상의, 슬랙스, 와이드 팬츠, 미디 스커트, 클래식 데님 등의 하의가 포함된다. 액세서리로는 로퍼, 클래식 워치, 안경이 사용되었다.
색채는 주로 Fig. 11처럼 베이지, 크림과 같은 뉴트럴 컬러와 브라운, 버건디, 네이비와 같은 다크 컬러가 사용된다. 뉴트럴 컬러는 깨끗하고 단정한 느낌을, 다크 컬러는 깊이 있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더해준다. 색채의 조화는 스타일에 균형과 조화를 이뤘다.
소재는 주로 코튼, 리넨, 울 등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소재들은 착용감이 좋고 편안함과 세련됨을 동시에 제공한다. Fig. 12와 같이 체크와 같은 클래식한 패턴이 활용되어 세련되면서도 편안한 이미지를 연출하며, 실용성과 스타일을 동시에 추구하는 컴포트 클래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섹시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는 자신감을 표현하고 매혹적인 매력을 발산하였다.
섹시 스타일의 주요 아이템으로는 Fig. 13과 같은 오프숄더 드레스, 타이트한 바디콘 드레스, 크롭 탑, 짧은 스커트, 딥 브이넥 블라우스 등이 있었다. 이러한 아이템들은 몸의 실루엣을 강조하고, 신체의 일부를 노출하여 섹시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색채는 주로 화이트, 블랙과 같은 무채색과 Fig. 14와 같은 핑크, 레드와 같이 붉은 색상이 중심이 되어 섹시한 분위기를 극대화하였다.
소재는 저지, 실크, 새틴과 같은 부드럽고 감각적인 직물이 주로 사용되었다. Fig. 15와 같은 저지는 몸의 실루엣을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하며, 실크와 새틴은 부드러운 촉감과 자연스러운 광택으로 매혹적인 분위기를 더했다.
모던 시크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은 심플한 실루엣과 미니멀한 디자인 요소를 통해 현대적이고 시크한 분위기를 조성했다.
모던 시크 스타일의 주요 아이템으로는 구조적인 블레이저, 슬림 핏 팬츠, 미디 스커트, 심플한 셔츠, 모노톤의 롱 코트 등이 있었다. Fig. 16은 롱 블레이저를 활용해 심플함을 나타냈다. 이러한 아이템들은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을 강조하며 모던한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색채는 주로 화이트, 블랙, Fig. 17에서 보여지는 그레이, 네이비, 베이지 등의 색상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색상들은 깨끗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제공하며, 현대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또한 때때로 강렬한 포인트 컬러로 레드나 메탈릭 톤이 추가되어 전체적인 룩에 활력을 더해주었다.
모던 시크 이미지에서 활용되는 소재는 주로 Fig. 18과 같은 울, 실크, 캐시미어, 가죽, 트위드 등이 사용되었다. 울과 캐시미어는 따뜻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며, 실크는 부드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준다. 가죽은 강렬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더해주며, 트위드는 고급스러우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을 표현했다.
캐주얼 이미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캐주얼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은 피스 스타일링(41.18%)의 활용이 많았으며, 플러스원(33.02%), 레이어드(23.82%), 미스매치(1.65%), 크로스오버(0.34%) 기법 순으로 나타났다. 컬러 스타일링은 바이컬러(29.17%), 쓰리컬러(21.33%), 액센트(13.67%), 콘트라스트(9.17%), 원컬러(7.6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재 스타일링은 서로 다른 재질과의 조합(28.33%)이, 그리고 솔리드 온 패턴 조합(14.92%)이 많이 나타났다.
Styling techniques | Frequency (%) | ||
---|---|---|---|
Item styling | Piece | One piece | 9( 0.62) |
Two piece | 263( 18.05) | ||
Three piece | 291( 19.97) | ||
Four piece | 37( 2.54) | ||
Plus one | 481( 33.02) | ||
Cross over | 5( 0.34) | ||
Mismatch | 24( 1.65) | ||
Layered | 347( 23.82) | ||
Total | 1,457(100.00) | ||
Color styling | One color | 46( 7.67) | |
Tone on tone | 44( 7.33) | ||
Tone in tone | 23( 3.83) | ||
Contrast | 55( 9.17) | ||
Accent | 82( 13.67) | ||
Separation | 9( 1.50) | ||
Gradation | 1( 0.17) | ||
Complex | 17( 2.83) | ||
Camaieu | 20( 3.33) | ||
Tricolor | 128( 21.33) | ||
Bicolor | 175( 29.17) | ||
Total | 600(100.00) | ||
Material styling | Texture | Identical texture | 45( 3.75) |
Similar texture | 215( 17.92) | ||
Different texture | 340( 28.33) | ||
Pattern | Solid | 413( 34.42) | |
Solid on pattern | 179( 14.92) | ||
Identical pattern | 4( 0.12) | ||
Similar pattern | 0( 0.00) | ||
Different pattern | 4( 0.33) | ||
Total | 1,200(100.00) |
캐주얼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피스 스타일링 기법에서는 Fig. 19와 같이 이너탑과 팬츠 그리고 아우터로의 조합과 같은 쓰리피스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플러스원 기법으로는 비니, 볼캡 등의 모자의 활용이 두드러졌으며, Fig. 20과 같이 캐주얼한 룩에 비니 모자를 플러스시킨 스타일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레이어드 기법은 Fig. 21과 같이 네이비 니트 자켓 위에 화이트 숏 코트를 레이어드한 것과 같이 주로 유사한 길이의 아우터를 겹쳐 입는 형태로 스타일링 되었다. 미스매치 기법은 긴팔 니트나 셔츠 등을 허리 묶거나 어깨에 크로스로 묶어서 장식적으로 연출한 스타일링이 주로 나타났으며, 크로스오버 기법의 경우에는 도톰한 아우터에 반팔 티셔츠나 민소매 원피스를 착용한 사례와 같이 계절을 추월한 시즌리스 스타일링이 주를 이뤘다.
