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CI(Korea Citation Index)
  • DOI(CrossRef)
  • DOI(CrossCheck)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ISSN : 1229-8565 (Print) / 2287-5190 (Online)

  • KCI(Korea Citation Index)
  • DOI(CrossRef)
  • DOI(CrossCheck)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ISSN : 1229-8565 (Print) / 2287-5190 (Online)

Journal Archive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0 , No. 4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Vol. 30, No. 4, pp. 491-508
Abbreviati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ISSN: 1229-8565 (Print) 2287-5190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19
Received 02 Oct 2019 Revised 13 Nov 2019 Accepted 14 Nov 2019
DOI: https://doi.org/10.7856/kjcls.2019.30.4.491

작가주의 감독 웨스 앤더슨 영화에 표현된 노랑의 상징성
강다정 ; 임지영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Symbolism of Yellow Expressed in Films by an Auteurism Director Wes Anderson
Kang, Da Jeong ; Lim, Ji 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Correspondence to : Lim Ji Young Tel: 82-55-772-1456 E-mail: jylim@gn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ymbolic messages that the director Wes Anderson strives to express through the color yellow, by analyzing the main works by this director and then drawing the images of yellow color shown in each film and the director’s characteristic methods to express the color yellow. The images of yellow color shown in his films included meanings such as ability and confidence, curiosity and exploration, trust, falsehood, purity, wealth, decline, and resistance. The director’s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yellow color included the use of a sequence with yellow-colored titles for the delivery of genre, utilization of a yellow-colored arrangement suggesting the emotions and situations of characters, use of yellow-colored props for the presentation of background, and the utilization of yellow color for films’ endings meaning the warm conclusion. Thus, director Wes Anderson was delivering a common message in which the characters would find the maturity and stability within their family and colleagues after overcoming their own deficiencies and going through adventure and challenges.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colors expressed in films as visual arts and also for interpreting the director’s messages.


Keywords: Wes Anderson, auteurism film, yellow, color image

I. 서론

최근 영화는 하나의 예술 장르로써 상업적 흥행과 이윤을 추구하면서도 영화의 작품성과 예술적 가치, 장르의 다양성 등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는 추세이다. 영화는 감독이 그려내는 예술이기에 창작의 주체가 되는 감독 개개인의 철학이나 인생 스토리, 영상 스타일과 같은 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화에서 작가주의란 감독의 기술적 탁월성과 개성, 반복성을 통해 서명성을 주장(Kim 2012)하고자 하는 영화 비평 용어로, 작가주의 감독은 영화 제작에 있어 유행을 따르지 않고 개인 고유의 영상 필체를 통해 독창적인 창작세계를 구현하며, 결과적으로 자신만의 주제의식을 작품에 담아내는 감독을 말한다(Lee 2012b).

이러한 감독 중에서도 웨스 앤더슨(Wes Anderson)은 ‘미장센의 대가’, ‘색감 장인’ 등의 수식어에서 알 수 있는 할리우드 최고의 비주얼리스트이자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은 현대 작가주의 영화감독이다. 그는 아트 필름의 대표적 영화감독으로 역기능 가정, 형제간의 갈등, 아이와 어른의 역설, 죽음, 폭력과 같은 다소 무겁고 우울한 주제를 빠르게 진행되는 코미디 물로 승화시켜 자신만의 메시지를 표현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웨스 앤더슨은 이름 자체가 브랜드화되어 ‘앤더슨 스타일’, ‘앤더슨 터치’와 같은 형용사나(Cha et al. 2017; Kwak 2018), ‘아트버스터’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기도 하며, 항간에는 그의 작품 콘셉트를 오마주한 마케팅 사례나 연출기법에 대한 촬영 노하우를 공유하는 사이트가 등장하기도 할 만큼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감독이다. 하지만 앤더슨의 활발한 작품 활동과 수많은 호평 및 찬사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이론과 명칭, 경향으로는 그의 작품을 분류하기 어렵다는 이유로(Dilley 2018) 구체적인 학술적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웨스 앤더슨은 영화의 스토리뿐만 아니라 화면 구성, 촬영기법, 색채 및 음악 등의 모든 구성 요소들에 심혈을 기울여 하나의 작품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 중 색채는 앤더슨 스타일의 핵심이자 영화의 미장센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로써 스토리 전개나 인물의 감정을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다. 그는 특정 색상을 사용함에 따라 각 장면에서 어떤 연관성을 형성하고 싶은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지니고 있으며(Sommer 2016), 작가주의 감독으로서 등장인물의 강박관념을 연상 색채로 활용하여 잘 표현하고 있다(Lee & Lee 2013). 이러한 점에 있어 앤더슨의 영화에 나타난 색채는 그가 추구하는 ‘미학적 완벽주의’ 관점에서 충분히 의도적인 상징 요소로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별히 노랑은 다양한 색상 중에서도 유쾌하고 낙관적인 감정 전달에 용이한 색으로 멜랑코믹 장르를 선보이는 웨스 앤더슨의 영화에는 타이틀 시퀀스에 노랑을 지배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포스터의 타이포그래피 역시 노랑으로 핵심 글귀를 강조하고 있어 웨스 앤더슨에게 있어서 노랑색은 특별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발표된 웨스 앤더슨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들은 그의 영상 스타일과 제작 기법에 대해 분석한 연구(Lee & Lee 2013; Bae & Kim 2015; Choi 2016), 영화 속 유니폼에 대한 연구(Cha et al. 2017; Yoo 2017)가 대부분이었으며, 영화 속 색채를 분석한 연구(Won 2018)가 있었으나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 영화 1편에 대한 분석에 그쳐 영화 색채를 통해 웨스 앤더슨 감독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식과 상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색채 의미 분석은 영화에 담긴 감독의 메시지를 해석하는데 있어 효과적이기 때문에 시각예술로서 영화를 깊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므로(Lee 2012a), 앤더슨의 작품을 고찰하여 영화 전반에 나타난 노랑 색채 이미지와 특징을 도출한다면 그의 영화계 명성에 걸맞은 입지와 예술적 가치를 학술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웨스 앤더슨 감독의 주요 작품을 분석하여 각 영화에 나타난 노랑 색채 이미지와 감독의 노란색 표현방법의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웨스 앤더슨 감독이 노랑을 통해 표현한 상징적 메시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작가주의 영화와 감독

영화에서 ‘작가’라는 개념의 시작은 1948년 프랑스의 알렉상드르 아스트뤽(Alexandre Astruc)이 “영화에서 카메라는 스크린 위에 영화언어를 통해 써 내려가는 작품”이라 주장하며 영화감독을 문학작품의 작가와 같다고 은유적으로 표현한 ‘카메라 만년필설’에서 찾을 수 있다(Kim 2012). 당시 젊은이들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독일에 의해 금지되었던 미국 영화가 프랑스로 유입되면서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 속에서 개성을 유지한 채 활동하는 영화감독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Lee 2012b). 1950년대에 접어들자 프랑스 영화는 혁명적인 변화를 맞게 되었으며, 아스트뤽의 주장에 영감을 받은 프랑수아 트뤼포(Francois Roland Truffaut)는 1954년 프랑스 영화 비평지인 카이에 뒤 시네마(Cahiers du Cinéma)에 “프랑스 영화의 어떤 경향”이라는 제목으로 ‘작가주의, 정책’에 관한 견해를 밝혔다(Kim 2012). 여기서 사용된 Politique는 견해, 주의, 정책 등의 의미로 정교한 이론이 아닌 문학작품에 근거하여 나태해진 프랑스 영화들을 비판하고 과소평가된 독창적 영화감독을 재발견하기 위한 하나의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기점으로 그의 의견에 동의한 카이에 뒤 시네마의 필진들이 1959년 영화 현장에 직접 뛰어들게 되면서 ‘작가주의, 정책’은 영화 찍기의 실천으로 이어졌다(Kim & Kim 2015).

그 후 1962년 미국의 영화 평론가 앤드루 새리스(Andrew Sarris)의 “작가 이론에 대한 소론”을 통해 작가주의, 정책(Auteur Criticism)이 ‘작가주의(Authorism)와 작가이론(Auteur Theory)’으로 번역되면서(Kim 2012) 영화 비평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계기로 ‘작가주의’는 세계적 영향력을 행사한 영화 운동인 ‘누벨바그(Nouvelle Vague)’의 사상적 바탕이 되었으며, 이 ‘누벨바그’가 전 세계 뉴웨이브 운동의 도화선이 되기도 하였다.

반면 작가주의에 대한 새리스의 주장에 관해 지나치게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감독을 서열화한 방법론과 함께 다양한 전문가의 협업이 요구되는 종합예술인 영화의 특성상 허락될 수 없는 감독 개인의 절대적인 지배력과 영화가 사회에 수용되기 위해 필수적인 ‘관객’의 존재에 대한 부정 등(Bae 2016)의 한계점들이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로써 1968년 5월 이후 고전적 작가주의는 종언된 바 있다(Kim 20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주의’ 개념은 현대 영화계 전반에 걸쳐 한 감독의 작가성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위한 그의 전작 분석이라는 방법론을 형성하게 만들었고 이는 영화에 대한 담론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또한 영화에서 ‘작가’라는 개념은 여전히 감독 자신의 색깔과 스타일을 담아 통념과 관습에서 어긋난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내는 사람(Kang 2007)을 일컬으며, 감독보다는 작품을 주체로 한 ‘작가영화’라는 용어를 통해 감독의 독창적인 주제의식과 그만의 영상 철학이 투영된 영화들을 총칭하는 비평적 개념과 기준(Bae 2016)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현재까지도 작가주의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전개되고 있으나 이는 기능적 해석의 다양화로써 영화예술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Kim 1995)으로 이를 통해 비로소 영화 비평에 자유로운 분위기가 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작가주의’ 영화 비평은 영화를 온전히 작가의 산물로만 평가하던 고전적 형태에서 벗어나 종합예술의 특수성을 인지한 채 감독의 주도하에 진지한 주제와 자유분방한 양식을 추구한 독보적인 스타일의 작품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작가주의 영화는 유행을 좇지 않으며 감독 고유의 스타일과 탁월한 주제의식이 드러나는 작품이라 이해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독창적인 시각을 가진 영화감독, 즉 작가에 대한 발견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작가주의 영화에서 감독은 영화를 리드, 조절하는 최종적인 주인이자 예술가임이 더욱 강조되며 주제의 탁월성과 고유의 스타일을 통해 작품의 내적 의미를 완성시켜 예술가적 역량을 드러내고, 이를 시각적인 방법을 통해 반영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탁월한 표현 기술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Yoo 2017). 또한 타인의 견해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적 창작세계 구현과 만족을 우선시한다는 특징이 있다(Lee 2012b).

작가주의에 대한 대표적 논의와 이론들을 정리한 Kim(2012)의 연구에 따르면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영화의 작가주의 구성 조건에는 1인칭 관점으로 말하는 사람과 감독의 개성, 미장센, 작가의 기술적 탁월성, 주제나 장르의 반복성, 타 감독 작품의 차용 등이 있고 최종적으로 작가주의 영화에는 작가의 기술적 탁월성과 개성, 반복성을 통한 서명성이 드러난다고 분석한 바 있다.

또한 작가주의 감독들은 영화 역사상 혁신적이라 평가받는 고유의 영상 필체(Bae 2016)와 함께 본인의 영화 세계를 대변할 수 있는 대역으로 특정 배우와 오랫동안 작업하여 영화 속에 자신의 페르소나(Lim 2018)를 만들어 내는데 이러한 반복적 캐스트 역시 그들의 상징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준들을 통해 역대 작가주의 영화에 나타난 특징들을 바탕으로 영화감독의 작가적 면모를 가늠해 볼 수 있다.

2. 웨스 앤더슨
1) 웨스 앤더슨의 일생

웨스 앤더슨(Wes Wesley Anderson)은 1969년 5월 1일 텍사스 휴스턴에서 태어났으며 광고 및 홍보 회사를 운영하는 아버지와 부동산 및 고고학 분야에서 일하는 어머니 아래 부유한 환경에서 두 형제와 함께 자랐다(Biography.com 2019). 앤더슨은 자신이 여덟 살 때 부모가 이혼을 하였고, 이 사건이 자기 삶을 규정한 경험이자 상처라고 내비친 바 있다(Seitz 2017).

그는 웨스트 체스터 고등학교를 다니다가 텍사스 휴스턴에 있는 사립 예비학교인 세인트존스 학교로 편입하였는데(Dilley 2018) 그때부터 슈퍼 8mm 카메라로 영화를 찍고, 연출했으며 이야기, 영화, TV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유명해졌다(Biography.com 2019).

세인트존스 학교 졸업 후, 그는 텍사스 대학에 입학하였다. 당시 텍사스 대학 도서관에서는 영화 관련 서적이 많았고 1950, 60년대의 유럽 예술 영화 또한 갖추고 있었는데, 이는 영화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하며 영사실에서 한 아르바이트 또한 영화를 보는 폭을 넓혀주었다고 한다(Dilley 2018). 또한 오웬 윌슨을 처음 만나게 되면서 단편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당시 앤더슨은 1950, 60년대 감독들의 영화와 상업 작품들을 오마주하였고, 특히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을 크게 존경하여 그의 초기 영화와 작품들을 많이 참고한 바 있다(Dilley 2018). 그의 작업물 중 일부는 지역 케이블에서 방송되기도 하였으며, 그 후 웨스 앤더슨은 오웬 윌슨과 룸메이트가 되어 1992년 영화 ‘바틀 로켓’의 작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활동 중에 있다(IMDb 2019).

2) 웨스 앤더슨의 필모그래피

앤더슨은 오웬 윌슨과 함께 만든 단편 영화 ‘바틀 로켓’이 1993년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되면서 영화계에 데뷔하게 되었다(Lee & Lee 2013). 이후 이것을 눈여겨 본 프로덕션 디자이너 폴리 플랫, 프로듀서 및 감독인 브룩스가 힘을 합쳐 장편 버전으로 제작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Dilley 2018). ‘바틀 로켓(1996)’ 상영을 시작으로 ‘맥스군, 사랑에 빠지다(1998)’, ‘로얄 테넌바움(2001)’, ‘스티브 지소와의 해저 생활(2004)’, ‘다즐링 주식회사(2007)’, ‘판타스틱 Mr. 폭스(2009)’, ‘문라이즈 킹덤(2012)’,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 ‘개들의 섬(2018)’ 등 9편의 장편영화와 ‘호텔 슈발리에(2007)’, ‘카스텔로 카발칸티(2013)’ 등 2편의 단편 영화까지 각본, 감독, 제작을 모두 맡아 선보여 왔다. 그 외에도 켄트 존스 감독의 ‘히치콕 트뤼포(2015)’, 프란체스코 지펠 감독의 ‘프리드킨 언컷(2018)’에서 영화의 주연을 맡기도 하였다.

앤더슨의 수상을 살펴보면 2000년에는 Esquire지가 선정한 ‘가장 존경 받는 영화감독’ 으로 선정되었으며, 2010년에는 제 34회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안시 크리스털 상, 관객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에 선보인 ‘문라이즈 킹덤(2012)’은 칸 영화제의 개막작으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으며, 특히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은 제 64회 베를린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 심사위원상인 은곰상을 수상하였고 2014년에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영화’ 1위에 올랐다(Biography.com 2019). 또한 2015년 제 87회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음악상, 의장상, 분장상, 미술상) 수상과 LA, 뉴욕, 시카고에서 비평가 협회상(각본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둔 영화이다. 또한 2018년 제 68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개들의 섬(2018)’이 애니메이션 최초로 개막작으로 선정되는데 이어 은곰상을 수상하였고(Biography.com 2019), 2020년 개봉을 목표로 ‘프렌치 디스패치’라는 제목의 차기작을 준비(Kim 2019)하는 등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다.

3) 웨스 앤더슨의 작품세계

웨스 앤더슨은 할리우드 최고의 비주얼리스트로서 미장센의 대가로 불리며 환상적인 색감과 독특한 촬영기법, 우수한 흥행 성적 등으로 잘 알려진 작가주의 영화감독이다.

그는 텍사스 대학 시절 오웬 윌슨과 함께 만든 단편 ‘바틀로켓(1996)’을 통해 성공적인 데뷔를 하였으며, 이후 제작한 많은 작가주의적 걸작들로 우수한 흥행 성적과 비평계 인정을 두루 받아온 바 있다(Lee & Lee 2013). 특히 그의 문학적인 영화 스타일은 프랑스 누벨바그의 트뤼포 감독에, 동화적인 비주얼과 영화 미술은 펠리니 감독과 비교되는 등 유럽의 작가주의 거장들의 영화와 함께 자주 거론된다(Lee & Lee 2013). 21세기 미국 작가주의 감독으로서 초기작부터 원조 작가주의 감독 영화 장면들을 인용하면서도(Dilley 2018) 자신만의 주제의식과 독창성을 살려 ‘앤더슨’이라는 하나의 브랜드를 구축해냈다.