캐주얼 이미지의 컬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두 가지 색상을 조합한 바이컬러 기법에서는 블루와 화이트 조합 그리고 Fig. 22와 같이 블루와 옐로우 또는 블루와 레드와 같은 원색의 조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블루가 많이 나타난 것은 캐주얼 이미지에서 데님이 많이 활용되기 때문으로 사료 된다. 쓰리 컬러 기법으로는 기본적으로 블루와 화이트 조합에 블랙이나 그레이 등의 무채색이 더해진 조합이 많았으며, Fig. 23은 블루 데님에 화이트 탑 그리고 라이트 그레이 셔츠가 조합된 모습이다. 악센트 컬러 기법은 Fig. 24와 같이 비비드한 레드 니트를 어깨에 걸쳐 포인트를 준 스타일이 주로 나타났다. 콘트라스트 배색의 경우에는 화이트와 블랙의 조합 그리고 블랙과 비비드한 옐로우를 매치가 주를 이뤘다. 원컬러 기법은 주로 무채색의 활용이 높았으며 그중에서도 화이트 셋업의 조합이 두드러졌다.
캐주얼 이미지의 소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먼저 재질감 조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소재 스타일링 기법으로 서로 다른 재질의 조합은 다양한 재질의 소재를 매치시켜 경쾌한 느낌을 주는데, Fig. 25는 부드러운 질감의 니트 소재, 빳빳한 데님 소재 그리고 메탈릭하고 벌키한 재질감의 재킷을 조합한 서로 다른 재질을 스타일링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유사 재질의 조합은 Fig. 26과 같이 바스락거리는 소재의 상의와 팬츠로 연출한 것과 같이 유사한 재질감끼리 조합되어 나타났다. 동일 재질의 조합의 경우에는 대부분 동일 소재의 셋업의 형태로 나타났다. 패턴 조합으로는 레터링과 도트, 스트라이프 등이 주로 활용 되었는데, Fig. 27은 솔리드 온 패턴의 대표적인 예로, 솔리드한 화이트 티셔츠와 레드 쇼츠에 도트 문양의 니트를 활용해 재미를 주었다. 동일 패턴 조합의 경우 스트라이프 셋업 등 동일 패턴끼리의 조합으로 나타났고, 대조 패턴 조합의 경우 스트라이프 티셔츠에 도트 패턴의 팬츠를 연출하는 등 서로 다른 패턴끼리 스타일링되어 나타났다.
캐주얼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은 탑과 팬츠, 아우터를 조합한 3피스에 플러스 원 기법의 활용이 높고, 바이컬러, 서로 다른 질감의 솔리드 소재나 솔리드 온 패턴으로 연출하며, 선글라스, 모자와 같은 액세서리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니크 이미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유니크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은 피스 스타일링(38.90%)의 활용이 많았으며, 레이어드(29,66%), 플러스원(26.58%), 미스매치(3.73%), 크로스오버(1.13%) 순으로 나타났고, 컬러 스타일링은 바이컬러(25.00%), 쓰리컬러(21.67%), 액센트(13.75%), 원컬러(11.67%), 콘트라스트(8,75%)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재 스타일링은 다른 질감과의 조합(32.92%)과 솔리드 온 패턴 조합(16.46%)이 많이 나타났다.