영화만 보고 감독의 이름을 맞출 수 있다는 작가주의 감독만의 특징은 앤더슨에게도 적용되는 공식인데, 이는 직접 각본을 쓰며 구상한 세부적인 카메라 위치나 조명 기법, 사운드, 세심하게 세팅한 소품 등에 앤더슨만의 개성이 묻어나기 때문이다. 그는 아트 필름을 하는 대표적 감독으로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촬영 테크닉이 선명한 색상들과 함께 연출되어 대부분의 장면화가 예술작품 같다(Bae & Kim 2015).

웨스 앤더슨은 우울이나 비애를 뜻하는 멜랑콜리(Melancholy)와 웃음을 자아내는 코믹(Comic)의 합성어인 ‘멜랑코믹’ 장르의 선두주자로서 죽음, 이별, 불우한 성장기 등의 어두운 삶에 대한 묘사를 반대적 정서의 코믹물로 승화시켜 아이러니를 통해 강한 임팩트를 주고 묘한 여운을 남긴다(Lee & Lee 2013). 또한 순수함과 경험 사이에서 청춘과 어린 시절 문화에 대한 집착으로 기성 할리우드의 스토리텔링보다 더 많은 인생 단계에 관한 경험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맥스군 사랑에 빠지다(1998)’와 ‘문라이즈 킹덤(2012)’의 경우 성숙과 성장에 대해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다(Kornhaber 2018).

영화 제작에 있어서 앤더슨의 작품에는 그가 선호하는 일련의 친구 및 공동 작업자 그룹으로 촬영감독과 음악감독, 배우들이 반복적으로 동원되는데(Dilley 2018), 이 점은 작가주의 감독으로서 아주 특징적이다. 앤더슨의 경우 빌 머레이(Bill Murray), 오웬 윌슨(Owen Wilson), 제이슨 슈왈츠먼(Jason Schwartzman)이 앤더슨의 작품에 반복적으로 등장하여 그의 페르소나로 언급된다.

그의 영화 ‘맥스군 사랑에 빠지다(1998)’는 2016년 미국 국립영화 등기부에 등재되어 미국 문화사에 있어 문화, 역사, 미적으로 영구적 보존 가치를 인정받기도 하였으며(Dilley 2018), 세계적 유명 음반 및 DVD 판매사인 ‘크라이테리온’사에서 그의 전 영화에 대한 DVD 판매뿐만 아니라 향후 제작될 작품에 대한 사전 계약을 진행할(Lee & Lee 2013) 정도로 작품의 예술적 가치에 대해 신뢰받고 있다.

이처럼 웨스 앤더슨은 현대 영화계의 진정한 작가들 중 하나로 손꼽히며, 독특한 영상미학과 절제된 유머로 영화계 입지를 공고히 다져나가고 있다(Caffrey 2019).

3. 영화 색채와 노란색 이미지

색채는 고유의 성격과 감정을 지니고 있으며, 그 의미와 상징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영화의 적재적소에 도입되어 사실적인 표현과 시각적인 효과 및 감독의 감수성 전달 등의 기능을 한다(Kim & Jung 2014).

영화 색채는 심리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어 영상매체에서 내러티브 전개에 따른 극적 분위기 연출이나 극중 캐릭터의 심리상태 암시, 관객의 감정을 자극하는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Song 2018), 이 외에도 시간의 흐름이나 시대적 배경 등과 같은 주요 줄거리 전개를 암시하기도 한다(Won 2018). 그러므로 컬러 영상이 가지는 상징과 스토리텔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색의 상징과 심리에 대한 접근이 선행되어야 한다(Lim 2010).

이처럼 영화에 있어 색채는 카메라의 톤, 배우들의 의상, 배경의 소품이나 풍경 등으로 표현되어 연상 이미지를 통한 심리적 반응과 언어적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미학적 도구임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영화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분석은 전체적인 스토리와 감독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영화를 시각예술로서 온전히 이해하는데 있어 의미가 깊다(Lee 2012a).

수많은 색 중에서도 노랑은 가장 많은 광채를 띠는 색으로 가시성이 높아 사람의 시선을 제일 먼저 포착하면서도 풍부한 색감을 표현해주기 때문에 배색을 통한 이미지 전달에 효과적이므로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Hwang 2018). 주로 따뜻한 이미지의 즐겁고 친근한 외향적 분위기를 연출하며, 채도와 명도를 낮추면 부드럽고 안정감이 느껴지고(Yun 2014) 진한 노랑을 띠는 황금색은 부와 권위, 풍요로움을 나타낸다.

또한 행복과 웃음을 주는 색으로 어린 시절 추억 속의 천진난만함과 순수함을 연상시키며(Kim et al. 2009), 이 때문에 성숙하지 못한 유아적이고 유치한 색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노랑은 보는 이의 감정 상태에 따라 희망이나 불안과 같은 양면성을 지니며, 조금이라도 다른 색이 첨가되면 순색의 가치가 상실되어 부정적 이미지를 연상시키기 때문에(Kim et al. 2010) 불안정하고 취급하기 힘든 색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색채 이미지에 관한 학술지(Lee & Kim 2003; Lee & Lee 2004; Kim & Jung 2010; Kim 2013; Lee & Min 2013; Lee & Choi 2014; Park & Park 2014; Yoon 2015; Kim 2017; Joo & Choi 2018), 학위논문(Lee 1999; Kim 2007; Kim 2008; Kim 2009; Park 2009; Yoon 2009; Lee 2012a; Yoon 2014; Ham 2014; Hwang 2018), 서적(Kim 2006; Kim 2008; Kim et al. 2009; Shin 2009; Kim et al. 2010; Breaem 2010; Moon 2011; Bae & Jung 2012; Park & Lee 2012; Sun & Sun 2013)을 통하여 도출한 노란색 키워드에는 긍정적인 이미지로 희망, 명랑, 활발, 부유, 행복, 밝음, 귀함, 즐거움, 광명, 기쁨, 화려함, 따뜻함, 지혜/지성, 권력/권위, 발전/번창, 생명력, 낙천적, 환희, 유쾌한, 태양, 신성함, 명예, 젊음, 순수, 매혹적, 이성적, 에너지, 자유로운, 호기심 등이 있고, 부정적 이미지로는 질투, 배신, 죽음, 미숙한, 쇠퇴한, 거짓, 불안, 경박함, 예민/신경질적인, 경고, 치욕, 의심/불신, 광기, 혐오, 허무, 욕망, 불쾌, 위험, 음기, 주의 등이 있다.


Ⅲ. 연구방법

본 연구는 웨스 앤더슨 감독의 각 영화에 나타난 노랑 색채 이미지와 감독의 노란색 표현 방법의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웨스 앤더슨 감독이 노랑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상징적 메시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연구로 웨스 앤더슨과 그의 작품들, 작가주의, 노랑 색채 이미지에 관한 국내외 논문과 서적, 인터넷 기사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영화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써 앤더슨과의 인터뷰를 통해 출간된 작품집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웨스 앤더슨 컬렉션(Anderson WW, Seitz MZ, 2013/2016)과 웨스 앤더슨 컬렉션:일곱 가지 컬러(Anderson WW, Seitz MZ, 2015/2017) 그리고 앤더슨의 필모그래피와 작품 세계에 관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 도서 웨스 앤더슨의 영화(Dilley WC, 2017/2018)를 참고로 하였다. 또한 색채 이미지에 관한 학술지(Lee & Kim 2003; Lee & Lee 2004; Kim & Jung 2010; Kim 2013; Lee & Min 2013; Lee & Choi 2014; Park & Park 2014; Yoon 2015; Kim 2017; Joo & Choi 2018), 학위논문(Lee 1999; Kim 2007; Kim 2008; Kim 2009; Park 2009; Yoon 2009; Lee 2012a; Yoon 2014; Ham 2014; Hwang 2018), 서적(Kim 2006; Kim 2008; Kim et al. 2009; Shin 2009; Kim et al. 2010; Breaem 2010; Moon 2011; Bae & Jung 2012; Park & Lee 2012; Sun & Sun 2013) 각 10편씩을 참고하여 총 30편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랑의 상징적 키워드를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앤더슨 감독의 장편영화 9편 중 그가 감독, 극본, 제작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으며, 영화 포스터에 노랑이 사용된 7편을 최종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 대상작은 ‘맥스군 사랑에 빠지다(1998)’, ‘스티브 지소와의 해저 생활(2004)’, ‘다즐링 주식회사(2007)’, ‘판타스틱 Mr. 폭스(2009)’, ‘문라이즈 킹덤(2012)’,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 ‘개들의 섬(2018)’으로 노랑이 포함된 장면을 추출하여 총 115개의 영상 캡처본을 통해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상은 2019년 1월에 Naver Series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색채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노랑 색채 이미지 관련 키워드를 참고하였으며, 인물의 성격이나 사건의 흐름을 바탕으로 의복과 배경에 노랑이 나타난 장면을 선정하여 색채의 감성적 표현이 잘 나타난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위해 영화별 전체 줄거리를 숙지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해석하였으며, 색채 분석의 객관성 및 정확한 분석을 위해 의류학 전공 교수, 대학원생, 학부생의 여러 차례 검증을 거쳐 정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1. 웨스 앤더슨 영화에 나타난 노랑 색채 이미지