Styling techniques | Frequency (%) | ||
---|---|---|---|
Item styling | Piece | One piece | 28( 4.54) |
Two piece | 59( 9.56) | ||
Three piece | 112( 18.15) | ||
Four piece | 38( 6.16) | ||
Five piece | 3( 0.49) | ||
Plus one | 164( 26.58) | ||
Cross over | 7( 1.13) | ||
Mismatch | 23( 3.73) | ||
Layered | 183( 29.66) | ||
Total | 617(100.00) | ||
Color styling | One color | 28( 11.67) | |
Tone on tone | 10( 4.17) | ||
Tone in tone | 8( 3.33) | ||
Contrast | 21( 8.75) | ||
Accent | 33( 13.75) | ||
Separation | 8( 3.33) | ||
Complex | 20( 8.33) | ||
Tricolor | 52( 21.67) | ||
Bicolor | 60( 25.00) | ||
Total | 240(100.00) | ||
Material styling | Texture | Identical texture | 30( 6.25) |
Similar texture | 52( 10.83) | ||
Different texture | 158( 32.92) | ||
Pattern | Solid | 146( 30.42) | |
Solid on pattern | 79( 16.46) | ||
Identical pattern | 8( 1.67) | ||
Similar pattern | 1( 0.21) | ||
Different pattern | 6( 1.25) | ||
Total | 480(100.00) |
유니크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피스 스타일링 기법에서는 Fig. 28과 같이 이너, 팬츠, 아우터로의 쓰리피스 조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피스 스타일링 기법에서 6가지 이미지 유형 중 유일하게 5피스 스타일링이 나타난 것이 특이점이다. 이는 빈도수가 높은 레이어드 기법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다양한 아이템의 레이어드 기법이 유니크 이미지를 만드는 핵심 스타일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레이어드의 기법으로는 시스루한 원피스를 활용하는 경우가 주를 이뤘으며, Fig. 29와 같이 탑과 팬츠 위에 시스루 원피스를 레이어드한 스타일링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 기법은 다양한 질감, 길이, 색상의 아이템을 활용하여 깊이감과 개성을 부여한다. 플러스원 기법은 Fig. 30에서 베레모를 착용한 것과 같이 주로 모자나 백이 더해져 스타일링 되었다. 미스매치 기법은 언더웨어를 밖으로 꺼내어 입은 듯한 룩이 주로 나타났으며, 크로스오버 기법의 경우에는 주로 민소매 이너 탑이나 원피스에 겨울 아우터를 착용한 스타일링이 주를 이뤘다.
유니크 이미지의 컬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바이컬러 조합에서는 Fig. 31과 같이 그레이와 레드 두 가지 컬러 조합과 같은 무채색과 레드 그리고 무채색과 파스텔 톤들과의 조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쓰리컬러 기법으로는 다양한 컬러 조합이 나타났는데, Fig. 32와 같이 블랙과 파스텔 민트, 블루 데님이 활용된 쓰리 컬러 조합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포인트 컬러 기법은 주로 Fig. 33과 같이 레드의 활용이 높았으며, 한가지 컬러만으로 스타일링하는 원 컬러 기법으로는 올블랙이 주를 이뤘다. 콘트라스트 기법은 블랙과 화이트 조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유니크 이미지의 소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먼저 재질감 조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다른 재질감과의 조합으로 Fig. 34는 베이지 니트, 데님 팬츠, 샤 소재의 드레스를 연출하여 서로 다른 재질감의 아이템이 조합된 대표적 사례이다. 유사 재질 조합으로는 Fig. 35와 같이 형태감있는 느낌의 상의와 하의의 조합이 주를 이뤘다. 패턴 조합으로는 체크 패턴의 활용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으며, Fig. 36은 체크 스커트와 솔리드한 아이템들이 매치된 솔리드 온 패턴의 조합의 사례이다. 동일 패턴 조합으로는 서로 동일한 체크 패턴의 셋업을 착용한 경우가 주를 이뤘으며, 유사 패턴 조합의 경우 주로 상하의 유사한 체크 패턴이 연출되어 나타났다. 대조 패턴 조합으로 플라워 패턴과 도트 패턴과 같이 서로 상반된 패턴을 연출해 유니크함을 표현하기도 했다.
유니크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은 3피스~5피스까지 레이어드 기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바이 컬러 배색이나 쓰리 컬러 배색을 활용, 다른 재질과의 조화, 솔리드나 대조 패턴으로 변화를 주어 유니크함을 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니크 이미지에서 팬츠와 티셔츠 위에 시스루한 원피스를 레이어드 하는 스타일 두드러졌는데 이는 2024 S/S 시스루, 레이스 등 얇은 소재를 활용한 레이어드 룩의 영향(Hwang 2024)인 것으로 사료 된다.
걸리쉬 이미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걸리쉬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은 피스 스타일링(50.0%)의 활용이 많았으며, 플러스원(28.33%), 레이어드(15.95%), 크로스오버(4.29%), 미스매치(1.43%) 순으로 나타났고, 컬러 스타일링은 원 컬러 스타일링(38.10%), 바이 컬러(20.95%), 콘트라스트(14.76%)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재 스타일링은 서로 다른 재질과의 조합(21.90%)과 솔리드 온 패턴 조합(8.57%)이 많이 나타났다.
Styling techniques | Frequency (%) | ||
---|---|---|---|
Item styling | Piece | One piece | 56( 13.33) |
Two piece | 110( 26.19) | ||
Three piece | 44( 10.48) | ||
Plus one | 119( 28.33) | ||
Cross over | 18( 4.29) | ||
Mismatch | 6( 1.43) | ||
Layered | 67( 15.95) | ||
Total | 420(100.00) | ||
Color styling | One color | 80( 38.10) | |
Tone on tone | 12( 5.71) | ||
Tone in tone | 15( 7.14) | ||
Contrast | 31( 14.76) | ||
Accent | 11( 5.24) | ||
Separation | 4( 1.90) | ||
Gradation | 1( 0.48) | ||
Tricolor | 12( 5.71) | ||
Bicolor | 44( 20.95) | ||
Total | 210(100.00) | ||
Material styling | Texture | Identical texture | 74( 17.62) |
Similar texture | 44( 10.48) | ||
Different texture | 92( 21.90) | ||
Pattern | Solid | 159( 37.86) | |
Solid on pattern | 36( 8.57) | ||
Identical pattern | 14( 3.33) | ||
Similar pattern | 0( 0.00) | ||
Different pattern | 1( 0.24) | ||
Total | 420(100.00) |
걸리쉬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피스 스타일링 기법에서는 Fig. 37과 같이 핑크 크롭탑에 블랙 A라인 미니 스커트 조합과 같은 블라우스와 A라인 미니스커트의 투피스 활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플러스원 기법으로는 미니 크로스백의 활용이 두드러졌으며, Fig. 38과 같이 핑크 미니 크로스백을 더한 스타일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레이어드 기법은 Fig. 39에서 볼 수 있듯이 블랙 쇼츠 위에 미니 샤 스커트를 매치한 것처럼 주로 서로 다른 아이템들을 조화롭게 겹쳐 입어 스타일이 완성된다. 크로스오버 기법의 경우에는 리본 어깨끈의 미니 원피스에 무스탕으로 시즌리스 분위기를 연출한 스타일링이 주를 이뤘다.
걸리쉬 이미지의 컬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원 컬러 기법에서는 화이트의 활용이 높았으며 Fig. 40은 화이트 미니 원피스로 깨끗한 소녀다움을 표현한 모습이다. 바이컬러 기법으로는 무채색과 빨강의 조합 그리고 무채색과 핑크 또는 블루 등의 활용이 두드러졌으며, Fig. 41과 같이 화이트 레이스 쇼츠와 레드 가디건 스타일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콘트라스트 기법은 Fig. 42와 같이 블랙과 채도 높은 컬러를 조합한 스타일이 주로 나타났다. 톤 인 톤 배색으로는 유사한 톤끼리의 배색으로 라이트 톤의 톤 인 톤 배색이 주로 연출되었다.
걸리쉬 이미지의 소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먼저 재질감 조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다른 재질과의 조합은 니트와 레더 미니 스커트를 조합한 Fig. 43과 같이 주로 상반된 재질감끼리의 조합이 나타났다. 동질 재질 조합으로는 Fig. 44와 같이 동일 소재의 셋업의 형태도 나타났다. 패턴 조합으로 패턴 온 솔리드 기법은 주로 Fig. 45와 같이 패턴이 있는 상의와 솔리드한 하의가 조합되어 연출되었으며, 동일 패턴 조합으로는 동일한 체크 패턴의 셋업이나 리본, 플라워 패턴의 활용이 주를 이뤘다.
걸리쉬 이미지를 연출하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은 2024년 발레코어룩 트렌드의 영향으로 리본의 활용과 프릴 장식을 적극 활용했다(Kim 2024). 또한 화이트나 파스텔 컬러 외에 그레이 블랙 등을 활용하면서도 라이트하고 부드러운 질감 그리고 프릴, 레이스, 리본 등의 장식으로 걸리쉬함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은 피스 스타일링(42.15%)의 활용이 많았으며, 플러스원(28.34%), 레이어드(26.70%), 미스매치(2.81%) 순으로 나타났고, 크로스오버는 연출되지 않았다. 컬러 스타일링은 쓰리 컬러(31.67%), 바이 컬러(22.78%), 콤플렉스(14.44%), 액센트(12.22%), 톤 온 톤(6.1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재 스타일링은 다른 재질과의 조합(25.83%)과 솔리드 온 패턴 조합(13.89%)이 많이 나타났으며, 동일 패턴, 유사 패턴, 대조 패턴은 나타나지 않았다.