영화는 다른 예술들과 구분되는 동시에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새로운 예술로써 단순히 보여지는 일차적 의미를 넘어 2차적 의미를 내포하고, 나아가 제3의 의미 분석이 가능한 시각예술이다(Kim 20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화 장면을 통해 웨스 앤더슨 감독이 각 영화에서 노랑 색채를 사용하여 표현하고자 한 상징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등장인물의 감정 상태나 사건의 흐름이 노란색을 통해 표현된 장면들을 모아 긍정과 부정의 이미지로 구분하고 의상과 배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 맥스군 사랑에 빠지다(1998)

주인공 맥스는 러쉬모어 고교의 열정적인 괴짜 학생이다. 본 영화는 거짓말쟁이 맥스가 짝사랑을 통해 겪게 되는 갈등과 주변 사람들로 인해 진정으로 성숙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화에 표현된 노랑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자신감, 부유함, 성숙, 자상함이 나타났다. Fig. 1은 러쉬모어 고교에 거액을 기부하고 있는 사업가 블룸이 수영장 기증 기념 연설에서 학생들에게 조언하는 장면으로 그의 자신감과 부유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수족관 기공식 장면에서는 기다리던 사람이 오지 않아 실망한 그의 모습을 볼 수 있으나 본인의 자신감을 위해 연설 장면과 같은 의상을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Fig. 2는 맥스가 블룸에게 화해를 신청하는 장면으로 유치한 다툼을 벌인 것을 반성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모습에서 성숙하고 자상하게 변화한 것을 볼 수 있다. Fig. 3 역시 동일한 의상으로 블룸을 돕기 위해 수족관 기공식에 참여하지 않은 로즈마리를 찾아간 맥스의 의상에서 두 사람의 입장을 고려해주는 맥스의 성숙한 모습과 자상한 태도를 볼 수 있다.


Fig. 1. 
Rushmore 1998.


Fig. 2. 
Rushmore 1998.


Fig. 3. 
Rushmore 1998.

부정적 이미지로는 허무, 외로움, 의심, 예민/신경질적인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Fig. 4는 병원에서 우연히 마주치게 된 맥스와 블룸의 대화 장면으로 우정을 포기하면서까지 사랑하게 된 로즈마리가 전 남편을 잊지 못했다며 고백하는 모습에서 블룸의 허무함과 외로운 감정이 표현된다. 이외에도 맥스의 조력자 더크가 망원경과 레인 코트를 입고 블룸을 주시하는 장면에서는 노랑을 통해 그가 블룸을 의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교를 그만두는 로즈마리에게 맥스가 집착하면서 벌어지는 몸싸움 장면에서는 교실 내부의 지배적인 노란색을 통해 굉장히 예민하고 신경질적인 상황을 연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Fig. 4. 
Rushmore 1998.

이에 본 영화에 나타난 노랑은 블룸의 능력과 자신감, 맥스의 자상함과 성숙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두 인물 모두 긍정적 이미지의 장면에서는 짙은 노란색 셔츠와 넥타이를 착장하였고 부정적 이미지의 경우 옅은 노랑 의상을 통해 채도가 낮아짐에 따라 허무함과 외로움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스티브 지소와의 해저 생활(2004)

주인공 스티브는 해양학자 겸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이다. 본 영화는 자기중심적이고 권위적이던 스티브가 팀원들과의 마지막 항해를 통해 동료의 소중함과 협동심을 깨닫고 리더로서 성숙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화에 표현된 노랑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탐험, 호기심, 신의/신뢰, 안정, 화려함, 권위, 적극적인, 현명함이 나타났다. Fig. 5, Fig. 6은 주목성이 강조되어 안전이나 주의의 뜻으로 사용되는 노랑이 본 영화 곳곳에서 탐험과 호기심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Fig. 7은 영화 막바지에 비춰지는 스티브 팀의 휴식장면으로 잠수함 내부 인테리어를 통해 서로 믿고 의지하여 신의가 두터워지고 안정된 그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탐험가 클럽’의 소품 중 벽에 걸린 스티브의 그림 앞에서 두 사람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으로 노란색 계열의 커튼과 실내장식에서 화려함과 권위를 강조하였다. ‘해양탐험’의 기자 제인이 인터뷰를 위해 임신한 몸을 이끌고 스티브를 찾아온 장면에서 그녀의 노란색 가방을 통해 적극적인 성격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또한 팀원 구출을 위해 엘리노어가 전략을 제시하는 장면에서는 의상을 통해 그녀의 현명함을 느낄 수 있다.


Fig. 5. 
Steve Zissou 2004.


Fig. 6. 
Steve Zissou 2004.


Fig. 7. 
Steve Zissou 2004.

부정적 이미지는 비난, 경박함, 시기, 이기심, 욕심, 위험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Fig. 8은 다큐멘터리 시사회에서 사진을 찍으며 스티브에게 치욕을 주는 장면으로 비난과 경박함이 느껴지는 행동임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탐험가 클럽에서 스티브를 험담하던 인물의 의상은 그의 시기심을 표현하였다. 또한 조난신호를 받고 온 헤네시가 노란색 소파에 앉아 거액의 돈을 부당하게 요구하는 장면에서 그의 이기심과 욕심을 느낄 수 있다. 스티브 팀과 해적이 총격전을 벌이는 장면에서는 비단뱀과 함께 곳곳에 노랑을 배치하여 위험한 상황을 강조하고 있다.


Fig. 8. 
Steve Zissou 2004.

이에 본 영화에서 나타난 노랑의 대표적 이미지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호기심과 탐험정신, 갖가지 사건들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신뢰하며 팀으로써 성숙해나가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3) 다즐링 주식회사(2007)

주인공 삼형제는 각각 다른 성향과 상황을 가진 인물들이다. 본 영화는 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어머니에게 이유를 묻고자 1년 만에 모이게 된 각각 다른 성향과 상황을 가진 삼형제들이 인도 기차여행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며 신뢰를 쌓고 각자 깨달음을 얻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화에 표현된 노랑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모험, 신의/신뢰, 매혹적, 안락함, 신성함, 영원, 안식이 나타났다. Fig. 9는 영화의 제목이자 삼형제가 타게 되는 인도 여행 기차로 영화의 내용이 새로운 여정에 대한 모험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간적 흐름에 따라 기차 내부 인테리어 색상에 변화가 나타나는데 차가운 색상의 영화 전반부의 모습과는 달리 Fig. 10의 장면에서는 서로에게 여권을 맡기며 믿는다고 이야기하는 모습을 통해 형제들의 돈독해진 신의/신뢰를 느낄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영화의 스핀오프작인 ‘호텔 슈발리에(2007)’에 등장하는 잭의 전 연인이 비춰지는 장면에서는 선명한 노란색 가운과 호텔 인테리어를 통해 그녀의 매혹적인 모습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세 형제가 엄마를 만나게 되고 오랜만에 보살핌을 받으며 휴식을 취하는 장면에서 채도가 낮은 톤의 노랑 인테리어가 안락함을 보여준다. 또한 기도를 위해 이마에 지혜와 행운의 상징인 ‘빈디’를 찍는 장면에서는 종교적인 신성함을 표현하고 있으며, 세 형제가 구하지 못한 아이의 장례식 장면에서는 흰색과 노란색의 배색으로 영원, 안식을 표현하였다.


Fig. 9. 
Darjeeling Limited 2007.


Fig. 10. 
Darjeeling Limited 2007.

부정적 이미지로는 미련, 집착, 배신, 미숙함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Fig. 11은 열차 안에서 항상 노란색 가운을 입고 생활하는 막내 잭의 모습으로 연인과의 이별 후에도 그녀의 음성 메시지함을 계속 확인하는 장면에서 미련과 집착이 느껴진다. 또한 Fig. 12는 잭이 형제들에게 어머니가 또다시 자신들을 떠나버린 것에 대해 말하는 장면으로 그의 의상과 노란색 배경 인테리어를 통해 강한 배신감을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첫째 프란시스의 비서인 브렌단이 입은 옅은 노란색 의상에서는 어리바리한 그의 성격과 일에 대한 미숙함을 보여주고 있다.


Fig. 11. 
Darjeeling Limited 2007.


Fig. 12. 
Darjeeling Limited 2007.

이에 본 영화에서 나타난 노랑의 대표적 이미지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던 삼형제가 인도 기차여행이라는 하나의 모험을 통해 예측불허의 상황을 맞닥뜨리게 되면서 서로를 신뢰하고 각자의 문제를 해결하여 성숙해나가는 과정을 그려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4) 판타스틱 Mr. 폭스(2009)

주인공 Mr. 폭스는 자유분방하던 과거를 청산하고 가정적인 남편이자 지역 신문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본 영화는 마을의 악질 농장주들에 맞서 동물 사회의 자유와 생존권을 되찾기 위한 Mr. 폭스와 친구들의 작전을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으로 유쾌하게 풀어내었다.

영화에 표현된 노랑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유아적, 영웅, 유쾌, 행복, 안정, 기쁨, 자유로움, 저항정신이 나타났다. Fig. 13은 오프닝 장면에서 로알드 달의 ‘판타스틱 Mr. 폭스’ 원작 동화가 비춰지는 장면이다. 아이들을 위한 이야기임과 동시에 점차 영웅적인 면모를 갖춰나가는 폭스의 유쾌한 이야기를 표현하기 위해 노랑이 사용되었다. Fig. 14는 지상에서의 전원생활을 즐기고 있는 폭스 가족의 모습으로 노랑이 지배적인 배경을 통해 가정의 행복과 안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도 동물들이 인간과의 길고 긴 싸움 끝에 대형마트로 통하는 하수구를 발견하게 되면서 다함께 춤을 추는 장면에서는 흰색과 노란색의 배색을 통해 즐겁고 기쁜 장면임을 보여준다. 또한 극중 폭스가 노란색 스웨터를 착용하는 여러 장면을 보았을 때, 그의 자유로움과 저항정신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13. 
Fantastic Mr. Fox 2009.


Fig. 14. 
Fantastic Mr. Fox 2009.

부정적 이미지로는 부도덕, 거짓, 위험, 경고, 위압감, 질투, 사치, 예민/신경질적인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Fig. 15는 인간들의 닭을 훔치는 장면에서 부도덕한 그의 행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임신한 아내에게 더 이상 도둑질을 하지 않겠다고 본심과는 다른 약속을 하는 모습이다. Fig. 16은 납치된 크리스토퍼슨을 구하기 위한 인간들과의 교전 장면으로 선명한 노랑의 존재감을 통해 위험한 상황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이외에도 폭스가 집을 구하면서 닭 농부 보기스, 오리와 거위 농부인 번스, 칠면조와 사과 농부인 빈의 땅을 바라보는 장면에서 그들 소유의 넓은 대지를 통해 위압감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폭스의 아들 애쉬가 혼나는 장면에서는 사촌 크리스토퍼슨에 대한 질투를 표현하였다. 사과주를 도둑질 하러 온 카일리, 폭스, 애쉬가 창고지기와 마주치는 장면에서는 검정과 노랑의 대비를 통해 위험한 상황임을 표현하였으며, 도망 신세이면서도 화려한 파티를 즐기는 장면에서는 사치스러운 모습을 볼 수 있다. 폭스에게 약이 바짝 오른 빈이 분을 참지 못하고 난동을 부리는 장면에서는 빨강과 노랑의 대비를 통해 매우 신경질적인 그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Fig. 15. 
Fantastic Mr. Fox 2009.


Fig. 16. 
Fantastic Mr. Fox 2009.

이에 본 영화에서 나타난 노랑의 대표적 이미지는 긍정적 장면들을 통해 자유와 행복을 위해 동물과 인간이 빚는 갈등과 저항정신을 유쾌하게 풀어내고자 하였으며, 폭스의 자유에 대한 갈망으로 인한 거짓말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5) 문라이즈 킹덤(2012)

주인공 샘은 가족을 잃고 위탁가정을 전전하는 카키 스카우트 단원이며, 수지는 부유한 가정에서 자랐지만 라디오와 책, 고양이밖에 모르는 외톨이이다. 본 영화는 다른 상황 속에서 가족에 대한 결핍이라는 공통점을 지닌 두 아이가 가출을 결심하고 서로 의지하며 순수한 사랑을 통해 안정을 찾아가는 이야기이다.

영화에 표현된 노랑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자유로움, 모험, 따뜻함, 안정, 성숙, 적극적, 순수, 호기심이 나타났다. Fig. 17은 1년 동안 가출을 계획한 샘과 수지가 접선하는 장면으로 여행 가방과 스카우트 단원복, 배경의 노랑을 통해 자유로움과 모험정신이 느껴진다. Fig. 18은 1년 전 수지와의 첫 만남 장면으로 어린 샘의 노란색 단원복을 통해 수지에게 순수한 호기심을 갖는 모습을 볼 수 있다. Fig. 19는 작은 다툼 후 수지를 위로하기 위해 건넨 샘의 손수건에서 두 사람이 서로 의지하는 모습과 따뜻한 마음씨를 느낄 수 있다. 이외에도 영화 속 카키 스카우트 단원복 곳곳의 노랑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도전정신을 강조하고 있으며, 가출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온 수지의 의상 컬러와 표정, 인테리어 색상을 통해 안정감과 성숙한 모습을 느낄 수 있다.


Fig. 17. 
Moonrise Kingdom 2012.


Fig. 18. 
Moonrise Kingdom 2012.


Fig. 19. 
Moonrise Kingdom 2012.

부정적 이미지는 이기심, 거짓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Fig. 20은 샘의 실종 소식에도 아이를 집에 돌려보내지 않아도 된다며 무책임하게 방치하는 위탁가정과의 통화 장면으로 그들의 이기심이 느껴진다. 이외에도 주인공들의 노란 텐트는 그들의 무모함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수지에게 비밀을 들키게 되는 모친 로라 비숍의 의상을 통해 그녀의 거짓말을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Fig. 20. 
Moonrise Kingdom 2012.

이에 본 영화에서 나타난 노랑의 대표적 이미지는 주인공인 아이들의 순수함과 자유로운 모험을 통한 성숙과 안정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6)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

주인공 구스타브와 제로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의 직원이다. 본 영화는 세계대전 중 세계적 부호인 마담 D.의 피살사건 이후 그녀의 연인이자 호텔 지배인인 구스타브가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면서 제로가 겪게 되는 이야기를 현 시점에서 다루고 있다.

영화에 표현된 노랑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부, 화려함, 호기심이 나타났다. Fig. 21은 호텔 주인에 대한 궁금증을 품은 작가의 내레이션과 빠르게 스치는 호텔 내부의 노란색 인테리어를 통해 그의 호기심을 보여주고 있다. Fig. 22는 호텔 주인인 무스타파 제로를 만나게 된 작가가 저녁식사 자리에서 호텔에 얽힌 이야기를 듣게 되는 장면으로 인테리어를 통해 호기심과 회상(과거에 대한 추억)의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Fig. 23은 막대한 돈을 가진 마담 D의 화려한 의상으로 클림트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그녀의 부유함을 보여주고 있다.


Fig. 21. 
Budapest Hotel 2014.


Fig. 22. 
Budapest Hotel 2014.


Fig. 23. 
Budapest Hotel 2014.

부정적 이미지는 불안, 사치, 쇠퇴함, 쓸쓸함/외로움, 탐욕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Fig. 23은 마담 D의 생전 마지막 모습으로 불안해하며 떠나기를 주저하는 장면이다. Fig. 24는 더 이상 손님이 붐비지 않는 호텔을 노랑 색채를 통해 쇠퇴하고 쓸쓸한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외에도 구스타브의 시그니처 아이템인 향수병이 비춰지는 장면에서 그의 사치스러운 성격을 알 수 있다. 또한 마담 D.의 유언장 공개에 온갖 친지들이 모인 장면에서 검정과 노랑의 대비를 통해 본인에게 상속될 유산을 기대하는 아들의 탐욕스러운 모습을 느낄 수 있다.


Fig. 24. 
Budapest Hotel 2014.

이에 본 영화에서 나타난 노랑의 대표적 이미지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과 고객들의 화려했던 황금기를 회상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낡은 호텔과 나이든 마담 D.의 모습으로 쇠퇴하고 쓸쓸함/외로움의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7) 개들의 섬(2018)

주인공 아타리는 사랑하는 개를 잃은 어린 소년이다. 본 영화는 세상의 모든 개들이 쓰레기 섬으로 추방되면서 자신의 개를 찾아 홀로 섬으로 떠난 아타리가 다섯 마리의 특별한 개들과 함께하며 겪는 모험을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통해 다루고 있다.