Styling techniques | Frequency (%) | ||
---|---|---|---|
Item styling | Piece | One piece | 1( 0.23) |
Two piece | 55( 12.88) | ||
Three piece | 108( 25.29) | ||
Four piece | 16( 3.75) | ||
Plus one | 121( 28.34) | ||
Cross over | 0( 0.00) | ||
Mismatch | 12( 2.81) | ||
Layered | 114( 26.70) | ||
Total | 427(100.00) | ||
Color styling | One color | 2( 1.11) | |
Tone on tone | 11( 6.11) | ||
Tone in tone | 7( 3.89) | ||
Contrast | 10( 5.56) | ||
Accent | 22( 12.22) | ||
Separation | 4( 2.22) | ||
Complex | 26( 14.44) | ||
Tricolor | 57( 31.67) | ||
Bicolor | 41( 22.78) | ||
Total | 180(100.00) | ||
Material styling | Texture | Identical texture | 4( 1.11) |
Similar texture | 77( 21.39) | ||
Different texture | 93( 25.83) | ||
Pattern | Solid | 136( 37.78) | |
Solid on Pattern | 50( 13.89) | ||
Identical pattern | 0( 0.00) | ||
Similar pattern | 0( 0.00) | ||
Different pattern | 0( 0.00) | ||
Total | 360(100.00) |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피스 스타일링 기법에서는 Fig. 46과 같이 블루 셔츠와 베이지 팬츠 그리고 네이비 블레이저로 조합과 같은 셔츠와 팬츠 그리고 아우터의 조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플러스원 기법으로는 Fig. 47과 같은 안경테와 도트백 등이 주로 스타일링 되었다. 레이어드 기법은 주로 셔츠와 니트를 겹쳐 입은 룩이나 Fig. 48과 같이 아우터끼리 레이어드된 형태로 나타났다. 미스매치 기법의 경우 니트를 몸에 크로스 하여 장식적 용도로 변경한 연출이 주를 이뤘다.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의 컬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다양한 색상의 조합을 통해 조화롭고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하는 데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쓰리컬러 조합에서는 서로 다른 세 가지 색상을 활용하여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는데, Fig. 49에서는 네이비 셔츠, 그레이 니트 베스트, 브라운 팬츠가 조합되어 이러한 조화를 보여준다. 바이컬러 스타일링에서는 두 가지 색상의 조화가 강조되며, 베이지와 블루의 조합과 더불어 Fig. 50에서처럼 올 아이보리 룩에 블랙 트렌치 코트를 매치하여 두 가지 컬러만으로도 스타일을 완성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복잡한 컬러 조합을 활용한 콤플렉스 기법은 Fig. 51과 같이 세 가지 이상의 색상이 어우러진 스타일링이 주를 이루었으며, 액센트 컬러는 강렬한 포인트를 주기 위해 사용되며, 붉은 계열의 색상이 자주 활용되었다. 예를 들어, 버건디 양말이 액센트 컬러로 사용되어 전체 스타일에 활기를 더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차분한 느낌을 주는 톤 온 톤 스타일링도 흔히 사용되며, 크리미한 아이보리 니트와 브라운 팬츠의 조합이 부드럽고 안정된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러한 다양한 컬러 스타일링 기법들은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의 우아하고 정제된 매력을 돋보이게 한다.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의 소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다양한 질감과 패턴의 조합을 통해 독특한 조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재질감 조합에서는 서로 다른 재질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텍스처를 조화롭게 연출하는 스타일링이 자주 나타난다. 예를 들어, Fig. 52에서는 핑크 니트, 데님 팬츠, 가죽 소재가 함께 매치되어 각기 다른 질감이 어우러진 스타일링을 보여준다. 유사한 재질감을 활용한 스타일링도 중요한 요소로, 비슷한 직물 소재를 사용하여 통일된 느낌을 강조한다. Fig. 53에서는 버건디 점퍼와 그레이 플리츠 스커트의 플레인한 직물 소재가 조화를 이루며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한다. 또한, 동일 재질을 활용한 상하의 셋업 스타일링도 자주 활용되며, 이는 동일 소재로 구성된 스타일링으로 단정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부각시킨다.
패턴 조합에서는 체크와 도트 패턴이 두드러지게 사용되며, 솔리드한 아이템과의 매치가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자주 나타난다. Fig. 54에서는 체크 패턴 스커트와 솔리드한 블라우스, 블랙 니트를 조합하여 솔리드 온 패턴 스타일링을 완성한 사례를 보여준다. 이러한 스타일링 기법들은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의 독특한 매력을 강화한다.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를 가진 인플루언서들은 3피스를 주로 활용하되, 세 가지 컬러로 연출된 된 쓰리 컬러 배색을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질감과의 조합 그리고 패턴 보다는 솔리드의 활용이 높으며 패턴 활용시에는 솔리드 온 패턴을 활용한다.
섹시 이미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섹시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은 피스 스타일링(57.88%)의 활용이 많았으며, 플러스원(29.58%), 레이어드(9.32%), 크로스 오버(3.22%) 기법 순으로 나타났고 미스매치는 연출되지 않았다. 컬러 스타일링은 원 컬러(47.22%), 바이컬러(21.11%), 콘트라스트(10.00%), 액센트(9.44%), 톤 온 톤(3.33%) 순으로 나타났고, 소재 스타일링은 동일 재질과의 조합(22.22%)과 솔리드 온 패턴 조합(8.61%)이 많이 나타났다.
Styling techniques | Frequency (%) | ||
---|---|---|---|
Item styling | Piece | One piece | 63( 20.26) |
Two piece | 88( 28.30) | ||
Three piece | 27( 8.68) | ||
Four piece | 2( 0.64) | ||
Plus one | 92( 29.58) | ||
Cross over | 10( 3.22) | ||
Mismatch | 0( 0.00) | ||
Layered | 29( 9.32) | ||
Total | 311(100.00) | ||
Color styling | One color | 85( 47.22) | |
Tone on tone | 6( 3.33) | ||
Tone in tone | 3( 1.67) | ||
Contrast | 18( 10.00) | ||
Accent | 17( 9.44) | ||
Separation | 4( 2.22) | ||
Gradation | 1( 0.56) | ||
Camaieu | 3( 1.67) | ||
Tricolor | 5( 2.78) | ||
Bicolor | 38( 21.11) | ||
Total | 180(100.00) | ||
Material styling | Texture | Identical texture | 80( 22.22) |
Similar texture | 31( 8.61) | ||
Different texture | 69( 19.17) | ||
Pattern | Solid | 139( 38.61) | |
Solid on pattern | 31( 8.61) | ||
Identical pattern | 8( 2.22) | ||
Similar pattern | 1( 0.28) | ||
Different pattern | 1( 0.28) | ||
Total | 360(100.00) |
섹시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피스 스타일링 기법에서는 Fig. 55와 같이 재킷에 쇼츠 조합과 같은 투피스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플러스원 기법으로는 선글라스의 활용이 두드러졌는데 Fig. 56은 플러스원 스타일링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레이어드 기법은 주로 상의 아이템들을 매치한 레이어드 형태로 나타났으며, Fig. 57은 크롭 화이트 탑 위에 크롭 니트 가디건을 매치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크로스오버 기법에서는 다른 이미지에 비해 더 과감하게 노출된 옷이나 비키니 같은 아이템에 모피 아우터를 매치한 시즌리스 스타일링이 주로 나타났다.
섹시 이미지의 컬러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다양한 색상 조합을 통해 강렬하고 매력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중점을 둔다. 원 컬러 기법에서는 무채색이나 핑크, 블루 등의 색상이 주로 활용되며, 단일 색상으로 통일된 스타일링이 자주 나타난다. 예를 들어, Fig. 58에서는 올 블루 원피스를 착용한 사례로, 단일 색상이 주는 강렬한 인상을 보여준다. 바이컬러 스타일링은 두 가지 색상을 조화롭게 매치하여 시각적 대비를 강조하는 기법으로, Fig. 59는 블루 크롭탑과 옐로우 스커트를 조합한 바이컬러 스타일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콘트라스트 배색 기법에서는 대조되는 색상을 활용하여 강한 대비를 주며, Fig. 60과 같이 화이트와 블랙의 조합으로 극명한 대조를 이룬 스타일링이 주를 이룬다. 액센트 컬러 기법은 주로 핑크, 레드와 같은 난색 계열을 활용하여 스타일에 포인트를 주는 방식으로, 차콜 색상의 상하의 조합에 오렌지 컬러의 미니백을 더해 액센트 컬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컬러 스타일링 기법들은 섹시 이미지의 강렬함과 개성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섹시 이미지의 소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먼저 재질감 조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스타일링은 Fig. 61과 같이 동일 재질을 활용한 상하의 셋업이다. 서로 다른 재질의 조합으로는 Fig. 62에서 볼 수 있듯이, 하드한 가죽 소재의 탑, 벌키한 퍼 자켓, 그리고 비치는 레이스 소재를 함께 매치하여 다양한 질감의 조화를 보여주고 있다. 패턴 조합의 경우, Fig. 63과 같이 체크 원피스와 블랙 단색 퍼 재킷을 매치한 것은 솔리드 온 패턴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기하학 프린트의 크롭 탑과 나비 패턴의 데님 팬츠를 연출하여 서로 다른 패턴의 조합을 나타내기도 했다.
섹시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인플루언서들은 비교적 몸에 밀착되거나 노출되는 아이템들을 사용하고, 투피스, 원 컬러로 스타일링을 하며, 동일 재질의 솔리드한 소재를 주로 연출하였다. 패턴 사용 시에는 솔리드 온 패턴으로 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던 시크 이미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모던 시크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은 피스 스타일링(40.72%)의 활용이 많았으며, 플러스원(31.67%), 레이어드(23.08%), 크로스오버(4.52%) 기법 순으로 나타났고 미스매치는 연출되지 않았다. 컬러 스타일링은 원 컬러(37.78%), 바이 컬러(23.33%), 콘트라스트(16.67%), 액센트(10.00%), 쓰리컬러(6.67%), 톤 온 톤(5.56%)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재 스타일링은 다른 재질과의 조합(24.44%)과 솔리드 온 패턴의 조합(4.44%)이 많이 나타났다.
Styling techniques | Frequency (%) | ||
---|---|---|---|
Item styling | Piece | One piece | 9( 4.07) |
Two piece | 38( 17.19) | ||
Three piece | 42( 19.00) | ||
Four piece | 1( 0.45) | ||
Plus one | 70( 31.67) | ||
Cross over | 10( 4.52) | ||
Mismatch | 0( 0.00) | ||
Layered | 51( 23.08) | ||
Total | 221(100.00) | ||
Color styling | One color | 34( 37.78) | |
Tone on tone | 5( 5.56) | ||
Contrast | 15( 16.67) | ||
Accent | 9( 10.00) | ||
Tricolor | 6( 6.67) | ||
Bicolor | 21( 23.33) | ||
Total | 90(100.00) | ||
Material styling | Texture | Identical texture | 26( 14.44) |
Similar texture | 20( 11.11) | ||
Different texture | 44( 24.44) | ||
Pattern | Solid | 82( 45.56) | |
Solid on Pattern | 8( 4.44) | ||
Identical pattern | 0( 0.00) | ||
Similar pattern | 0( 0.00) | ||
Different pattern | 0( 0.00) | ||
Total | 180(100.00) |
모던 시크 이미지의 아이템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피스 스타일링 기법에서는 Fig. 64와 같은 화이트 셔츠에 그레이탑, 블랙 펜슬 스커트 조합과 같은 쓰리피스의 활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플러스원 기법으로는 다른 이미지에 비해 액세서리 연출이 낮았으나 Fig. 65와 같이 심플한 블랙 선글라스나 심플한 클러치 등으로 모던하면서도 시크한 이미지를 연출했다. 레이어드 기법은 다양한 아이템들의 조합이 보이는데, Fig. 66은 화이트 실키 원피스에 롱 재킷을 레이어드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미스매치 기법 역시 홀터 탑과 블랙 롱코트를 착용한 사례와 같이 시즌리스 스타일링이 주를 이뤘다.