영화에 표현된 노랑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저항의지, 적극적, 현명함, 희망, 안정, 평화가 나타났다. Fig. 25는 주인공 아타리를 도와 개들의 편에서 진실을 위해 싸우는 트레이시의 모습으로 그녀의 외모에 표현된 노랑과 대사를 통해 저항의지, 적극성, 현명함을 지닌 인물임을 보여준다. Fig. 26은 아타리와 트레이시를 도와 개들을 구하기 위해 단합하는 신문부와 해커 동아리의 모습으로 내부 인테리어를 통해 강력한 저항의지를 표현하였다. 이외에도 아타리와 동시통역사의 눈동자와 노란색 의상을 통해 희망과 저항의지를 표현하였다. 또한 영화 마지막 장면의 노란색 배경으로 아타리가 시장이 되어 안정과 평화가 찾아온 도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Fig. 25. 
Isle of Dogs 2018.


Fig. 26. 
Isle of Dogs 2018.

부정적 이미지는 독극물, 위험, 경고의 키워드가 있었다. Fig. 27은 박사가 음독살해 당하게 되는 장면으로 독으로 인한 그의 사망과 위험성을 노랑과 검정 대비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Fig. 28은 개들을 몰살하기 위해 준비된 독극물이 비춰지는 장면으로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Fig. 27. 
Isle of Dogs 2018.


Fig. 28. 
Isle of Dogs 2018.

이에 본 영화에서 나타난 노랑의 대표적 이미지는 악의 무리에 대항하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그들의 저항의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개들의 희망임을 강조하고 위험에 대한 경고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상의 영화를 분석한 결과, ‘다즐링 주식회사(2007)’와 ‘판타스틱 Mr. 폭스(2009)’, ‘문라이즈 킹덤(2012)’은 의상뿐만 아니라 배경이나 소품까지 영화 전반에 걸쳐 노란색이 지배적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맥스군 사랑에 빠지다(1998)’는 영화 의상에 노란색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과 ‘개들의 섬(2018)’은 배경적 요소에, ‘스티브 지소와의 해저 생활(2004)’은 영화 소품에 노란색이 의미있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앤더슨 감독의 영화에 나타난 노랑 색채 상징성은 모험, 신의/신뢰, 매혹적, 안락함, 신성함, 영원, 안식, 호기심, 유아적, 영웅, 행복, 안정, 유쾌, 기쁨, 자유로움, 저항의지/저항정신, 자신감, 부유함, 성숙, 자상함, 따뜻함, 적극적인, 순수, 희망, 평화, 탐험, 화려함, 권위, 현명함의 긍정적 이미지와 허무, 의심, 예민/신경질적인, 비난, 경박함, 시기, 이기심, 미련, 집착, 배신, 미숙함, 부도덕, 위험, 경고, 위압감, 질투, 무모함, 거짓, 불안, 사치, 쇠퇴함, 쓸쓸함/외로움, 탐욕, 독극물의 부정적 이미지가 표현되고 있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1의 내용과 같다.

Table 1. 
Yellow Color Image in Wes Anderson’s Auteurism Film
Title Positive Negative
Rushmore (1998) Ability and Confidence, Wealth, Mature, Caring Vanity, Loneliness, Suspicion, Sensitive/Nervous
The Life Aquatic With Steve Zissou (2004) Curiosity and Exploration, Faith/Trust, Stability, Splendor, Authority, Aggressive, Smarts Blame, Frivolity, Envy, Selfishness, Greed, Danger
The Darjeeling Limited (2007) Adventure, Faith/Trust, Fascinating, Comfort, Holy, Eternity, Rest Lingering, Obsession, Betrayal, Immature
Fantastic Mr. Fox (2009) Infant, Hero, Happiness, Stable, Joy, Freedom, Resistance Immorality, Falsehood, Danger, Warning, Overbearing, Jealousy, Luxury, Sensitive/Nervous
Moonrise Kingdom (2012) Freedom, Adventure, Warmth, Stable, Mature, Active, Purity, Curiosity Selfishness, Recklessness, Falsehood
The Grand Budapest Hotel (2014) Wealth, Splendor, Curiosity Anxiety, Luxury, Decline, Lonely, Greed
Isle of Dogs (2018) Resistance, Active, Wise, Hope, Peace, Stable Poison, Danger, Warning

선행 연구에서 정리한 노랑 색채 이미지와 비교하였을 때, 기존과 달리 새롭게 나타난 노랑의 키워드로는 모험, 신의/신뢰, 안식, 유아적, 영웅, 안정, 저항의지/저항정신, 자신감, 자상함, 적극적인, 탐험, 비난, 이기심, 미련, 무모함, 쓸쓸함/외로움, 탐욕, 독극물이 있었다. 취합한 키워드 중 중복되어 나타난 단어로는 부유함, 성숙, 탐험/모험, 호기심, 신의/신뢰, 안정, 화려함, 적극적인, 현명함, 자유로움, 저항의지/저항정신, 쓸쓸함/외로움, 예민/신경질적인, 이기심, 욕심/탐욕, 위험, 경고, 사치, 거짓이 있었다.

2. 웨스 앤더슨 감독의 노랑 색채 표현 특징

웨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를 분석한 후 그 속에 나타난 상징적 특징을 노랑 색채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1) 장르 전달을 위한 노랑 타이틀 시퀀스

타이틀 시퀀스란 그림과 분리되어 스크린에 나오는 모든 글자를 일컫는 것으로 영화의 주제나 전체적인 분위기 등의 정보를 함축시켜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는 앤더슨 감독 영화에 필수적 요소 중 하나이며, 그는 연출에 있어 푸투라 폰트의 타이포그래피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크레디트 타이틀이란 영화의 시작과 끝에 제목이나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을 표시하는 것으로 앤더슨 감독의 영화에 나타난 예는 Fig. 29~31과 같다. Fig. 32는 인서트 타이틀의 예로 영화 중간에 시간이나 장소 등 사건 흐름에 관한 정보들을 알려주고 있다.


Fig. 29. 
Steve Zissou 2004.


Fig. 30. 
Darjeeling Limited 2007.


Fig. 31. 
Moonrise Kingdom 2012.


Fig. 32. 
Fantastic Mr. Fox 2009.

앤더슨 감독의 영화와 포스터에는 대부분의 핵심 글귀를 노란색으로 강조하여 상징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관객의 시선을 유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영화는 어두운 삶에 대한 묘사를 반대적 정서의 코믹물로 승화시킨 멜랑코믹 장르, 즉 코미디를 바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쾌하고 친근감이 드는 노랑에 채도나 명도를 조절하여 각 영화에 맞게 타이틀 시퀀스를 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인물의 감정과 상황을 암시하는 노랑 배색 활용

앤더슨은 영화 속 색채를 통한 상징 및 심리 표현으로써 연상 색채를 통해 캐릭터의 강박 관념을 표현하고자 하며, 이는 그의 작가주의적 영상 스타일 중 하나이다(Lee & Lee 2013).

배색을 통해 색채별 상징 이미지를 응용하여 인물의 감정 상태나 상황을 보여주는 예로 Fig. 33은 ‘다즐링 주식회사(2007)’의 장례식 장면에서 흰색과 노란색의 배색을 통해 영원, 안식, 다음 생에 대한 축복 등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판타스틱 Mr. 폭스(2009)’에서는 사과주를 도둑질 하러 온 폭스일행이 창고지기와 마주하게 되는 장면에서 노랑과 주황, 검정이 강하게 대비되면서 위험하고 폭력적인 상황임(Fig. 34)을 알려주고 있으며, 또한 폭스에게 약이 오른 빈이 난동을 부리는 장면에서 빨강과 노랑이 대비되는 인테리어를 통해 매우 신경질적이고 분노한 그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Fig. 35). Fig. 36은 ‘개들의 섬(2018)’의 시장과 집사가 전국의 개들을 독살하려는 음모를 꾸미는 장면으로 노란색 조명과 검정색 실루엣의 대비를 통해 굉장히 위험한 상황임을 시각적 효과로 보여주고 있으며, 개 독감을 연구하는 박사가 음독살해 당할 것을 암시하는 장면에서 역시 노랑과 검정이 대비되어 위험을 표현하고 있다.


Fig. 33. 
Darjeeling Limited 2004.


Fig. 34. 
Fantastic Mr. Fox 2009.


Fig. 35. 
Fantastic Mr. Fox 2009.


Fig. 36. 
Isle of Dogs 2018.

앤더슨이 장면 연출에 있어 노란색을 특히 선호하고 있으며, 그 이유로는 앤더슨 스타일의 주역인 추억과 향수에 대한 스토리를 멜랑코믹하게 풀어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그는 최고의 비주얼리스트라는 수식어에 걸맞게 색의 상징적 의미를 정확히 인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배색을 활용한 시각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배경 연출을 위한 노란색 소품 활용

앤더슨의 영화에는 디자인적 요소가 곳곳에 배치되어 감각적으로 표현된다. 특히 대칭적으로 배치된 정교한 장식물과 상징적인 색상 사용은 그의 독특한 작가주의적 스타일 중 하나이다.

‘스티브 지소와의 해저 생활(2004)’에서는 잠수함이라는 하나의 소품이자 영화의 배경을 통해 스티브와 팀원들의 호기심과 탐험정신을 표현하였고(Fig. 37), ‘다즐링 주식회사(2007)’에서는 영화의 제목이자 삼형제가 타게 되는 기차를 통해 이 영화의 주제가 새로운 여정에 대한 모험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38). 또한 ‘판타스틱 Mr. 폭스(2009)’에서는 원작 동화를 소품으로 만들어 아이들을 위한 이야기임과 동시에 영웅적인 면모를 갖춰나가는 폭스의 유쾌한 이야기임을 표현하였으며(Fig. 39), ‘문라이즈 킹덤(2012)’에서는 샘과 수지의 노란색 텐트를 통해 아이들의 순수함과 무모함, 서로를 위로하는 따뜻한 공간을 표현하였다(Fig. 40). 노란색 텐트는 앤더슨의 ‘로얄 테넌바움(2001)’에서 가정의 불안정으로 인해 두려움과 자신감 부족, 무기력증을 겪으며 성인이 되어서도 어린 시절에 갇혀 사는 인물(Lee & Lee 2013)을 그리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 이외에도 서로 다른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스티브 팀에 합류하는 제인의 가방과 가출 소녀 수지의 가방을 노란색으로 연출하여 그녀들의 적극적인 태도와 자유의지를 표현하였다.


Fig. 37. 
Steve Zissou 2004.


Fig. 38. 
Darjeeling Limited 2004.


Fig. 39. 
Fantastic Mr. Fox 2009.


Fig. 40. 
Moonrise Kingdom 2012.

이렇듯 앤더슨은 영화 속의 크고 작은 소품마저 미적 감각과 영화별 주제를 반영하여 섬세하게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품 활용에 있어 노랑은 그의 영화에 빠질 수 없는 모험과 도전, 때로는 무모함을 상징하는 배경을 조성하기 위해 선택한 색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4) 따뜻한 결말을 의미하는 엔딩의 노랑

영화에서의 엔딩은 긴 이야기의 끝을 맺는 장면으로 해당 영화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은지 나타난다. 또한 작가주의 영화에는 각 감독만의 일관된 주제와 표현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수의 영화에서 하나의 통일성을 찾아볼 수 있다.

‘스티브 지소와의 해저 생활(2004)’의 엔딩에는 네드의 죽음 후 마지막 항해를 떠난 지소가 표범무늬 상어를 용서하게 되면서 깨달음을 얻고 팀원들과 더욱 돈독해진 모습(Fig. 41)을 볼 수 있으며, ‘다즐링 주식회사(2007)’에서는 여행을 마무리 짓는 세 형제가 여권을 주고받으며 신뢰를 확인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판타스틱 Mr. 폭스(2009)’의 엔딩에서는 인간을 따돌린 동물들이 앞으로의 자유를 유쾌하게 자축하고 있으며(Fig. 42), ‘문라이즈 킹덤(2012)’에서는 가출사건을 통해 각자의 자리를 찾아 안정을 찾은 아이들의 모습(Fig. 43)을 담고 있다. 또한 ‘개들의 섬(2018)’에서는 아타리가 시장이 되어 평화를 되찾은 도시의 모습(Fig. 44)을 통해 이야기를 마무리 짓고 있다.


Fig. 41. 
Steve Zissou 2004.


Fig. 42. 
Fantastic Mr. Fox 2009.


Fig. 43. 
Moonrise Kingdom 2012.


Fig. 44. 
Isle of Dogs 2018.

앤더슨 감독의 영화 엔딩 대부분에는 성숙, 신의/신뢰, 안정 등의 긍정적 의미의 노랑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앤더슨 감독의 영화에는 맥스와 블룸, 스티브와 네드, 샘과 수지, 아타리와 개들과 같은 소속감 결여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가진 인물들이 항상 등장하고 이들이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면서 깨달음을 얻고 자아를 찾아 성숙해나가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앤더슨 감독의 영화에는 유사가족 내러티브 장치를 이용한 레퍼토리가 반복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그는 자신이 추구하는 해피엔딩과 노랑 색채 이미지의 관련성을 긍정의 의미로 잘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요약 및 결론