모던 시크 이미지의 컬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원 컬러 기법은 주로 화이트, 그레이, 블랙의 무채색으로 연출되어 나타났으며, Fig. 67은 올 블랙으로 연출한 스타일링이다. 바이컬러 기법으로는 Fig. 68과 같이 무채색과 데님과 같은 컬러가 조합되어 바이컬러로 연출됐다. 콘트라스트 기법은 주로 Fig. 69와 같이 블랙과 화이트의 조합으로 나타났다. 액센트 기법의 경우 올 블랙에 퍼플 백으로 포인트를 준 것과 같은 선명한 색의 ACC로 포인트를 주는 경우가 주를 이뤘다.
모던 시크 이미지의 소재 스타일링 기법을 살펴보면, 먼저 재질감 조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다른 재질의 조합은 Fig. 70에서 면 소재의 재킷에 시스루한 레이스 팬츠를 연출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질감이 매치되어 나타났다. 동일 재질 조합의 경우 주로 Fig. 71과 같이 셋업의 형태로 나타났다. 유사 재질 조합의 경우 주로 상하의 유사한 실키 소재로 나타났다. 패턴 조합으로는 비교적 미미하게 나타났으나, Fig. 72와 같이 레오파드 패턴을 솔리드와 함께 연출하여 솔리드 온 패턴 조합으로 스타일링 된 것을 볼 수 있다.
모던 시크 이미지를 연출하는 인플루언서들은 주로 2피스나 3피스로 연출하되, 무채색의 원 컬러로 컬러 스타일링 하며, 소재에 변화를 주는 다른 질감과의 연출 그리고 패턴보다는 솔리드 소재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턴 활용 시에는 솔리드한 아이템과 함께 스타일링 되었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패션 인플루언서의 패션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각 이미지에 따른 스타일링 기법과 특징을 통해 패션 인플루언서의 전략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인스타그램 팔로워 10만 명 이상을 보유한 국내 여성 매크로 패션 인플루언서의 인스타그램에 최근 게시된 사진 총 1,500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패션 인플루언서의 패션 이미지 유형은 캐주얼, 유니크, 걸리쉬, 컴포트 클래식, 섹시, 모던 시크 총 6가지의 이미지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 캐주얼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패션 인플루언서들의 각 이미지 유형별 시각적 표현을 위한 스타일링 전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캐주얼 이미지 연출을 위해서는 탑과 팬츠, 아우터를 조합한 3피스에 플러스 원 기법을 활용하고, 바이 컬러, 서로 다른 질감의 솔리드 소재나 솔리드 온 패턴으로 연출할 수 있다. 즉 선글라스와 모자 같은 액세서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플러스원 기법과 블루 컬러의 사용, 그리고 데님과 함께 메탈릭하고 벌키한 재질감의 아우터와 같은 서로 다른 재질감을 활용하는 것이 캐주얼 스타일링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유니크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3피스에서 5피스까지의 레이어드 기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바이 컬러 또는 쓰리 컬러 배색, 다른 재질과의 조화, 솔리드나 대조 패턴을 통해 변화를 줄 수 있다. 특히 티셔츠와 팬츠 위에 시스루 원피스를 레이어드하거나 구조적인 형태의 옷을 활용한 스타일링이 유니크함을 극대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걸리쉬 이미지는 투피스의 조합, 특히 탑과 스커트의 조합과 플러스 원 코디를 활용하고 원 컬러와 동일 질감이나 다른 질감의 솔리드한 소재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패턴을 활용할 때는 솔리드 온 패턴을 제안한다. 발레코어룩 트렌드의 영향으로 리본의 활용과 프릴 장식의 활용이 두드러진다는 점도 눈에 띄었다.
컴포트 클래식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3피스를 활용하면서 세 가지 컬러의 쓰리 컬러 배색을 활용하고, 다른 질감과의 조합, 그리고 패턴보다는 솔리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며, 패턴을 사용할 때는 솔리드 온 패턴을 제안한다. 특히 의상의 아이템이나 컬러 사용에 있어서 클래식의 정석을 보여주는 동시에, 촬영 장소와 소품을 활용하여 클래식 이미지를 더욱 강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섹시 이미지를 위해서는 투피스의 원 컬러 스타일링과 동일 질감의 솔리드 소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연출되었다. 특히 다른 이미지들에 비해 몸에 과감하게 핏 되는 스타일이 주로 나타났다.