오늘날 작가주의 개념은 영화라는 종합예술의 특수성을 인지한 채 유행을 따르지 않으며 감독 고유의 스타일과 탁월한 주제의식이 드러나는 작품이라 이해되고 있다. 현대 작가주의 감독인 웨스 앤더슨은 선명한 색상들과 함께 독특한 영상미학을 보여주며 창의적인 작품 활동으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웨스 앤더슨 감독의 주요 작품을 분석하여 각 영화에 나타난 노랑 색채 이미지와 감독의 노란색 표현 방법의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웨스 앤더슨 감독이 노랑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상징적 메시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웨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에 나타난 노랑 색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노랑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자신감, 부유함, 탐험, 호기심, 모험, 신의, 유쾌, 순수, 화려함, 저항의지 등이 나타났고, 부정적 이미지로는 허무, 이기심, 집착, 거짓, 무모함, 쇠퇴함, 위험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웨스 앤더슨 감독의 노란색 표현 방법의 특징을 4가지로 도출하였는데 첫째, 웨스 앤더슨은 영화에 지속적으로 노랑 타이틀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멜랑코믹 장르의 상징적 이미지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출을 통해 극의 세부적인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관객의 시선을 유도하여 자신만의 영상 필체를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앤더슨은 다른 색과 대비된 노랑의 배색 이미지를 치밀하게 계산하여 위험한 상황을 암시하거나 신경질적이고 분노한 인물의 감정 상태를 표현하는 의도적 상징 요소로 노랑을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앤더슨은 영화 속의 크고 작은 소품마저 미적 감각과 영화별 주제를 반영하여 그의 영화에 빠질 수 없는 모험과 도전, 때로는 무모함을 상징하는 배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란색을 활용하였다. 넷째, 각 영화의 엔딩에 노란색을 활용하여 웨스 앤더슨이 추구하는 긍정적 레퍼토리를 더욱 강조하여 표현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웨스 앤더슨 감독이 노랑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상징적 메시지를 고찰하였다. 먼저 웨스 앤더슨의 영화에는 어떤 집단과 계층이 필수적으로 등장하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관계의 복원에 대해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가족이나 동료와 같은 더 큰 맥락의 유대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유대관계를 앤더슨은 노랑을 사용하여 개인적인 이야기임과 동시에 모두의 이야기로서 공동체 속의 우정, 신의, 화합 등의 인간관계에 대한 교훈적 메시지를 투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웨스 앤더슨은 부모님의 이혼이라는 본인의 경험을 영화라는 방식을 통해 가족 내러티브 장치를 이용하여 등장인물이 각각의 결핍을 극복하고 모험과 도전의 의미로 노랑을 활용하여 성숙과 안정을 찾는다는 레퍼토리를 각 영화마다 반복적으로 그려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의 영화는 어두운 삶에 대한 묘사를 반대적 정서의 코믹물로 승화시킨 멜랑코믹 장르를 바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노랑의 긍정과 부정 이미지가 혼합되어 색채이미지가 창의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영화감독으로서 독창적인 자신만의 브랜드를 구축해나가고 있는 웨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를 분석하여 색채의 활용에 있어서 노랑을 일관된 주제의식과 연관 지어 사용하였다는 공통점을 도출하였다는 점과 작가주의 감독으로서 웨스 앤더슨의 작품에 나타난 색채상징 의미에 대한 학술적 가치를 발견하고 그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웨스 앤더슨의 포스터와 영화 전반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사용된 색이면서도 웨스 앤더슨이 다소 우울하고 불행한 상황에서도 각 캐릭터가 상황을 극복하여 희망과 안정적인 스토리를 이끌어 내기 위해 사용한 대표적인 색상인 노란색만을 연구대상으로 사용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른 색상을 표현하는 작가주의 감독의 영화로 범위를 확대한다면 영상에 나타난 색채 상징성에 대한 이론적 체계 정립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는 시각예술로서 영화에 표현된 색채 의미를 이해하고, 감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해석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Anderson WW, Seitz MZ(2016) Wes Anderson Collection: The Grand Budapest Hotel(Jo DS, Trans.), Paju: Will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3), pp10-11, 89-90
2. Anderson WW, Seitz MZ(2017) Wes Anderson collection (Jo DS, Trans.), Paju: Will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5), pp9-10
3. Bae MS, Kim DH(2015) Long-take style emerge from Mise-en-Scène-focusing on the film of Wes Anderson-. J Community Des 51, 113-124
4. Bae SJ(2016) Auteur film. Seoul: Commbooks, pp17-22
5. Bae YJ, Jang SR(2012) Color for design 15. Paju: Jigumunhwasa, p58
6. Biography.com(2019) Wes Anderson biography. Available from https://www.biography.com/filmmaker/wes-anderson [cited 2019 Aug 14]
7. Breaem H(2010) Power of color. Seoul: Iljinsa, pp81-100
8. Caffrey C(2019) Wes Anderson. Salem Press Biographical Encyclopedia
9. Cha JH, Kwon MJ, Ryang SS(2017) A study on the image expressed in movies of Wes Anderson: focused on ‘Moonrise Kingdom’, ‘The Grand Budapest Hotel’. J Digital Contents Soc 18(7), 1303-1312.
10. Choi HJ(2016) A study on ‘the Depth of the Film Image’ and its aesthetic implications in the Wes Anderson’s films: focusing on the film <Grand Budapest Hotel> and <Moonrise Kingdom>. Cartoon Animation Stud (43), 343-362.
11. Dilley WC(2018) The cinema of Wes Anderson (Choi JW, Trans.), Seoul: Buon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7), pp14-81
12. Ham RR(201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film doubles and character through analysis of color-a movie <The Great Gatsby> centrally-.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p31
13. Han ES(2013) A study on montage technique to implement suspense in alfred hitchcock films.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p109
14. Hwang GVNR(2018) The art makeup design using the sense scale of yellow color combination.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pp2-12
15. IMDb(2019) Wes Anderson biography. Available from https://www.imdb.com/name/nm0027572/bio [cited Oct 28]
16. Joo JH, Chio KS(2018) Color association characteristics research for abstract symbol of primary color. J Korea Inst Spat Des 13(5), 81-90
17. Kang SR(2017) Cinema color aesthetic. Seoul: Commbooks, p1
18. Kang YJ(2007)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popular movie and a Auteurism film?. Available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0/03/2007100301041.html [cited 2007 Oct 3]
19. Kim DJ(2007) The symbolic meaning of colors expressed on costumes in the movie “Great Expectation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28-32
20. Kim HW(2008) A study on the symbolism of color and color words in Korean.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pp17-19
21. Kim JG(2013) A study on film color of S. Eisenstein. Film Stud (58), 87-109.
22. Kim JH(2012) The comparison of the authorship in animation to the film authorship. J Digital Interact Des 11(2), 147-159.
23. Kim JK(2006) Film color aesthetic. Seoul: Commbooks, pp131-132
24. Kim JK, Lee UY, Lim MA, Lim ES(2010) Color story. Paju: Kyomunsa, pp35-36
25. Kim JW(2019) Syersha Ronan joins Wes Anderson’s new film, Franch dispatch. Available from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2068 [cited Jan 3]
26. Kim MY, Jung YK(2014) A study of color image in the movies-focused on the movie costume and circumstance of ‘The Great Gatsby’-. J Korean Soc Knit Des 12(2), 37-45
27. Kim SH(2016) Study on allegory shown in Bong Joon-ho’s Cinema-focusing on the cinema “Snowpiercer”-. J Korea Cont Assoc 16(10), 701-710.
28. Kim SM(2009) A study on the costume and color symbolism of the Movie<TITANIC>-focusing on main actresses’ costumes and background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p47-48, 81-82
29. Kim SN(1995) A study on Korean film author. Seoul: Yani, p11
30. Kim SY(2017) Symbolism of colors in costumes of the ballet “Raise the Red Lantern”. Korean J Hum Ecol 26(2), 109-119.
31. Kim YI, Kim EK, Kim JY, Kim HS, Moon YA, Lee YJ, Lee JH, Chu SH(2009) Color language of fashion. Paju: Gyomoonsa, pp22-37
32. Kim YI, Kim JH(2015) Critical study on criticism of auteurism in the film. Cineforum (22), 261-289.
33. Kim YS(2008) Color psychological communication. Seoul: Iljinsa, pp63-73
34. Koo GW(2017) Song Kang-ho, who Park Chan-wook called “genius” his past. Available from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347954 [cited 2017 Aug 14]
35. Kornhaber D(2018) Wes Anderson, Austin Auteur. Texas Stud Lit Lang 60(2), 125-128.
36. Kwak MD(2018) Fantasy adventure ‘Island of Dogs’, a dreamy adventure story created with infinite imagination. Available from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806011524483683&ext=na [cited 2018 Jun 1]
37. Lee EA(2012a) A study on the emotion effect of color as Mise-en-Scène factor of film-focused on ‘Spider Forest’-.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pp22-57
38. Lee HJ(1999) Fashion design created through color images of yellow.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25-34
39. Lee HY, Lee SH(2004) The images analysis on colors and textile materials-focusing on movie, “Gone with the Wind”. J Korean Soc Knit Des 2(1), 1-12
40. Lee JY, Kim KI(2003) A study on yellow color’s symbolic meaning in oriental and occidental costume. J Korea Fash Costume Des Assoc 5(2), 17-29
41. Lee TH, Lee WS(2013) The study on 1990s American new wave director Wes Anderson’s film style-with Wesley wales Anderson’s film “Royal Tenenbaums” (2002, U.S.A)-. J Digital Des 13(2), 365-375.
42. Lee TH(2012b) The analysis on contemporary authorship director’s film style-with Guy Rich’s film “Snatch (2001, U.S.A)”-. J Digital Des 12(4), 119-130.
43. Lee TH, Min JY(2013) The analysis of metaphorize technique through color’s formative image: with director, “Miyajaki Hayao’s” 4th period animations. J Digital Des 13(1), 449-462.
44. Lee WY, Choi JW(2014) A study on symbol of color through the movie costumes-focusing Zhang Yimou’s vies-. J Korea Des Knowl 30, 253-267.
45. Lim C(2010) Video design. Seoul: Duyangsa, p96
46. Lim YN(2018) ‘Persona’ means, the director’s role actor...interest. Available from http://www.newsinside.kr/news/articleView.html?idxno=500520 [cited 2018 Jul 5]
47. Moon EB(2011) Color design textbook. Paju: Ahngraphics, p268
48. Park JS, Park YS(2014) Analysis on the color image and the descriptive symbolism exposed in the movie costumes-focusing on the utility and the limit of image scale-. J Korea Soc Color Stud 28(1), 229-239.
49. Park YJ(2009) Yellow image shown in clothing.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p34
50. Park YS, Lee HJ(2012) Color and design. Paju: Kyomunsa, p57
51. Shim JM(2019) IU’s Netflix movie “Persona” means?. Available from http://www.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894 [cited 2019 Apr 7]
52. Shin HS(2009) Color combination planning. Seoul: Digitalbooks, pp22-25
53. Sommer VP(2016) Wes Andersons personal style through the examples of “Fantastic Mr. Fox” and “The Grand Budapest Hotel”. Bachelor’s Thesis, Mitweida University, p41
54. Song HS(2018) Emotional color of the oceans for narrative in visual media-focused on Disney’s Moana-. Treatise Plastic Medi 21(3), 247-255
55. Sun H, Sun D(2013) Color your life. Paju: Yegyeong, p245
56. Won SM(2018) A study on emotional understanding of color expression in film. J Community Des 63, 251-260
57. Yoo SY(2017) The study on the Wes Anderson’s movie costume-focusing on ‘The Grandbudapest hotel’’s uniform costume-. J Mov Image Technol Assoc Korea (26), 47-67.
58. Yoon DH(2009) Costume of Cleopatra and it’s symbolism -focusing on stage costume design of image of the Movie <Cleopatra>.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pp97-99
59. Yoon JW(2015) The study on color representation by character types in the movie ‘Inside Out. Illustration Forum 44, 57-66
60. Yun HJ(2014) A study on the image expression of first lady’s fashion color. Master’s th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pp21-22