모던 시크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2피스나 3피스를 무채색 원 컬러로 스타일링하고, 컬러있는 액세서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블랙과 같은 원컬러의 사용으로 지루해질 수 있는 스타일링에 소재의 변화를 준 다른 질감과의 조합을 사용하며, 패턴보다는 솔리드 소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패션 인플루언서들의 스타일링 전략은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과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주얼 이미지를 위해 제안된 3피스 스타일링과 플러스 원 기법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조합 가능성을 보여주며 구매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유니크한 스타일을 위한 레이어드 기법과 다양한 재질의 조화는 특별한 콜라보레이션 제품이나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개발하여 타겟 시장의 주목도를 올릴 수 있다. 이렇듯, 국내 패션 인플루언서 콘텐츠에 나타나는 다양한 스타일링 기법과 시각적 전략의 특징을 조명함으로써 구체적인 이미지 연출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패션 인플루언서는 명확한 이미지 콘셉트로 스타일링할 수 있으며, 패션 브랜드는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여 자신들의 이미지를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제품과 스타일에 맞는 브랜드 협업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패션 인플루언서로의 진입을 고려하는 개인에게는 구체적인 시각적 스타일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인플루언서의 스타일링은 하이패션과는 달리 매스패션의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폭넓은 스타일링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패션 기업은 시각적으로 팔로워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증가시키며, 콘텐츠의 차별화와 경쟁력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 Choi A(2023) “We Look at Instagram Instead of Magazines”... The Fashion Industry Emphasizes ‘Influencer’. Maeil Business. Available from https://www.mk.co.kr/news/business/10631801 [cited 2024 April 26] |
2. | Choi J, Kang HK(2017) Strategies to advance into the US market using social influencer. Kotra Global Market Report. Available from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indReport/actionIndReportDetail.do?SITE_NO=3&MENU_ID=280&CONTENTS_NO=1&pHotClipTyName=DEEP&pRptNo=8155#; [cited 2024 April 26] |
3. | Choi KA, Jo YA, Kim MH(2019) Fashion stylist. Seoul: Kyohak Researcher |
4. | Han KH(2019)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fluencer. J Digital Contents Soc 20(11), 2243-2254. |
5. | Honda T(2008) Influencer marketing. Seoul: Management Spirit |
6. | Hong YJ, Kim RR, Lim SE, Kim YI(2014)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en‘s fashion images. J Korean Soc Costume 64(5), 18-29. |
7. | Hwang IA(2024) Short or revealing! Emerging styles in the 2024 S/S collection. Harpersbazaar. Available from https://www.harpersbazaar.co.kr/article/1860716 [cited 2024 April 26] |
8. | Jo YJ(2017) All that fashion styling. Seoul: Imbook |
9. | Jung SY, Lee IS(2014) Study on the editorial fashion styling of Korean image – focusing on Vogue Korea-. J Korea Fashion Costume Design Soc 16(4), 37-47 |
10. | Kim H, Kim Y(2014) Analysis of taste of middle-aged Korean men based on self-image and fashion style. J Korean Soc Costume 64(8), 37-54. |
11. | Kim S, Lee E(2019)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in Instagram’s fashion influencer. Korean Fashion Textile Res J 21(1), 27-35. |
12. | Kim S(2024) The pinnacle of balletcore! Chanel Spring-Summer 2024 Haute Couture. Harpersbazaar. Available from https://www.harpersbazaar.co.kr/article/1860399 [cited 2024 April 26] |
13. | Kim WB, Choo HJ(2019) The effects of SNS fashion influencer authenticity on follower behavior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fanship. J Korean Soc Cloth Textiles 43(1), 17-32. |
14. | Kim YK, Lee KH(2005) A study on men’s fashion image coordination through trend analysis. J Korean Soc Clothing and Textiles 29(5), 703-714 |
15. | Lee G(2023) The size of the Korean fashion market is projected to be 49.5 trillion won in 2023, with a growth rate of 5.2%, and 51.3 trillion won in 2024, with a growth rate of 3.5%. Fashionbiz. Available from https://www.fashionbiz.co.kr/203680 [cited 2024 April 26] |
16. | Lim C, Choi S(2023) An analysis of the Y2K fashion elements by influencers. J Fashion Design 23(2), 89-108. |
17. | Lee J, Roh Y(2008) A study on minimalism fashion styling. Korean Soc Fashion Design 8(1), 95-115 |
18. | Oh JY, Sung YH(2018) Types of influencer and the attention of media engagement impact on consumer evaluation. J Cult Product Design 54, 165-176. |
19. | Park, JH, Ha J(2023) Virtual influencer’s attractive physical appearance. J Fashion Design 23(2), 165-186. |
20. | Park S(2007) Fashion image making. Seoul: Yehaksa |
21. | Raavi(2021) Influencer Marketing: The Ultimate Guide for 2023. SocialLadder. Available from https://socialladderapp.com/blog/influencer-marketing/ [cited 2024 April 26] |
22. | Song Y, Lee JH(2021) Effects of live commerce attributes and influencer attributes on repurchase intention of beauty and fashion products. J Distribut Manag Res 24(1), 37-56 |
23. | Song YK, Lim YJ(2007) The study on the Hollywood Film costume of fashion image in 1930s. J Soc Costume 57(9), 11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